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의 부대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부대신은 1999년 국회 심의 활성화법에 의해 설치된 직책으로, 과거 정무차관을 대체하여 국회 답변, 정책 결정 관여, 대신 부재 시 직무 대행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이며, 각 부처의 장인 대신의 지시를 받아 정무를 처리한다. 부대신 회의를 통해 정책 조정을 담당하며, 대신정무관이나 사무차관보다 높은 직위에 해당한다. 현행 부대신은 26명으로, 내각부 부대신, 디지털 부대신, 부흥 부대신은 다른 부대신을 겸임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부대신 - 모리야마 히로시
    모리야마 히로시는 가고시마현 출신으로 가고시마시의회 의원과 참의원을 거쳐 중의원 의원이 되었으며 재무부대신, 농림수산대신, 자민당 국회대책위원장을 역임했고 자유민주당 간사장에 취임 후 정치자금 관련 의혹이 제기되기도 한 8선 일본 정치인이다.
  • 일본의 부대신 - 엔도 도시아키
    엔도 도시아키는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으로 야마가타현 제1구를 지역구로 두고 있으며, 일본스포츠협회 회장, 문부과학부대신,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담당 국무상 등을 역임하고 교육 정책과 스포츠 진흥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일본의 부대신
직책 개요
직책부대신
소속 국가일본
약칭부대신 (副大臣)
영문 명칭Deputy Minister 또는 State Minister
역할대신을 보좌하여 정책 및 기획에 참여하고, 대신 부재 시 직무 대행
임명 방식총리가 각 부처의 중의원 또는 참의원 중에서 임명
임기특별한 규정은 없으나, 통상 내각과 함께 임기 종료
보수월급 외에 각종 수당 지급 (2021년 기준 평균 2542만엔)
상세 역할 및 권한
주요 업무대신의 직무를 돕고 정책 및 기획에 참여
각 부처의 특정 정책에 대해 대신을 대리하여 국회 답변
대신이 부재 시 그 직무를 대행
임명 및 자격
임명권자내각총리대신
피임명 자격국회의원 (중의원 또는 참의원)
법적 근거
설치 근거내각법 및 각 부처 설치법
역사
연혁2001년 중앙 성청 재편과 함께 신설
이전의 정무 차관을 대체
참고
관련 직책대신
대신정무관

2. 역사

부대신은 내각부설치법 제13조, 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에 기초를 두고 있다. 정무차관이 폐지되고 이름이 바뀐 정치 임용직으로,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이다.[15]

각 성의 대신, 내각관방장관,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의 지시를 받아 정책 및 기획을 담당하고 정무를 처리한다. 대신이 없을 때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내각부 부대신 참조) 부대신의 정원은 각 부와 성마다 다르며, 1명에서 3명 사이이다. 임명과 면직은 각 부와 성의 장인 대신의 의사에 따라 내각이 행하며, 천황이 이를 인증한다.(인증관) 국가공무원법상 별정직에 해당한다.

내각부 및 각 성의 정책 간 상호 조정을 위해 '''부대신회의'''가 설치되어 있다. 부대신회의는 내각관방장관(정무) 및 모든 부대신으로 구성되며, 내각관방장관이 주재하고 의장을 맡는다.

부대신은 대신정무관이나 사무차관보다 높은 직위이다. 부대신 및 부대신회의는 내각회의 결정 안건에 대해 아무런 권한이 없으며, 내각회의 결정 안건의 사전 조정은 사무차관등회의만이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영어 명칭은 Senior Vice-Minister, Parliamentary Senior Vice-Minister, State Minister, State Secretary 등 각 성과 청이 제각기 다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2. 1. 제도 도입 이전

과거 정치 임명직이었던 정무차관은 권한도 작고 역할도 불분명하여 "성청의 맹장"이라고 조롱받으며 경시되어 왔다.[5] 1999년 국회 심의 활성화법에 의해 국회에서의 정부 위원 제도 및 정무차관이 폐지되고, 부대신과 대신 정무관이 새롭게 설치되었다. 부대신에는 적재적소에 실력자를 등용하여 국회 답변에 임하도록 기대했다. 또한 법률상의 근거가 없었던 정무차관회의를 대신하여, 같은 법 제9조에 의거한 부대신 회의를 창설하여 권위를 부여하고 실질적인 성청 간의 정책 조정이 이루어질 것도 기대했다.

부대신·대신 정무관 제도 이행이 논의되었던 제2차 하시모토 내각·오부치 내각에서는, 중요 관청의 정무차관에 각료 경험자를 임명하는 시도(다카무라 마사히코·외무 정무차관, 타니가키 사다카즈·대장 정무차관, 마치무라 노부타카·외무 정무차관 등)가 이루어지는 등, 새 제도의 효과적인 활용이 기대되었다.

2. 2. 제도 도입 과정

1999년 국회 심의 활성화법에 의해 국회에서의 정부 위원 제도 및 정무 차관이 폐지되고, 부대신과 대신 정무관이 새롭게 설치되었다. 부대신에는 적재적소에 실력자를 등용하여 국회 답변에 임하도록 기대했다. 또한 법률상의 근거가 없었던 정무차관회의를 대신하여, 같은 법 제9조에 의거한 부대신 회의를 창설하여 권위를 부여하고 실질적인 성청 간의 정책 조정이 이루어질 것도 기대했다.[5]

제2차 하시모토 내각·오부치 내각에서는 부대신·대신 정무관 제도 이행이 논의되었는데, 중요 관청의 정무차관에 각료 경험자를 임명하는 시도(다카무라 마사히코·외무 정무차관, 타니가키 사다카즈·대장 정무차관, 마치무라 노부타카·외무 정무차관 등)가 이루어지는 등 새 제도의 효과적인 활용이 기대되었다.

오부치 제2차 개조 내각은 1999년(헤이세이 11년), 관료 주도에서 정치인 주도로의 정치 전환을 목적으로 한 중앙 성청 재편에 따라, 국회의원 정수를 10년간 25% 삭감하는 것으로 연립 정권과 합의했다. 자유민주당은 제145회 국회 중의원에 "정부 위원 제도의 폐지 및 부대신 등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 및 "국회 심의의 활성화 및 정치 주도의 정책 결정 시스템의 확립에 관한 법률안" 2건을 제출했다.[7] 민주당은 이에 대해 민영화, 규제 완화·철폐, 민간 위탁, 지방으로의 권한 이양 등 대담한 개혁이 필요하며, 무모한 정원 삭감이고 행정의 전문 지식이 국회에서 배제될 수 있다고 하여 철회 동의를 발의했다.[8] 자유민주당은 그 후 7월 13일, 전자의 법률안을 철회했다.

"국회 심의의 활성화 및 정치 주도의 정책 결정 시스템의 확립에 관한 법률안"은 참의원에서 사회민주당의 반론이 있었지만,[9] 7월에 성립되어 결과적으로 정부 위원 제도 폐지가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2001년(헤이세이 13년) 1월, 정무 차관 제도가 폐지되고 부대신·대신 정무관 제도로 개편되었다.

2. 3. 제도 도입 이후

고이즈미 내각에서는 부대신·대신 정무관 인사에 자유민주당의 파벌 순서대로 연공서열형 관행이 거의 그대로 답습되는 등 큰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는 평가가 있었다. 제1차 아베 내각에서는 파벌의 추천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추천 목록을 바탕으로 총리나 당 간부가 결정하는 방식을 취했다. 후쿠다 개조 내각과 제2차 아베 내각에서는 각료 경험자를 부대신으로 기용하는 등 새로운 방향으로의 모색도 이루어지고 있다.

국무대신의 결재가 필요한 서류는 부대신의 사전 결재가 필요하며[11],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이후 민주당 정권에서는 정무 삼역 회의 설치 등으로 부대신의 지위가 현저히 강해져[12], 고급 관료들은 상대가 부대신이어도 무릎을 꿇고 "대신"이라고 부를 정도였다.[13]

2023년 G20에 외무대신을 대신하여 외무 부대신이 참석한 것은, 많은 국제적 미디어로부터 비난을 받았다.[14]

3. 역할 및 권한

부대신은 내각부설치법 제13조, 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 등에 근거를 둔 정치 임용직으로,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이다.[15]

각 성의 대신, 내각관방장관내각부 특명담당대신의 지시를 받아 정책 및 기획을 관장하고 정무를 처리한다. 또한 대신이 부재시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내각부 부대신 참조) 정원은 각 부와 성마다 1명에서 3명으로 다르다. 임명과 면직은 각 부와 성의 장인 대신의 의사에 따라 내각이 행하며 천황이 이를 인증한다.(인증관) 국가공무원법상 별정직에 해당한다.

내각부 및 각 성의 정책 간 상호 조정을 담당하기 위해 '''부대신회의'''가 설치되어 있다. 부대신회의는 내각관방장관 밑에서 내각관방장관(정무) 및 모든 부대신으로 조직되며, 내각관방장관이 주재하고 그 의장을 맡는다.

부대신은 대신정무관이나 사무차관보다 높은 직위에 해당한다. 한편 부대신 및 부대신회의는 내각회의 결정 안건에 대해 아무런 권한도 지니고 있지 않으며, 내각회의 결정 안건의 사전 조정은 사무차관등회의만이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영어 명칭은 Senior Vice-Minister, Parliamentary Senior Vice-Minister, State Minister, State Secretary 등 각 성과 청이 제각기 다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3. 1. 정책 결정 관여

내각부 설치법 제13조, 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 디지털청 설치법 제9조, 부흥청 설치법 제9조에 근거한 직책이다.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이다.[4] 기존의 정무차관에 비해 강력한 권한을 가지며, 부대신은 대신의 직무를 대행할 수 있고, 정책 결정에 관여하며, 국회 답변도 담당한다. 관료 주도에서 정치가 주도하는 행정 운영 체제로의 전환을 목표로, 총리를 중심으로 내각 주도로 정책을 결정하는 시스템의 도입을 노린 것이다.[5]

내각관방장관 또는 내각부 특명 담당 대신, 디지털 대신, 부흥 대신, 그리고 각 성(省)의 장인 대신의 명을 받아 정책 및 기획을 담당하고, 정무를 처리한다. 또한, 각 부(府)·성(省)·청(廳)의 장인 대신이 부재중인 경우, 대신의 사전 명령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할 수 있다 (内閣総理大臣|내각총리대신일본어의 부재 대리는 内閣総理大臣臨時代理|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일본어인 국무대신이 수행하므로, 내각부 부대신, 디지털 부대신, 부흥 부대신은 제외). 단, 국무대신으로서의 직권은 대행할 수 없으므로 각의에 대리 출석 등은 할 수 없다.

3. 2. 정무 처리

내각부 설치법 제13조, 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 디지털청 설치법 제9조, 부흥청 설치법 제9조에 근거한 직책이다.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이다.[4] 기존의 정무차관에 비해 강력한 권한을 가지며, 부대신은 대신의 직무를 대행할 수 있고, 정책 결정에 관여하며, 국회 답변도 담당한다. 관료 주도에서 정치가 주도하는 행정 운영 체제로 전환하고, 총리를 중심으로 내각이 주도하여 정책을 결정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5]

내각관방장관, 내각부 특명 담당 대신, 디지털 대신, 부흥 대신, 그리고 각 성(省)의 장인 대신의 명을 받아 정책 및 기획을 담당하고 정무를 처리한다. 또한 각 부(府)·성(省)·청(廳)의 장인 대신이 부재중인 경우, 대신의 사전 명령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할 수 있다. (내각총리대신의 부재 대리는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인 국무대신이 수행하므로, 내각부 부대신, 디지털 부대신, 부흥 부대신은 제외). 단, 국무대신으로서의 직권은 대행할 수 없으므로 각의에 대리 출석 등은 할 수 없다.

3. 3. 직무 대행

내각부 설치법 제13조, 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 디지털청 설치법 제9조, 부흥청 설치법 제9조에 근거한 직책이다.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이다.[4] 기존의 정무차관에 비해 강력한 권한을 가지며, 부대신은 대신의 직무를 대행할 수 있고, 정책 결정에 관여하며, 국회 답변도 담당한다. 관료 주도에서 정치가 주도의 행정 운영 체제로의 전환을 목표로, 총리를 중심으로 내각 주도로 정책을 결정하는 시스템의 도입을 노린 것이다.[5]

내각관방장관 또는 내각부 특명 담당 대신, 디지털 대신, 부흥 대신, 그리고 각 성(省)의 장인 대신의 명을 받아 정책 및 기획을 담당하고, 정무를 처리한다. 또한, 각 부(府)·성(省)·청(廳)의 장인 대신이 부재중인 경우, 대신의 사전 명령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할 수 있다. 단, 내각총리대신의 부재 대리는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인 국무대신이 수행하므로, 내각부 부대신, 디지털 부대신, 부흥 부대신은 제외된다. 국무대신으로서의 직권은 대행할 수 없으므로 각의에의 대리 출석 등은 할 수 없다.

3. 4. 국회 답변

부대신은 내각부 설치법 제13조, 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 디지털청 설치법 제9조, 부흥청 설치법 제9조에 근거한 직책으로,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이다.[4] 기존의 정무차관에 비해 강력한 권한을 가지며, 대신의 직무 대행, 정책 결정 관여, 국회 답변 등을 담당한다.[5] 이는 관료 주도에서 정치가 주도하는 행정 운영 체제로의 전환을 목표로, 총리를 중심으로 내각 주도로 정책을 결정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5]

4. 구성 및 임명

부대신은 내각부설치법 제13조, 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 등에 기초를 둔 정치 임용직이다. 정무차관이 폐지되고 부대신이 신설되었으며,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이다.[15]

각 성의 대신, 내각관방장관,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의 지시를 받아 정책 및 기획을 관장하고 정무를 처리한다. 대신이 부재시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내각부 부대신 참조) 임명과 면직은 각 부와 성의 장인 대신의 의사에 따라 내각이 행하며 천황이 이를 인증한다.(인증관) 국가공무원법상 별정직에 해당한다.

내각부 및 각 성의 정책 간 상호 조정을 위해 '''부대신회의'''가 설치되어 있다. 부대신회의는 내각관방장관(정무) 및 모든 부대신으로 조직되며, 내각관방장관이 주재하고 그 의장을 맡는다.

부대신은 대신정무관이나 사무차관보다 높은 직위이다. 부대신 및 부대신회의는 내각회의 결정 안건에 대해 아무런 권한이 없으며, 내각회의 결정 안건의 사전 조정은 사무차관등회의만이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영어 명칭은 Senior Vice-Minister, Parliamentary Senior Vice-Minister, State Minister, State Secretary 등 각 성과 청이 제각기 다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내각부 설치법 제13조, 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 디지털청 설치법 제9조, 그리고 부흥청 설치법 제9조에 근거한 직책으로,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이다.[4] 기존의 정무차관에 비해 강력한 권한을 가지며, 대신의 직무 대행, 정책 결정 관여, 국회 답변 등을 담당한다. 이는 관료 주도에서 정치가 주도하는 행정 운영 체제로의 전환을 목표로, 총리를 중심으로 내각 주도로 정책을 결정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5]

4. 1. 정원

각 부처별 부대신 정원은 1명에서 3명이며, 총원은 26명이다. 내각부 부대신, 디지털 부대신, 부흥 부대신은 다른 부대신을 겸임할 수 있어 실제 인원은 이보다 적을 수 있다.[4]

부처정원
내각부 부대신3명
디지털 부대신1명
부흥 부대신2명
총무 부대신2명
법무 부대신1명
외무 부대신2명
재무 부대신2명
문부과학 부대신2명
후생노동 부대신2명
농림수산 부대신2명
경제산업 부대신2명
국토교통 부대신2명
환경 부대신2명
방위 부대신1명


4. 2. 임명 절차

부대신의 임명은 각 부처의 장인 대신의 신청에 따라 내각이 하며, 천황이 이를 인증한다(인증관).[4] 내각 총사직이 이루어지면 부대신도 지위를 잃는다. 국가공무원법상 특별직이다.

4. 3. 자산 공개

국회의원은 정치윤리 확립을 위한 국회의원의 자산 등의 공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자산을 공개한다. 부대신은 국무대신 등과 마찬가지로 국무대신, 부대신 및 대신정무관 규범에 정해진 자산 공개 제도에 따라 배우자 및 부양하는 자녀를 포함한 자산이 공개된다.[6][3]

5. 부대신 회의

부대신회의는 내각부 및 각 성의 정책 간 상호 조정을 위해 설치되었다. 내각관방장관 밑에서 내각관방장관(정무) 및 모든 부대신으로 조직되며, 내각관방장관이 주재하고 그 의장을 맡는다. 부대신은 대신정무관이나 사무차관보다 높은 직위에 해당한다. 하지만 부대신 및 부대신회의는 내각회의 결정 안건에 대해 아무런 권한도 지니고 있지 않으며, 내각회의 결정 안건의 사전 조정은 사무차관등회의만이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다.[15]

5. 1. 설치 목적

각 부처의 정책 등에 관해 상호 조정을 위해 "부대신 회의"가 설치되어 있다.[1] 부대신 회의는 내각관방장관 산하에 내각관방부장관(정무) 및 모든 부대신으로 조직되며, 내각관방장관이 주재하고, 내각관방부장관(정무)이 의장을 맡는다.[1]

5. 2. 구성

부대신 회의는 각 부처의 정책 등에 관해 상호 조정을 위해 설치되어 있다. 부대신 회의는 내각관방장관 산하에 내각관방부장관(정무) 및 모든 부대신으로 구성되며, 내각관방장관이 주재하고, 내각관방부장관(정무)이 의장을 맡는다.

5. 3. 역할 및 한계

각 부처의 정책 등에 관해 상호 조정을 위해 "부대신 회의"가 설치되어 있다. 부대신 회의는 내각관방장관 산하에 내각관방부장관(정무) 및 모든 부대신으로 조직되며, 내각관방장관이 주재하고, 내각관방부장관(정무)이 의장을 맡는다.

부대신은 대신정무관이나 사무차관보다 격이 높다. 한편, 부대신 및 부대신 회의는 각의 결정 안건에 어떠한 권한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각의 결정 안건의 사전 조정은 주로 사무차관 등 회의에 의해 사실상 담당되어 왔다. 사무차관 등 회의는 2009년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 의해 폐지되었지만,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사무차관 등의 사무 관료를 중심으로 하는 "각 부처 연락 회의"가 정례화되었다. 2012년 2월 10일, 노다 내각은 내각부 부대신의 일부를 각 성의 부대신의 일부와 겸임하게 했지만, 이 겸임 시스템은 정권 교체 후의 자민당 정권하에서도 계승되고 있다.

6. 다른 직위와의 관계

부대신은 내각부설치법 제13조, 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에 기초를 두고 있다. 종래의 정무차관에서 이름이 바뀐 정치 임용직이며, 국회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다.[15]

각 성의 대신, 내각관방장관내각부 특명담당대신의 지시를 받으며 정책 및 기획을 관장하고 정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대신이 없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내각부 부대신 참조)

내각부 및 각 성의 정책 간 상호 조정을 담당하기 때문에 '''부대신회의'''가 설치되어 있다. 부대신회의는 내각관방장관 밑에서 내각관방장관(정무) 및 모든 부대신으로 조직되며 내각관방장관이 주재하고 그 의장을 맡는다.

부대신은 대신정무관이나 사무차관보다 높은 직위에 해당한다. 한편 부대신 및 부대신회의는 내각회의 결정 안건에 대해 아무런 권한도 지니고 있지 않으며, 내각회의 결정 안건의 사전 조정은 사무차관등회의만이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7. 현황

현재 일본에서 부대신 제도는 유지되고 있으며, 각 부처별로 정무차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부처별로 부대신의 영어 명칭을 다르게 번역했으나, 현재는 'State Minister'로 통일되었다.[1]

7. 1. 현 내각의 부대신

제2차 기시다 내각의 부대신을 참조하십시오.

7. 2. 영어 명칭

과거에는 부대신의 영어 명칭으로 Senior Vice-Minister, Parliamentary Senior Vice-Minister, State Minister, State Secretary 등 각 부처별로 다른 번역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State Minister로 통일되었다.

8. 비판 및 논란

부대신 제도 운영 과정에서 여러 비판과 논란이 제기되었다.

자유민주당 파벌 순서와 연공서열형 인사 관행으로 인해 젊은 인재 발탁이나 민간인 기용이라는 제도 도입 취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있었다.[11] 국무대신 결재가 필요한 서류는 부대신의 사전 결재가 필요했고[12],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이후 민주당 정권에서는 정무 삼역 회의 설치 등으로 부대신의 지위가 강화되어[13] 고급 관료들이 부대신을 "대신"이라고 부를 정도였다.[14]

2023년 G20 외무대신 회의에 일본 외무대신을 대신하여 외무 부대신이 참석한 것은, 많은 국제 미디어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4]

8. 1. 파벌 및 연공서열 인사 관행

고이즈미 내각에서도 부대신·대신 정무관 인사는 파벌 순서와 연공서열형 관행이 거의 그대로 답습되어 큰 변화가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11]

아베 내각에서는 파벌의 추천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추천 목록을 바탕으로 총리나 당 간부가 결정하는 방식을 취했다.

후쿠다 개조 내각에서는 다카이치 사나에(경제산업)와 카모시타 이치로(후생노동)가, 제2차 아베 내각에서는 오부치 유코(재무), 스즈키 슌이치(외무), 가미카와 요코(총무) 등 3명이 각료 경험자임에도 부대신으로 기용되는 등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도 했다.

8. 2. 정치 주도 실효성 논란

자유민주당 파벌 순서대로 연공서열형 관행을 답습하는 등, 젊은 인재 발탁이나 민간인 기용이라는 제도 도입 취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있었다.[11] 아베 내각에서는 파벌 추천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총리나 당 간부가 결정하는 방식을 취했다. 후쿠다 개조 내각과 제2차 아베 내각에서는 각료 경험자를 부대신으로 기용하는 등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도 했다.

국무대신 결재가 필요한 서류는 부대신의 사전 결재가 필요하며[12],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이후 민주당 정권에서는 정무 삼역 회의 설치 등으로 부대신의 지위가 강화되어,[13] 고급 관료들이 부대신을 "대신"이라고 부를 정도였다.[14]

2023년 G20에 외무대신 대신 외무 부대신이 참석한 것은 국제적으로 비난받았다.[15]

8. 3. 국제 외교에서의 한계

2023년 G20 외무대신 회의에 일본 외무대신을 대신하여 외무 부대신이 참석한 것은, 많은 국제 미디어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4]

참조

[1] 웹사이트 副大臣 {{!}} 時事用語事典 {{!}} 情報・知識&オピニオン imidas - イミダス https://imidas.jp/ge[...] 2022-03-30
[2] 웹사이트 副大臣 {{!}} 時事用語事典 {{!}} 情報・知識&オピニオン imidas - イミダス https://imidas.jp/ge[...] 2022-03-30
[3] 웹사이트 副大臣平均2542万円 政務官は2569万円 https://www.nikkei.c[...] 2021-12-24
[4] 문서
[5] 서적 『現代社会用語集』 山川出版社 2020-12-31
[6] 웹사이트 新任閣僚の資産公開 加藤氏・自見氏「資産ゼロ」、新藤氏は3億円: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10-13
[7] 웹사이트 政府委員制度の廃止及び副大臣等の設置等に関する法律案 https://www.shugiin.[...] 1999
[8] 웹사이트 第145回国会衆議院本会議第31号議事録 https://kokkai.ndl.g[...] 1999-05-18
[9] 웹사이트 第145回国会参議院本会議第39号議事録 https://kokkai.ndl.g[...] 1999-07-26
[10] 웹사이트 政府委員
[11] 웹사이트 国務大臣、副大臣及び大臣政務官規範 - 内閣官房 https://www.cas.go.j[...]
[12] 웹사이트 副大臣 https://imidas.jp/ge[...]
[13] 서적 検察の罠
[14] 웹사이트 Japan’s Top Diplomat Set to Skip G-20 Meeting, Snubbing India https://web.archive.[...] 2023-02-28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