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근 (191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창근(1911년 2월 14일 ~ 2003년)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시기에 걸쳐 활동한 정치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춘천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강원도 농회 서기, 강원도청 토목과 직원 등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동양인쇄 전무이사, 반도제지회사 감사역, 청년단체 고문 등을 역임했다. 제2대 국회의원 선거와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제2공화국 시기인 1960년 제10대 강원도지사를 역임했다. 이후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을 지냈으며, 대한적십자사 강원도지사장을 역임했다.
이창근은 1911년 2월 14일 충장공 이복남의 11대손으로 강원도 춘성군 신남면 퇴계리(현, 춘천시 퇴계동)에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승근(昇根)이었으나 후에 창근(昌根)으로 개명하였다. 자(字)는 성언(聖言)이고, 아호는 창해(昌海)이다. 춘천보통학교, 춘천중학교, 1929년 춘천공립고등보통학교(춘천고등학교의 전신)를 졸업했다. 춘천고보 재학 중 단거리 육상선수, 야구선수 등으로 활동했다.[1]
[1]
뉴스
大韓체육회 자문위원 李昌根옹 강직한 삶 80年「春川 체육 代父」
동아일보
1990-10-16
2. 생애
강원도공무원양성소를 수료한 후 강원도 농회 서기, 강원도 농작시험장, 강원도청 토목과 직원 등을 역임했다. 1939년 강원도 농사시험장 지방서기[2], 그해 원산부청 토목과 기수보[3], 1941년 강원도 홍천군청 군속으로 근무했다.[4] 1941년 9월 1일 홍천군청 군속을 의원면직하였다.[5] 광복 이후 동선인쇄소에 입사하여 동양인쇄(주) 전무이사, 반도제지회사 감사역, 청년단체 고문 등으로 활동했고, 춘천사법보회위원회 위원, 정부 관보(官報) 강원도취급소장, 대한유도회 강원도지부 이사, 춘천고등학교 재건기성회 이사, 춘천고등학교동창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1955년 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1957년과 1958년에 민주당 춘천시당 부위원장을 역임했다.[10] 1959년 민주당 중앙위원회 원을 거쳐 민주당 춘성군당위원장에 임명되었고, 민주당 강원도당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어 춘성군당위원장을 겸임했다.[10] 1960년 4·19 혁명 직전, 서울 무교동, 인사동에서 열린 부정선거 규탄 시위에 민주당 강원도당 부위원장 자격으로 다른 당원 20명과 함께 참석했다.[21]
1963년 군정 연장 반대 운동에 참여, 군정 연장 반대 지도위원[27], 신정당 강원도당부 조직위원[27], 공명선거투쟁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28] 1964년 춘천에서 열린 대일 굴욕 외교 반대 투쟁 강원도 위원회 확대 회의에서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30] 1965년 춘천시에서 열린 민정당, 민주당 등 야당 통합 촉진 대회에 민주당 측 대표자로 참석했다.[32]
1972년 신민당 강원도 지부 대의원을 지냈으며,[35] 같은 해 제1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강원도 춘천시 2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8년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도 재선되어, 1981년까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강원도 지역구)을 역임했다.
1949년 4월 강원도 체육회 이사가 되었다.[7] 1950년 5월 6일 제2대 국회의원 총선에 서울 중구 갑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9], 5월 10일의 선거에서 낙선했다.
1958년 총선 당시 춘천 민주당 국회의원 후보자인 계광순 후보 선거사무장이었다.[13] 계광순이 제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자, 그는 계광순 국회의원의 비서관이 되었다.[14][15]
1960년 9월 27일 혁신총연맹 심사위원장에 임명되었으나,[22] 곧 강원도지사에 임명되면서 탈퇴했다. 제2공화국 출범 이후 1960년 10월 7일 제10대 강원도지사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960년 12월 민선으로 선거가 바뀌면서 12월 3일 강원도지사직을 사퇴했다.
1963년 10월 21일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춘천시·춘성군 선거구 민주당 후보자로 공천 확정되어[29] 출마했으나, 11월 26일 선거에서 3위로 낙선했다.
1967년 2월 26일 춘천, 춘성 지역 신민당 지구당 위원장 및 국회의원 예비 후보의 한 사람으로 등록했으나[33][34] 탈락했다. 6월 제7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자유당 후보 홍창섭 후보자 선거사무소장이었다.
1980년 직장 새마을운동 강원도협의회장, 민간 새마을운동 강원도협의회장, 1981년 강원도새마을회 청소년후원회장 등을 역임했다. 1981년 대통령 선거인단 선거에 춘천시 제3선거구 후보자로 입후보, 2월 12일 대통령선거인단 춘천시 제3선거구(효자2동, 후평동, 석사동, 퇴계동, 효자3동 지역구)에 당선되었다.[36][37]
1982년 11월 10일부터 1984년 11월까지 제18대 대한적십자사 강원도지사장을 지냈다.[38]
2001년 11월 5일 춘천번영회 고문에 선임되었다.[39] 2002년 4월 24일 강원도 지방행정동우회 고문,[40] 5월 23일 한나라당 6·13 지방선거 강원도 선대위 자문위원이 되었다.[41] 2003년 노환으로 사망했다. 묘소는 강원도 춘천시 동면 장학리에 있다.
2. 1. 초기 활동
이창근은 1911년 2월 14일 충장공 이복남의 11대손으로 강원도 춘성군 신남면 퇴계리(현, 춘천시 퇴계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한익(漢益)이고, 어머니는 진주 강씨(晉州姜氏)로 영조 때 좌승지, 참의를 지낸 강필리의 5대손 사헌부 감찰 강재희(姜在熙) 또는 강임희(姜任熙)의 딸이다.
임진왜란 당시 웅치 전투, 남원성 전투에서 활동한 장군 이복남의 11대손으로, 그의 4대손 이태망의 차남 이봉채의 셋째 아들 상구(商耈)의 6대손이 된다.
처음 이름은 승근(昇根)이었다가 뒤에 창근(昌根)으로 개명하였다. 자(字)는 성언(聖言)이고, 한참 뒤에 아호를 창해(昌海)라 지었다. 퇴계리는 그가 태어날 당시에는 춘성군 신남면이었으나 후일 춘천면에 편입되어 춘천읍, 춘천부, 춘천시로 이어졌다. 이후 춘천시 퇴계동 381, 춘천시 퇴계동 381-11 등에 거주하였다.
춘천보통학교, 춘천중학교, 1929년 춘천공립고등보통학교(춘천고등학교의 전신)를 졸업했다. 춘천고보 재학 중 단거리 육상선수, 야구선수 등으로 활동했다.[1]
강원도공무원양성소를 수료한 후 강원도 농회 서기, 강원도 농작시험장, 강원도청 토목과 직원 등을 역임했다. 1939년 강원도 농사시험장 지방서기[2], 그 해 원산부청 토목과 기수보[3], 1941년 강원도 홍천군청 군속으로 근무했다.[4] 곧 홍천군청 사회과 주임으로 임명됐다. 1941년 9월 1일 홍천군청 군속을 의원면직하였다.[5] 1941년 11월 2일 오전 8시부터 오후 3시 조선신문사 주최 경춘선역 역전경주대회에 감독 보조로 참여했다.[6] 조선신문 주최 경춘선역 역전백미경주대회는 망우리역에서 각 구간별로 진행되었다.[6] 그 뒤, 강원도섬유작물협회에 입사, 직원이 되었다.
광복 이후 동선인쇄소에 입사했다. 그 뒤 동양인쇄(주) 전무이사, 반도제지회사 감사역, 청년단체 고문 등으로 활동했고, 춘천사법보회위원회 위원, 정부 관보(官報) 강원도취급소장, 대한유도회 강원도지부 이사, 춘천고등학교 재건기성회 이사, 춘천고등학교동창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그밖에 강원도섬유협회 이사, 동선인쇄주식회사 전무취체역, 강원약업주식회사 취체역사장, 강원도체육회장, 정부간행물주식회사 취체역, 대한청년단 강원도단부 고문, 강원도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2. 2. 정당, 사회단체 활동
1955년 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1957년과 1958년에 민주당 춘천시당 부위원장을 역임했다.[10] 1958년 춘천시교육위원회 부의장을 지냈다. 1959년 민주당 중앙위원회 원을 거쳐 민주당 춘성군당위원장에 임명되었고, 민주당 강원도당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어 춘성군당위원장을 겸임했다.[10]
1959년 민주당 강원도당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며,[17] 대의원 138명 중 66표를 얻었다.[18][19] 민주당 강원도당 선거대책위원회의장, 1959년 민주당 중앙당 산업부차장 등을 역임했다.[20]
1960년 4·19 혁명 직전, 서울 무교동, 인사동에서 열린 부정선거 규탄 시위에 민주당 강원도당 부위원장 자격으로 다른 당원 20명과 함께 참석했다.[21]
1963년 군정 연장 반대 운동에 참여하여 군정 연장 반대 지도위원으로 선임되었고,[27] 신정당 강원도당부 조직위원[27], 공명선거투쟁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28]
1964년 춘천에서 열린 대일 굴욕 외교 반대 투쟁 강원도 위원회 확대 회의에서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30] 1965년 춘천시에서 열린 민정당, 민주당 등 야당 통합 촉진 대회에 민주당 측 대표자로 참석했다.[32]
1972년 신민당 강원도 지부 대의원을 지냈으며,[35] 같은 해 제1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강원도 춘천시 2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8년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도 재선되어, 1981년까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강원도 지역구)을 역임했다.
2. 2. 1. 제1공화국 시절
1949년 4월 강원도 체육회 이사가 되었다.[7] 1950년 5월 21일부터 5월 25일 강원도 체육회 직원들과 함께 마라톤 선수 함기용 환영회를 준비하고[7], 춘천 공회당에서 보스톤마라톤 대회 실황 영화를 상영하였다.[7] 10월 15일 서울 부민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한체육회 창립 30주년 기념 체육대회에서 공로자 표창장을 받았다.[8] 1950년 5월 6일 제2대 국회의원 총선에 서울 중구 갑에 무소속 국회의원 후보자로 출마했으나[9], 5월 10일의 선거에서 낙선했다.
1955년 민주당이 창당되자 입당, 1957년 9월 5일 민주당 춘천시당 부위원장[10], 1958년 8월 민주당 춘천시당 부위원장이 되었다. 1958년 9월 춘천시교육위원회 부의장, 58년 10월 민주당 중앙위원회 원을 거쳐 59년 11월 민주당 춘성군당위원장에 임명되었고, 바로 민주당 강원도당 부위원장에 선출되어 춘성군당위원장을 겸하였다.
1957년 2월 11일 대한아구협회 정기 11차 대의원회의에서 야구협회 감사로 선출되었다.[11][12]
1958년 총선 당시 춘천 민주당 국회의원 후보자인 계광순 후보 선거사무장이었다.[13] 계광순이 제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자, 그는 계광순 국회의원의 비서관이 되었다.[14][15] 1960년 6월에는 계광순 의원의 비서였으나[14], 1960년 10월 8일 당시에는 이미 계광순 의원의 비서직에서 면직된 상태였다.[16]
1959년 9월 29일 민주당 강원도당 부위원장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었다.[17] 대의원 138명 중 66표를 받았다.[18][19] 그밖에 당직으로는 민주당 강원도당부 선거대책위원회의장, 1959년 12월 28일 민주당 중앙당부 산업부차장 등을 역임했다.[20] 59년 12월 민주당 사업부 차장이 되었다.
1960년 4월 6일 서울 무교동, 인사동에서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민주당 중앙당부 위원 등이 모여 부정선거 규탄 시위를 벌였다.[21] 이때 서울시청 앞에서 있을 부정선거 규탄 집회에 참석하고자 민주당 강원도당 부위원장 이창근 외 20명 역시 전날 인사동 민주당 중앙당사에 와서 밤을 세웠다.[21]
2. 2. 2. 제2공화국 시절, 강원도지사 재직
1960년 9월 27일 혁신총연맹 심사위원장에 임명되었으나,[22] 곧 강원도지사에 임명되면서 탈퇴했다. 제2공화국 출범 이후 1960년 10월 7일 제10대 강원도지사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960년 12월 민선으로 선거가 바뀌면서 12월 3일 강원도지사직을 사퇴했다.
1960년 10월 7일부터 1960년 12월 3일까지 제10대 강원도체육회 회장을 겸직했다.[23]
2. 2. 3. 제3, 4공화국 시절
1963년 3월 23일 춘천에서 홍종남, 김병로 등과 함께 군정 연장 반대 운동을 추진, 군정 연장 반대 지도위원에 선임되었다. 6월 3일 신정당 강원도당부 조직위원의 한 사람으로 선임되었고[27], 10월 11일에는 공명선거투쟁위원회 위원장이었다.[28]
1963년 10월 21일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춘천시·춘성군 선거구 민주당 후보자로 공천 확정되어[29] 출마했으나, 11월 26일 선거에서 3위로 낙선했다. 이후 춘천시육상연맹회장, 대한체육회 이사, 대한야구협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1964년 3월 21일 재야 4개 정당 대표 20여 명이 춘천에서 대일 굴욕 외교 반대 투쟁 강원도 위원회 확대 회의를 개최, 부위원장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었다.[30] 11월 23일 춘천시 내 대성루 식당에서 민주당 제1지구(춘천, 춘성 지역구)와 국민의당 제1지구(춘천, 춘성) 합당 개편 대회에 참석,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31] 1965년 3월 18일 춘천시 내 미장 그릴에서 열린 민정당, 민주당 등 야당 통합 촉진 대회에 민주당 측 대표자의 한 사람으로 참석했다.[32]
1967년 2월 26일 춘천, 춘성 지역 신민당 지구당 위원장 및 국회의원 예비 후보의 한 사람으로 등록했으나[33][34] 탈락했다. 6월 제7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자유당 후보 홍창섭 후보자 선거사무소장이었다.
1972년 신민당 강원도 지부 대의원이었다.[35] 같은 해 대통령 선거인단을 선출하는 제1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강원도 춘천시 2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 1972년 12월 23일부터 1981년까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강원도 지역구)을 지냈다. 1978년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강원도 춘천시 2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 재선하였다.
2. 3. 생애 후반
1980년 직장 새마을운동 강원도협의회장, 민간 새마을운동 강원도협의회장, 1981년 강원도새마을회 청소년후원회장 등을 역임했다. 강원도 지방행정동우회의 회원이었다. 1981년 대통령 선거인단 선거에 춘천시 제3선거구 후보자로 입후보했다. 2월 12일 대통령선거인단 춘천시 제3선거구(효자2동, 후평동, 석사동, 퇴계동, 효자3동 지역구)에 당선되었다.[36][37]
1982년 11월 10일부터 1984년 11월까지 제18대 대한적십자사 강원도지사장을 지냈다.[38] 그밖에 강원도 정책자문위원회 지방분과위원장을 역임했다.
2001년 11월 5일 춘천번영회 고문에 선임되었다.[39] 2002년 4월 24일 강원도 지방행정동우회 고문,[40] 5월 23일 한나라당 6·13 지방선거 강원도 선대위 자문위원이 되었다.[41] 2003년 노환으로 사망했다.
영결식이 15일 오전 10시 춘천시 퇴계동 천주교회에서 유가족을 비롯한 각급 기관단체장,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엄수됐다. 이날 영결식은 李 전 지사의 약력보고와 조사, 추모미사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오전 11시 강원도청 광장에서 김진선 지사를 비롯한 도청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노제가 열려 고인을 추모했다.[42] 묘소는 강원도 춘천시 동면 장학리에 있다.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출생 사망 비고 아버지 이한익(李漢益) 1890년 11월 4일 1944년 3월 16일 어머니 진주 강씨(晉州姜氏) 1888년 2월 10일 ? 감찰 강재희(姜在熙)의 딸 부인 이순구(李順求) 1912년 3월 5일 1994년 7월 2일 경주 이씨 아들 이병국, 이병하 딸 이병숙, 이희자, 이병애, 이병원, 이병선 손자 이진기, 이인기, 이원기 손녀 이숙기, 이현기, 이지안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 선거 종류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60년 총선 민주당 3,726표 (12.27%) 4위 낙선 1960년 특별시장·도지사선거 무소속 38,325표 (14.10%) 4위 낙선 1963년 총선 민주당 10,999표 (18.57%) 3위 낙선 1972년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무소속 2,889표 (12.6%) 3위 당선 1978년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무소속 4,787표 (14.8%) 3위 당선
참조
[2]
서적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
1939
[3]
서적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
1939
[4]
서적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
1941
[5]
뉴스
江原道辭令
1941-09-01
[6]
뉴스
豪華な陣容整備, 本社主催京春間驛傳競走
1941-11-02
[7]
뉴스
"[지방소식] 咸선수 환영 준비 중, 8일부터 실황 영화"
자유신문
1950-05-21
[8]
뉴스
體育功勞者表彰者名簿 (全)
동아일보
1949-10-17
[9]
뉴스
전국 立候補 今明判明 서울市 一六二
경향신문
1950-05-08
[10]
뉴스
內外動靜
경향신문
1957-09-05
[11]
뉴스
野協任員 改選 野協代議員 大會
경향신문
1957-02-12
[12]
뉴스
野協事業計劃
조선일보
1957-02-12
[13]
뉴스
選擧의 報復行爲 徹底히 團束키로
조선일보
1958-05-17
[14]
뉴스
公薦에 不滿抗議 地方黨員 民主黨中央黨서 騷動
동아일보
1960-06-25
[15]
뉴스
總選後袂別前提
동아일보
1960-07-10
[16]
뉴스
情實에 흐른 派閥人事
동아일보
1960-10-08
[17]
뉴스
趙派四名當選 江原道黨副委長
동아일보
1959-09-30
[18]
뉴스
桂珖淳氏當選 民主黨江原道委長
조선일보
1959-09-30
[19]
뉴스
江原道선 桂珖淳氏當選
동아일보
1959-09-30
[20]
뉴스
部次長을 認准 民主黨常務委
동아일보
1959-12-29
[21]
뉴스
舊派도 一部呼應
조선일보
1960-04-06
[22]
뉴스
革新總聯 任員改選
경향신문
1960-09-28
[23]
웹사이트
강원도체육회 역대 회장
https://www.gwsports[...]
[24]
뉴스
體育會 傘下 團體 任員決定
동아일보
1961-07-29
[25]
뉴스
民主黨 江原知事 公薦變更을 申請
경향신문
1960-12-10
[26]
뉴스
幕을 올린 地方長官 選擧戰
동아일보
1960-12-10
[27]
뉴스
新政黨道組織委員
경향신문
1963-06-04
[28]
뉴스
"왜 新聞마다 聽衆 數 달라
동아일보
1963-10-11
[29]
뉴스
1次로 51명 公薦 民主黨서
조선일보
1963-10-22
[30]
뉴스
江原鬪委 幹部 改選
조선일보
1964-03-22
[31]
뉴스
民主, 국민의당 合黨 改編대회
경향신문
1964-11-24
[32]
뉴스
野黨 統合 促進大會
동아일보
1965-03-19
[33]
뉴스
4百 95名 競合
경향신문
1967-02-27
[34]
뉴스
新民黨 地區黨 委員長 신청자 명단
조선일보
1967-02-28
[35]
뉴스
新民 효창洞 大會 참석 代議員 명단
동아일보
1972-09-29
[36]
뉴스
第12代 大統領 選舉人 당선자
동아일보
1981-02-12
[37]
뉴스
大統領 선거인 當選者 명단
경향신문
1981-02-12
[38]
웹사이트
http://www.redcross.[...]
[39]
뉴스
"[춘천] 춘천시번영회 현안 해결 나선다"
https://www.kwnews.c[...]
강원일보
2001-11-03
[40]
뉴스
도지방 행정동우회장 한석용씨 재선출
https://www.kwnews.c[...]
강원일보
2002-04-04
[41]
뉴스
각당 강원도 선대위 어떻게 구성됐나
https://www.kwnews.c[...]
강원일보
2002-05-24
[42]
웹사이트
故이창근 前강원도지사 영결식
http://www.provin.g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