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크 아르카델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크 아르카델트는 플랑드르 출신의 르네상스 시대 작곡가로,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을 모두 작곡했다. 그는 1530년대 후반 로마에서 활동하며 교황 성가대에서 일했고, 1551년 프랑스로 돌아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샹송, 마드리갈, 미사곡, 모테트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그의 마드리갈은 16세기 동안 큰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Il bianco e dolce cigno"는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0년대 출생 -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는 스페인 르네상스 시대의 시인이자 군인으로, 이탈리아 시 형식을 스페인어로 도입하여 스페인 르네상스 시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비극적인 사랑과 삶을 섬세하게 표현했다.
  • 1500년대 출생 - 미셸 드 로피탈
    미셸 드 로피탈은 프랑수아 1세부터 샤를 9세 시대에 프랑스 대법관을 지낸 법률가이자 정치가로, 종교적 관용 정책 추진, 스토아 철학 심취, 삼부회 옹호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몽테뉴로부터 훌륭한 재상으로 평가받았다.
  • 1568년 사망 - 발루아의 엘리자베트
    프랑스 공주이자 스페인 왕비였던 발루아의 엘리자베트는 프랑스 왕 앙리 2세와 카트린 드 메디치의 딸로, 카토-캉브레지 조약으로 펠리페 2세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으며, 예술 작품에서 돈 카를로스와 비극적 관계로 묘사된다.
  • 1568년 사망 - 숙의 윤씨 (연산군)
    숙의 윤씨는 해평 윤씨로, 1501년 연산군의 후궁인 숙의로 입궁했으나 중종반정 이후 궁궐을 떠났으며, 그녀의 삶은 백자 묘지에 기록되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벨기에의 클래식 작곡가 - 세자르 프랑크
    세자르 프랑크는 벨기에 출신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사로, 파리 음악원에서 교육을 받고 생클로틸드 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D단조 교향곡 등을 작곡하여 프랑스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클래식 작곡가 - 요하네스 오케겜
    요하네스 오케겜은 15세기 후기 부르고뉴 및 초기 네덜란드 악파의 벨기에 출신 작곡가로서 프랑스 궁정을 섬겼으며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스타일로 미사곡, 모테트, 샹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특히 《Missa prolationum》과 《Missa cuiusvis toni》는 15세기 대위법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자크 아르카델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자크 아르카델트
출생일1507년 8월 10일
출생지나뮈르, 나뮈르 백국
사망일1568년 10월 14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직업가수
작곡가
소속시스티나 성당 합창단
파리 왕립 예배당 합창단
알려진 작품마드리갈

2. 생애

아르카델트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나, 이름의 철자 변형을 통해 플랑드르 출신이며 프랑스에서 교육받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 현재 벨기에 지역인 리에주 또는 나무르 부근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27] 그는 젊은 시절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1520년대 후반까지 피렌체에 머물렀으며, 초기 마드리갈 작곡가인 필리프 베르델로와 교류했을 가능성이 있다.[27]

1538년 또는 그 직전에 그는 로마로 이주하여 성 베드로 대성당의 교황 성가대에 임명되었다. 네덜란드 출신의 많은 작곡가들이 이 기간 동안 그곳에서 가수로 활동했으며, 그가 피렌체에 오기 전에 로마에 갔을 가능성도 있다.[28] 1539년 1월, 그는 로마에서 줄리아 예배당(Julian Chapel)의 일원이 되었을 것이다(기록에는 그의 이름이 "야코부스 플란두스"로 나와 있는데, 이는 플랑드르 출신임을 시사하지만, 이 기록이 아르카델트를 가리키는지는 확실하지 않다).[3] 그곳에서 몇 달을 보낸 후 그는 시스티나 성가대(Sistine Chapel)의 일원이 되었고, 그곳에서 "소년 악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에 그의 마드리갈 4권 이상이 출판되었다.[6] 이 컬렉션 중 첫 번째인 《Il primo libro di madrigali》는 45번이나 재판되었으며, 당시 가장 널리 재판된 마드리갈 컬렉션이 되었다.[7]

카라바조의 그림 류트 연주자; 연주자는 아르카델트의 악보를 보고 있다.


아르카델트는 1547년 프랑스를 방문하기 위해 한 번 휴가를 떠난 것을 제외하고는 1551년까지 시스티나 예배당에서 가수이자 작곡가로 로마에 머물렀다. 이 기간 동안, 아마도 1542년 초에 그는 미켈란젤로와 알게 되었지만, 화가의 소네트 두 곡에 대한 그의 마드리갈식 설정은 무관심으로 받아들여졌다. 실제로 미켈란젤로의 이 주제에 대한 편지에서 그는 자신이 음악적이지 않고 아르카델트의 작품을 감상할 능력이 없다고 여겼을 것이다. 미켈란젤로는 아르카델트에게 더블렛(옷)(doublet)을 만들기에 적합한 새틴 조각으로 보상했다.[8]

아르카델트는 1551년 이탈리아를 떠나 프랑스로 돌아가 여생을 보냈다. 그의 수많은 샹송은 이 시기와 그 이후에 쓰여졌다.[7] 1557년에 그는 그의 새 고용주인 로렌추기경 샤를 드 기즈에게 헌정된 미사곡집을 출판했다(아르카델트는 그의 ''maître de chapelle'', 즉 합창단장이었다). 이 출판물에서 그는 왕실 예배당의 일원으로 언급되었으므로 그의 경력의 이 말기에 헨리 2세 (1559년 사망)와 샤를 9세 모두를 섬겼음에 틀림없다.[3] 파리에서 그는 자신의 풍부한 샹송, 미사곡, 모테트를 베네치아 인쇄업자들이 이전에 그의 마드리갈을 인쇄했던 것처럼 인쇄한 르 로이와 발라르 출판사를 고용했다.[3]

프랑수아 라블레는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제4권 서문에서 아르카델트를 클레망 자네캥과 클로댕 드 세르미지 사이에 등장시켜 외설적인 노래를 부르는 합창단의 일원으로 만들었는데, 그 노래에서 프리아포스는 올림푸스 산에서 신들에게 새 신부를 망치로 처녀성을 빼앗는 자신의 방법에 대해 자랑한다.[9][10]

3. 음악

자크 아르카델트는 길고 생산적인 경력 동안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을 모두 작곡했으며, 모든 작품은 성악곡이다. 그는 총 24개의 모테트, 125개의 프랑스 샹송, 약 250개의 마드리갈(약 50개는 귀속이 불확실함), 3개의 미사곡, 예레미야 애가 및 마니피카트 설정을 남겼다. 필사본에는 아르카델트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250개 이상의 마드리갈이 익명으로 남아있다.[32][33] 그의 음악은 북부 고향의 샹송과 다성 음악 양식, 이탈리아의 세속 음악(프로톨라 등), 시스티나 성가대에서 활동하면서 들었던 음악 등 다양한 영향을 받았다. 초기 마드리갈 작곡가들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호소력을 지녔으며, 다른 작곡가들에게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아르카델트는 마드리갈 형식을 초기 성숙 단계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4]

그의 마드리갈은 명확한 윤곽, 네 부분으로 구성, 세련미 및 균형을 통해 형식 개발의 "고전적" 단계를 가장 잘 나타낸다. 아르카델트의 작품에서는 회화, 반음계주의, 장식, 기교, 마드리갈리스트들의 표현주의적, 매너리즘적 작법은 찾아볼 수 없다.[37]

그의 음악은 100년 이상 동안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첫 번째 마드리갈 책은 1654년까지 58번 재인쇄되었다. 그의 음악은 류트, 기타, 비올과 같은 악기를 위한 수많은 인타뷸레이션에 등장했다.[38] 익명의 작곡이 그에게 귀속된 빈도와 당시 음악가의 여러 그림에서 그의 음악이 등장한 것은 그의 인기를 보여주는 또 다른 징표이다.[24] 그의 인기는 이탈리아 정신을 포착하고 이를 프랑스-플랑드르 화음 및 다성 음악 스타일의 기술적 완성도와 결합시킨 재능 때문일 것이다. 또한 그는 쉽게 부를 수 있는 중독성 있는 곡을 작곡했다. 후기 세대의 마드리갈 작곡가들과 달리 아르카델트는 전문 가수가 자신의 작품을 소비하는 유일한 소비자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았다. 악보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은 누구든지 그의 마드리갈을 부를 수 있었다.[39]

아르카델트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살면서 두 나라에서 세속 음악을 썼기 때문에 그의 샹송과 마드리갈은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 샹송은 본질적으로 더 안정적인 형태였으며, 종종 단조롭고 패턴화된 반복이 있었다. 반면에 마드리갈은 일반적으로 통작곡되었다.[40] 아르카델트는 마드리갈을 작곡할 때 샹송의 일부 특징을 빌렸고, 같은 방식으로 마드리갈 특징으로 샹송의 일부를 썼다. 그의 샹송 중 일부는 실제로 그의 마드리갈(이탈리아어 대신 프랑스어로 된 새로운 단어로 인쇄된 동일한 음악)의 콘트라팍타였다. 음악 역사상 드물게 마드리갈과 샹송이 더 비슷했다.[41]

아르카델트는 마드리갈과 샹송 외에도 3개의 미사곡, 24개의 모테트, 마니피캇, 예레미야의 애가, 일부 종교적인 샹송을 제작했다. 미사곡은 이전 세대의 프랑코-플랑드르 작곡가의 영향을 받았다. 네덜란드인이 선호하는 빽빽한 다성음악을 피한 모테트는 그의 세속 음악과 유사한 방식으로 질감이 더 선언적이며 명확하다. 종교적인 샹송을 제외한 그의 종교 음악의 대부분은 아마도 로마의 교황 예배당에서 몇 년 동안 작곡했을 것이다. 시스티나 성가대 기록 보관소의 문서에 따르면 합창단은 그곳에 거주하는 동안 그의 음악을 불렀다.[42]

3. 1. 세속 음악

아르카델트는 평생 동안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을 모두 작곡했으며, 이 모든 것은 성악곡이었다. 그는 1551년 이탈리아를 떠나 프랑스로 돌아가기 전에 200편이 넘는 마드리갈을 썼고, 이후 그의 수많은 샹송이 나왔다.[30] 아르카델트가 작곡한 것으로 추정되는 250곡 이상의 마드리갈이 익명 필사본으로 남아 있다.[11]

그의 음악은 북부 고향의 샹송과 다성 음악 양식, 프로톨라 같은 이탈리아 세속 음악, 시스티나 성가대 활동 중 접한 음악 등 다양한 영향을 받았다. 초기 마드리갈 작곡가들 중 가장 보편적인 매력을 지녔으며, 다른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아르카델트는 마드리갈 형식을 초기 성숙 단계로 이끌었다.[12]

3. 1. 1. 마드리갈

아르카델트의 마드리갈은 20년 이상에 걸쳐 작곡되었으며, 주로 4성부를 위한 곡이지만 3성부를 위한 곡도 몇 곡 있고, 5성부 및 6성부 곡도 소수 작곡되었다. 그의 마드리갈은 선율이 풍부하고 구조가 단순하며, 부르기 쉽고, 명확한 화성 기반(일반적으로 완전한 온음계)을 바탕으로 한다.[35] 음악은 종종 음절적이며, 반복되는 구절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거의 항상 통작곡(당대 샹송은 연작 형식이 많았다)이다.[35] 아르카델트는 등질적인 텍스처와 다성적인 텍스처를 번갈아 사용하며 "섬세하고 불안정한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36] 그의 마드리갈은 명확한 윤곽, 4성부 구성, 세련됨, 균형을 갖춘 형식의 "고전적" 발전을 가장 잘 나타낸다.[37] 16세기 후반의 마드리갈 작곡가들이 보여준 음악 어구 묘사, 반음계주의, 장식, 기교, 표현주의 및 매너리즘적 작법은 아르카델트의 작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37]

그의 음악은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100년 이상 큰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첫 번째 마드리갈 책은 1654년까지 58번이나 재판되었다.[38] 그의 음악은 류트, 기타, 비올과 같은 악기를 위한 수많은 인타뷸레이션에 등장했다.[38] 익명의 작품이 그에게 자주 귀속되었고, 당시 음악가들을 그린 여러 그림에 그의 음악이 등장한 것은 그의 인기를 보여주는 또 다른 징표이다.[24] 그의 인기는 이탈리아 정신을 포착하여 프랑코-플랑드르 화성 및 다성적 스타일의 기술적 완벽함과 결합하는 그의 재능, 그리고 부르기 쉬운 매력적인 멜로디를 작곡한 덕분이었다. 후대의 마드리갈 작곡가들과 달리 아르카델트는 전문적인 성악가들만이 그의 작품을 소비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악보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그의 마드리갈을 부를 수 있었다.[39]

아르카델트는 페트라르카, 피에트로 벰보, 산나자로, 로렌치노 데 메디치, 베네데토 바르키, 필리포 스트로치, 미켈란젤로, 루이지 카솔라 등 다양한 시인들의 텍스트를 사용했다.[17][3]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자 16세기 전체에서 가장 지속적인 작품 중 하나인 4성부 마드리갈 ''Il bianco e dolce cignoit (하얗고 부드러운 백조)''는 조반니 기도치오니의 시에 곡을 붙인 것이다.

3. 1. 2. 샹송

아르카델트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모두 살면서 두 나라에서 세속 음악을 작곡했기 때문에 그의 샹송과 마드리갈은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한다. 샹송은 본질적으로 더 안정적인 형식으로, 종종 연(strophic) 형식이며 패턴화된 반복을 보였다. 반면에 마드리갈은 일반적으로 통작곡되었다.[20] 아르카델트는 마드리갈을 작곡할 때 샹송의 몇 가지 특징을 빌려왔고, 마찬가지로 샹송 중 일부는 마드리갈적인 특징을 사용하여 작곡했다. 그의 샹송 대부분은 음절적이고 단순하며, 짧은 다성부 작곡이 나타나고, 때로는 카논(canon) 기법을 사용했으며, 마드리갈의 ''note nere'' 스타일, 즉 빠른 "검은 음표"가 패터 송의 효과를 내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그의 샹송 중 일부는 실제로 그의 마드리갈을 콘트라팍툼(동일한 음악에 이탈리아어 대신 프랑스어 가사를 붙인 것)한 것이다. 음악사에서 마드리갈과 샹송이 이처럼 유사한 경우는 드물다.[3]

3. 2. 종교 음악

아르카델트는 3개의 미사, 24개의 모테트, 마니피캇 설정, 예레미야 애가를 비롯하여 몇몇 종교적인 샹송을 작곡했다.[3] 미사는 이전 세대의 프랑코-플레미쉬 작곡가들, 특히 장 무통과 조스캥 데 프레의 영향을 받았다.[21] 모테트는 네덜란드 작곡가들이 선호했던 복잡한 다성 음악을 피하고, 그의 세속 음악과 유사한 방식으로 텍스처가 더 선언적이고 명확하다.[3] 그는 로마 교황청 예배당에서 활동하던 시절에 종교 음악의 상당 부분을 썼을 가능성이 있으며, 종교적인 샹송을 제외하면 더욱 그렇다. 시스티나 성당 기록 보관소의 문서에 따르면, 합창단은 그가 그곳에 머무는 동안 그의 음악을 불렀다.[3] "아르카델트의 아베 마리아"는 아르카델트의 원곡이 아니라, 피에르 루이 디에치가 아르카델트의 샹송 "Nous voyons que les hommes"을 라틴어 가사에 맞춰 편곡하고 베이스 라인을 추가한 것이다.[21]

4. 작품 목록

앨버트 시가 편집한 CMM xxxi, 1–10 (10권)에 아르카델트의 작품 전집이 출판되었다. 1권에는 아르카델트의 미사가, 2권에서 9권까지는 세속 작품, 10권에는 모테트와 기타 종교 음악이 수록되어 있다.

4. 1. 마드리갈

제목성부출판 도시출판 연도비고
Il primo libro di madrigali4성부베네치아1539년
Il secondo libro de madrigali4성부베네치아1539년스코토 출판
Il vero secondo libro di madrigali4성부베네치아1539년
Terzo libro de i madrigali novissimi4성부베네치아1539년
Il quarto libro di madrigali4성부베네치아1539년
Primo libro di madrigali3성부베네치아1542년
Il quinto libro di madrigali4성부베네치아1544년
기타--1537년~1559년여러 작품집과 필사본에 수록된 다수의 마드리갈


4. 2. 샹송

아르카델트는 1560년대와 1570년대에 6권의 샹송집을 출판했다.[1]

제목성부출판 연도출판 장소
Quatorsiesme livre de chansons4~6성부1561년파리
Tiers livres de chansons4성부1567년파리
Quatrième livre de chansons4성부1567년파리
Cinquième livre de chansons4성부1567년파리
Sisième livre de chansons4~5성부1569년파리
Neuvième livre de chansons4~6성부1569년파리


4. 3. 미사

Missa tresla(4성부, 5성부, 6성부; 파리, 1557)

4. 4. 마니피캇과 애가

제목성부출판 정보
제1선법 마니피카트4성부 ~ 6성부1557년, 파리
예레미야의 애가 I4성부1557년, 파리
예레미야의 애가 II4성부1557년, 파리
예레미야의 애가 III4성부1557년, 파리


4. 5. 모테트와 종교적 샹송

아르카델트는 1532년부터 1555년 사이에 라틴어 모테트와 프랑스어 샹송 등 수많은 개별 작품을 출판했다.[1]

5. 참고 문헌


  • Abraham, Gerald. ''The Age of Humanism.''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8.
  • Atlas, Allan W. ''Renaissance Music.''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1998.
  • Blume, Friedrich. ''Renaissance and Baroque Music.''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1967.
  • Brown, Howard Mayer. ''Music in the Renaissance''. Prentice Hall History of Music Serie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976.
  • Brown, Howard Mayer, and Stein, Louise K. ''Music in the Renaissance'', second edition.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1999.
  • Einstein, Alfred. ''The Italian Madrigal.'' Three volumes.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9.
  • Haar, James; Glozer, Letitia. "Arcadelt [Archadelt, Arcadet], Jacques", Grove Music Online
  • Perkins, Leeman L. ''Music in the Age of the Renaissanc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1999.
  • François Rabelais, ''Gargantua and Pantagruel'' (tr. J.M. Cohen). Baltimore, Penguin Books, 1963.
  • Randel, Don, ed. ''The New Harvard Dictionary of Music''.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 구스타브 리스, ''Music in the Renaissance''. New York, W.W. Norton & Co., 1954/1959.
  • Slonimsky, Nicolas. ''The Concise Edition of Baker's Biographical Dictionary of Musicians'', 8th ed. New York, Schirmer Books, 1993.
  • 에이브러햄, 제럴드. ''인문주의 시대''. 런던: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68.
  • 아틀라스, 앨런 W. ''르네상스 음악''. 뉴욕: W. W. 노턴 & 컴퍼니, 1998.
  • 블룸, 프리드리히. ''르네상스 및 바로크 음악''. 뉴욕: W. W. 노턴 & 컴퍼니, 1967.
  • 브라운, 하워드 마이어.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프렌티스 홀 음악사 시리즈. 잉글우드 클리프스, 뉴저지; 프렌티스-홀, 1976.
  • 브라운, 하워드 마이어, 그리고 스타인, 루이스 K.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제2판. 어퍼 새들 리버: 프렌티스 홀, 1999.
  • 아인슈타인, 알프레드. ''이탈리아 마드리갈''. 3권. 프린스턴, 뉴저지,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49.
  • 하, 제임스; 글로저, 레티샤. "[https://doi.org/10.1093/gmo/9781561592630.article.01165 아르카델트 [아르카드, 아르카데트], 자크]", 그로브 음악 온라인
  • 퍼킨스, 리먼 L.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뉴욕: W. W. 노턴 & 컴퍼니, 1999.
  • 프랑수아 라블레,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번역 J.M. 코헨). 볼티모어, 펭귄 북스, 1963.
  • 란델, 돈, 편집. ''신 하버드 음악 사전''.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86.
  • 구스타브 리스,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 뉴욕, W.W. 노턴 & Co., 1954/1959.
  • 슬로님스키, 니콜라스. ''베이커 음악가 전기 사전 요약판'', 제8판. 뉴욕, 셔머 북스, 1993.

참조

[1] 서적 Harvard Dictionary of Music
[2] 서적 Einstein, Vol. I
[3] 간행물 New Grove online
[4] 백과사전 Arcadelt, Jacques https://www.mgg-onli[...] Bärenreiter
[5] 서적 Music in the Age of the Renaissance W. W. Norton & Company, Inc. 1999
[6] 서적 Music in the Renaissance Norton & Company Inc. 1959
[7] 서적 1999
[8] 서적 Einstein, Vol. I
[9] 서적 Einstein, Vol. I
[10] 서적 Gargantua and Pantagruel
[11] 서적 1959
[12] 서적 Einstein
[13] 서적 1999
[14] 서적 Renaissance and Baroque Music W. W. Norton & Company, Inc. 1967
[15] 서적 Einstein, Vol. I
[16] 서적 1968
[17] 서적 Einstein, Vol. I
[18] 서적 Einstein, Vol. I
[19] 서적 1998
[20] 서적 Einstein, Vol. I
[21] 서적 Saint-Saëns and the Organ Pendragon Press 1992
[22] 서적 1998
[23] 서적 1998
[24] 간행물 New Grove online
[25] 서적 Harvard Dictionary of Music
[26] 서적 Einstein, Vol. I
[27] 간행물 New Grove online
[28] 서적 Music in the Age of the Renaissance W. W. Norton & Company, Inc. 1999
[29] 서적 Einstein, Vol. I
[30] 서적 1999
[31] 간행물 New Grove online
[32] 서적 1959
[33] 간행물 New Grove online
[34] 서적 Einstein
[35] 서적 1999
[36] 서적 Renaissance and Baroque Music W. W. Norton & Company, Inc. 1967
[37] 서적
[38] 간행물 New Grove online
[39] 논문 1968
[40] 서적
[41] 간행물 New Grove online
[42] 간행물 New Grove onl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