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대우 BX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일대우 BX는 후부 엔진과 후륜구동 방식을 사용하는 대한민국 유일의 RHD급 최고급형 버스이다. 2004년 7월에 BX212 로얄 하이데커 모델이 처음 출시되었으며, 2019년 6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BX212M 로얄이 출시되었다. BX212는 두산인프라코어, 커민스, 이베코, 메르세데스-벤츠 등 다양한 엔진을 탑재했으며, 모델에 따라 여러 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었다. BX212 로얄 하이데커는 출시 초기 변속기 문제와 낮은 연비로 인해 유지비가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일대우버스의 차종 - 자일대우 레스타
자일대우 레스타는 자일대우버스가 현대 카운티의 경쟁 모델로 2012년 출시한 17~25인승급 소형 버스로, 학원, 교회, 마을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판매되었으나 2024년 판매 중단으로 단종되었다. - 자일대우버스의 차종 - 자일대우 FX
자일대우 FX는 자일대우버스에서 2004년부터 생산한 BH 시리즈의 후속 버스 차종으로, 스탠더드 데크 모델인 FX115 크루저, FX116 크루징 애로우, FX120 크루징 스타와 하이데크 모델인 FX212 슈퍼 크루저, FX212 슈퍼스타 등으로 구성되어 현대 유니버스, 기아 그랜버드 등과 경쟁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모델 체계를 갖추었다. - 2004년 도입된 자동차 - 포드 GT
포드 GT는 포드가 제작한 고성능 스포츠카로, 1세대와 2세대 모델이 있으며, 각 세대는 기념적인 배경과 특징적인 엔진, 한정 생산, 레이싱 활약 등을 통해 포드의 기술력을 보여준다. - 2004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모닝
기아 모닝은 2004년 기아 비스토의 후속으로 출시되어 대한민국을 포함한 해외 시장에서 판매되는 경차로, 모델 체인지를 거치며 디자인, 안전성,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 2000년대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2000년대 자동차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자일대우 BX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차량 정보 | |
이름 | 자일대우 BX |
생산 년도 | 2004년~2024년 |
차종 | 대형 버스 |
제조사 | 자일자동차 |
선행 차량 | 대우 BH |
![]() | |
조립 | 울산광역시(2004년~2020년) (2020년~2024년)자일대우버스의 법인 청산 및 폐업에 따른 생산 중단 |
관련 차량 | 자일대우버스 BS 자일대우버스 FX |
2. 특징
전형적인 후부 엔진 - 후륜구동(RR) 방식을 사용하는 최고급형 차량이다. 기존 HD급 차량의 전고인 3500mm보다 더 높은 3545mm로서 대한민국 유일의 RHD급 모델이기도 하다. 한때 리무진 사양의 모델도 시판되기도 하였다. 공항버스에서는 대다수가 BX212S에서 우등으로 개조된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다. 2019년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BX212M'''이 출시되었으며,[2] 12m급 명칭이 '''로얄 하이데커'''에서 '''로얄'''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최장 12.6m RHD급인 '''로얄 플러스(Royal Plus)'''라는 모델이 추가되었다.
자일대우 BX는 출시 이후 다양한 디젤 엔진 라인업을 제공하여 구매자가 사용 목적에 맞는 엔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초기 모델에는 두산인프라코어의 DV11 엔진(유로3)이 탑재되었으며, 이후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DV11K 엔진(유로4, 유로5)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커민스의 ISMe 엔진(유로5)도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었다.
3. 파워트레인 라인업
2015년형 모델부터는 유로6 기준을 만족하는 이베코의 FPT Cursor 11 엔진이 주력으로 탑재되었고, 2021년부터는 유로6D 기준을 충족하는 메르세데스-벤츠의 OM470LA 엔진도 추가되어 2024년 단종 시까지 사용되었다. 각 엔진의 상세 제원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디젤 엔진
자일대우 BX 모델에 탑재된 디젤 엔진은 다음과 같다. 각 엔진의 상세 제원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제조사 | 엔진 모델 | 배출가스 기준 | 적용 시기 |
---|---|---|---|
두산인프라코어 | DV11 | 유로3 | 초기 모델 |
두산인프라코어 | DV11K | 유로4, 유로5 | ~2015년 이전 |
커민스 | ISMe | 유로5 | ~2015년 이전 |
이베코 | FPT Cursor 11 | 유로6 | 2015년~2024년 |
메르세데스-벤츠 | OM470LA | 유로6D | 2021년~2024년 |
3. 1. 1. 두산인프라코어
- 두산인프라코어 DV11 (V형 6기통 커먼레일 디젤 터보, 10.9L): 400마력(173kg.m) / 420마력(187kg.m) (유로3)
- 두산인프라코어 DV11K (V형 6기통 커먼레일 디젤 터보, 10.9L): 400마력(173kg.m) / 430마력(193kg.m) (유로4, 유로5)
3. 1. 2. 커민스
커민스 ISMe 엔진은 직렬 6기통 VGT 디젤 터보 형식으로, 배기량은 10.8L이다. 최고 출력은 440마력, 최대 토크는 205 kg·m이며, 유로5 환경 기준을 만족한다.3. 1. 3. 이베코
이베코의 FPT Cursor 11 엔진은 직렬 6기통 커먼레일 디젤 터보 형식으로, 배기량은 11.1L이다. 이 엔진은 420마력(토크 204kg.m)과 480마력(토크 229kg.m)의 두 가지 버전으로 제공되었으며, 유로6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한다. 2015년형 모델부터 2024년까지 자일대우 BX 모델에 탑재되었다.3. 1. 4. 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 벤츠 OM470LA 엔진은 직렬 6기통 커먼레일 디젤 터보 방식으로, 배기량은 10.7L이다. 최고 출력 455마력, 최대 토크 224 kgf·m의 성능을 내며, 유로6D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한다. 이 엔진은 2021년형 모델부터 2024년까지 적용되었다.4. 모델
자일대우 BX 시리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고급 버스 모델 중 하나로, 여러 세부 모델로 구성된다.
- BX212 로얄 하이데커: 2004년 출시된 전장 12m급 모델로, 당시 대한민국 유일의 RHD(Royal High Decker)급 차량이었다. 우등고속형(H)과 일반형(S)으로 나뉘었으며, 2019년 후속 모델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2]
- BX212M 로얄: 2019년 6월 기존 BX212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출시된 12m급 차량이다.
- BX212M 로얄 플러스: BX212M 로얄과 함께 2019년 6월 출시된 모델로, 전장이 12.6m에 달하는 RHD급 차량이다. 출시 당시 대한민국산 버스 중 가장 긴 전장과 높은 전고를 가졌다.[2]
2020년 6월부터 코로나19 여파와 회사 경영 악화로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의 생산이 중단되면서 BX 시리즈의 국내 생산도 멈추었다. 이후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된 모델의 국내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4. 1. BX212 로얄 하이데커 (2004~2019)
전형적인 후부 엔진 - 후륜구동(RR) 방식을 사용하는 최고급형 차량이다. 기존 HD급 차량의 전고인 3500mm보다 높은 3545mm로서 대한민국 유일의 RHD(Royal High Decker)급 모델이다. 한때 리무진 사양의 모델도 시판되었으나, 공항버스에서는 주로 BX212S(일반형)를 우등 사양으로 개조하여 운행하는 경우가 많았다.2004년 7월 5일에 자일대우 BX212 차종 중 최초로 출시되었으며, 전장 12m의 RHD급 모델이다. 우등고속형인 BX212H와 일반형인 BX212S로 나뉘며, 다양한 옵션을 선택하여 출고할 수 있었다. 2008년 자일대우 FX 차종 출시 이후, 유로4 기준을 만족하는 두산인프라코어 엔진(DV11 430마력)이 추가되었고 전면부 스포일러 디자인이 약간 변경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개선이 이루어졌다. 2010년에는 디지털 시계가 변경되었고, 2012년에는 운전대 디자인이 바뀌었다. 2013년에는 디지털 시계와 TV가 부착된 부분의 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하급 차종인 자일대우 FXII212 슈퍼 크루져와 동일한 커민스 ISMe 엔진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또한 후진 시 경고음이 울리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2014년식 모델부터는 '뉴 로얄 하이데커'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는데, 스포일러 디자인과 외부 일부 사양, 그리고 자일대우 FX와 동일한 운전석 계기판으로 변경되었다. 독일제 아웃사이드 미러, 연비 향상을 위한 에코 드라이빙 시스템, 야간 승하차 편의를 위한 키홀 조명 장치 등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2015년부터는 유럽의 배출가스 기준인 유로6를 충족하는 이베코 FPT의 Cursor 11 엔진만 적용되었고, 변속기는 ZF 6단 수동변속기가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과거에는 400마력 사양에 통일중공업 또는 다이모스(현대트랜시스) 6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기도 했으며, 420~430마력 사양에서는 ZF 12단 아스트로닉 반자동 변속기를 선택할 수도 있었다.
2016년식 모델은 스포일러 디자인이 다시 변경되고 실내 일부 사양이 개선되었다. 2017년부터는 안전 사양 강화를 위해 긴급제동 시스템(AEBS)이 추가되었다.
2019년 6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BX212M'''이 출시되면서 기존 BX212 로얄 하이데커는 단종되었다.[2] 이와 함께 12m급 모델의 명칭은 '로얄 하이데커'에서 '''로얄'''로 변경되었고, 대한민국 최장 길이인 12.6m RHD급 모델 '''로얄 플러스(Royal Plus)'''가 새롭게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4. 1. 1. 과거/현재 노선버스 보유 회사
BX212 로얄 하이데커는 출시 초기에 변속기 문제가 있었고, 연비가 낮아 유지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대량으로 차량을 운용하는 고속버스나 시외버스 회사보다는 소규모로 운영하는 관광버스 회사에서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3] 실제로 2011년 이후로는 BX212를 새로 도입한 노선버스 회사는 없다.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회사 중에서는 금호고속이 처음으로 BX212 로얄 하이데커를 도입했으나, 차량 결함과 연비 문제로 인해 현재는 모두 다른 차종으로 교체하였다.[3] 함양지리산고속 역시 보유했던 BX212 로얄 하이데커 차량을 2011년 7월에 중고로 매각하고 현대 유니버스로 교체하였다.
과거 또는 현재 BX212 로얄 하이데커를 노선버스로 보유했거나 보유 중인 회사는 다음과 같다.
4. 2. BX212M 로얄 (2019~현재)
2019년 6월, 기존 BX212 로얄 하이데커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기존 BX212보다 차량 높이가 65mm 더 높아졌다. 외관에서는 가니쉬, 스포일러 모양, 뒷모습 등이 변경되었으며, 운전석 대쉬보드 모양도 수정되고 컵홀더가 추가되었다.하지만 대쉬보드는 기존의 우드그레인이 삭제되었고, 대우 레스타의 에어밴트가 적용되었다. 라디오는 구형 현대 유니버스처럼 우측 하단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조작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내장재 역시 우레탄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느낌의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었다. 또한, 차량 뒷면의 엠블럼이 기존 '''DAEWOO'''에서 '''ZYLE DAEWOO'''로 변경되었다. 시장에서는 이전 모델인 로얄플러스에 비해 도입률이 매우 저조했다.
2020년 6월부터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수요 감소와 회사 실적 악화 등의 문제로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의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면서 생산이 멈추었다. 현재는 베트남에서 생산된 모델이 국토교통부 인증을 통과하면 국내에 들어올 예정이며, 이때 비상구가 추가될 계획이다.
4. 3. BX212M 로얄 플러스 (2019~현재)
2019년 6월 BX212 페이스리프트를 진행하면서 함께 출시된 전장 12.6m RHD(Rear High Decker)급 모델이다.[2] 이 모델은 '''로얄 플러스(Royal Plus)'''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며, 기존 BX212보다 전장이 560mm 늘어나고, 차량 높이가 65mm 더 높아졌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산 HD(High Decker)급 버스 모델 중 가장 높은 전고와 가장 긴 전장을 가지게 되었다.그러나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실적 악화 등의 문제로 2020년 6월부터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어 국내 생산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베트남에서만 생산되고 있으며, 베트남 생산 모델은 국토교통부 인증을 통과하면 국내에 다시 도입될 예정이며, 베트남 생산 모델에는 비상구가 추가될 예정이다.
노선버스 업체로는 제주 삼영교통에서 유일하게 이 모델을 출고하여 운용 중이다.
5. 문제점 및 한계
BX212 로얄 하이데커는 출시 초기에 변속기 문제가 있었고, 연비가 떨어진다는 특성 때문에 유지비가 매우 높아 대량으로 노선버스를 운영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업체보다는 소량으로 운영하는 관광버스 업체에서의 선호도가 높았다. 그래서 2011년 이후로는 BX212를 출고한 노선버스 업체가 아직 없다.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업체 중 금호고속[3]에서 BX212 로얄 하이데커를 처음 도입했으나 차량 결함과 연비 문제로 현재는 전면 대폐차했고, 함양지리산고속의 BX212 로얄 하이데커 차량 역시 2011년 7월 중고 버스 회사에 처분하고 현대 유니버스로 대폐차했다.
2019년 6월에 기존 BX212 로얄 하이데커를 페이스리프트하여 출시했으며, 기존 BX212보다 차량 높이가 65mm 더 높아졌다. 외장재는 가니쉬, 스포일러 모양, 외관 뒷모습, 운전석 대쉬보드 모양은 변경됐으며, 컵홀더가 추가됐다. 다만 대쉬보드는 우드그레인이 삭제됐고, 대우 레스타의 에어밴트를 장착했으며, 라디오가 구형 현대 유니버스처럼 우측 하단에 있어 조작성이 저하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우레탄 내장재가 아닌 저렴한 느낌의 플라스틱을 사용한 점도 지적됐다. 아울러 뒷면 엠블럼이 DAEWOO에서 ZYLE DAEWOO로 변경됐다. 그런데 이 차량의 도입률은 매우 저조했다.
2020년 6월부터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실적 악화 등의 문제로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돼 생산을 중단했다. 현재 베트남에서 생산하여 국토교통부 인증을 통과하면 국내에 들어올 예정이며, 이때 비상구도 추가될 예정이다.
6. 대한민국 구단 버스
- 한국 프로 배구: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2017년 도입)
- 해당 배구단은 2025년에 유니버스 혹은 그랜버드로 대차할 예정이다.
7. 경쟁 차종
참조
[1]
문서
자일대우버스의 법인 청산 및 폐업에 따른 생산 중단
[2]
문서
2004년 7월 5일에 BX212가 출시된지 15년 만에 완전히 페이스리프트를 하였다.
[3]
문서
고속부에서 우등고속형인 BX212H를 출고하여 호남선에만 투입하였다.
[4]
문서
전국 공항버스 업체에서 유일하게 BX212 차종을 2020년까지 보유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