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소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소대(一笑臺) 또는 일소정(一笑亭)은 일제강점기 친일파 박중양이 지은 이름으로, 박중양이 낮은 민도, 친일 관료, 일부 독립운동가를 조롱하는 뜻을 담고 있다. 대구 침산공원에 위치했으며, 박중양의 친필을 새긴 바위가 있었다. 1996년부터 시민단체들의 철거 운동이 시작되어, 박중양의 친일 행적이 알려지고 논란이 일었다. 결국 2004년 박중양의 후손들이 자진 철거했다. 철거 이후에도 침산공원에는 박중양 후손 소유의 토지가 남아 있으며, 그의 선조 묘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역사 - 경상북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일제강점기)는 1925년부터 1944년까지의 인구, 행정 구역, 도지사, 사법, 경찰, 세무, 교육, 교통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1945년 당시 대구부와 20개 군, 울릉도를 관할 구역으로 두었다. - 경상북도의 역사 - 독도의 달
독도의 달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에 대한 반발로 제정되어 독도가 대한민국 고유 영토임을 알리고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10월에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개최되는 행사 기간이다. - 대구광역시의 역사 - 경상북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일제강점기)는 1925년부터 1944년까지의 인구, 행정 구역, 도지사, 사법, 경찰, 세무, 교육, 교통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1945년 당시 대구부와 20개 군, 울릉도를 관할 구역으로 두었다. - 대구광역시의 역사 - 현풍군
현풍군은 신라시대부터 이어진 현풍 지역이 조선시대 현풍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달성군에 편입되어 소멸되었고 현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일부이다. - 한국의 없어진 건축물 - 조선극장
조선극장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 개관하여 연극, 영화 상영 등 조선인들의 문화 향유 및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폐관되었다. - 한국의 없어진 건축물 - 경성신사
경성신사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세워진 일본 신사로, 남산대신궁으로 시작하여 경성신사로 개칭되었고 국폐소사로 격상되었으나, 일본 패전 후 폐지되어 현재는 숭의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식민지 지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일소대 | |
---|---|
기본 정보 | |
장르 | 액션 밀리터리 |
원작 | 모토미야 히로시 |
감독 | 아키야마 카츠히토 |
각본 | 오오노기 히로시 사토우 아츠시 야마구치 료타 |
제작 | TV 도쿄 소학관 프로덕션 |
방송사 | TV 도쿄 |
방영 기간 | 1991년 10월 3일 ~ 1992년 3월 26일 |
화수 | 26화 |
외부 링크 | |
애니메이션 공식 웹사이트 | 스튜디오 피에로 일소대 공식 웹사이트 |
2. 명칭
일소대 또는 일소정이라는 명칭은 박중양이 직접 지은 것이다. 박중양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의 낮은 민도, 친일 관료들의 해방 후 애국자 행세, 그리고 일부 독립운동가들이 자신의 능력으로 독립을 이룬 것처럼 과장하는 세태를 조롱하며 '한번 크게 웃는다'는 뜻을 담아 이름을 지었다.[2]
일소대 또는 일소정이라는 명칭은 박중양이 지은 것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의 낮은 민도, 일제강점기의 친일 관료가 해방 후 애국자 행세를 하던 것, 일부 독립운동가들이 자신의 능력으로 독립된 것처럼 자랑하는 것을 조롱하는 뜻에서 '한번 크게 웃는다'는 뜻의 일소를 이름으로 정했다.
1996년부터 민족문제연구소 대구지부, 흥사단 대구지부, 광복회 대구·경북지부, 대구문화원 회원 등 시민단체들은 박중양의 친일 행적을 알리는 안내문을 세우고 '일소대 철거와 국채보상운동 기념탑 건립을 위한 범시민추진위원회' 구성을 추진하는 등 일소대 철거 운동을 시작했다.[3]
3. 건립 배경
정자 앞에는 정자 건립 이전인 1943년 8월 1일 당시 대구부 북부출장소 침산정에 박중양이 친필로 일소대라고 쓴 타원형 화강암 비석을 세웠다. 이곳은 박중양이 경북관찰사 재직 시 불하받은 국유지였다.[2] 1996년 10월 11일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살던 박중양의 종손자가 철거를 시작하기 전까지, 대구와 인근 달성, 성주, 칠곡 등지에서 일소대에 와서 치성을 드리는 이들도 있었다고 한다.
4. 철거 운동
4. 1. 철거 과정
1996년 8월 15일 낮 12시, 대구시 북구 침산공원 '일소대' 앞에서 민족문제연구소 대구지부, 흥사단 대구지부, 광복회 대구.경북지부, 대구문화원 회원 등이 박중양이 세운 일소대의 내력과 그의 친일 행각을 알리는 안내문을 세우고, '일소대 철거와 국채보상운동 기념탑 건립을 위한 범시민추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3] 이 안내문은 민족문제연구소 대구지부 명의로, 박중양이 지역 상권을 일본인에게 넘겨주기 위해 대구 성곽을 허문 사실, 3.1운동을 탄압한 대구자제단 결성, 내선일체 주장과 학병 권유 등 박중양의 친일 행각을 알리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또한, 대구시가 공원을 조성하면서 박중양 후손들과 일소대 보존 조건으로 부지를 매입했기 때문에 일소대가 철거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도 포함되어 있었다.[3] 침산공원은 원래 박중양 후손 명의였으나, 대구시가 공원화를 위해 땅을 매입하면서 일소대 보존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4] 박중양의 종손자는 일소대 기념비와 정자를 훼손하지 않는 조건으로 대구시에 무상 기부하려 했으나, 민족문제연구소 등의 시민단체는 철거를 요구했고, 결국 2004년 10월 11일 박중양의 후손들은 기증을 취소하고 일소대를 자진 철거했다.
5. 철거 이후
일소대 주변 침산공원에는 여전히 시가 30억원 상당의 박중양 후손 소유 토지가 남아 있다.[4] 박중양과 그 가족의 묘는 모두 이장되거나 화장되었다.
6. 주변 환경
참조
[1]
뉴스
< 대구.경북 근.현대인물사 . 5 > 박중양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1997-03-11
[2]
뉴스
대구침산공원 박중양 親日미화
[3]
뉴스
친일파 거두 박중양 친일행각 폭로...민족문제연구소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1996-08-15
[4]
뉴스
박중양의 친일행각...일본에 지역상권 넘겨주려해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1996-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