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 공안조사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공안조사청(PSIA)은 1952년 파괴활동방지법 시행과 함께 설립된 일본 법무성 산하 정보기관이다. 냉전 시기 극좌파 단체 감시를 시작으로, 1995년 도쿄 지하철 사린 가스 사건 이후 오움진리교를 주요 감시 대상으로 삼았다. 국내외 정보 수집, 특히 북한, 중국 관련 정보를 수집하며, 매년 '내외정세의 회고와 전망' 등 보고서를 발간한다. 조직은 총무부, 정보부, 지방국 등으로 구성되며, 1,500명 규모의 직원을 두고 있다. CIA 등 외국 정보기관과 협력하며, 감시 대상 단체의 인권 침해 및 정보 유출, 정치적 악용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정보기관 - 내각정보조사실
    내각정보조사실은 일본 내각관방 소속 정보기관으로, 내각총리대신 직할 하에 국내외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공하며, 시대 변화에 따라 정보 수집 및 분석 활동을 변화시켜왔다.
  • 일본의 정보기관 - 헌병 (일본군)
    일본군 헌병은 1881년 프랑스 제도를 모방하여 설치된 군사경찰 조직으로, 군사 및 행정, 사법경찰 역할을 수행하며 한일신협약 이후 한국 독립운동 억압, 태평양 전쟁 시기 점령지에서 악명을 떨쳤고, 전쟁 범죄에도 관여하여 전범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일본의 중앙 행정 기관 - 일본 환경성
    일본 환경성은 지구 환경 보전, 공해 방지, 자연 환경 보전 및 원자력 안전 확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환경 정책의 효율성과 통합적인 대응을 목표로 하는 일본의 중앙 성청이다.
  • 일본의 중앙 행정 기관 - 일본 내각부
    일본 내각부는 2001년 총리부 등을 통합하여 설립되었으며, 국무총리 보좌, 중요 정책 조정, 황실 관련 사무, 재해로부터 국민 보호 등 다양한 사무를 담당하고, 경제재정자문회의, 중앙방재회의 등 중요 정책 관련 회의와 특별 기관을 운영한다.
  • 일본의 행정 - 고다마 겐타로
    고다마 겐타로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만주군 총참모장으로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대만 총독으로서 식민 통치를 펼치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관여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남겼다.
  • 일본의 행정 - 일본 환경성
    일본 환경성은 지구 환경 보전, 공해 방지, 자연 환경 보전 및 원자력 안전 확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환경 정책의 효율성과 통합적인 대응을 목표로 하는 일본의 중앙 성청이다.
일본 공안조사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안조사청 로고
공식 로고
정식 명칭공안조사청
로마자 표기Goan Chōsa-chō
설립일1952년 7월 21일
전신내무성 조사국 (1946년)
내무성 내부 사무국, 제2 사무실 (1948년)
법무장관실 특별 조사 위원회 (1948-1949년)
관할일본 정부
본부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직원 수약 1,740명 (2020년 기준)
예산13,256,000,000 엔 (2022년 기준)
주무 장관일본 법무대신
청장와다 마사키
소속 부처일본 법무성
웹사이트공안조사청 공식 웹사이트
개요
종류정보 기관
목표국내외 정세 및 동향 파악
공안 확보
정보 수집 및 분석
관련 기관경찰청
내각정보조사실
조직
내부 조직총무부
조사 제1부
조사 제2부
시설 등 기관공안조사청 연수소
지방 지분 부국공안조사국
공안조사사무소
기타
주의 사항공안경찰 및 국가공안위원회와 혼동하지 말 것

2. 역사

공안조사청은 1952년 7월 21일 파괴활동방지법 시행과 함께 설립되었다.[6][1] 초기에는 냉전 시대 일본 적군파와 같은 극좌파 단체의 위협에 초점을 맞추었으나,[5] 1995년 도쿄 지하철 사린 가스 사건 이후 오움진리교에 대한 정보 활동을 시작했다.[5] 조선총련은 일본 영토 내에서 첩보 활동을 한다는 의혹으로 오랫동안 감시 대상이었다.[12]

1961년에는 삼무 사건에서 파괴활동방지법으로 유죄가 된 사례(개인 적용)가 있다.[44] 1990년대에는 내각정보조사실과 통합하여 기관을 재편하고 자원을 강화하려는 계획이 있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9] 2004년 프랑스 알카에다 테러리스트 리오넬 뒤몽에 대한 조사는 그가 일본 알카에다 조직을 설립하려 한다는 소문에 따라 공안조사청의 책임이었다.[15]

2011년 김정일 사망 및 장례식 이후 공안조사청은 제재가 부과되기 전에 북한에 송금과 선물을 보냈다는 이유로 조선총련을 대상으로 정보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고했다.[18] 2017년 1월 오키나와 언론은 공안조사청이 중국과의 연계 가능성을 이유로 오키나와 독립 지지 및 미군 기지 반대 운동가 단체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고 보도했다. 2023년 4월 9일, 공안조사청은 경제 안보에 전념하고 민감한 기술이 일본 영토 밖으로 반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부서를 신설했다.[22]

2. 1. 설립 배경

공안조사청(Public Security Intelligence Agency, PSIA)은 1952년 7월 21일 파괴활동방지법(파방법) 시행과 함께 설립되었다.[1] 연합군 점령 시절 설립된 정보국(SIB)의 역할을 계승했다.[2] 설립 과정에서, 공안조사청을 규제 기관으로 할 것인가 정보 기관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41] 최종적으로는 규제 기관으로서의 위치를 설정하고, 그 틀 안에서 필요한 정보 활동을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41]

대부분의 직원들은 해산된 특별근무기관(특무기관, Tokumu Kikan) 출신이었으며, 점령 이전 법무성(Ministry of Justice)의 관리들이 이끌었다.[2] 초기에는 국가지방경찰 본부와 법무청(후에 법무부) 특별심사국(통칭 “특심국”)을 관할하는 “치안성” 설치가 검토되었으나, 1952년 7월, 파괴활동방지법 시행과 동시에 법무부(법무청에서 개편) 특별심사국을 발전적으로 해소하는 형태로 공안조사청이 설치되었다.

당초 공안조사청에는 “긴급검거”, “강제수사”, “고용제한”, “정치단체의 보고의무”, “해산단체의 재산몰수”, “선동문서의 보유자의 단속” 등 좌익에 대한 강력한 권한을 부여할 예정이었다.[39]

태평양 전쟁 후, 공직추방되었던 특별고등경찰, 영사관경찰(외무성 경찰), 육군 나카노학교, 구 일본군 특무기관, 헌병대 출신자가 공안조사청 설치에 참가했다고 여겨지며, 그중에서도 특고경찰과 영사관경찰 출신자가 중견 간부로서 조직 운영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 외에, 검찰청과 경찰청에서 출향자를 맞이하게 되었지만, 검찰청에서는 전전에 사상검사였던 자, 경찰청에서는 전전에 특고경찰에 재직했던 자가 선택되었다.

설립 당초, 공안조사청은 관동공안조사국과 함께, 도쿄도지요다구구단남에 있던 구 헌병사령부 청사에 있었다.[42] 그 때문에, 공안조사청을 가리키는 은어로서 “구단”이라고도 불렸다.

파괴활동방지법은 당시 일본 공산당에 대한 규제를 염두에 두고 제정되었다. 그 때문에 공산당은 현재에도 파괴활동방지법의 조사지정단체이다. 또한, 국제 공산주의 운동을 이용한 외국 기관으로부터의 침투에 대한 경계도 주요 목적의 하나였다.

2. 2. 초기 활동

공안조사청은 1952년 7월 21일 파괴활동방지법 시행과 함께 설립되었다.[6][1] 초기에는 냉전 시대 일본 적군파와 같은 극좌파 단체의 위협에 초점을 맞추었다.[5] 일본 공산당은 51년 강령에 따라 무장 투쟁 노선을 채택하고 있었기 때문에, 파괴활동방지법은 이들에 대한 규제를 염두에 두고 제정되었으며, 공산당은 현재까지도 파괴활동방지법의 조사 대상이다.

국제 공산주의 운동을 이용한 외국 기관의 침투를 막는 것 또한 주요 목적 중 하나였다. 파괴활동방지법 제4조는 폭력주의적 파괴활동에 "외환유치", "외환원조"가 포함됨을 명시하고 있다.[43] 1954년 라스트보로프 사건에서는 외무성과 공안조사청이 공동 발표를 하기도 했다.[43]

공안조사청 설립 과정에서는 규제 기관으로 할 것인지, 정보 기관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최종적으로는 규제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필요한 정보 활동을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41]

2. 3. 오움진리교 사건

1994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마쓰모토 사린 사건과 지하철 사린 사건 등을 일으킨 오움진리교(현 Aleph)에 대해, 파괴활동방지법의 해산 처분 청구가 행해졌지만, 1997년 1월, 공안심사위원회가 동법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적용은 보류되었다.

그 후, 다시 오움진리교의 활동이 활발해졌기 때문에, 1999년 12월, 파괴활동방지법의 적용 요건을 완화한 「무차별 대량 살인 행위를 한 단체의 규제에 관한 법률(단체규제법)」이 시행되었다. 공안조사청은, 동법에 기초하여, Aleph 시설의 현장 검사를 계속하고 있다.

일본 국내와 관련하여, 구 오움진리교(현: 알레프(Aleph), 히카리노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46]

구 오움진리교 계열 종교 집단인 Aleph와 히카리노와에 대해서는, 활동 형태에 차이가 있더라도 마쓰모토 지즈오(마하라 아키후미)의 교리를 퍼뜨리는 목적은 공통된다고 보고 오움과 동일 단체로 간주하고 있다.[47] 따라서, 단체 규제법의 규정에 기초하여, Aleph와 히카리노와에 대해서도, 현장 조사를 비롯한 관찰 처분을 장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2015년 1월 23일에는, 공안심사위원회의 심사에 의해, “본질적인 위험성을 계속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5번째 관찰 처분의 기간 갱신(즉, 관찰 처분으로서는 6기째)이 발표되었다.[48] 동 집단 관련 시설에 대한 현장 조사는 월 1~2회의 빈도로 실시되고 있으며, 2015년 3월 시점에서 19개 도도부현에 걸쳐 총 608곳(실제 131곳)에 대한 조사 실시가 공표되었고, 마쓰모토 지즈오의 사진과 마쓰모토 지즈오·우에스기 후미히로의 설법 교재 다수의 보관이 확인되고 있다.[49][50]

한편, 히카리노와는 현장 조사 정보 유출 등의 이유로, 국가공무원법 위반죄(비밀유지의무 위반)로 공안조사청 직원을 도쿄 지검에 고발하고 있다.[51] 또한, 관찰 처분 갱신은 “증거를 조작한” 결과라고 하며, 돈이 목적이 아니라고 하여 손해배상 청구액 3엔의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52] 관찰 처분의 5번째 연장 결정에 대해서도 “잘못된 사실 인정에 기초한 결정이며, 소송으로 취소를 요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53]

2. 4. 김대중 납치 사건

가사이 기요시는 신문사 기자로 일하다 법무성 외청인 공안조사청의 위장기관 동아시아무역통신에 입사했다. 가사이는 1967년부터 한국 외교관 김동운과 알고 지냈으며, 김동운에게 자위대 정보 요원들을 소개해준 인물이다.[93]

1973년 3월, 가사이는 김동운으로부터 "일본과 미국을 오가며 한국 정부를 전복하려는 야당 거물이 있으니 일본에 오면 미행 감시를 해달라"는 제의를 받았다. 돈은 얼마든지 낸다고 했다. 이 제의는 공안조사청에도 보고되었으나, 발각 시 정치적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 가사이는 휴직 후 개인적으로 이 일을 맡을까도 생각했지만, 상사의 만류로 단념했다.[93]

2. 5. 미국 노크 요원 추방

1980년대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전 세계에서 110명의 비공식 첩보원(NOC, Non-official cover)을 운용했다. 이들은 민간 기업에 위장 취업하여 정보를 수집했다.[94] 전직 CIA 요원 존 그윈에 따르면, 일본에서 미국 컨설팅 회사에 근무할 당시 자신을 포함해 13명의 NOC 요원이 있었다고 한다. 1980년대 말, NOC의 활동이 노골화되자 일본 공안조사청은 CIA와의 정기 연락 회의에서 경고했으나, CIA가 이를 무시하여 1988년 NOC 사무실을 급습했다. 결국 CIA는 12명의 NOC 중 10명을 귀국시켜야 했다.[94]

2. 6. 세월호 사건 관련 보도

2014년 세월호 사건과 관련하여 산케이 신문 지국장 명예훼손 혐의 사건이 발생했다. 일본 산케이 신문서울지국장 가토 다쓰야가 박근혜 대통령을 명예훼손하는 기사를 써서, 2014년 8월부터 집행유예가 선고된 2015년 4월까지 8개월간 출국금지 되었다. 가토 다쓰야가 공안조사청 스파이라는 공식적인 확인은 없지만, 그가 최초에 쓴 뉴스 기사가 공안조사청 비밀 보고서를 출처로 했다고 알려졌다.[95]

아베 총리는 2015년 4월 일본으로 귀국한 가토 다쓰야 지국장과 도쿄 총리관저에서 면담을 가지며 "고생했다. 재판이 계속되니 앞으로도 건강을 조심하라"고 위로했다. 일본 정부는 가토 전 지국장을 선처해줄 것을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96]

2016년 11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과 관련, 가토 다쓰야는 "외국 특파원을 기소하는 폭거가 다른 나라의 불신을 사고, 정권을 흔드는 것을 예측하지 못했던 것일까"라고 칼럼을 썼다.[97]

3. 조직 및 규모

공안조사청의 직원은 약 1,500명이며, 연간 예산은 2000억(약 2,000억 원)이다. 이스라엘 모사드의 직원이 1,200명인 점을 참고하면 공안조사청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25]

1999년 12월, 일본경제신문 기자 스기시마 미네가 북한 당국에 2년 2개월 동안 구금되는 사건이 발생했다.[72] 스기시마는 귀국 후, 공안조사청에 의뢰받아 북한 정보를 제공했고, 그 정보가 북한 측에 유출되어 스파이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고 밝혔다.

3. 1. 조직

공안조사청은 총무부, 제1정보부(국내 정보), 제2정보부(국외 정보), 연구소(훈련소), 지방국(8개), 공안정보사무소(14개) 등으로 구성된다.[25] 본청은 도쿄 가스미가세키의 법무성 청사에 위치한다.

부서명역할 및 구성
총무부심사과, 기획협력과, 정보관리과, 홍보과, 인사과, 업무추진과
제1정보부[7]국내 정보 담당, 경찰 출신 부서장
제2정보부[7]국외 정보 담당, 경찰 출신 또는 비경찰 출신 부서장
연구소아키시마에 훈련소 위치[26]
지방국홋카이도(홋카이도 지방국), 미야기(도호쿠 지방국), 도쿄(관동 지방국), 아이치(주부 지방국), 오사카(킨키 지방국), 히로시마(추고쿠 지방국), 가가와(시코쿠 지방국), 후쿠오카(큐슈 지방국)
공안정보사무소홋카이도, 이와테, 니가타, 사이타마, 지바, 가나가와, 시즈오카, 나가노, 이시카와, 교토, 효고, 오카야마, 구마모토, 오키나와



2024년 4월 1일 기준 정원은 1,799명이다.[29] 국가공무원 감축 추세와는 달리, 2004년도 정원보다 278명 증원되었다. 직원 중 공안조사관(공안직)이 조사 업무를 담당하며, 간부를 제외한 직원의 이름은 공개되지 않는다.

본청은 인사·관리를 담당하는 총무부, 국내 정보를 담당하는 조사 제1부, 국외 정보를 담당하는 조사 제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안조사국·공안조사사무소도 이와 유사한 조직으로 되어 있다. 북한 정보나 이슬람 과격파에 의한 테러 정보 등은 조사 제2부에서 담당한다.

법무성의 외청이며, 장관, 차장, 총무부장 등에 검사가 임명된다. 국내 정보 책임자인 조사 제1부장은 경찰 경력직이 맡고, 국외 정보 책임자인 조사 제2부장에는 공안조사 경력직이 임명된다.[71]

내각정보조사실을 중심으로 내각관방에 20명 남짓, 외무성(본성, 재외공관)에 수십 명, 법무성 외청인 입국재류관리청에 수명을 파견하는 등 다른 성청으로의 파견 자리도 많다. 파견자는 정원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실제로는 1,700명이 조금 넘는 직원을 두고 있다.

정보 수집 방법으로는 감시·미행 외에도, 목표 단체의 관계자를 협력자(에이전트)로 포섭하여 내부 정보를 탐색하는 기법(휴민트)을 사용한다. 시긴트(코민트(통신 감청·암호 해독), 엘린트) 등은 정보 수집의 직접적인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직원들은 그 특수성 때문에 소속·직책(경우에 따라서는 이름)을 속이고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SIGINT를 수행했다고 알려져 있다.[73] 1952년 도쿄도 네리마구에 장관 직속 기관인 "테라다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주로 소련의 무선을 감청했다. 직원들은 주로 육군암호 관련자들이었으며, 암호 해독도 수행했다고 알려져 있다. 1959년에는 "극동통신사"로 개칭하여 중국과 북한도 감청 대상으로 삼았다. 그 후, 예산 문제로 1976년에 해산되었고, 업무는 자위대에 인계되었다고 한다.[74] 이 활동을 통해 380만 건 이상의 통신을 감청하였고, 31종류의 암호가 해독되었으며 370건의 정보가 얻어졌다고 한다.[74]

3. 2. 규모

공안조사청의 직원 수는 2023년 7월 1일 기준 1,637명(남성 1,302명, 여성 335명)이고, 검찰관 6명이 추가로 재직 중이다.[91] 2024년 4월 1일 기준 정원은 1,799명으로,[29] 이는 국가공무원 감축 추세와는 달리 2004년도 정원보다 278명 증원된 것이다. 공안조사관이 조사 업무를 담당하며, 간부를 제외한 직원 이름은 공개되지 않는다.

이스라엘 모사드 직원이 1,200명인 것과 비교하면 공안조사청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2022년도 일반회계 당초예산에서 공안조사청 소관 세출예산은 16672037000JPY이었다.[30] 내역은 파괴적 단체 등 조사비 2516886000JPY, 공안조사청 공통비 14155151000JPY이다.[30]

4. 조사 대상 및 방법

공안조사청은 파괴활동방지법이나 단체규제법에 따라 규제 대상 단체 여부를 조사하고 처분을 청구하는 기관이다. 조사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분석·평가하여 정부에 제공한다.[33] 주된 활동은 조사 대상자의 행동 확인, 공개 자료 수집·분석, 협력자 획득 등 첩보·인텔리전스 활동이지만, 단체규제법에 따른 강제력도 일부 행사할 수 있다.[34] 단, 직원은 특별사법경찰관이 아니므로 체포영장이나 수색 압수 허가장을 법원에 청구하거나 집행할 권한은 없다.[34]

국내외 단체 및 국제 테러 조직의 정보를 수집·분석하며,[33] 해외에서 제한적인 활동을 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9] 2000년대에는 중국-북한 국경 지역에서 북한에 납치된 일본 국민 정보를 수집하는 비밀 작전을 수행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2003년에는 옴진리교에 잠입한 첩자가 있었다는 보도가 있었고,[24]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에서 일본인들이 체포된 사건은 공안조사청의 제한적인 인간 정보(HUMINT) 작전 수행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공식 확인된 바는 없다.

4. 1. 국내 관계

일본 공안조사청은 국내에서 극좌 및 극우 단체, 시민단체, 종교단체, 노동조합, 인권단체 등의 동향을 감시한다.[46] 특히 오움진리교(현 알레프, 히카리노와) , 일본 공산당,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 전국위원회(중핵파), 일본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마르크스주의파(혁마르파), 우익단체, 재일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 등을 주요 조사 대상으로 삼는다.[46] 오키나와에서 '류큐 독립' 등을 주장하는 세력에 대한 정보도 수집하며, 배외주의 주장을 내걸고 활동하는 우파계 그룹(예: 재일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 모임, 일본제일당)도 감시 대상이다.[67]

구 오움진리교 계열 종교 집단인 알레프와 히카리노와에 대해서는 마쓰모토 지즈오(아사하라 쇼코)의 교리를 퍼뜨리는 목적이 같다고 보고 오움과 동일한 단체로 간주하여 장기간 관찰 처분을 실시하고 있다.[47]

일본 공산당 지지 세력을 중심으로 일부 노동조합, 노동쟁의 지원 단체, 반전 운동, 반핵 운동, 시민 옴부즈만, 인권 옹호 운동 단체, 소비자 단체, 언론 단체 등에 대해서도 정보 수집을 하고 있어, 이들 단체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다.[54]

2006년까지는 "사회통념에서 벗어난 특이한 활동을 하는 단체"를 "특이 집단"으로 규정하여 정보 수집을 했었다.[55] 2005~2006년 판에는 후지다이세키지 겐쇼카이가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루어졌고,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구 세계기독교통일성령협회)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내용도 있었다.[56][57][58][59][60][61][62][63][64][65] 그러나 2007년 이후에는 특이 집단 항목이 없어졌다.[55][66]

2011년부터는 배외주의 주장을 내걸고 활동하는 우파계 그룹이 새로운 감시 대상에 추가되었으며,[67] 2018년 판에서는 재특회 계보를 잇는 일본제일당도 다루어졌다.

2017년에는 중국의 대학과 싱크탱크가 오키나와에서 류큐 독립 운동을 주장하는 단체와 교류하는 것에 대해 "중국에 유리한 여론을 형성하고 일본 국내의 분열을 도모하는 전략적인 목적"이 있다고 언급했다.[68] 아베 신조 당시 총리는 일본 공산당이 변노고 신기지 건설 반대 운동과 타카에의 미군 헬리패드 건설 반대 운동에 관여하고 있다고 밝혔다.[70]

4. 2. 국외 관계

공안조사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러시아 등 일본과 적대적이거나 긴장 관계에 있는 국가에 대한 정보 수집을 수행한다.[98][99][103][104] 국제 테러 조직 및 극단주의 조직의 동향과 테러 관련 정세를 파악하며,[105] 외무성 산하 라디오프레스와 연계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5년에는 일본인 2명이 스파이 혐의로 중국 랴오닝성저장성에서 구속되었는데, 이들은 공안조사청의 의뢰를 받고 중국 군사 정보나 북한 동향 정보를 수집해왔다고 시인했다.[98] 2000년대에는 공안조사청이 중국-북한 국경 지역에서 현지 주민들에게 전단을 배포하여 북한에 의해 납치된 일본 국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비밀 작전을 수행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는 직원을 파견해 한국 등 각국 정보기관과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북한, IS, 올림픽 반대 단체 정보 수집에 나서기도 했다.[105]

4. 3. 조사 방법

일본 공안조사청은 주로 휴민트(HUMINT, 인간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목표 단체의 관계자를 협력자로 포섭하여 내부 정보를 얻는 방식을 사용한다.[46]

과거에는 시긴트(SIGINT, 신호 정보)를 수행했다는 기록이 있으나,[73] 현재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1952년 도쿄도 네리마구에 "테라다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주로 소련의 무선을 감청했으며, 암호 해독도 수행했다.[74] 1959년에는 "극동통신사"로 개칭하여 중국북한도 감청 대상으로 삼았으나, 예산 문제로 1976년에 해산되었다.[74] 이 활동을 통해 380만 건 이상의 통신을 감청하고 31종류의 암호를 해독하여 370건의 정보를 얻었다고 한다.[74]

공안경찰과의 차이점은 체포, 가택수색 등의 사법경찰권이 없다는 점이다.[84] 다만, 단체규제법에 따라 대상 단체에 대한 출입 및 검사를 거부, 방해, 회피하는 경우 처벌할 수 있다.

5. 외국 정보기관과의 관계

미국 중앙정보국(CIA), 미국 연방수사국(FBI), 이스라엘 모사드(Mossad), 인도 연구 분석국(RAW), 영국 정보국(MI6) 등 여러 외국 정보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일부 공안조사청 요원들은 CIA의 정보 분석 과정(Intelligence Analysis Course)에서 훈련을 받기도 했다.[5]

공안조사청은 "코리트(コリント)"라는 수법으로 30개 이상의 기관과 정보를 교환하며, 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정보와 교환하여 해외 정세 및 테러 조직 정보를 얻고 있다.[77]

인적 교류도 활발하여, CIA에 직원을 파견하여 정보 분석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77] 또한, 대만 정보기관으로부터 연수생을 받아들이는 한편, 독일, 이스라엘에 유학생을 파견하여 현지 기관과 교류를 하고 있다.[77]

6. 정보 활용

공안조사청은 파괴활동방지법이나 단체규제법에 따라 규제 대상 단체를 조사하고, 그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정부에 제공한다. 주요 업무는 "단체 규제"와 "정보 기여"로 나뉜다.[34] 오움진리교 감시, 국내외 단체 및 국제 테러 조직 정보 수집·분석을 수행한다.[33]

공안조사청의 활동은 미행, 공개 자료 수집·분석, 협력자 획득 등 첩보·인텔리전스 활동이 중심이지만, 단체규제법에 따라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다.[34] 그러나, 직원은 특별사법경찰관이 아니므로 체포영장 등을 청구하거나 집행할 권한은 없다.[34]

6. 1. 관계 기관 제공

공안조사청은 정보기관의 핵심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수집한 정보는 분석 및 평가를 거쳐 정부 상층부 및 관계 기관에 보고된다.

또한, 알레프(구 오움진리교) 대책의 일환으로, 해당 교단 시설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에도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6. 2. 연차 보고서 등

공안조사청은 백서에 준하는 연간 보고서로 매년 12월에 '내외정세의 회고와 전망'(이하 '회고와 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회고와 전망'은 공안조사청 공식 웹사이트에서 열람할 수 있다.[80]

2004년 12월에 발표된 2005년판 '회고와 전망'에서는 북한 정세에 대해 "일반 주민들 사이에서 체제에 대한 불만과 비판이 증대하고, 권력 기반에 균열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Aleph에 대해서는 "여전히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규제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면서 "철저한 조사, 검사를 추진한다"고 계속해서 해당 교단을 주시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80]

또한 2년에 한 번, 국제 테러 문제를 정리한 일본 정부 행정 조직으로서는 유일한 자료라고 일컬어지는 '국제 테러리즘 요람'을 발표하고 있다. 공안조사청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국제 테러리즘 요람'의 요약본을 볼 수도 있다. 이 '국제 테러리즘 요람'은 국내외 각종 보도, 연구기관 등이 발표하는 보고서 등에서 수집한 공개 정보를 정리한 것으로서, 공안조사청의 독자적인 평가를 더한 것이 아니다.[80]

'내외정세의 회고와 전망', '국제 테러리즘 요람' 모두 서점에서는 판매되지 않지만, 국립국회도서관이나 일부 도도부현립 도서관 등에는 소장되어 있어, 공안조사청과 관계없는 사람도 내용을 알 수 있다.[80]

7. 비판 및 논란

공안조사청(PSIA)은 창설 초기부터 그 실효성과 권한 남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 등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왔다.

공안조사청은 체포 권한이나 강제 수사 권한이 없어, 영국의 MI5와 유사하게 운영된다는 평가를 받는다.[7] 이는 오움진리교 사건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9] 공안조사청은 1996년 국가안전보장회의(PSEC)에 오움진리교 감시를 요청했으나, 2000년까지 허가를 받지 못했다.[7]

또한, 파괴활동방지법을 통해 '공안유해 단체'를 해산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어[92] 인권 침해 및 정치적 악용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7. 1. 인권 침해 및 정치적 악용 우려

일본공산당은 공안조사청의 감시 활동이 헌법 위반이라고 비판한다.[82] 오움진리교 탈퇴자 모임인 카나리아의회 대표이자 변호사타키모토 타로는 "파괴활동방지법인권을 침해한다면 반대한다"고 말한다.[83] 감시 범위가 겹치는 공안경찰은 공안조사청의 활동으로 인해 감시 대상자가 도주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고 비판한다.[84]

닛케이신문기자 북한구금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경제신문 기자였던 스기시마 미네가 공안조사청에 제공한 정보가 북한 정보 당국에 넘어가 스기시마 미네가 북한에 장기간 구금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공안조사청은 1993년부터 「국제테러리즘요람」을 발간하여 국제 테러리즘 관련 정보를 제공해왔다.[85]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하여 우크라이나군 일부 부대인 아조프 대대가 네오나치라는 논란이 있었고, 「국제테러리즘요람」(2021년)에 해당 내용이 기재되어 주일 러시아 대사관 SNS에 인용되기도 했다. 공안조사청은 해당 내용이 독자적인 평가가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사실과 다르다",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고 있다"는 이유로 해당 부분을 삭제했다.[86]

과거 한국과 관련된 활동으로 김대중 납치 사건이 있다. 가사이 기요시는 공안조사청의 위장기관 동아시아무역통신에 입사하여 한국 외교관 김동운과 알고 지냈다. 그는 김동운에게 자위대 정보 요원들을 소개해준 당사자이기도 하다. 김동운은 가사이 기요시에게 일본과 미국을 오가며 한국 정부를 뒤집으려는 야당 거물(김대중)이 있으니 일본에 오면 미행 감시를 해달라는 제의를 하였고, 이 제의는 공안조사청에도 보고되었으나, 발각되면 큰 정치문제가 된다는 이유로 거부하기로 했다.[93]

2014년 세월호 사건과 관련하여 산케이 신문 지국장 명예훼손 혐의 사건이 발생했다. 산케이 신문 서울지국장 가토 다쓰야가 박근혜 대통령을 명예훼손하는 기사를 써서 8개월간 출국금지 되었다. 가토 다쓰야가 공안조사청 스파이라는 공식적인 확인은 없지만, 그가 최초에 쓴 뉴스 기사가 공안조사청 비밀 보고서를 출처로 했다고 알려졌다.[95] 아베 총리는 귀국한 가토 다쓰야 지국장과 면담을 가지며 "고생했다"고 위로했고,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에 선처를 요청했다.[96] 가토 다쓰야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과 관련, "외국 특파원을 기소하는 폭거가 다른 나라의 불신을 사고, 정권을 흔드는 것을 예측하지 못했던 것일까"라고 칼럼을 썼다.[97]

7. 2. 정보 유출 및 불상사

2013년 6월 17일, 공안조사청 주임조사관이 히카리노와에 대한 압수수색 일정을 도쿄도 세타가야구의 교단 시설에 거주하던 20대 남성 신자(탈퇴자)에게 유출한 혐의로, 2015년 3월 27일 도쿄지방검찰청 특수부는 국가공무원법(비밀엄수의무) 위반 혐의로 약식 기소했다. 주임조사관은 "신자의 신뢰를 얻어 더 중요한 정보를 얻으려 했다"고 설명했으며, 남성 신자에게 향응을 제공하거나 금품을 제공하기도 했다.[81] 약식 기소된 날, 공안조사청은 주임조사관에게 감봉 100분의 5(1개월) 징계 처분을 내렸다.[81]

7. 3. 기타 비판

감시 범위가 겹치는 공안경찰은 "조사 목적으로 경찰이 주목하고 있는 감시 대상자(조사 대상자)에게 접촉하여 경찰이나 언론의 움직임 등 감시 대상자에게 유리한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고, 그 결과 감시 대상자가 도주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도대체 누구에게 고용되어 있는 것인가"라고 비판한다.[84]

공안조사청은 1993년부터 「국제테러리즘요람」을 발간하여 국제 테러리즘의 흐름과 각종 조직의 실태를 파악하고 정리하고 있다.[85]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우크라이나군 일부 부대인 아조프 대대는 네오나치라는 논란이 있었는데, 「국제테러리즘요람」(2021년)에 기재되어 있었기 때문에 주일 러시아 대사관이 SNS를 통해 "공안조사청이 네오나치로 인정했다"고 인용했다. 이에 대해 본청은 기재 내용이 "독자적인 평가를 더한 것"이 아니라고 했지만, "사실과 다르다",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고 있다"는 이유로 해당 부분을 삭제했다.[86] 삭제 경위와 요람에 기재된 다른 조직과의 차이점은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8. 한국과의 관계

공안조사청은 주변 국가 등 여러 외국과 국내 여러 단체 및 국제 테러 조직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한다.[33]

김대중 납치 사건 당시 공안조사청 직원이 한국 외교관에게서 야당 거물(김대중) 미행 감시 제안을 받았으나, 상부에서 정치적 문제를 우려해 거부했다는 주장이 있다.[93]

산케이 신문 지국장 명예훼손 혐의 사건과 관련해, 산케이 신문 서울지국장 가토 다쓰야가 작성한 기사 출처가 공안조사청 비밀 보고서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95]

8. 1. 김대중 납치 사건

가사이 기요시는 신문사 기자로 일하다 법무성 외청인 공안조사청의 위장기관 동아시아무역통신에 입사했다. 1967년부터 한국 외교관 김동운과 알고 지냈으며, 김동운에게 자위대 정보 요원들을 소개해 주기도 했다. 1973년 3월 김동운은 가사이에게 "일본과 미국을 오가며 한국 정부를 전복하려는 야당 거물이 있으니 일본에 오면 미행 감시를 해달라"며 돈은 얼마든지 주겠다고 제안했다. 가사이는 이 제안을 상사에게 보고했고, 공안조사청에도 보고되었으나 발각될 경우 큰 정치적 문제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거부되었다. 가사이는 휴직 후 개인적으로라도 이 일을 맡을까 고민했지만 상사가 만류하여 그만두었다.[93]

8. 2. 산케이 신문 지국장 명예훼손 사건

2014년 세월호 사건과 관련하여 산케이 신문 서울지국장 가토 다쓰야가 박근혜 대통령을 명예훼손한 혐의로 기소된 산케이 신문 지국장 명예훼손 혐의 사건이 발생했다. 가토 다쓰야는 2014년 8월부터 2015년 4월 집행유예 선고 시까지 8개월간 출국금지 되었다. 가토 다쓰야가 공안조사청 스파이라는 공식적인 확인은 없지만, 그가 최초에 쓴 뉴스 기사가 공안조사청 비밀 보고서를 출처로 했다고 알려졌다.[95]

아베 신조 총리는 2015년 4월 일본으로 귀국한 가토 다쓰야 지국장과 도쿄 총리관저에서 면담하며 "고생했다. 재판이 계속되니 앞으로도 건강을 조심하라"고 위로했다. 일본 정부는 가토 전 지국장을 선처해줄 것을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96]

2016년 11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과 관련, 가토 다쓰야는 "외국 특파원을 기소하는 폭거가 다른 나라의 불신을 사고, 정권을 흔드는 것을 예측하지 못했던 것일까"라고 칼럼을 썼다.[97]

9. 관련 보도

공안조사청은 오움진리교에 대한 감시, 주변 국가, 국제 테러 조직에 대한 정보 수집·분석을 수행한다.[33] 특히 북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내외정세의 회고와 전망 보고서를 통해 북한 체제를 평가한다.[99][103][104] 연간 2000억(약 2000억 원)의 예산을 사용한다.[100]

2015년에는 랴오닝성(遼寧省)과 저장성(浙江省)에서 일본인 2명이 스파이 혐의로 중국 당국에 구속되었는데, 이들은 공안조사청의 의뢰를 받고 중국 군사 정보나 북한 동향 정보를 수집했다고 시인했다.[98]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는 직원을 파견하여 대한민국 등 각국 정보기관과 공조하여 북한 관련 정보를 수집했다.[105]

9. 1. 중국에서의 스파이 활동 의혹

2015년 5월, 랴오닝성(遼寧省)과 저장성(浙江省)에서 일본인 2명이 스파이 혐의로 중국 당국에 의해 몇 달간 구속되었다. 이들은 일본 공안조사청의 의뢰를 받고 중국 군사 정보북한의 동향 정보를 수집해왔다고 중국 당국의 심문에서 시인했다.[98]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 전역에서 민감한 시설을 촬영하거나 합법적인 직업을 가장하여 불법 활동을 벌인 혐의로 일본인들이 체포되었다는 보도는 공안조사청이 중국에서 일하거나 거주하는 재외국민을 모집하여 제한적인 인간 정보(HUMINT) 작전을 수행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공식적으로 확인된 적이 없다.

경찰청 관계자에 따르면, 체포된 재외국민이 공안조사청에 비밀리에 모집된 것이 사실이라면 공안조사청은 중국에서 매우 나쁜 업무를 수행한 것이다.

9. 2. 북한 관련 정보 수집

공안조사청은 매년 발간하는 자료를 통해 북한 동향을 상세히 분석하고 있다.[99] 2015년 5월, 일본인 2명이 스파이 혐의로 중국 랴오닝성과 저장성에서 중국 당국에 구속되었는데, 이들은 공안조사청의 의뢰를 받고 북한 동향 정보를 수집해왔다고 시인했다.[98]

공안조사청은 1500여 명의 인력과 연간 2000억(약 2000억 원)의 예산으로 북한 동향 파악 등을 담당한다.[100] 이는 영국의 해외 정보기관인 MI6와 비슷한 규모이며, 국내 정보기관인 MI5의 절반 규모이다. 공안조사청은 미국 FBI처럼 국내 정보기관으로 알려져 있지만, 중국, 한국, 북한에 대한 해외 스파이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안조사청은 내외정세의 회고와 전망 보고서를 통해 북한 체제에 대해 평가하기도 한다.[103][104] 2014년 판 보고서에서는 장성택 숙청 이후 북한 체제의 안정성에 대해 평가했고,[103] 2007년 보고서에서는 북한 체제의 불안정 요인이 증대했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권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104]

또한,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는 직원을 파견하여 한국 등 각국 정보기관과 공조, 북한 관련 정보 수집에 나설 방침이었다.[105]

9. 3. 평창동계올림픽 관련 활동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맞춰 약 2개월간 평창에 직원을 파견해 대한민국 등 각국 정보기관과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IS, 올림픽 반대 단체 정보 수집에 나설 방침이었다.[105]

참조

[1] 웹사이트 公安調査庁とは https://www.moj.go.j[...] Japanese Ministry of Justice
[2] 웹사이트 Intelligence in the New Japan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法務省定員規則|e-Gov法令検索 https://elaws.e-gov.[...]
[4] PDF https://www.bb.mof.g[...] 2024-08-01
[5] 웹사이트 Public Security Investigation Agency. http://www.globalsec[...] 2008-01-05
[6]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Official PSIA Webpage. http://www.moj.go.jp[...] 2008-01-05
[7] PDF https://www.stimson.[...] 2022-03-01
[8] 뉴스 Japan eyes MI6-style spy agency as it seeks to shed pacifist past https://www.reuters.[...] 2015-03-06
[9] 웹사이트 Japan's Growing Intelligence Capabilities, Andrew Oros. http://andreworos.wa[...] 2008-06-09
[10] 웹사이트 JAPANESE OFFICIALS FEAR RESURGENCE OF AUM SHINRI KYO CULT.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Aum Shinri-kyo Updates (CESNUR) - April 10-17, 2000 https://www.cesnur.o[...]
[12] 뉴스 Chongryun never gets out from under a cloud https://www.japantim[...] 2007-07-10
[13] 웹사이트 Japan Primer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exas 2007-10-06
[14] 뉴스 Aum locations searched in runup to guru's verdict https://www.japantim[...] 2004-02-17
[15] 웹사이트 Al-Qaeda agent lived quiet life in Niigata|the Japan Times https://www.japantim[...]
[16] 웹사이트 Cult group of former Aum official inspected by public safety agency. https://web.archive.[...] 2007-05-10
[17] 뉴스 Last trial brings dark Aum era to end https://www.japantim[...] 2011-11-22
[18] 웹사이트 Japan Raises Info-Gathering Activities in Response to Kim Jong-il's Death https://web.archive.[...] 2020-03-23
[19] 뉴스 Japan's spy service offers students one-day immersion course in tradecraft https://www.japantim[...] 2015-07-01
[20] 뉴스 Aum successor group set up new facility in Sapporo: intelligence agency https://www.japantim[...] 2016-07-14
[21] 웹사이트 Japan security agency creates video on Aum atrocities|Arab News Japan https://www.arabnews[...]
[22] 웹사이트 Japan launches new intel division for economic security https://www.japantim[...] 2023-04-09
[23] 뉴스 China has spy in Japan intelligence agency, ex-detainee suggests in book https://mainichi.jp/[...] 2023-04-20
[24] 웹사이트 Woman who fled to North Korea was government mole in Aum https://www.japantim[...] 2003-11-06
[25] 웹사이트 ORGANIZATION, Official PSIA Webpage.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障害者選考試験第2次選考(採用面接)の御案内|公安調査庁 https://web.archive.[...] 2022-01-12
[27] 웹사이트 Chongryun HQ sold to ex-intelligence head | The Japan Times https://www.japantim[...]
[28] 웹사이트 Chongryun Tokyo HQ sale seems set to fail | The Japan Times https://www.japantim[...]
[29] 법률 法務省定員規則(平成13年1月6日法務省令第16号) https://laws.e-gov.g[...]
[30] PDF 令和6年度一般会計予算 https://www.bb.mof.g[...] 財務省
[31] 웹사이트 アレフへ抜かぬ伝家の宝刀 公安庁「再発防止処分」 https://www.sankei.c[...]
[32] 웹사이트 機能一元化、公安調査庁に経済安保PT発足 中国の存在を警戒 https://mainichi.jp/[...]
[33] 웹사이트 公安調査庁とは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2014-02-01
[34] 웹사이트 無差別大量殺人行為を行った団体の規制に関する法律(平成十一年法律第百四十七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5-02-28
[35] 웹사이트 政治警察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6-01-20
[36] 문서 警察手帳のようなもの
[37] 웹사이트 破壊活動防止法施行規則(昭和二十七年法務府令第八十一号) https://laws.e-gov.g[...] デジタル庁 2022-11-06
[38] 웹사이트 破壊活動防止法施行規則(昭和二十七年法務府令第八十一号)別記様式(第十六条関係)付図(証票表紙表) https://laws.e-gov.g[...] デジタル庁 2022-11-06
[39] 서적 吉田茂とその時代 中央公論社
[40] 서적 戦後治安体制の確立 岩波書店
[41] 서적 日本のインテリジェンス体制 変革へのロードマップ PHP総合研究所 2006-06
[42] 문서 旧憲兵司令部庁舎跡地
[43] 서적 スターリンの対日情報工作 平凡社 2010-08
[44] 뉴스 三無事件 http://showa.mainich[...] 毎日新聞社 1961-12-12
[45] 뉴스 息吹き返す「公安調査庁」…勢力増強で活発化の狙い https://biz-journal.[...] サイゾー 2018-06-26
[46] 웹사이트 最近の内外情勢 2015年1月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2015-03-15
[47] 뉴스 オウム観察処分の更新請求 公安調査庁「依然危険な団体」 https://www.nikkei.c[...] 2014-12-01
[48] 보도자료 オウム真理教に対する観察処分の期間更新決定(5回目)について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2015-03-15
[49] 보도자료 立入検査の実施結果について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2015-03-15
[50] 보도자료 立入検査の実施結果について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2015-03-15
[51] 뉴스 「立ち入り検査の実施日漏洩」 「ひかりの輪」が公安調査官を刑事告発 https://web.archive.[...] 2015-03-15
[52] 뉴스 「ひかりの輪」が国を提訴 観察処分更新「証拠曲げた」 http://www.asahi.com[...] 2015-03-15
[53] 뉴스 ひかりの輪に一斉立ち入り検査 公安調査庁 https://www.nikkei.c[...] 2015-03-15
[54] 웹사이트 公安調査庁の日本ペンクラブ等に対する調査・監視への抗議と要求 http://www.japanpen.[...] 日本ペンクラブ 2015-03-16
[55] 웹사이트 内外情勢の回顧と展望(平成18年1月)第3 平成17年の国内情勢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56] 뉴스 「特異集団」は旧統一教会 公安庁報告書、安倍政権下で項目消える https://www.asahi.co[...] 株式会社朝日新聞社 2023-01-23
[57] 뉴스 安倍政権時に記述消失 公安調査庁報告書「特異集団」とは旧統一教会 https://mainichi.jp/[...] 株式会社毎日新聞社 2023-01-23
[58] 뉴스 「特異集団」は旧統一教会 公安庁の05、06年報告書―政府答弁書 https://web.archive.[...] 株式会社時事通信社 2023-01-23
[59] 뉴스 「特異集団」は旧統一教会 公安庁報告で、閣議決定 https://www.nikkei.c[...] 株式会社日本経済新聞社 2023-01-23
[60] 뉴스 旧統一教会と政治3 「特異集団」対策阻む縦割り 霊感商法の被害相談1200億円 仏はカルト規制、強制解散も https://www.nikkei.c[...] 株式会社日本経済新聞社 2023-01-23
[61] 뉴스 公安庁報告書の「特異集団」は旧統一教会 政府答弁書 https://news.yahoo.c[...] ヤフー株式会社 2022-08-17
[62] 뉴스 「特異集団」は旧統一教会 05・06年発行の報告書 公安調査庁 https://www.asahi.co[...] 株式会社朝日新聞社 2023-01-23
[63] 뉴스 旧統一教会「特異集団」 公安調査庁、05・06年報告書 https://mainichi.jp/[...] 株式会社毎日新聞社 2023-01-23
[64] 회의록 臨時会 https://www.sangiin.[...] 2022-08-05
[65] 회의록 臨時会 https://www.sangiin.[...] 2022-08-15
[66] 웹사이트 内外情勢の回顧と展望(平成19年1月)第3 平成18年の国内情勢, 回顧と展望(各年度版目次)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67] 보고서 内外情勢の回顧と展望 2011年(平成23年)度版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2015-03-15
[68] 뉴스 中国が「琉球独立」求める団体関係者と交流-公安調査庁・回顧と展望 https://www.bloomber[...] 2016-12-26
[69] 웹사이트 公安調査庁発刊資料「内外情勢の回顧と展望」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7-02-25
[70] 웹사이트 衆議院議員照屋寛徳君提出公安調査庁発刊資料「内外情勢の回顧と展望」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7-02-25
[71] 서적 公安アンダーワールド 宝島社 2009-07-04
[72] 웹사이트 第9号(平成14年7月25日(木曜日)) https://www.shugiin.[...] 衆議院 2007-06-17
[73] 학술지 公安調査庁は何をしてきたか 文藝春秋
[74] 서적 日本陸軍の通信諜報戦―北多摩通信所の傍受者たち けやき出版
[75] 뉴스 毎日新聞 2006-01-07
[76] 서적 内閣情報調査室、公安警察、公安調査庁と三つ巴の闘い 幻冬舎
[77] 서적 CIAスパイ研修―ある公安調査官の体験記 現代書館
[78] 웹사이트 主なテロの未然防止対策の現状 https://www.kantei.g[...] 首相官邸 2015-02-08
[79] 웹사이트 平成19年における公安調査庁の取組と今後の課題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2015-02-08
[80] 뉴스 「国際テロリズム要覧2021」中の「アゾフ大隊」に関する記載の削除について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2022-04-21
[81] 뉴스 立ち入り日程を「ひかりの輪」信者に漏らす 公安調査庁職員を守秘義務違反で略式起訴 東京地検特捜部 https://web.archive.[...] 2015-03-27
[82] 웹사이트 公安調査庁とは?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2013-08-07
[83] 웹사이트 滝本弁護士コメント http://www.cnet-sc.n[...] カナリヤの会 2013-08-07
[84] 서적 警察組織のすべて 宝島社 2014-05-13
[85] 웹사이트 国際テロリズム要覧について {{!}} 公安調査庁 https://www.moj.go.j[...] 2022-11-06
[86] 웹사이트 「国際テロリズム要覧2021」中の「アゾフ大隊」に関する記載の削除について https://www.moj.go.j[...] 2022-11-06
[87] 뉴스 タリバンのFB利用、米政府が制裁解除しても禁止継続の可能性 https://jp.reuters.c[...] 2021-08-19
[88] 웹사이트 公安調査庁「誤情報が拡散」ウクライナ・アゾフ連隊めぐる記述を削除、ロシア側は反発(BuzzFeed Japan) https://news.yahoo.c[...] 2022-11-06
[89] 웹사이트 ウクライナ「アゾフ大隊」、日本の「国際テロリズム要覧」から削除 https://www.arabnews[...] 2022-11-06
[90] 웹사이트 平成十三年法務省令第二号 公安調査庁組織規則 https://laws.e-gov.g[...] デジタル庁 2022-10-30
[91] 문서 一般職国家公務員在職状況統計表 https://www.cas.go.j[...]
[92] 칼럼 정보기관의 품격 2007-09-09
[93] 뉴스 고토다, DJ미행 자위대원에 “잠수하라”…경찰청장관도 동석 2010-04-27
[94] 뉴스 앞으로 5-10년사이 한반도 통일 1995-01-25
[95] 뉴스 “검찰, 일본정보 통해 최순실 농단 이미 알고 있었다” 2016-12-03
[96] 뉴스 日 아베 "가토 전 지국장 판결 분석할 것" 2015-12-17
[97] 뉴스 가토 前 산케이 지국장 “박근혜 정권은 불통 정권, 무서움 느낀다” 2016-12-03
[98] 뉴스 일본의 ‘스파이’ 활동은 공공연한 비밀 2015-10-22
[99] 뉴스 안보위기 표류하는 국회…옛 통진당 세력 "헤쳐모여" 2016-09-25
[100] 뉴스 아베, 군사·정보대국 野心… ‘일본판 CIA’ 창설 가속화 2015-04-07
[101] 뉴스 英정보부 "여성과 성 소수자도 환영합니다." 스파이 공개채용 2007-11-27
[102] 뉴스 저승의 조르게가 외치지 않았을까? "바가야로" 2015-08-01
[103] 뉴스 체제불안이 부른 공포정치… ‘張 제거’ 후회할 날 올 수도 2014-01-02
[104] 뉴스 “北 체제불안 요인 커져… 김정일 권위 추락 가능성” 2006-12-26
[105] 뉴스 일본 정부,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공안당국자 파견 2016-09-25
[106] 뉴스 日 'CIA 모델 국가정보기관' 추진 연합뉴스 2004-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