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자산유동화증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자산유동화증권(ABS)은 자산 풀을 담보로 하는 증권의 포괄적인 용어이며, 소비자 대출, 부동산 이외의 대출, 리스, 채권 등을 담보로 하는 특정 유형의 증권을 지칭하기도 한다. ABS는 주택 담보 대출, 자동차 대출, 신용카드 채권, 학자금 대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발행 절차는 일반적인 증권 발행과 유사하다. 자산유동화는 자산을 특수 목적 법인으로 이전하여 ABS를 만드는 과정으로, 신용 보강을 통해 발행 회사의 신용 등급보다 높은 등급의 증권을 발행할 수 있게 한다. ABS는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자본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증권으로 전환하여 원금 제공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2000년대 후반의 신용 위기와 같은 단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조화 금융 - 부채담보부증권
    부채담보부증권(CDO)은 대출채권 등을 담보로 발행되어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트랜치별 구조를 통해 투자자에게 위험과 수익을 분배하고, 1987년 등장 이후 금융 위기를 겪으며 비판을 받았다.
  • 구조화 금융 - 주택저당증권
    주택저당증권(MBS)은 주택 저당 대출을 담보로 발행되는 채권으로, 은행 등 대출 기관이 보유한 주택 담보 대출 채권을 증권화하여 투자자에게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구조를 가지며, RMBS, CMBS, CDO 등 다양한 형태로 발행되어 주택 자금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금융법 - 채무
    채무는 다양한 주체가 부담하는 행위의 의무로, 이행 방식과 강제이행 방법에 따라 구분되며, 경제 활동의 중요 부분이지만 과도할 경우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신용 평가 및 채무 시장과 관련 있으며, 역사, 종교, 사회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금융법 -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기초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금융 상품 또는 계약으로, 헤지, 투기, 자산 배분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며, 높은 위험성으로 인해 강화된 규제를 받고 있다.
  • 증권 - 유가증권
    유가증권은 재산적 권리를 나타내는 증서로, 권리의 발생, 이전, 행사에 증권이 필요하며, 상품증권, 화폐증권, 자본증권으로 분류되고, 대한민국에서는 증권거래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등을 통해 관리된다.
  • 증권 - 동전주
    동전주는 낮은 주가로 개인 투자자들의 투기적 관심을 끌지만, 높은 변동성, 주가 조작 위험, 낮은 시가총액, 유동성 부족 등으로 투자 손실 위험이 크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자산유동화증권
개요
유형담보부증권
담보 자산대출, 리스, 기타 자산
발행 주체특별목적법인 (SPC)
구조
자산 풀다양한 종류의 자산으로 구성
트랜치신용 등급 및 우선순위에 따라 분할
신용 보강초과 담보, 신용 보험, 보증
목적
자금 조달자산 보유자의 자금 조달 수단
위험 분산투자자에게 다양한 위험-수익 프로필 제공
장점
유동성 증가자산의 유동성 증가
자본 효율성자산 보유자의 자본 효율성 향상
투자 기회 확대투자자에게 다양한 투자 기회 제공
단점
복잡성구조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음
신용 위험기초 자산의 신용 위험 존재
유동성 위험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성이 제한될 수 있음
관련 용어
자산유동화자산을 담보로 증권을 발행하는 과정
특별목적법인 (SPC)자산유동화를 위해 설립되는 법인
신용등급증권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등급
트랜치신용 등급 및 우선순위에 따라 분할된 증권의 단위
참고
관련 법규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
관련 기관금융감독원
추가 정보
영향금융 시장의 발전과 혁신에 기여
위험 관리투자 시 신중한 위험 관리가 필요

2. 정의

자산유동화증권(asset-backed security, ABS)은 자산 풀을 담보로 하는 유형의 증권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고,[1] 소비자 대출[3] 또는 부동산 이외의 대출, 리스 또는 채권을 담보로 하는 특정 유형의 증권을 지칭하기도 한다.[2] 전자의 경우, 부채담보부증권(CDO, 부채 의무, 종종 다른 자산유동화증권에 의해 담보되는 증권)과 주택저당증권(MBS, 자산이 주택 저당인 경우)은 자산유동화증권의 하위 집합이며, 서로 다른 종류의 자산유동화증권이다. (예: "자산유동화증권이 발행되고 거래되는 자본 시장은 ABS, MBS 및 CDO의 세 가지 주요 범주로 구성됩니다."[3]). 후자의 경우, "자산유동화증권" – 또는 적어도 약어 "ABS" – 는 하위 집합 중 하나, 즉 소비자 대출 상품에 의해 담보되는 증권을 지칭하며, MBS 또는 CDO와는 구별된다. (예: "일반적으로, 주택 저당에 의해 담보된 증권화 발행은 MBS라고 불리며, 부채 의무에 의해 담보된 증권화 발행은 CDO라고 불립니다 .... 소비자 대출 상품 – 자동차 대출, 소비자 대출 및 신용 카드 등에 의해 담보된 증권화 발행은 ''ABS''라고 불립니다"[3][4])

3. 구조

자산유동화증권(ABS)의 구조는 발행 국가 및 관련 법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미국의 경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정 AB에서 자산유동화증권에 대한 정의를 제공하고 있다.

3. 1. 미국의 자산유동화 구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05년 1월 18일에 규정 AB를 발표하여 자산유동화증권(ABS)에 대한 정의를 포함시켰다.[5]

SEC는 자산유동화증권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만기가 정해진 기간 내에 현금으로 전환되는 고정 또는 회전형, 개별 풀의 채권 또는 기타 금융 자산의 현금 흐름에 의해 주로 서비스되는 증권
  • 증권 보유자에게 수익금의 서비스 또는 적시 분배를 보장하도록 설계된 모든 권리 또는 기타 자산


SEC는 "현금으로 전환된다"는 문구를 통해 부실 자산 및 유형 자산의 판매와 같이 적극적인 행동을 통해 현금을 획득해야 하는 대부분의 자산을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또한 "개별 풀"이라는 문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성이 변경될 수 있는 자산을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리스 연계 증권새로운 규칙에 따르면, 리스된 자산의 잔존 가치가 최초 유동화 풀 잔액의 50% 미만(자동차 리스의 경우 65% 미만)인 경우 리스 연계 증권도 "자산유동화증권"으로 간주된다. 단, 이러한 증권은 리스된 자산의 잔존 가치가 최초 유동화 풀 잔액의 20% 미만(자동차 리스의 경우 65% 미만)인 경우에만 양식 S-3에 대한 선반 등록이 가능하다.
연체 및 부실 자산새로운 규칙은 원본 자산 풀에 "부실" 자산이 없는 한, 제안된 발행 시점에 기본 자산 풀의 총 연체율이 최대 50%까지인 경우에도 증권이 "자산유동화증권"으로 간주될 수 있도록 규정한다. 그러나 연체 자산이 원본 자산 풀의 20% 이하를 차지하는 경우에만 선반 등록을 양식 S-3에서 사용할 수 있다. 자산은 스폰서(또는 해당 은행 규제 기관)의 상각 정책을 충족하거나, 해당 거래 문서의 조건에 따라 상각 자산으로 간주되는 경우 부실 자산으로 간주된다.
"개별 풀" 요구 사항에 대한 예외새로운 규칙은 일반적으로 증권이 ABS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개별 자산 풀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SEC 직원의 입장을 반영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예외를 둔다.

  • 마스터 트러스트 구조로 발행된 모든 증권은 제한 없이 "자산유동화증권"의 정의를 충족한다.
  • 최대 1년의 사전 자금 조달 기간이 있는 증권도 "자산유동화증권"에 포함된다. 이 기간 동안 발행 수익금의 최대 50%(마스터 트러스트의 경우, ABS를 지원하는 총 자산 풀의 총 원금 잔액의 최대 50%)를 풀 자산의 후속 구매에 사용할 수 있다.
  • 새로운 금융 자산을 획득할 수 있는 회전 기간이 있는 증권도 "자산유동화증권"의 정의에 포함된다. 신용 카드, 딜러 플로어플랜, 주택 담보 대출과 같은 회전 자산의 경우, 회전 기간의 길이나 해당 기간 동안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자산의 양에 제한이 없다. 자동차 대출 및 모기지 대출과 같이 회전 계정에서 발생하지 않는 채권 또는 기타 금융 자산으로 뒷받침되는 증권의 경우, 무제한 회전 기간이 최대 3년 동안 허용된다. 단, 회전 기간 동안 풀에 추가된 새로운 자산은 원본 풀 자산과 동일한 일반적인 특성을 가져야 한다.


톰슨 파이낸셜 리그 테이블에 따르면, 미국에서 발행된 주택저당증권을 제외한 자산유동화증권 규모는 다음과 같다.

연도발행 규모발행 건수
2004년8570억달러1,595
2003년5810억달러1,175


4. 종류

자산유동화증권(ABS)은 다양한 종류의 자산을 기초로 발행된다.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주택 담보 대출 기반 ABS: 주택 담보 대출(Home Equity Loan, HEL)을 기반으로 하며, ABS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이 포함될 수 있으며, 대출자의 신용 기록에 따라 금리가 달라진다.
  • 자동차 대출 기반 ABS: 자동차 대출을 기반으로 하며, ABS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크다. 대출자의 신용도에 따라 우량, 비우량, 서브프라임으로 분류된다.
  • 신용카드 채권 기반 ABS: 신용카드 채권을 기반으로 하며, 1987년 처음 도입된 이후 ABS 시장의 벤치마크 역할을 한다. 신용카드 채권은 만기가 정해져 있지 않은 비상각 대출이다.
  • 학자금 대출 기반 ABS: 학자금 대출(Student Loans)을 기반으로 하는 증권(SLABS)으로, 미국 교육부의 보증을 받는 연방 가족 교육 대출 프로그램(FFELP) 대출이 일반적이다. 학생 대출 마케팅 협회(Sallie Mae)가 주요 발행 기관이다.
  • 기타 자산 기반 ABS: 1992년 에너지 정책법에 따라 발행되는 감면 채권(RRB)을 포함하여 조립식 주택 대출, 설비 리스, 항공기 리스, 매출 채권, 딜러 플로어 플랜 대출, 유가 증권 포트폴리오, 로열티 등 다양한 자산을 기반으로 발행될 수 있다.[6] 무형 자산 또한 새로운 자산군으로 떠오르고 있다.[8]

4. 1. 주택 담보 대출 (Home Equity Loans)

주택 담보 대출(Home equity loan, HEL)로 담보된 증권은 현재 자산유동화증권(ABS) 시장에서 가장 큰 자산군이다.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HEL을 점보 또는 alt-A 대출 범주에 속하지 않는 모든 비기관 대출로 지칭한다. 초기 HEL은 주로 세컨드 담보 서브프라임 모기지였지만, 현재는 퍼스트 담보 대출이 발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자는 신용 기록이 완벽하지 않아 일반적인 기관 대출자에게 제공되는 것보다 높은 금리를 지불해야 한다. 퍼스트 담보 및 세컨드 담보 대출 외에도 다른 주택 담보 대출(HE)은 높은 담보 대출 비율(LTV) 대출, 재실행 대출, 스크래치 앤 덴트 대출 또는 주택 소유자가 부채 통합 방법으로 사용하는 개방형 주택 담보 대출 (HELOC)로 구성될 수 있다.[6]

4. 2. 자동차 대출 (Auto Loans)

자동차 대출은 자산유동화증권(ABS)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하위 부문이다. 자동차 금융 회사는 자동차 관련 대출 풀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증권을 발행한다. 자동차 ABS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6]

  • 우량 자동차 ABS는 신용 이력이 양호한 대출자에게 제공된 대출을 담보로 한다.
  • 비우량 자동차 ABS는 신용도가 낮은 소비자에게 제공된 대출로, 누적 손실이 더 높을 수 있다.
  • 서브프라임 차용자는 일반적으로 소득이 낮거나 신용 이력이 좋지 않거나 둘 다에 해당된다.


소유자 신탁은 자동차 대출을 발행할 때 가장 일반적인 구조이며, 투자자가 순차적으로 이자와 원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거래는 또한 비례 배분 방식 또는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하여 구조화될 수 있다.[6]

4. 3. 신용카드 채권 (Credit Card Receivables)

자산유동화증권은 1987년 처음 도입된 이후 ABS 시장의 벤치마크가 되어왔다. 신용 카드 소지자는 할당된 신용 한도까지 회전식으로 자금을 빌릴 수 있다. 차용인은 원하는 대로 원금과 이자를 지불하며, 최소 월별 상환액을 지불한다. 원금 상환이 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용 카드 부채는 실제 만기일이 없으며, 비상각 대출로 간주된다.[6]

신용 카드 채권으로 뒷받침되는 ABS는 개별적인 신탁에서 다양한 유형의 마스터 신탁으로 진화해왔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분리형 마스터 신탁이다. 개별 신탁은 트랜치로 선순위/후순위 채권으로 분할된 고정 또는 정적 채권 풀로 구성된다. 마스터 신탁은 채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신탁에서 여러 거래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으며, 각 거래는 모든 채권의 비례적 지분을 받을 자격이 있다. 분리형 구조를 통해 발행인은 신탁 내에서 선순위 및 후순위 시리즈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시점에 발행할 수 있다. 후자의 두 가지 구조는 투자자가 하나의 정적 풀이 아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루어진 더 큰 대출 풀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6]

4. 4. 학자금 대출 (Student Loans)

학자금 대출(Student Loans Asset-Backed Securities, "SLABS")은 자산 유동화 증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4가지 핵심 자산군(주택 담보 대출, 자동차 대출, 신용 카드 채권과 함께) 중 하나이며, 대부분의 변동 금리 지수의 벤치마크 하위 부문이다. 연방 가족 교육 대출 프로그램(FFELP) 대출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학자금 대출이며, 미국 교육부(USDE)가 95%~98%의 비율로 보증한다. "우수 수행자"로 지정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 상환율은 최대 100%였다. 그 결과, 1980년대 후반의 높은 코호트 채무 불이행률을 제외하면 과거의 실적이 매우 좋았고, 투자자의 수익률도 우수했다. 2007년 10월 1일에 발효된 대학 비용 절감 및 접근성 법안은 FFELP 대출의 경제성을 크게 변화시켰다. 대출 기관의 특별 수당 지급이 감소했고, 우수 수행자 지정이 폐지되었으며, 대출 기관의 보험 요율이 감소했고, 대출 기관이 지불하는 원금 지급 수수료가 두 배로 증가했다. FFELP 대출 프로그램은 2010년에 종료되었지만, 2020년 기준으로 1,100만 명의 채무자로부터 약 2450억달러의 미결제 부채가 있었다.

학자금 대출 시장에서 두 번째로 빠르게 성장하는 부분은 비 FFELP 또는 사립 학자금 대출이다. 학자금 대출 법안에 의해 특정 유형의 FFELP 대출에 대한 대출 한도가 약간 증가했지만, FFELP 대출의 고정된 대출 한도와 증가하는 학비로 인해 학생들은 대체 대출 기관을 찾게 되었다. 학생들은 연방 프로그램을 통해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과 교육 비용 사이의 차이를 메우기 위해 사립 대출을 이용한다.

미국 의회는 학생 대출 마케팅 협회(Sallie Mae)를 정부 지원 기업으로 설립하여 학자금 대출을 이차 시장에서 구매하고 학자금 대출 풀을 유동화하도록 했다. 1995년 첫 발행 이후, Sallie Mae는 현재 SLABS의 주요 발행 기관이며, 그 발행은 벤치마크 발행으로 간주된다.

4. 5. 기타 자산

1992년 에너지 정책법의 결과로 탄생한 감면 채권(RRB)은 미국 전력 시장의 경쟁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비경쟁 시장에서 경쟁 시장으로 전환하는 동안 혼란을 피하기 위해, 규제 기관은 유틸리티가 특정 "전환 비용"을 일정 기간 동안 회수하도록 허용했다. 이러한 비용은 회피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며 모든 고객 청구서에 추가된다. 소비자는 일반적으로 다른 청구서보다 유틸리티 청구서를 먼저 지불하므로, 대손상각은 역사적으로 낮았다. RRB 발행은 일반적으로 애프터마켓에서 합리적인 유동성을 창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며, 평균 수명 연장은 "진실성" 메커니즘에 의해 제한된다.

다른 많은 현금 흐름 발생 자산들에는 조립식 주택 대출, 설비 리스 및 대출, 항공기 리스, 매출 채권, 딜러 플로어 플랜 대출, 유가 증권 포트폴리오, 로열티 등이 있다.[6] 무형 자산 또한 떠오르는 자산군이다.[8]

5. 자산유동화증권 거래

미국에서 자산유동화증권 발행 절차는 기업 채권 등 다른 증권 발행과 유사하며, 수정된 1933년 증권법과 1934년 증권 거래소법의 적용을 받는다. 공개적으로 발행되는 자산유동화증권은 표준적인 증권거래위원회(SEC) 등록 및 공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정기적인 재무제표를 제출해야 한다.[9]

자산유동화증권의 세컨더리 마켓(secondary market, 유통시장) 거래 절차는 기업 채권 거래와 유사하며, 어느 정도는 주택저당증권 거래와도 유사하다. 대부분의 거래는 장외 시장에서 이루어지며, 전화 견적 방식으로 증권별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거래량이나 이러한 증권을 거래하는 딜러의 수에 대한 공개적인 측정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9]

채권시장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2004년 말 미국과 유럽에는 고정 수입 증권 및 파생 상품을 거래하는 74개의 전자 거래 플랫폼이 있었으며, 미국에는 자산유동화증권을 위한 5개의 플랫폼이, 유럽에는 8개의 플랫폼이 있었다.[9]

시장 참여자들과의 논의에 따르면 국채 및 주택저당증권에 비해 많은 자산유동화증권은 유동성이 낮고 가격이 투명하지 않다. 이는 부분적으로 자산유동화증권이 국채나 주택저당증권만큼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투자자는 자산유동화증권을 거래하기 전에 다양한 구조, 만기 프로파일, 신용 보강 및 기타 특징을 평가해야 한다.[9]

자산유동화증권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해당 스왑 금리에 대한 스프레드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신용 카드 담보, AAA 등급, 2년 만기의 벤치마크 발행자가 발행한 증권의 가격은 2년 스왑 금리에 대해 5 베이시스 포인트(또는 그 이하)로 표시될 수 있다.[9]

실제로 시장 참여자들은 때때로 최고 등급의 신용 카드 및 자동차 증권이 최고 등급의 주택저당증권과 유사한 채무 불이행 위험을 갖는다고 간주하며, 이는 무위험 국채를 대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9]

6. 자산유동화

자산유동화는 발행 회사의 자산을 파산으로부터 분리된 특수 목적 법인(SPC)으로 이전하여 자산 담보 증권을 만드는 과정이다. 신용 보강은 이 과정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발행 회사의 신용 등급보다 높은 등급의 증권을 생성하여 발행 회사가 자산을 현금화하는 동시에 담보 은행 대출이나 발행 회사의 채무 발행을 통해 가능한 것보다 낮은 이자율을 지불할 수 있게 한다.

7. ABS 지수

2006년 1월 17일, CDS Indexco와 마킷은 주택 담보 대출 외의 다른 기초 자산 유형으로 지수를 확장할 계획으로 합성 자산 담보 신용 파생 상품 지수인 ABX.HE를 출시했다.[10] ABS 지수를 통해 투자자들은 실제 자산 담보 증권을 보유하지 않고도 서브프라임 시장에 광범위하게 노출될 수 있다.

8. 장점과 단점

자산유동화증권(ABS)은 여러 가지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장점


  • 유동성 확보: 자산유동화증권은 기존에는 쉽게 거래하기 어려웠던 금융 자산(예: 대출 채권)들을 한데 모아 유동성이 높은 증권 형태로 만든다. 이를 통해 자본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게 된다.
  • 위험 가중 자산 감소: 금융기관은 자산을 유동화하여 위험 가중 자산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자본을 확보하여 더 많은 대출을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 위험 분산: 자산유동화증권은 위험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최악의 경우 자산 풀의 실적이 매우 나빠지더라도, 자산유동화증권 소유자(발행인, 보증인 등)가 원금 제공자 대신 파산의 위험을 부담할 수 있다.
  • 다양한 투자 기회 제공: 이론적으로 서로 다른 위험/수익률 프로필을 가진 증권으로 트렌칭하여 다양한 위험 성향과 투자 기간을 가진 투자자에게 채권을 판매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단점

  • 투자자 위험 증가: 위에서 언급된 장점들은 반대로 투자자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 원금 제공자의 도덕적 해이: 대출을 제공하고 증권화하여 상당한 수수료를 벌 수 있는 능력은, 원금 제공자가 대출의 질보다 양을 늘리는 데 집중하게 만들 수 있다.
  • 정보 비대칭: 투자자는 기초자산의 정확한 가치나 위험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매 및 기타 수단을 통해 측정되고 포함된다. 은행은 사업 헌장 또는 특정 은행에 부여된 라이선스에 따라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기반으로, 더 오랜 기간 동안 보유된 동일한 부실 대출을 적절한 구매자에게 재주입하는 데 사용된다. 위험은 또한 위험의 유형과 규모에 따라 대체 지리, 대체 투자 수단 및 은행의 대체 부서를 사용하여 다각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 시장은 동일한 위원회에 의해 더 면밀히 조사되지만, 이 시장은 기관 및 회사 관련 거래 및 인수 및 보증의 범주에 속하므로 특정 지역의 사업을 지배하는 회사 및 상법과 보고 표준에서 지시하는 더 광범위한 규칙 집합에 의해 규율된다.

8. 1. 2000년대 후반의 신용 위기

대출을 제공하고 증권화하여 상당한 수수료를 벌 수 있는 능력과 잔존 부채가 없다는 사실이 결합되면서, 원금 제공자의 인센티브는 대출 품질보다는 대출 규모를 선호하도록 왜곡되었다. 이는 2000년대 중반의 신용 거품과 2007–2008년 금융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대출 증권화 시장의 본질적인 구조적 결함이다.[1]

9. 정부 구제 금융

미국 정부는 2008년 대침체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기간 자산 유동화 증권 대출 프로그램(TALF)을 통해 자산 유동화 증권(ABS) 산업에 구제 금융을 제공했다.[11][12]

참조

[1] 논문 ABS MBS and CDO compared: an empirical analysis http://mpra.ub.uni-m[...]
[2] 웹사이트 Asset-Backed Security – ABS http://www.investope[...] Investopedia 2013-07-14
[3] 웹사이트 ABS, MBS and CDO compared: an empirical analysis http://mpra.ub.uni-m[...] Munich Personal RePEc Archive 2013-07-13
[4] 웹사이트 What are Asset-Backed Securities? https://web.archive.[...] SIFMA 2013-07-13
[5] 간행물 Financial Services Alert Goodwin and Procter 2005-01-18
[6] 간행물 "Fixed Income Sectors: Asset-Backed Securities: A primer on asset-backed securities" Dwight Asset management Company 2005
[7] 웹사이트 What Are FFELP Loans? https://www.forbes.c[...] 2021-07-26
[8] 문서 Intangible Asset Finance
[9] 문서 Common Structures of Asset-Backed Securities and Their Risks 2005-12-29
[10] 웹사이트 Markit https://www.markit.c[...]
[11] 웹사이트 Term Asset-Backed Securities Loan Facility (TALF) https://www.federalr[...] US Federal Reserve 2021-07-17
[12] 웹사이트 Term Asset-Backed Securities Loan Facility https://www.federalr[...] US Federal Reserve 2021-07-17
[13] 웹사이트 資産担保証券 2022-02-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