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광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광역은 동해선에 있는 전철역으로, 1934년 12월 16일 동해남부선 해운대~좌천 구간 개통과 함께 삼성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49년 일광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2016년 동해선에 편입되어 전철역이 되었고, 2021년 동해선 광역전철 2단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장군의 전철역 - 기장역
기장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동해선 철도역으로, 1934년 개통 이후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역사를 재건하고 2016년 신역사로 이전, 2023년 ITX-마음 운행을 시작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일반 열차와 광역전철이 운행된다. - 기장군의 전철역 - 월내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월내리에 위치한 월내역은 1935년 개업 후 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동해선 복선전철화 공사 후 2021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여객 영업을 재개하였다. -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 신해운대역
신해운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34년 해운대역으로 시작하여 2013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2016년 동해선 편입과 함께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
부전역은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철도역으로, 1943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동해선, 경전선, 경부선 등의 열차 시·종착역이며, 2016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도 기능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 가능하다. - 동해선 - 신해운대역
신해운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34년 해운대역으로 시작하여 2013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2016년 동해선 편입과 함께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동해선 - 서경주역
서경주역은 1919년 금장역으로 시작하여 역명 변경과 이설을 거쳐 동해선 무궁화호와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이다.
일광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일광로 111-10 |
노선 | 동해선 |
주차 | 가능 |
자전거 보관 | 가능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
선로 | 4선 |
개업일 | 1934년 12월 16일 |
운영 | 한국철도공사 |
역 번호 | K124 |
인접 역 | 왼쪽: 기장역 오른쪽: 좌천역 |
한국어 명칭 | |
로마자 표기 | Ilgwangyeok |
한글 | 일광역 |
한자 | 日光驛 |
Mr. 표기 | Ilgwangyŏk |
기타 정보 | |
역 종류 | 보통역 (무배치간이역) |
관리역 | 부전역 |
노선 거리 | 부산진역 기점 32.6 km |
2. 역사
1934년 12월 16일, 동해남부선 해운대 ~ 좌천 구간 개통과 함께 '''삼성역'''(三聖驛)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7][2] 1949년 7월경 현재의 '''일광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8][3] 이후 역 등급 변경, 화물 취급 중단 등 여러 변화를 겪었으며, 2008년에는 잠시 여객 영업을 중단하기도 했다.[8]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1단계(부전~일광) 구간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 영업을 재개하며 보통역으로 다시 승격되었다.[14][15][4] 하지만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광역전철 2단계(일광~태화강)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고, 다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1934년 12월 16일, 동해남부선 해운대 ~ 좌천 구간 개통과 함께 '''삼성역'''(三聖驛)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7][2]2. 2. 해방 이후
- 1949년 7월경 : '''일광역'''으로 역명 변경[8][3]
- 1957년 9월 1일 : 보통역으로 승격[9]
- 1979년 10월 1일 : 구 역사 신축 준공
- 1993년 10월 10일 : 화물 취급 중지[10]
- 1994년 1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11]
- 2004년 12월 10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12]
- 2008년 12월 1일 : 여객 취급 중지[8]
- 2009년 4월 1일 : 복선전철 공사로 구 역사 철거
- 2013년 11월 7일 : 부산진 기점 33.3km로 변경[13]
- 2016년 4월 29일 : 동해남부선이 동해선으로 편입됨 (시행은 광역전철 개통 시점).[4]
- 2016년 12월 30일 : 동해선으로 편입, 영업거리를 부산진 기점 32.6km로 변경[14] 및 보통역으로 재승격, 동해선 광역전철 (부전~일광 간) 개통과 함께 전철역이 됨.[15][4]
- 2021년 12월 28일 : 동해선 광역전철 (일광~태화강 간) 2단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되었으며,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됨.
3. 역 구조
지상역이며, 교상역사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합실(L1)에는 고객 서비스 시설,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이 있으며, 지상층(G)을 통해 외부로 나갈 수 있다.
3. 1.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반대편 승강장으로의 횡단이 가능하다. 지상역이며, 교상역사 구조를 가지고 있다.
4. 역 주변
5. 승차량 변동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