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법무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법무성은 법무성설치법에 근거하여 설치된 일본의 행정기관으로, 민사, 형사, 사법 제도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검찰 및 사법경찰관 훈련, 범죄 예방, 출입국 관리, 인권 보호 등 광범위한 업무를 담당하며, 공안심사위원회, 공안조사청, 출입국재류관리청을 외청으로 둔다. 과거 시험 문제 유출, 검찰의 비자금 유용, 수용자 사망 사건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법무성 - 도쿄 구치소
도쿄 구치소는 도쿄도 가쓰시카구에 위치한 일본 최대 규모의 형사 피고인 수용 시설이자 간토 및 주부 지방 일부 사형 확정자 수용 시설로, 과거 고스게 형무소와 스가모 형무소의 역할을 수행하며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운영되고 있다. - 일본 법무성 - 법무성 구 본관
법무성 구 본관은 1895년 사법성 청사로 건립된 독일 네오바로크 양식의 건축물이며, 도쿄 대공습으로 소실된 후 복원되어 법무성 본관으로 사용되다가 1994년 외관이 복원되었고, 현재는 법무사료전시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 도쿄도 소재의 관공서 - 최고재판소 (일본)
일본 최고재판소는 1947년에 설립된 일본의 최고 사법기관으로, 상고 및 소송법에서 정하는 항고에 대한 최종심 판결을 내리고, 법령 해석의 통일 및 헌법 위반 여부 판단(위헌심사)을 담당하며, 내각이 임명하는 15명의 재판관과 재판소장으로 구성된다. - 도쿄도 소재의 관공서 - 일본 환경성
일본 환경성은 지구 환경 보전, 공해 방지, 자연 환경 보전 및 원자력 안전 확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환경 정책의 효율성과 통합적인 대응을 목표로 하는 일본의 중앙 성청이다. - 일본의 중앙 행정 기관 - 일본 환경성
일본 환경성은 지구 환경 보전, 공해 방지, 자연 환경 보전 및 원자력 안전 확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환경 정책의 효율성과 통합적인 대응을 목표로 하는 일본의 중앙 성청이다. - 일본의 중앙 행정 기관 - 일본 내각부
일본 내각부는 2001년 총리부 등을 통합하여 설립되었으며, 국무총리 보좌, 중요 정책 조정, 황실 관련 사무, 재해로부터 국민 보호 등 다양한 사무를 담당하고, 경제재정자문회의, 중앙방재회의 등 중요 정책 관련 회의와 특별 기관을 운영한다.
일본 법무성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법무성 |
로마자 표기 | Hōmu-shō |
영어 이름 | Ministry of Justice |
![]() | |
위치 | 도쿄도 지요다구 가스미가세키 1-1-1 |
설립일 | 1948년 2월 15일 (현재 법무성), 2001년 1월 6일 (법무성 설치법) |
전신 | 형부성 → 사법성 → 법무청 → 법무부 |
웹사이트 | 법무성 공식 웹사이트 |
웹사이트 (일본어) | 법무성 공식 웹사이트 |
조직 구조 | |
관할 | 일본 정부 |
장관 | 스즈키 케이스케 |
장관 직책 | 법무대신 |
부대신 | 다카무라 마사히로 |
대신 정무관 | 간다 준이치 |
사무차관 | 가와하라 류지 |
최고 검찰청 검찰총장 | 카이 유키오 |
내부 부서 | |
내부 부국 | 대신관방 민사국 형사국 교정국 보호국 인권옹호국 송무국 |
심의회 등 | |
심의회 | 사법시험위원회 검찰관 적격 심사회 중앙 갱생 보호 심사회 일본 사법 지원 센터 평가 위원회 법제 심의회 검찰관·공증인 특별 임용 등 심사회 |
시설 등 기관 | |
시설 기관 | 형무소 소년 형무소 구치소 소년원 소년 감별소 법무 종합 연구소 교정 연수소 |
특별 기관 | |
특별 기관 | 검찰청 |
지방 지분 부국 | |
지방 지분 부국 | 교정 관구 법무국 지방 법무국 지방 갱생 보호 위원회 보호 관찰소 |
외청 | |
외청 | 공안 조사청 공안 심사위원회 출입국 재류 관리청 |
기타 정보 | |
직원 수 | 55,535명 (2024년 12월 31일 기준 55,542명) (검찰청 11,862명 포함) |
연간 예산 | 7404억 7922만 7천엔 (2024년)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법무성은 1871년 사법성으로 설립되었다. 1952년 전후 일본 헌법에 따라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법무성은 일본 사법 제도와 형사 사법 제도 운영, 일본 정부를 대표하여 소송 수행, 가구, 거주 외국인, 부동산 및 법인의 공식 등록부를 관리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법무성은 국가행정조직법 및 법무성설치법에 따라 설치되었다.
법무성은 오얏꽃 문장을 부처 상징으로 사용하며, 주로 오얏꽃 다섯 개를 사용한다. 오얏꽃 다섯 개는 부처 표장으로 법무성 구 본관 정문 등에 게양되어 있다. 최근에는 법무성의 영어 명칭 “Ministry of Justice”의 머릿글자 “MOJ”를 배치한 도안도 심볼로 사용되고 있다.
2. 1. 설치 근거
법무성은 법무성설치법 제2조에 근거하여 설치되었다.2. 2. 소관 업무
법무성은 국가행정조직법 및 법무성설치법에 따라 설치된 부처 중 하나이다. 법무성의 임무는 "기본 법제의 유지 및 정비, 법질서 유지, 국민의 권리 옹호, 국가 이익에 관계있는 소송의 통일적이고 적정한 처리 및 출입국의 공정한 관리를 도모하는 것"이다(법무성설치법 제3조).[11]법무성이 관할하는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11]
3. 연혁
- 1871년(메이지 4년) 4월 1일: 사법성이 설치되었다.[12]
- 1947년(쇼와 22년) 5월 3일: 사법행정권이 재판소로 이관되었다.
- 1948년(쇼와 23년) 2월 15일: 사법성이 폐지되고, 법무청이 설치되었다.[12]
- 1949년(쇼와 24년) 6월 1일: 법무청이 폐지되고, 법무부가 설치되었다.
- 1952년(쇼와 27년) 8월 1일: 법무부가 폐지되고, '''법무성'''이 설치되었다.
- 1954년(쇼와 29년): 국회에 인권위원회설치법안이 제출되었으나 폐기되었다.[13]
- 1995년(헤이세이 7년): 일본이 인종차별철폐조약에 가입하였다.[13]
- 2001년(헤이세이 13년) 1월 6일: 중앙성청재편에 따라 법무성설치법(헤이세이 11년 7월 16일 법률 제93호) 및 법무성조직령(헤이세이 12년 6월 7일 정령 제248호)에 따른 법무성이 설치되었다.
- 2002년, 2005년: 인권옹호법안이 제출되었다.[13]
- 2012년(헤이세이 24년): 인권위원회설치법안이 제출되었다.[13]
- 2012년(헤이세이 24년) 11월 9일: 삼조위원회인 인권위원회(법무성) 설치를 목적으로 하는 인권위원회설치법안이 재제출되었으나, 같은 달 16일 노다 내각(제3차 개조) 중의원 해산으로 폐기되었다.[14]
- 2017년(헤이세이 29년) 6월 15일: 개정 조직범죄처벌법에 테러 등 준비죄가 신설되었고, 일본은 국제연합(UN)의 조직범죄방지조약 및 부패방지조약을 수락하였다.
- 2019년(헤이세이 31년) 4월 1일: 내국의 입국관리국이 폐지되고, 외국에 입국재류관리청을 신설하는 조직 개편이 실시되었다.
3. 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내용은 일본 법무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3. 2. 일본 법무성 연혁 (참고)
- 1871년(메이지 4년) 4월 1일: 사법성 설치.
- 1947년(쇼와 22년) 5월 3일: 사법행정권을 재판소로 이관.
- 1948년(쇼와 23년) 2월 15일: 사법성 폐지, 법무청 설치.
- 1949년(쇼와 24년) 6월 1일: 법무청 폐지, 법무부 설치.
- 1952년(쇼와 27년) 8월 1일: 법무부 폐지, '''법무성''' 설치.
- 1954년(쇼와 29년): 국회에 인권위원회설치법안 제출, 폐기.[13]
- 1995년(헤이세이 7년): 일본, 인종차별철폐조약 가입.[13]
- 2001년(헤이세이 13년) 1월 6일: 중앙성청재편에 따라 법무성설치법(헤이세이 11년 7월 16일 법률 제93호) 및 법무성조직령(헤이세이 12년 6월 7일 정령 제248호)에 따른 법무성 설치.
- 2002년, 2005년: 인권옹호법안 제출.[13]
- 2012년(헤이세이 24년): 인권위원회설치법안 제출.[13]
- 2012년(헤이세이 24년) 11월 9일: 삼조위원회인 인권위원회(법무성) 설치 목적의 인권위원회설치법안 재제출, 같은 달 16일 노다내각(제3차 개조) 중의원 해산으로 폐기.[14]
- 2017년(헤이세이 29년) 6월 15일: 개정 조직범죄처벌법에 테러 등 준비죄 신설, 일본은 국제연합(UN)의 조직범죄방지조약 및 부패방지조약 수락.
- 2019년(헤이세이 31년) 4월 1일: 내국인 입국관리국 폐지, 외국에 입국재류관리청 신설하는 조직 개편 실시.
4. 조직
- 민사국
- 형사국
- 교정국
- 보호국
- 인권옹호국
- 송무국
변호사시험위원회, 공안심사위원회, 공안정보청을 관할하며, 검찰청은 법무성의 행정부서이지만 법무대신의 권한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다.[3] 또한 입국관리국을 감독한다.[4]
법무성의 내부 조직은 일반적으로 법률인 법무성 설치법, 정령인 법무성 조직령 및 부령인 법무성 조직규칙이 계층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 대신관방(정령 제2조 제1항)
- 정책입안총괄심의관
- 공문서감리관
- 사이버보안·정보화심의관
- 심의관(정령 제11조 제1항)(6명)
- 참사관(정령 제12조 제1항)(8명)
- 비서과
- 인사과
- 회계과
- 국제과
- 시설과
- 후생관리관
- 사법법제부(정령 제13조 제2항)
- 참사관(정령 제12조 제1항)(2명)
- 사법법제과(정령 제13조 제2항)
- 심사감독과
- 민사국
- 참사관(4명)
- 총무과(정령 제22조)
- 민사일과
- 민사이과
- 상사과
- 민사법제관리관
- 형사국
- 참사관(3명)
- 총무과
- 형사과
- 공안과
- 형사법제관리관
- 국제형사관리관
- 교정국
- 참사관
- 총무과
- 성인교정과
- 소년교정과
- 재생지원관리관
- 교정의료관리관
- 보호국
- 참사관
- 총무과
- 재생보호진흥과
- 관찰과
- 인권옹호국
- 참사관
- 총무과
- 조사구제과
- 인권계발과
- 송무국
- 참사관
- 송무기획과
- 민사송무과
- 행정송무과
- 조세송무과
- 송무지원과
4. 1. 본부
일본 법무성의 본부에는 다음의 직책이 있다.- 대신 1명
- 부대신 1명
- 대신정무관 1명
- 사무차관 1명
- 비서관 1명
- 심의관 6명
- 후생관리관 1명
- 참사관 5명
- 민사법제관리관 1명
- 형사법제관리관 1명
- 국제형사관리관 1명
본부의 주요 부서는 다음과 같다.
- 비서과
- 인사과
- 회계과
- 시설과
- 총무과
- 민사제1과
- 민사제2과
- 상사과
- 총무과 (기획조사관)
- 형사과
- 공안과
법무성은 7개의 국으로 구성되어 있다.[2]
- 장관 비서관
- 민사국
- 형사국
- 교정국
- 보호관찰국
- 인권옹호국
- 송무국
법무성은 변호사시험위원회, 공안심사위원회, 공안정보청을 관할한다. 검찰청은 법무성의 행정부서이지만, 법무대신의 권한으로부터 독립적이다.[3] 법무성은 또한 입국관리국을 감독한다.[4]
법무성의 내부 조직은 일반적으로 법률인 법무성 설치법, 정령인 법무성 조직령 및 부령인 법무성 조직규칙이 계층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 법무대신(법률 제2조 제2항)
- 법무부대신(국가행정조직법 제16조)
- 법무대신정무관(국가행정조직법 제17조)
- 법무대신보좌관(국가행정조직법 제17조의2) - 필수 배치는 아니다.
- 법무事務次官(국가행정조직법 제18조)
- 법무대신비서관
- 대신관방
- 정책입안총괄심의관
- 공문서감리관
- 사이버보안·정보화심의관
- 심의관(정령 제11조 제1항)(6명)
- 참사관(정령 제12조 제1항)(8명)
- 비서과
- 인사과
- 회계과
- 국제과
- 시설과
- 후생관리관
- 사법법제부
- 참사관(정령 제12조 제1항)(2명)
- 사법법제과
- 심사감독과
- 민사국
- 참사관(4명)
- 총무과
- 민사일과
- 민사이과
- 상사과
- 민사법제관리관
- 형사국
- 참사관(3명)
- 총무과
- 형사과
- 공안과
- 형사법제관리관
- 국제형사관리관
- 교정국
- 참사관
- 총무과
- 성인교정과
- 소년교정과
- 재생지원관리관
- 교정의료관리관
- 보호국
- 참사관
- 총무과
- 재생보호진흥과
- 관찰과
- 인권옹호국
- 참사관
- 총무과
- 조사구제과
- 인권계발과
- 송무국
- 참사관
- 송무기획과
- 민사송무과
- 행정송무과
- 조세송무과
- 송무지원과
4. 2. 소속기관
법무성의 소속기관은 다음과 같다.종류 | 명칭 | 비고 |
---|---|---|
심의회 등 | ||
시설등기관 | ||
지방지분부국 | 교정관구 (8) | 삿포로, 센다이, 도쿄, 나고야, 오사카, 히로시마, 다카마쓰, 후쿠오카 |
지방갱생보호위원회 (8) | 홋카이도, 도호쿠, 간토, 주부, 긴키, 주고쿠, 시코쿠, 규슈 | |
법무국 (8) | 삿포로, 센다이, 도쿄, 나고야, 오사카, 히로시마, 다카마쓰, 후쿠오카 | |
지방법무국 (42) | 하코다테, 아사히카와, 구시로, 아오모리, 모리오카, 아키타, 야마가타, 후쿠시마, 미토, 우쓰노미야, 마에바시, 사이타마, 지바, 요코하마, 니가타, 고후, 나가노, 시즈오카, 도야마, 가나자와, 후쿠이, 기후, 쓰, 오쓰, 교토, 고베, 나라, 와카야마, 돗토리, 마쓰에, 오카야마, 야마구치, 도쿠시마, 마쓰야마, 고치, 사가, 나가사키, 구마모토, 오이타, 미야자키, 가고시마, 나하 | |
보호관찰소 (50) | 삿포로, 하코다테, 아사히카와, 구시로, 아오모리, 모리오카, 센다이, 아키타, 야마가타, 후쿠시마, 미토, 우쓰노미야, 마에바시, 사이타마, 지바, 도쿄, 요코하마, 니가타, 고후, 나가노, 시즈오카, 도야마, 가나자와, 후쿠이, 기후, 나고야, 쓰, 오쓰, 교토, 오사카, 고베, 나라, 와카야마, 돗토리, 마쓰에, 오카야마, 히로시마, 야마구치, 도쿠시마, 다카마쓰, 마쓰야마, 고치, 후쿠오카, 사가, 나가사키, 구마모토, 오이타, 미야자키, 가고시마, 나하 | |
특별 기관 | 검찰청 | 최고검찰청, 고등검찰청(지부 포함), 지방검찰청(지부 포함), 구검찰청 |
4. 3. 외청
출입국재류관리청(구 입국관리국)[4]- 총무과
- 정책과
- 출입국관리부
- 재류관리지원부
- 입국자수용소(2)
- 지방출입국재류관리국(8) - 지국, 출장소
공안조사청(국가행정조직법, 공안조사청설치법, 법률 제26조)[2]
- 총무부(정령 제88조)
- 조사제1부
- 조사제2부
- 공안조사청연수소(정령 제94조)
- 공안조사국(정령 제95조)(8)
공안심사위원회(국가행정조직법, 공안심사위원회설치법, 법률 제26조)[2]
- 사무국(공안심사위원회설치법 제14조)
5. 비판 및 논란
법무성은 법질서를 유지하는 기관으로서 권위주의와 비밀주의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2002년 나고야 교도소 수형자 사망 사건, 검찰청의 조사활동비 부정 자금 공개[38][39] 등은 이러한 문제점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인권 문제와 관련하여, 형무소나 입국자 수용소와 같이 인권을 제한하는 기관이 인권 옹호 활동을 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여성이나 재일 외국인에 대한 인권 보호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남성에 대한 인권 보호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다. 1954년 처음 제출된 인권위원회 설치 법안은 여러 차례 발의되었으나, 중의원 해산 등의 이유로 아직 성립되지 못했다.
소년범죄 가해자의 인권을 지나치게 옹호한다는 비판도 있다. 1997년 고베 연쇄 아동 살해 사건 당시 실명 보도를 한 잡지에 대해 법무성이 삭제 요구를 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인터넷 상의 글에 대해서도 명예훼손을 이유로 엄격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10]
5. 1. 일본 법무성 비판 (참고)
법질서를 유지하는 관청이다 보니 권위주의 및 행형비밀주의로 대표되는 비밀주의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2002년 나고야 교도소에서 수형자가 죽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검찰청에서는 조사활동비라는 부정 자금이 공개되기도 했다.[38][39]인권 측면에서는 형무소나 입국자수용소 등 인권을 제한하는 관청이 인권 옹호 활동을 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냐는 의견이 있으며, 여성이나 재일 외국인 등에 대한 배려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남성에 대해서는 그 활동이 미미하다는 지적이 있다.
- 인질 사법
- 동화 교육 - 인권 교육
- 북한 납치 문제 -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 - 북한 인권 침해 문제 계몽 주간
2007년 신일본변호사시험에서는 게이오기주쿠 대학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유사 문제 강의를 진행하여 논란이 되었다. 해당 교수는 시험 위원에서 해임되었으나, 사법시험위원회의 조사 결과 영향이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시정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합격 발표 후, 게이오 대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던 점[35]과 게이오 대학의 합격률 상승 등이 밝혀졌다. 조사 방법에 대한 의문점과 법무성의 미온적인 대처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2015년 일본 변호사 시험에서는 아오야기 코이치 메이지 대학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헌법 문제를 유출한 혐의로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로 고발되고, 법무성으로부터 시험 위원직을 해임되었다.[36] 다른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조사는 실시되지 않았다.[37]
2002년에는 아사히 신문에 의해 검찰청 내부의 "조사 활동비"의 부정한 비자금 유용 의혹이 제기되었다.[38][39]
2001년과 2002년 나고야 교도소에서 수감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다발했다.(나고야 교도소 사건)[40]
그 외에 판사 출신 직원이나 사무관 직원에 의한 몰래 촬영이나 추행 등의 사건도 있었다.
2024년 6월, 오사카 지방검찰청의 최고 책임자인 검사장을 역임했던 남성 변호사가 검사장 재임 중 음주 상태였던 부하 여성 검사에 대한 준강제추행 혐의로 체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ame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Positions
http://www.cas.go.jp[...]
Cabinet Secretariat
2013-12-20
[2]
PDF
https://www.moj.go.j[...]
2024-08-01
[3]
PDF
https://escholarship[...]
2022-03-01
[4]
웹사이트
Bureau head Shoko Sasaki to lead upgraded Immigration Agency when it launches April 1
https://www.japantim[...]
2023-11-02
[5]
PDF
我が国の統治機構
https://www.cas.go.j[...]
2022-03-22
[6]
법률
行政機関職員定員令(昭和44年5月16日政令第121号)(最終改正、令和6年7月31日政令第254号)
[7]
PDF
令和6年度一般会計予算
https://www.bb.mof.g[...]
財務省
[8]
웹사이트
法務省
https://kotobank.jp/[...]
2021-03-27
[9]
법률
法務省設置法3条
[10]
뉴스
ネット書き込みでの名誉毀損めぐり最高裁が初判断 有罪判決確定
産経新聞
2010-03-16
[11]
웹사이트
人権擁護法案に関する意見
https://www.nichiben[...]
日本弁護士連合会
2015-08-02
[12]
서적
権力の館を歩く 建築空間の政治学
ちくま文庫
[13]
웹사이트
「人権委員会が設置されると,何ができるようになるのですか」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国内人権機関の設立に向けた取り組み(国内人権機関実現委員会)
https://web.archive.[...]
[15]
보고서
法曹有資格者の活動領域の拡大に関する有識者懇談会取りまとめ
https://www.moj.go.j[...]
2015-05-25
[16]
웹사이트
独立行政法人一覧(令和6年4月1日現在)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4-05-29
[17]
웹사이트
所管府省別特殊法人一覧(令和6年4月1日現在)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4-05-29
[18]
웹사이트
特別の法律により設立される民間法人一覧
https://www.moj.go.j[...]
法務省
2024-07-08
[19]
기타
[20]
PDF
一般職国家公務員在職状況統計表
https://www.cas.go.j[...]
2024-07-01
[21]
기타
[22]
법률
法務省定員規則(平成13年1月6日法務省令第16号)
https://laws.e-gov.g[...]
2024-03-29
[23]
PDF
令和6年度特別会計予算
https://www.bb.mof.g[...]
財務省
[24]
PDF
非常勤職員在職状況統計表
https://www.cas.go.j[...]
2024-07-01
[25]
웹사이트
衆議院議員鈴木宗男君提出裁判官と検察官の人事交流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平成二十一年六月十六日
https://www.shugiin.[...]
[26]
웹사이트
裁判官と検察官の人事交流 廃止、縮小の動き加速 「なれ合い」指摘に配慮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2-09-17
[27]
웹사이트
法務大臣閣議後記者会見の概要 平成24年5月8日
https://www.moj.go.j[...]
[28]
PDF
日弁連がいま重要と考え、国民各層の意見を聞くための行政訴訟改革要綱案解説書
http://www.nichibenr[...]
日本弁護士連合会
2002-11-29
[29]
웹사이트
第174回国会 参議院法務委員会 第6号 平成二十二年三月二十五日(木曜日)
https://kokkai.ndl.g[...]
[30]
PDF
令和5年度 年次報告書(公務員白書) 「第1編第3部第6章:職員団体 - 資料6-2;職員団体の登録状況。2023年3月31日現在。
https://www.jinji.go[...]
[31]
웹사이트
法務省幹部一覧 令和6年7月10日現在
https://www.moj.go.j[...]
法務省
2024-07-10
[32]
웹사이트
出入国在留管理庁幹部一覧 令和6年7月10日
https://www.moj.go.j[...]
出入国在留管理庁
2024-07-10
[33]
서적
ドキュメント検察官
[34]
서적
死刑 人は人を殺せる。でも人は、人を救いたいとも思う
朝日出版社
2008-01-10
[35]
뉴스
朝日新聞
2007-11-11
[36]
웹사이트
司法試験漏洩、法務省が刑事告発 東京地検特捜部が捜査
http://www.asahi.com[...]
2015-09-08
[37]
웹사이트
【司法試験問題漏洩】元教授、短答式の論点も漏らす? 大学院授業で学生に
http://www.sankei.co[...]
2015-09-20
[38]
서적
ドキュメント検察官 ― 揺れ動く「正義」
中公新書
2006-09
[39]
간행물
平成二十年三月二十七日提出 質問第二三三号 検察組織における調査活動費の裏金流用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40]
뉴스
null
일본경제신문, 毎日新聞
2014-05-01, 2017-09-07
[41]
웹사이트
ウェブサイト『検察統計』
https://www.moj.go.j[...]
법무성
2021-10-25
[42]
웹사이트
ウェブサイト『犯罪白書』
https://www.moj.go.j[...]
법무성
2021-10-25
[43]
기타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