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악은 백린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턱뼈 괴사증을 의미한다. 초기 증상으로는 심한 치통과 잇몸 부종이 나타나며, 농양, 치아 손실, 턱뼈 괴사로 이어진다. 진단은 임상적 특징과 X선 촬영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국소 항생제, 괴사 조직 제거술, 수술 등이 있다. 이 질병은 1839년 처음 보고되었으며, 백린 성냥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여 국제적인 금지 조치로 이어졌다. 백린은 체내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로 변환될 수 있으며,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부작용으로 약물 관련 턱뼈 괴사증(MRONJ)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괴사 - 욕창
    지속적인 압력, 마찰, 전단력과 같은 외적 요인과 노화, 저영양과 같은 내적 요인으로 인해 뼈 돌출 부위에 주로 발생하는 욕창은 혈액 순환 장애를 유발하여 조직 괴사 및 궤양으로 이어지는 피부 손상이다.
  • 괴사 - 괴사딱지
    괴사딱지는 상처 부위에 형성되어 상처를 보호하고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지혈 과정의 부산물이다.
  • 인 - 백린
    백린은 네 개의 인 원자가 정사면체 구조로 결합된 불안정한 분자로, 자연 발화성과 독성을 지니며, 인산 전구체 등으로 사용되지만 백린탄의 성분으로 논란이 된다.
  • 인 - 인산화
    인산화는 분자에 인산기를 첨가하는 반응으로, 당의 인산화는 세포 내 대사를 용이하게 하고, 단백질 인산화는 세포 신호 전달 및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직업병 - 규폐증
    규폐증은 실리카 먼지 흡입으로 발생하는 만성 폐 질환이며, 폐에 염증과 섬유화를 일으켜 호흡 곤란, 기침,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예방을 위해 실리카 노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완치법은 없다.
  • 직업병 - 중피종
    중피종은 석면 노출이 주요 원인이며 20~50년의 잠복기를 거쳐 흉막, 복막 등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진단은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수술, 항암 치료 등을 병행하며 예후는 좋지 않다.
인악
질병 개요
질병 명칭인(燐) 괴사증
다른 이름인 중독성 턱뼈 괴사
인 괴사 턱
phossy jaw (포시 죠)
원인백린(白燐) 노출
관련 직업성냥 공장 노동자
역사
발생 시기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주요 발생 장소백린 성냥 공장
예방 노력백린 사용 금지
작업 환경 개선
개인 위생 교육
증상 및 징후
초기 증상치통, 잇몸 염증, 턱 부위 부종
진행된 증상턱뼈 괴사
악취가 나는 고름
안면 변형
심각한 통증
예방
예방 방법백린 성냥 제조 금지
작업장 환기 시설 개선
개인 위생 관리 철저
정기적인 치과 검진
기타
추가 정보인(燐) 괴사증은 한때 성냥 공장 노동자들에게 흔했던 직업병이었음.
백린 성냥 제조 금지 이후 발생이 현저히 감소했음.

2. 증상

인 린 턱뼈 괴사증의 초기 증상은 심한 치통잇몸 부종이다.[3][20] 통증은 지속적이고 점차 인접 치아와 턱뼈로 퍼져나간다.[3] 시간이 지나면서 농양이 형성되고 구강 점막을 관통하여 누공이 형성될 수 있다.[3][20] 치아 손실 및 농양 재발이 나타난다.[3] 3개월 후에는 골편(살아있는 뼈에서 분리된 죽은 뼈)이 형성되고, 6개월 이내에 턱뼈 괴사가 발생한다.[3][20] 괴사된 뼈는 다공성이며 가벼운 무게를 가지고 어둠 속에서 녹색-흰색 빛을 낸다.[2][4][5][6][19][21][22][23] 윗턱보다 아랫턱이 더 흔하게 영향을 받았다.[4][21] 뇌 손상으로 인해 만성적인 경우 발작이 발생할 수 있다.[7][24]

3. 진단

인악의 초기 진단은 치통, 잇몸 부종, 농양 등 임상적 특징을 통해 이루어진다.[2][19] 임상적 변화가 나타나면 의사나 치과 의사는 방사선 사진(X-ray)을 통해 턱뼈의 변화를 확인한다.[2][19]

방사선 사진에서 괴사편은 부석과 유사한 벌레 먹은 듯한 모습을 보이며, 골다공증처럼 탈회된 것처럼 보인다.[2] 죽은 뼈와 주변 뼈의 분리는 방사선 사진에서 명확하게 구분된다.[2][19]

4. 치료

치료법으로는 국소 항생제, 괴사 조직의 보존적 괴사 조직 제거술 및 수술이 포함된다.[8][25] 외과적 수술을 통한 감염된 턱뼈 제거는 환자를 살릴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장기 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8] 이 질병은 매우 고통스러웠고 환자의 외모를 훼손시켰으며, 죽어가는 뼈 조직이 썩어 들어가면서 악취가 나는 점액성 고름 배출이 동반되었다.[8] 턱뼈 제거는 또한 환자의 음식 섭취 능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영양실조를 포함한 추가적인 건강 문제를 야기했다.[8][25]

5. 역사

5. 1. 발견

1839년, 빈의 의사 로린저가 최초로 인 린 턱뼈 괴사증 사례를 진단했다.[9] 환자는 5년 동안 인 증기에 노출된 성냥 제조 여성이었다.[10][11] 로린저는 이 질병을 "만성 인 중독증(Phosphorimus chronicus)"이라고 명명했다.[3][20] 1844년, 로린저는 인 중독성 턱뼈 괴사증의 22건의 사례를 보고하고 성냥의 백린의 독성 효과를 밝혀냈다.[12][28]

5. 2. 국제적 노력과 법규 제정

1872년,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핀란드 대공국은 성냥의 백린 제조, 사용 및 판매를 전면 금지한 최초의 국가였다. 이어서 1874년에는 덴마크, 1897년에는 프랑스, 영국에서는 1910년 1월 1일부터 백린 성냥 금지령이 발효되었다.[10][12] 1906년 스위스 베른에서 열린 국제 회의에서 백린 성냥의 제조, 수입 및 판매를 금지하는 베른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핀란드, 덴마크, 프랑스, 스위스,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네덜란드, 독일이 서명했다.[10][12][13]

미국에서는 1912년 백린 성냥법이 제정되어 백린을 사용하는 제조업체에게 세금 부과 및 규제가 강화되었다.[10][12][13]

1892년 러시아는 백린 성냥에 높은 세금을 부과했고, 1905년에는 그 세금이 두 배로 인상되었다. 1906년까지 백린 성냥 생산량은 50개 중 1개로 감소했다.[10] 인도일본은 1919년에, 중국은 1925년에 백린 사용을 금지했다.[12] 일본은 1921년 황린 성냥 제조 금지법을 제정하여 제조, 판매, 수입을 금지했다.

5. 2. 1. 대한민국

일제강점기 조선 내 성냥 공장에서 백린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한 노동자 피해가 발생했을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산업 안전 보건 관련 법규가 제정되었고, 현재는 노동 안전 위생법에 따라 백린의 제조 등이 금지되어 있다.[31] 일본에서는 노동 안전 위생법 제55조에 의해 제조 등 금지 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산업 재해 예방 및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6. 성냥 산업

백린은 184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 대부분의 성냥의 활성 성분이었다. 백린 중독증에 대한 우려는 1888년 런던 성냥 공장 파업의 원인이 되었다.[14] 윌리엄 부스구세군은 1891년에 더 안전한 적린을 사용하는 성냥 공장을 설립하고,[14] 지역 소매업체들과 협력하여 적린 성냥만 판매하도록 하는 캠페인을 벌였다.[14]

그러나 백린의 사용은 1906년 국제 베른 협약에서 금지되었고, 그 조항이 다음 몇 년 동안 국내법으로 시행되면서 산업적 사용이 중단되었다.[15]

7. 백린의 작용 기전

인체 내에서 백린은 자연적인 화학 반응을 통해 강력한 아미노 비스포스포네이트로 변환될 수 있다.[4][21] 백린은 단순한 화학적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호흡 작용으로 생성된 CO2 및 H2O 분자가 라이신과 같은 일부 아미노산과 결합하면 비스포스포네이트가 생성된다.[4]

8. 비스포스포네이트와의 연관성

약물 관련 턱뼈 괴사증(MRONJ)은 뼈 흡수를 억제하고 골다공증, 과 일부 다른 질환의 골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아미노-비스포스포네이트의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다.[16] "비스-포시 턱"이라고도 불리는 이 질환은[17] 주로 암 치료에 정맥 주사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깊다.[18] 정맥 주사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으로 인한 턱뼈 괴사 발생률은 경구용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보다 약 1000배 높다.[18]

참조

[1] 서적 Bisphosphonates and osteonecrosis of the jaw: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https://www.worldcat[...] Springer 2012
[2] 논문 Phosphorus Necrosis of the Jaw: A Present-Day Study: With Clinical and Biochemical Studies 1962
[3] 논문 The phosphorus necrosis of the jaws and what can we learn from the past https://www.zora.uzh[...] 2014
[4] 논문 Uncovering the Cause of "Phossy Jaw" Circa 1858 to 1906: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losed Case Files—Case Closed 2008
[5] 웹사이트 Workshops of Horror http://www.osh.govt.[...] New Zealand Department of Labour
[6] 웹사이트 Bisphosphonates and jaw osteonecrosis http://www.medscape.[...] Medscape 2005
[7] 논문 '"Phossy Jaw" and "Bis-phossy Jaw" of the 19th and the 21st Centuries: The Diuturnity of John Walker and the Friction Match.' 2015-09
[8] 논문 Bis-phossy jaw, phossy jaw, and the 21st century: Bisphosphonate-associated complications of the jaws 2004
[9] 웹사이트 The phosphorous necrosis of the jaws and what can we learn from the past: a comparison of "phossy" and "bisphossy" jaw https://core.ac.uk/d[...] 2022-11-27
[10] 논문 The Eradication of Phossy Jaw: A Unique Development Of Federal Police Power 1966
[11] 논문 The Return of the Dreaded Phossy Jaw http://www.rdhmag.co[...] 2009-07
[12] 논문 Matchmakers' "phossy jaw" eradicated https://www.research[...] 1996
[13] 논문 Phosphorus Poisoning in the Match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2010
[14] 웹사이트 Fact and fiction about Salvation Army history http://www.salvation[...]
[15] 웹사이트 Phossy jaw http://www.rootsweb.[...] 2018-04-12
[16] 논문 Osteonecrosis of the jaw and bisphosphonates 2005-07
[17] 논문 '"Bis-phossy jaws" – High and low risk factors for bisphosphonate-induced osteonecrosis of the jaw' https://www.research[...] 2008
[18] 논문 Bisphosphonate use and the risk of adverse jaw outcomes: a medical claims study of 714,217 people 2008-01
[19] 논문 Phosphorus Necrosis of the Jaw: A Present-Day Study: With Clinical and Biochemical Studies 1962
[20] 논문 The phosphorus necrosis of the jaws and what can we learn from the past https://www.zora.uzh[...] 2014
[21] 논문 Uncovering the Cause of "Phossy Jaw" Circa 1858 to 1906: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losed Case Files—Case Closed 2008
[22] 웹사이트 Workshops of Horror http://www.osh.govt.[...] New Zealand Department of Labour 2009-02-18
[23] 웹사이트 Bisphosphonates and jaw osteonecrosis http://www.medscape.[...] Medscape 2009-02-18
[24] 논문 '"Phossy Jaw" and "Bis-phossy Jaw" of the 19th and the 21st Centuries: The Diuturnity of John Walker and the Friction Match.' 2015-09
[25] 논문 Bis-phossy jaw, phossy jaw, and the 21st century: Bisphosphonate-associated complications of the jaws 2004
[26] 논문 The Eradication of Phossy Jaw: A Unique Development Of Federal Police Power 1966
[27] 논문 The Return of the Dreaded Phossy Jaw http://www.rdhmag.co[...] 2009-07
[28] 논문 Matchmakers' "phossy jaw" eradicated https://www.research[...] 1996
[29] 논문 Phosphorus Poisoning in the Match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2010
[30] 웹사이트 Fact and fiction about Salvation Army history http://www.salvation[...]
[31] 웹사이트 Phossy jaw http://www.rootsweb.[...] 2018-04-12
[32] 논문 Osteonecrosis of the jaw and bisphosphonates 2005-07
[33] 논문 '"Bis-phossy jaws" – High and low risk factors for bisphosphonate-induced osteonecrosis of the jaw' https://www.research[...] 2008
[34] 논문 Bisphosphonate use and the risk of adverse jaw outcomes: a medical claims study of 714,217 people 2008-01
[35] 논문 Phosphorus Necrosis of the Jaw: A Present-Day Study: With Clinical and Biochemical Studies 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