맨위로가기

이종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인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시기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활약하다 전사했다. 1556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한 후 북방 수비에 공을 세웠으며, 임진왜란 발발 후 김성일 휘하에서 활동했다. 1593년 진주성 전투에서 뛰어난 용맹을 보였으나, 왜군과의 전투 중 사망했다. 사후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고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성 이씨 - 이명기 (화가)
    이명기는 조선 후기 초상화가로, 인물의 개성을 섬세하게 포착하는 뛰어난 묘사력으로 초상화의 수준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으며, 《윤봉구 초상》, 《심낙수 초상》, 《허목 초상》 등의 대표작이 있다.
  • 개성 이씨 -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은 조선 초 문신 이등과 의령옹주 부부의 묘역으로, 서울 도봉구에 있으며 조선 왕실 묘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뛰어난 석물 조각과 보존 상태로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1593년 사망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1593년 사망 - 오기마치 천황
    오기마치 천황은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재위하며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비호 아래 쇠퇴했던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그들의 영향력 아래 양위를 요구받기도 했던 일본의 제106대 천황이다.
이종인
기본 정보
이종인
이종인
출생1942년
사망2015년 7월 23일 (향년 73세)
직업잠수 기술자
활동 분야해난 구조, 수중 촬영
경력
주요 경력88올림픽 해군 해난구조대 수중촬영
아시아게임 해난구조대 수중촬영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구조 작업 참여
씨프린스호 침몰 사고 방제 작업 참여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구조 작업 참여
천안함 침몰 사건 구조 작업 참여
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 작업 참여
기업알파잠수기술공사
직책대표이사
논란 및 비판
논란 및 비판 내용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다이빙벨 투입 관련 논란

2. 생애

이종인은 1556년(명종 11년) 나주 남평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개성이다. 성격이 굳세고 절조가 있었으며, 무과에 합격하였다. 키는 8척 장신이었으며 외모가 수려하였다. 일찍부터 활쏘기와 말타기를 좋아했고, 평소 무인이 될 자질을 연마하였다. 퇴계 이황의 문인이었으나, 타고난 기질이 대담하고 호방하여 무예를 연마하게 되었다.

1580년(선조 13년) 별시무과(別試武科)에 급제하여 군관으로서 북방을 지켰다. 1583년 여진족 니탕개가 쳐들어와 경원이 함락되었을 때, 이종인은 토벌군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이후에도 북방 수비에서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1]

임진왜란 발발 후 김성일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1593년 음력 4월 김해부사로 임명되었다. 그해 음력 6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으로 진주성을 공격하는 왜군에 맞서 진주성에 합류하여 뛰어난 용맹을 발휘하였다. 음력 6월 28일, 왜군의 총공격으로 성 방어가 무너질 위기에 처하자 왜병 다섯을 죽여 적을 물리치기도 하였다.

제2차 진주성 전투는 서예원의 지휘력 부족으로 조선 측이 일괄적으로 통제되지 못하고, 관군과 의병 지휘관들의 개별 역량에 의존해야 했다. 이종인은 서예원이 야경을 소홀히 하여 성벽이 무너지자 그를 꾸짖기도 했다. 같은 날, 충청병사 황진과 사천현감 장윤이 전사하자 조선 측 사기가 크게 떨어졌다. 왜군은 가토 기요마사가 고안한 귀갑차를 이용해 성벽을 무너뜨렸다.

1593년 6월, 왜군은 10만 대군으로 제2차 진주성을 공격했다. 무너진 성벽 틈으로 왜군이 쳐들어오자 조선군은 밀리기 시작했고, 6월 28일 황진이 전사했다. 이종인은 황진의 시신을 수습하고 용감히 싸웠으나 결국 전사했다. 김천일, 최경회 등 여러 장수들이 전사하고, 백성 6만여 명은 전투 후 왜군에게 학살되었다.

이종인의 죽음에 대해서는 왜군의 탄환에 맞아 죽었다는 기록과, 왜군 두 명을 옆구리에 끼고 남강에 투신했다는 기록이 함께 전해진다.[1]

사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어 처음 병마절도사로 증직되었다가 다시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2. 1. 임진왜란 이전의 생애

李宗仁|이종인중국어1556년 명종 11년에 나주 남평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개성이다. 성격이 굳세고 절조가 있었으며, 무과에 합격하였다. 키는 8척 장신이었으며 외모가 수려하였다. 일찍부터 활쏘기와 말타기를 좋아했고, 평소 무인이 될 자질을 연마하였다. 퇴계 이황의 문인이었으나, 타고난 기질이 대담하고 호방하여 무예를 연마하게 되었다.

1580년(선조 13년) 별시무과(別試武科)에 급제하여 군관으로서 북방을 지켰다. 1583년 여진족 니탕개가 쳐들어와 경원이 함락되었을 때, 이종인은 토벌군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이후에도 북방 수비에서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1]

2. 1. 1. 출생

李宗仁|이종인중국어1556년(명종 11년)에 나주 남평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개성이다. 성격이 굳세고 절조가 있었으며, 무과에 합격하였다. 키는 8척 장신이었으며 외모가 수려하였다. 일찍부터 활쏘기와 말타기를 좋아했고, 평소 무인이 될 자질을 연마하였다. 원래 학문 연구에 뜻을 두고 퇴계 이황의 문인이 되었으나, 타고난 기질이 대담하고 호방하여 무예를 연마하게 되었다.

2. 1. 2. 무과 급제와 관료 생활

1580년(선조 13년) 별시무과(別試武科)에 응시해 급제하였다. 이후 군관으로서 북방을 지키게 되었는데, 1583년 여진족 니탕개가 쳐들어와 경원이 함락되었다. 당시 함경도 병마절도사 이제신은 그에 대한 죄를 지고 의주 인산진(麟山鎭)으로 유배되었다. 이종인은 이에 대한 토벌군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이후에도 북방 수비에서 수차례 공을 세웠다.[1]

2. 2. 임진왜란과 제2차 진주성 전투

임진왜란 발발 후 김성일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1593년 음력 4월 김해부사로 임명되었다. 그해 음력 6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으로 진주성을 공격하는 왜군에 맞서 진주성에 합류하여 뛰어난 용맹을 발휘하였다. 음력 6월 28일, 왜군의 총공격으로 성 방어가 무너질 위기에 처하자 왜병 다섯을 죽여 적을 물리치기도 하였다.

제2차 진주성 전투는 서예원의 지휘력 부족으로 조선 측이 일괄적으로 통제되지 못하고, 관군과 의병 지휘관들의 개별 역량에 의존해야 했다. 이종인은 서예원이 야경을 소홀히 하여 성벽이 무너지자 그를 꾸짖기도 했다. 같은 날, 충청병사 황진과 사천현감 장윤이 전사하자 조선 측 사기가 크게 떨어졌다. 왜군은 가토 기요마사가 고안한 귀갑차를 이용해 성벽을 무너뜨렸다.

1593년 6월, 왜군은 10만 대군으로 제2차 진주성을 공격했다. 무너진 성벽 틈으로 왜군이 쳐들어오자 조선군은 밀리기 시작했고, 6월 28일 황진이 전사했다. 이종인은 황진의 시신을 수습하고 용감히 싸웠으나 결국 전사했다. 김천일, 최경회 등 여러 장수들이 전사하고, 백성 6만여 명은 전투 후 왜군에게 학살되었다.

이종인의 죽음에 대해서는 왜군의 탄환에 맞아 죽었다는 기록과, 왜군 두 명을 옆구리에 끼고 남강에 투신했다는 기록이 함께 전해진다.[1]

2. 3. 사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어 처음 병마절도사로 증직되었다가 다시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3. 가족 관계

의 본관은 개성이며, 아버지는 무형, 어머니는 정선 전씨, 배우자는 밀양 박씨이다.[1] 진주 영렬사, 정충사 비에도 관련 기록이 있다.[1]

가족 관계[1]
관계성명본관
아버지무형개성
어머니정선
배우자朴氏|박씨한국어밀양


4. 참고 사항

정조 23년(1779년)에 발간된 호남 절의록에 이종인에 대한 기록이 있다.[1] 호남 절의록에는 이종인의 본관이 개성 이씨로 기록되어 있다.

5. 연관 항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