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래종은 특정 지역이나 생태계에 원래 존재하지 않던 종이 인간의 의도적이거나 비의도적인 활동으로 인해 유입된 종을 의미한다. 이러한 외래종은 농업, 임업, 관상, 생물학적 방제 등 다양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침입종', '귀화종' 등 여러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다. 외래종 도입은 쥐, 밸러스트수, 애완동물 거래 등을 통해 발생하며,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외래종은 토착종과의 경쟁, 생태계 교란, 인간의 건강 및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며, 가시박, 돼지풀, 황소개구리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에 따라, 외래종 문제 해결을 위해 법적 규제와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 있으며, 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외래종이 토착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입종 - 신대륙 작물
신대륙 작물은 신대륙에서 기원하여 재배되었으며, 옥수수, 감자, 토마토, 고추 등을 포함하며, 콜럼버스 교환을 통해 구대륙으로 전파되어 세계 식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도입종 - 콜럼버스의 교환
콜럼버스의 교환은 15세기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항해 이후 구대륙과 신대륙 간에 발생한 생물학적, 문화적 교류로, 식물, 동물, 질병, 인구 이동을 통해 두 대륙의 농업, 식생활, 문화, 인구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서식지 - 서식지 단편화
서식지 단편화는 서식지 면적 감소, 내부 면적 감소 및 주변 효과 증가, 서식지 격리, 패치 분할, 평균 패치 크기 감소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생물종 이동 제한, 생물 다양성 감소, 개체군 유지 어려움 등 생태계 건강성을 위협하며, 주요 원인은 개발, 벌목, 농업 확장과 같은 인간 활동이다. - 서식지 - 운무림
운무림은 고지대에서 지속적인 안개로 형성되어 안개 물방울로 수분을 공급받는 독특한 숲으로, 생물다양성이 높지만 개발과 기후변화로 인해 감소하고 있으며, 일부 온대 지역의 숲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 환경 용어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 환경 용어 - 습지
습지는 물에 잠긴 땅으로 육상과 수생 생태계의 전이대이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개발과 보전의 갈등, 그리고 오염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외래종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침입종 귀화종 도입종 이입종 외래 생물 |
설명 |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본래의 서식지를 벗어나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여 정착한 생물 종 |
분류 | |
이동 방법 | 의도적인 도입 비의도적인 도입 자연적인 확산 |
도입 기준 | 지리적 장벽 극복 번식 및 생존 능력 환경 적응력 |
영향 | |
생태계 영향 | 생물 다양성 감소 토착종 경쟁 및 멸종 서식지 파괴 먹이 사슬 교란 생태계 기능 변화 |
경제적 영향 | 농작물 피해 수산 자원 감소 질병 확산 방제 비용 증가 |
사회적 영향 | 건강 문제 문화적 가치 훼손 여가 활동 제약 |
관리 | |
예방 | 수입 규제 강화 검역 강화 생물 안전 교육 |
조절 | 물리적 제거 화학적 방제 생물학적 방제 |
관리 전략 | 조기 발견 및 신속 대응 통합적 관리 국제 협력 |
참고 자료 | |
관련 법규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관련 단체 | 미국 어류 및 야생 동물 관리국 미국 해양 대기청 |
관련 학술 자료 | 종 침입과 멸종: 섬에서 토종 생물 다양성의 미래 |
2. 용어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도입종(introduced species)은 의도적이든 우연적이든 특정 지역이나 영역으로 유입된 종을 의미하며, 외래종(exotic species)이나 비토착종(non-native species)이라고도 한다.[4][5]
도입종과 관련된 여러 용어들이 있는데, 이 용어들은 현재 변화하고 있다.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다.
용어 | 정의 |
---|---|
도입종 (introduced species) | 특정 지역이나 영역에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입된 종. 외래종(exotic species) 또는 비토착종(non-native species)이라고도 한다. |
귀화종 (naturalized species) | 도입된 후 인간의 도움 없이 스스로 번식하고 개체군을 유지하는 종. |
침입종 (invasive species) | 도입된 지역에서 빠르게 확산되어 생태계, 인간의 건강, 경제에 해를 끼치는 종. |
순화된 종 (acclimatized species) |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신체적, 행동적으로 변화한 도입종. |
유입종 (casual alien species) | 영구적으로 정착하지 않은 도입종. |
이주종 (translocated species) | 인간의 도움을 받아 두 서식지 사이를 이동하는 종. 침입성은 필수 요건이 아니다.[7] |
정의에 따르면, 어떤 종이 자생지 범위 밖의 지역으로 이동될 때 인간에 의해 매개될 경우 "도입된" 것으로 간주된다. 인간에 의한 도입은 의도적이거나 우연적일 수 있다. 의도적인 도입은 (1) 새로 도입된 종이 새로운 위치에서 인간에게 어떤 식으로든 유익할 것이라고 믿는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었거나, (2) 종이 의도적으로 도입되지만 잠재적 영향에 대한 고려 없이 이루어진 경우이다. 비의도적이거나 우연한 도입은 대부분 인간 이동의 부산물이며, 따라서 인간의 동기와는 관련이 없다. 도입된 종의 후속적인 분포 확장은 인간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침입성"이라는 용어는 도입된 지역에 생태적, 경제적 또는 기타 피해를 주는 도입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실용적인 정의에 따르면, 침입종은 도입되어 새로운 서식지에서 해충이 되어 자연적인 수단으로 퍼져나가는 종이다.
영국에서는 1981년 야생동물 및 시골지역법이 야생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동물이나 이전에 도입되어 침입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동물이나 식물 목록을 도입하는 것을 금지한다.
'''귀화식물'''은 외국에서 들어온 식물 중, 인위적인 수단으로 들여와 야외에서 자생적으로 생육하게 된 것을 말한다. 의도적으로 들여온 것과 비의도적인 것을 모두 포함한다.
3. 도입의 원인
3. 1. 의도적 도입
인간이 새로운 지역으로 종을 의도적으로 운반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첫째는 야생에 정착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방출하는 경우이다. 종이 방출 후 실제로 정착할지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인간은 종이 생존하고 번식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도입을 시도하기도 한다.[14]
둘째는 사육 또는 재배되던 종이 탈출하여 독립적인 번식 개체군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초기 운반은 인간의 의도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의도적 도입으로 간주된다.
의도적인 도입은 생물학적 세계화라고도 불린다. 도입된 종은 대부분 서식지를 침입하여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일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뉴햄프셔에서는 덜꿩나무, 으아리, 인동덩굴과 같은 침입종이 과일을 먹는 조류에게 먹이를 제공하고, 꿀벌과 같은 곤충에게 꽃가루와 꿀을 제공하여 생태계 번영에 기여하기도 한다.[15]
많은 외래 식물이 관상용, 토양침식 방지, 사료, 조림 등의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외래종이 침입종이 될지는 예측하기 어렵고, 많은 관상용 식물이 갑자기 귀화하여 침입종이 되기도 한다. 연구에 따르면, 환경이 적합하고 식물 종이 수명이 짧은 초본이거나 종자로 재배될 때 귀화 가능성이 더 크다.[36]
복숭아는 중국, 토마토는 안데스 산맥이 원산지이며, 스쿼시(호박), 옥수수, 담배는 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이지만 구대륙으로 도입되었다. 많은 도입종은 새로운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인간의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하지만, 민들레처럼 토착종과 경쟁하지 않고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다.
남유럽에서는 해양 종인 카울레르파 탁시폴리아(해조류)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1984년 모나코 해안의 지중해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1997년에는 약 50km2를 덮었다. 이 종은 자연 생물권을 덮어버릴 가능성이 크며, 조간대 생태계에 큰 위협을 준다. 지중해에 있는 조류의 기원은 수에즈 운하를 통한 홍해로부터의 이동 또는 수족관으로부터의 우발적인 도입으로 추정된다.
또 다른 문제 식물 종은 관상용으로 북미, 유럽,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에 도입된 육상 식물 ''필라 카넨스''이다.[37][38] 이 종은 호주에서 침입종이 되어 토착 희귀 식물을 위협하고 강둑 주변의 침식과 토양 붕괴를 일으킨다.[39] 프랑스에서도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지중해 지역에서 중요한 보전 서식지를 위협하는 단일 종의 군락을 형성할 수 있다.[40]
일본목단은 많은 국가에서 무성하게 자라며, 식이 보충제인 레스베라트롤의 공급원이다. 그러나 건물 기초에서 자라 안정성을 위협하고 빠르게 퍼지는 문제가 있다. 메스키트(''Prosopis juliflora'')는 인도 아대륙 전역에 퍼져 도시의 새들을 포함한 다양한 야생 종에 영향을 미친다.[41]
대부분의 도입종은 침입종이 되지 않지만, 침입종이 된 동물의 예로는 동부 북아메리카의 집시나방, 그레이트레이크스의 얼룩무늬홍합과 얼룩무늬빙어(alewife (fish)), 유럽의 캐나다기러기와 회색 다람쥐, 티에라 델 푸에고의 비버, 유럽과 아시아의 사향쥐, 오스트레일리아의 코골이두꺼비와 붉은여우, 북아메리카, 유라시아, 아프리카의 너트리아, 뉴질랜드의 보통붓꼬리주머니쥐 등이 있다.[42]
악명 높은 파괴적인 도입종 중 하나는 작은 인도몽구스이다. 이란과 인도를 포함하는 지역이 원산지인 이 동물은 1800년대 후반 해충 방제를 위해 서인도 제도와 하와이에 도입되었다. 이후 이 동물은 속도에 대처할 준비가 되지 않은 먹이를 통해 번성하여 다양한 종의 지역 멸종을 초래했다.[43]
어떤 경우에는 도입된 동물이 의도치 않게 야생 복원을 촉진하기도 한다.[44] 예를 들어, 아메리카 대륙에서 야생화된 탈출한 말과 당나귀는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멸종된 말과 동물과 유사한 생태적 역할을 할 수 있다.[45]
외래 애완동물 거래는 도입종의 큰 원천이기도 하다. 애완동물로 선호되는 종은 일반적인 서식지 요구 사항과 넓은 분포를 가지기 때문에[46], 탈출하거나 방출되면 야생에서 생존하고 확립될 가능성이 높다. 앵무새, 개구리, 터랩핀, 이구아나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일본에서는 귀화식물로 측백나무과의 모쿠마오우(木麻黄) 등이 있고, 일본 국내 이입종으로는 규슈에서 중부지방으로의 아오모지(アオモジ)의 사례가 있지만, 선사시대 귀화식물에는 녹나무나 나한송 등의 사례가 있다. 해양도에서는 나무의 이입종 사례도 많은데, 이는 원산의 나무가 적어 목재 생산용으로 가져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류큐 열도에서 오가사와라 제도로 아카기(アカギ)와 류큐소나무(リュウキュウマツ)가 반입되어 토착 식생을 압박하고 있다.
귀화식물이 많은 분류군으로는 국화과, 벼과, 콩과가 있으며, 이들을 “귀화식물 3대 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반면, 난초과 식물에는 귀화종이 거의 없다.
침입 경로는 식물의 반입이 의도적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뉜다. 의도적인 경우는 재배 식물로 반입된 것이 야외로 탈출하는 경우이며, 작물, 약용식물, 목초, 원예식물, 재목용 수목 등이 있다. 의도적이지 않은 경우는 장비에 종자 등이 부착되어 반입되는 경우이다.
재배를 의도하여 반입한 식물에 섞여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 작물에는 그 밭에 자라는 잡초(수반 식물)가 수반되며, 이들은 작물의 종자에 섞여 운반되어 함께 반입된다. 식물성이지만 재배를 의도하지 않은 것에 섞여 들어오는 경우도 있는데, 배양토와 함께 들어오거나 건조한 식물을 포장재로 사용한 것에서 들어온 예(흰토끼풀이 유명하다)가 있다.
일반적으로 인위적으로 교란된 장소(도시 황무지, 항구, 공항, 공장, 역, 철도 선로, 미군기지 등)에 침입하기 쉽다. 오키나와현 등 미군기지가 위치하는 지역에서는 군수 물자에 섞여 귀화식물이 침입하는 경우가 있으며, 흰꽃여뀌(타치아와유키센다구사)는 1969년대에 가데나 기지에 침입하여 퍼져 나갔다.
많은 식물이 그러한 장소에서 번식하지만, 농촌이나 자연 환경이 보존된 장소에는 잘 침입하지 않는다. 그러나 강, 습지, 연못 등에서는 외래종이 침입하여 재래종을 대체하는 예가 적지 않다. 이는 수 환경에 부영양화 등의 환경 악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장기간 재배되고 있으면서도 거의 逸出하지 않은 식물도 있다. 코스모스 등이 그 예인데, 고도로 품종개량이 이루어진 것은 야외에서의 경쟁에 약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교배로 만들어진 원예 품종에서 야생화한 모과붓꽃과 같은 예도 있다.
3. 2. 비의도적 도입
인간의 이동률 증가로 인해 종들이 실수로 다른 지역으로 옮겨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를 들어, 쥐(검은쥐, 노르웨이쥐, 폴리네시아쥐)는 배에 몰래 숨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27] 전갈이나 외래 거미와 같은 거미류는 열대 과일 선적에 숨어 고유 서식 범위를 벗어나기도 한다.[27]
밸러스트수를 통해 빗해파리(Mnemiopsis leidyi), 콜레라균(Vibrio cholerae), 제브라담치 등 수많은 해양 생물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다.[28] 샌프란시스코 만에는 200종이 넘는 외래종이 유입되어 심각한 침입 지역이 되었다.[29]
아프리카화된 꿀벌(AHB)은 1957년 브라질에,[27] 아시아 잉어는 미국에 실수로 방출되었다.[27] 갈색무늬노린재(Halyomorpha halys)는 펜실베이니아에 우연히 유입되었다.[27] 관상용 식물인 협죽도와 함께 협죽도진딧물이 유입된 사례도 있다.[27]
자연재해 발생 후 인도적 지원 과정에서도 외래종이 유입될 수 있다.[30][31] 도미니카에서는 마리아 허리케인 구호 활동 중 그린이구아나, 쿠바나무개구리 등이 유입되었고, 이 중 그린이구아나와 쿠바나무개구리는 정착했다.[31]
4. 한국의 도입종
한국에 도입된 외래종은 동물과 식물 모두 다양하다. 주요 도입종은 다음과 같다.
동물 | 식물 |
---|---|
4. 1. 역사
농경 문화와 함께 많은 외래종 식물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카와 후미오는 이를 '''선사 외래식물'''이라고 칭했다.[53] 그러나 그가 예시로 든 식물 중 일부는 자생종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고대부터 에도 시대까지는 해외와의 교류가 지속되면서 외래종 식물의 수가 점차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에도 시대 말기부터는 교류가 급격히 활발해지면서 외래종 식물이 급증했다.[54] 이 시기 이후의 외래종 식물을 '''신(新) 외래종 식물''', 그 이전의 것을 '''구(舊) 외래종 식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외래종 식물이라고 하면 주로 신 외래종 식물을 가리킨다.4. 2. 현황
일본에서는 1970년대에 가는잎왕고들빼기가 대량 번식하여 모든 빈터를 메울 기세였다.[55] 반대로 일본의 칡처럼 일본 국외에서 대량 번식하여 문제가 되는 예도 있다.[55]일반적으로 섬에서 귀화식물에 의한 피해가 크다. 특히 해양섬에서는 토착종이 압박받는 예가 적지 않다. 갈라파고스 제도에서는 키나나무( ''Chinchona pubescens'')가 말라리아 치료약으로 반입되어, 산정부의 경관을 바꿀 정도로 번식하고 있다.
일단 정착한 것처럼 보여도, 그 상태가 계속된다고는 할 수 없다. 가는잎왕고들빼기의 경우, 현재는 2m가 넘는 군락을 보기는 어려워지고, 길가에서 보이는 잡초 중 하나가 된 느낌이다.[55] 이것은 이 종을 공격하는 진딧물 등의 포식자가 출현한 것과, 종래의 식물이 뿌리의 뻗는 방식의 관계로 사용할 수 없었던 비료 성분을 가는잎왕고들빼기는 뿌리가 깊게 뻗는 성질로 인해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커졌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비료 성분을 대부분 사용해 버린 것[55] 등이 요인이다. 큰달맞이꽃이나 돼지풀 등은 한때 일본 전역에서 아주 흔하게 보였던 것이지만, 현재는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돼지풀에 대해서는, 그 대신 가시돼지풀 등이 잘 보이므로, 더 강력한 새로운 귀화종으로 대체되었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어떤 지역의 식물상 중에서, 귀화종의 비율을 '''귀화율'''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930년대에는 수 %로 추정되었으며[56], 1960년대에는 10% 미만[56], 2000년 시점에는 10% 전후로 여겨지며, 도시부에서는 20%를 넘는 지역도 있다.
일본 외 국가에서는 미국이 귀화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재래종 17000종에 대해 귀화종이 5000종이나 되어, 평균 귀화율이 29%이며, 주에 따라서는 45%에 달하는 곳도 있다. 해양도서에서는 하와이의 마우이섬이 47%로 역시 높은 값을 나타낸다. 반대로 아프리카는 탄자니아의 응고롱고로에서는 3%로 매우 낮은 것이 알려져 있다.
4. 3. 주요 도입종
- 뉴트리아: 생태계를 교란하고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42]
- 블루길, 큰입배스: 토종 어류를 포식하여 생태계를 교란한다.[42]
- 황소개구리: 토종 양서류 및 파충류를 포식하여 생태계를 교란한다.[42]
- 붉은귀거북: 토종 남생이와 경쟁하여 생태계를 교란한다.[42]
- 가시박: 왕성한 번식력으로 토종 식물의 생육을 방해한다.[37]
- 단풍잎돼지풀, 돼지풀: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하고, 토종 식물의 생육을 방해한다.
- 미국쑥부쟁이: 토종 식물과 경쟁하여 생태계를 교란한다.
- 등검은말벌: 토종 꿀벌을 공격하여 양봉 산업에 피해를 준다.[42]
- 꽃매미: 과수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농작물의 즙액을 흡수하고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5. 영향 및 피해
대부분의 도입종은 침입종이 되지 않지만, 일부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침입종이 된 도입 동물의 예로는 동부 북아메리카의 집시나방, 그레이트레이크스의 얼룩무늬홍합과 얼룩무늬빙어(alewife), 유럽의 캐나다기러기와 회색 다람쥐, 티에라델푸에고의 비버, 유럽과 아시아의 사향쥐, 오스트레일리아의 사탕수수두꺼비와 붉은여우, 북아메리카, 유라시아, 그리고 아프리카의 뉴트리아, 뉴질랜드의 주머니쥐 등이 있다.[42]
작은인도몽구스는 이란과 인도 등지에 서식하며, 1800년대 후반 해충 방제를 위해 서인도 제도와 하와이에 도입되었으나, 오히려 속도에 대처할 준비가 되지 않은 먹이를 통해 번성하여 다양한 종의 지역 멸종을 초래했다.[43]
서양꿀벌, 쥐(brown rat), 참새(house sparrow), 금계(common pheasant), 유럽찌르레기와 같은 일부 종들은 매우 널리 도입되었다. 또한, 토끼(rabbit), 개(dog), 오리(domestic duck), 뱀(snake), 염소(goat), 물고기(fish), 돼지(pig), 고양이(cat) 등 농업 및 애완동물로 자주 야생화(feral)되는 종들도 있다. ''다프니아'', ''보스미나'', ''비토트레페스''와 같은 많은 물벼룩들이 전 세계에 도입되어 토착 담수 생태계에 극적인 변화를 초래했다.[47]
5. 1. 생태계 교란
외래종이 토착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며,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토착종과의 경쟁: 외래종은 서식지, 먹이 등을 두고 토착종과 경쟁한다. 예를 들어, 붉은귀거북은 토종인 남생이와 서식지를 두고 경쟁한다.
- 포식: 외래종은 토착종을 직접 잡아먹기도 한다. 황소개구리는 토종 양서류를 포식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 질병 전파: 외래종은 새로운 질병을 옮겨 토착종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 유전자 교란: 외래종은 토착종과 교잡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양민들레는 토종 민들레와 교잡하여 유전자 교란을 일으킨다.
- 생태계 구조 변화: 특정 외래종이 과도하게 번식하면 생태계 균형이 파괴될 수 있다. 가시박은 토종 식생을 파괴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일본에서는 가는잎왕고들빼기가 1970년대에 대량 번식하여 모든 빈터를 메울 기세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요인으로 인해 그 수가 감소했다.[55] 반대로 일본의 칡은 일본 국외에서 대량 번식하여 문제가 되기도 한다.
돼지풀은 타감작용으로 다른 식물의 생육을 방해하며, 민감초는 토양을 질소 과다하게 만들어 식생의 자연적인 천이를 방해한다.
비와호 등에서 좀개구리밥이 대량 번식하여 어업 등에 방해가 된 사례도 있으며, 부레옥잠이나 물배추는 열대 각지에서 운하 등을 막는 피해를 내고 있다.
미나리과의 자이언트 호그위드(Heracleum mantegazzianum)(Giant Hogweed)는 코카서스 원산의 독미나리의 일종으로, 19세기에 정원용으로 도입되어 영국에 귀화했다. 피부에 수액이 닿은 후 햇빛을 쬐면 붉게 부어오르고 수년간 흔적이 남아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다.
일본에서는 돼지풀이나 개솔새 등이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어 문제가 되었다.
5. 2. 인간 건강 및 경제적 피해

외래종은 인간의 건강과 경제에 다양한 피해를 입힌다.
- 알레르기 유발: 돼지풀, 가시돼지풀 등은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외래종이다.[55]
- 농작물 피해: 일부 외래종은 농작물을 훼손하고 상품성을 저하시켜 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입힌다.
- 어업 피해: 블루길과 같은 외래 어종은 토종 물고기를 잡아먹고 어구를 손상시켜 어업에 피해를 준다.
- 시설물 피해: 뉴트리아는 굴을 파는 습성으로 인해 건물이나 제방 등 기반 시설을 훼손하기도 한다.
- 질병 전파: 쥐와 같은 외래 동물은 인수공통감염병을 옮길 수 있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한다.
미나리과의 자이언트 호그위드(Heracleum mantegazzianum)(Giant Hogweed)는 코카서스 원산의 독미나리의 일종으로, 19세기에 정원용으로 도입되어 영국에 귀화했다. 이 식물의 수액은 피부에 닿은 후 햇빛을 쬐면 붉게 부어오르고 수년간 흔적이 남을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다. 또한 강가에 번식하여 낚시꾼에게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밀집한 군락은 다른 식물을 접근하지 못하게 하여 토착 식물도 압박한다. 개화 후 일제히 시들면 표토가 드러나고, 그 유출로 강이 오염되어 연어류의 알이 묻혀 죽는 피해도 발생한다.
일본에서는 비와호 등에서 좀개구리밥이 대량 번식하여 어업 등에 방해가 된 사례도 있으며, 부레옥잠이나 물배추는 열대 각지에서 운하 등을 막는 피해를 내고 있다.
6. 관리 및 대책
대한민국에서는 외래종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을 막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환경부는 1998년부터 생태계에 위해를 끼치는 외래 생물을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11] 초기에는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등 동물 6종과 돼지풀 등 식물 5종, 총 11종을 지정하였으나, 2023년 12월 기준으로 뉴트리아, 붉은불개미 등 동물 37종과 가시박 등 식물 36종, 총 73종 및 1속으로 확대되었다.
생태계교란 생물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입, 반입, 사육, 재배, 양도, 양수, 보관, 운반, 유통이 금지된다.[11] 이를 위반할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정부는 생태계교란 생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제거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외래종의 위험성을 알리고 국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교육 및 홍보 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관리 방안 (하위 섹션 내용 요약)
- 예방: 사전 검역 강화, 불법 반입 금지.
- 조기 발견 및 제거: 정기적인 모니터링, 물리적 제거.
- 생물학적 방제: 천적 도입 (신중한 검토 필요).
- 화학적 방제: 농약 사용 (환경 영향 고려).
- 생태계 복원: 훼손된 생태계 복원.
- 대국민 인식 제고: 교육 및 홍보 강화.
6. 1. 법적 규제
대한민국에서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통해 생태계 교란 생물을 지정하고 관리한다. 이 법률은 생태계에 위해를 가하거나 가할 가능성이 있는 외래종을 규제하여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일본에서는 「외래생물법」을 통해 특정 외래 생물을 지정하고 관리한다. 이 법은 특정 외래종의 수입, 사육, 운반 등을 규제하여 생태계, 인간의 건강, 농림수산업에 대한 피해를 예방한다.[11]
국제적으로는 생물다양성협약(CBD), 람사르협약 등 다양한 협약을 통해 외래종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협약들은 국가 간 협력을 통해 외래종의 확산을 방지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을 촉구한다.
6. 2. 관리 방안
외래종 관리는 크게 예방, 조기 발견 및 제거, 생태계 복원, 대국민 인식 제고 등의 단계로 이루어진다.예방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외래종의 유입을 막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 검역을 강화하고, 불법 반입을 금지해야 한다.[12] 침입 경로 관리는 원치 않는 침입종을 제거하는 최전선이며, 여기에는 공공 교육, 산업계의 협조 및 정부 자원과 같은 예비 단계가 포함된다.[13]
조기 발견 및 제거외래종이 유입되었을 경우, 빠르게 발견하여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외래종의 확산을 감시하고, 발견 즉시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물리적 제거 방법으로는 포획, 제거 작업 등이 있다.
생물학적 방제천적을 도입하여 외래종을 억제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이는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화학적 방제농약을 사용하여 외래종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지만, 환경 영향을 고려하여 최소화해야 한다.
생태계 복원외래종으로 인해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대국민 인식 제고외래종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7. 기타
(제공된 원본 소스에 '기타'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1. 귀화율
일본 본토 식물 약 4,000종 가운데 귀화식물은 1,200종으로 알려져 있다.[1] 이는 일본 전체 식물 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7. 2. 유전학
도입된 종은 토착종과 교배하여 잡종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있다. 잡종 생성의 영향은 거의 없거나, 부정적이거나, 토착종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다양하다.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으로는 환경에 적응력이 떨어지는 잡종이 발생하여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것이 있다. 이는 대서양 연어 양식장에서 야생 개체군으로 대서양 연어가 다량으로 탈출하여 생존율이 낮은 잡종이 발생한 사례에서 확인되었다.[48] 잠재적인 긍정적 영향으로는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켜 개체군의 적응 능력을 높이고 개체군 내 건강한 개체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있다. 이는 트리니다드에 구피를 도입하여 개체군 증가를 촉진하고 새로운 대립유전자를 도입한 사례에서 확인되었다. 이 도입의 결과로 이형접합성 수준이 증가하고 개체군 크기가 커졌다.[49] 외래 이구아나의 광범위한 도입은 카리브해 소앤틸리스 제도의 토착 이구아나 개체군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잡종이 토착 이구아나보다 적응도가 높아 경쟁에서 이기고 토착종을 대체하고 있기 때문이다.[50][51] 이미 많은 개체군이 멸종되었고, 잡종화는 여러 섬에서 토착 이구아나의 수를 계속 줄이고 있다.식물의 경우, 도입된 종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빠른 진화적 변화를 겪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수십 년에서 수세기의 시간 척도에 걸쳐 식물의 높이, 크기, 잎 모양, 분산 능력, 생식 산출량, 영양 생식 능력, 균근 네트워크 의존 수준 및 표현형 가소성 수준의 변화가 나타났다.[52]
참조
[1]
논문
Species invasions and extinction: The future of native biodiversity on islands
2008-08-12
[2]
웹사이트
Foreign Species Overview
https://www.fws.gov/[...]
2019-05-28
[3]
웹사이트
Foreign Species
https://www.fisherie[...]
2019-05-28
[4]
웹사이트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Mid-Atlantic Integrated Assessment. September 16, 2003. Introduced species
http://search.epa.go[...]
[5]
웹사이트
Glossary {{!}} Chesapeake Bay Program
https://www.chesapea[...]
2022-06-25
[6]
보고서
Introduced Species in U.S. Coastal Waters: Environmental Impacts and Management Priorities
https://www.iatp.org[...]
Pew Oceans Commission
2022-06-25
[7]
웹사이트
Immigration, Extinction, and Island Equilibrium
http://fs.blog/2016/[...]
2016-12-14
[8]
논문
Naturalization and invasion of alien plants: concepts and definitions
2000
[9]
웹사이트
IUCN SSC - Species Survival Commission
http://www.iucn.org/[...]
2007-03-03
[10]
논문
A neutral terminology to define 'invasive' species
2004
[11]
행정명령
Invasive Species
http://ceq.eh.doe.go[...]
1999-02-03
[12]
웹사이트
Invasive Species Program. Clemson University – DPI
http://www.clemson.e[...]
[13]
보고서
Managing invasive species
https://f1000researc[...]
F1000Research
2018-10-23
[14]
웹사이트
Can invasive species be beneficial for wildlife?
https://extension.un[...]
2018-09-26
[15]
논문
Can you nest where you roost? Waterbirds use different sites but similar cues to locate roosting and breeding sites in a small Indian city
https://doi.org/10.1[...]
2024
[16]
논문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sts of Nonindigenous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2000-01-01
[17]
뉴스
Invasive Species
https://burlingtonfr[...]
2003-11-09
[18]
논문
Aquaculture—A Gateway for Exotic Species
2001
[19]
논문
Hybridization Between a Rare, Native Tiger Salamander (''Ambystoma Californiense'') and its Introduced Congener
2003
[20]
웹사이트
Effects of an Invasive Species: Domestic Cats. The Wildlife society. Fact sheet.
https://wildlife.org[...]
[21]
논문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Introduced and Naturalized Parrots
2021
[22]
논문
Rarely naturalized, but widespread and even invasive: the paradox of a popular pet terrapin expansion in Eurasia
https://neobiota.pen[...]
2023-01-24
[23]
논문
Friends or Foe? Invasive Species and Public Green Space in Toronto
2004
[24]
웹사이트
On the Origin of the Common Wall Lizards Podarcis muralis (Reptilia: Lacertidae) in Cincinnati, Ohio
https://www.lacerta.[...]
[25]
논문
Assisted colonization under the U.S. Endangered Species Act
2010
[26]
논문
Conservation Units and Translocations: Strategies for Conserving Evolutionary Processes
2004
[27]
논문
XXIV.—On some new and rare British Spiders, with characters of a new genus
https://doi.org/10.1[...]
1879-09-01
[28]
논문
Alien marine organisms introduced by ships - An overview
https://www.research[...]
2002
[29]
논문
Accelerating Invasion Rate in a Highly Invaded Estuary
1998
[30]
논문
Biosecurity for humanitarian aid
2021-05-07
[31]
논문
Post-hurricane relief facilitates invasion and establishment of two invasive alien vertebrate species in the Commonwealth of Dominica, West Indies
2019-10-14
[32]
논문
Field guide to recently introduced species of coccinellidae (Coleoptera) in North America, with a revised key to north American genera of coccinellini
http://biostor.org/r[...]
1991
[33]
웹사이트
Summary by Species
http://www.lostladyb[...]
[34]
웹사이트
Horse chestnut {{!}} The Wildlife Trusts
https://www.wildlife[...]
[35]
웹사이트
Horse Chestnut (Aesculus hippocastanum)
https://www.woodland[...]
[36]
논문
Naturalization of introduced plants is driven by life-form-dependent cultivation biases
2024-04-01
[37]
논문
A systematic study of the genus Phyla Lour. (Verbenaceae: Verbenoideae, Lantanae)
https://www.proques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23-07-23
[38]
논문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diversity of invasive Phyla canescen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ary potential
2015-09-01
[39]
논문
Drivers of change in the Social-Ecological Systems of the Gwydir Wetlands and Macquarie Marshes in northern New South Wales, Australia
[40]
서적
Livre rouge de la flore menacée de France
https://inpn.mnhn.fr[...]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Conservatoire botanique national de Porquerolles Ministère de l'environnement
1995-01-01
[41]
논문
Reduction in avian diversity due to exotic tree plantations on the native savannas of Pune city, India
https://doi.org/10.1[...]
2021-01-01
[42]
논문
Geographical range expansion of alien birds and environmental matching
2017-01-01
[43]
논문
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a selection from the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2000-01-01
[44]
논문
Introduced herbivores restore Late Pleistocene ecological functions
2020-01-01
[45]
웹사이트
Pablo Escobar's hippos may help counteract a legacy of extinctions
https://www.umass.ed[...]
U. Mass. Amherst
2020-04-01
[46]
논문
Invasiveness is linked to greater commercial success in the global pet trade.
2021-01-01
[47]
논문
Non-Indigenous Cladocera (Crustacea: Branchiopoda): From a Few Notorious Cases to a Potential Global Faunal Mixing in Aquatic Ecosystems
2022-09-09
[48]
논문
Fitness reduction and potential extinction of wild populations of Atlantic salmon, Salmo salar, as a result of interactions with escaped farm salmon
2003-12-07
[49]
논문
Gene flow from an adaptively divergent source causes rescue through genetic and demographic factors in two wild populations of Trinidadian guppies
2016-08-01
[50]
논문
The global need to address threats from invasive alien iguanas
2020-11-06
[51]
논문
Genetic Evidence of Hybridization between the Endangered Native Species Iguana delicatissima and the Invasive Iguana iguana (Reptilia, Iguanidae) in the Lesser Antilles: Management Implications
2015-06-05
[52]
논문
Is rapid evolution common in introduced plant species?
2010-01-01
[53]
간행물
Assessment of Planetary Protection and Contamination Control Technologies for Future Planetary Science Missions
http://solarsystem.n[...]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1-01-24
[54]
논문
Low-Latency Telerobotic Sample Return and Biomolecular Sequencing for Deep Space Gateway
https://ui.adsabs.ha[...]
2018-02-01
[55]
웹사이트
生物との共生を考える「セイタカアワダチソウの盛衰」(愛知県教育サービスセンター)
https://web.archive.[...]
[56]
서적
(제목 없음)
2003-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