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 가능 소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단 가능 소수는 숫자를 왼쪽 또는 오른쪽에서 잘라내도 소수인 소수를 의미한다. 왼쪽 절단 가능 소수는 왼쪽에서 숫자를 제거해도 소수이며,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는 오른쪽에서 숫자를 제거해도 소수이다. 양쪽 절단 가능 소수는 양쪽 모두에서 숫자를 제거해도 소수이다. 십진법에서 왼쪽 절단 가능 소수는 4260개,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는 83개, 양쪽 절단 가능 소수는 15개가 존재한다. 절단 가능 소수는 사용된 기수법에 따라 달라지며, 다른 기수법에서도 절단 가능 소수를 정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절단 가능 소수 | |
---|---|
수론 | |
종류 | 소수 |
속성 | 숫자의 오른쪽에서 숫자를 연속적으로 제거해도 소수로 유지되는 소수 |
예시 | |
예시 | 2333, 233, 23, 2 |
가장 큰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 | 357686312646216567629137 |
2. 역사
절단 가능 소수에 대한 개념은 1960년대 후반 레크리에이션 수학 저널과 수학 매거진 등에서 처음 논의되기 시작했다. 1968년 레크리에이션 수학 저널에서 레슬리 E. 카드(Leslie E. Card)는 오른쪽으로 숫자를 순차적으로 추가하여 얻는 일련의 수를 "눈덩이 소수"라 부르며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와 유사한 주제를 다루었다.[1]
십진법에서 절단 가능 소수는 다음과 같이 세 종류로 나뉜다.
1969년 11월 수학 매거진에서는 머레이 버그(Murray Berg)와 존 E. 월스트롬(John E. Walstrom)이 이 주제를 "소수 소수"라고 부르며 논의했다.[2]
3. 십진법 절단 가능 소수
레크리에이션 수학 저널(Journal of Recreational Mathematics) 1968년 초판에서 레슬리 E. 카드(Leslie E. Card)는 오른쪽으로 숫자를 순차적으로 추가하여 얻는 수열(초깃값이 소수일 필요는 없음)을 "눈덩이 소수"라고 부르면서,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와 유사한 주제를 다루었다.
이 주제는 적어도 1969년 11월호 수학 매거진(Mathematics Magazine)에서 머레이 버그(Murray Berg)와 존 E. 월스트롬(John E. Walstrom)이 절단 가능 소수를 "소수 소수"라고 부르면서 논의되었다.
3. 1. 왼쪽 절단 가능 소수
왼쪽부터 숫자를 하나씩 제거해도 항상 소수가 되는 소수이다. 십진법에서 왼쪽 절단 가능 소수는 총 4260개이며, 가장 큰 수는 24자리 수인 357686312646216567629137이다.
예를 들어 4632647은 그 자체가 소수이며, 왼쪽부터 숫자를 잘라낸 632647, 32647, 2647, 647, 47, 7이 모두 소수이므로 왼쪽 절단 가능 소수이다.[4]
왼쪽 절단 가능 소수를 작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2, 3, 5, 7, 13, 17, 23, 37, 43, 47, 53, 67, 73, 83, 97, 113, 137, 167, 173, 197, 223, 283, 313, …
왼쪽 절단 가능 소수는 유한 개만 존재한다. 한 자릿수는 2, 3, 5, 7 밖에 없고, 두 자릿수는 이들의 왼쪽에 숫자를 더한 것만이 후보이므로, 계산기를 이용하면 쉽게 자릿수가 작은 것부터 나열할 수 있다.
가장 큰 왼쪽 절단 가능 소수는 24자릿수의 수 357686312646216567629137이다. 자릿수별 왼쪽 절단 가능 소수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자릿수 | 개수 |
---|---|
1 | 4 |
2 | 11 |
3 | 39 |
4 | 99 |
5 | 192 |
6 | 326 |
7 | 429 |
8 | 521 |
9 | 545 |
10 | 517 |
11 | 448 |
12 | 354 |
13 | 276 |
14 | 212 |
15 | 117 |
16 | 72 |
17 | 42 |
18 | 24 |
19 | 13 |
20 | 6 |
21 | 5 |
22 | 4 |
23 | 3 |
24 | 1 |
총 4260개의 왼쪽 절단 가능 소수가 있다.
7937은 7937로 끝나는 아홉 개의 5자리 숫자가 모두 합성수이므로 제한적인 왼쪽 절단 가능 소수인 반면, 3797은 33797도 소수이므로 제한적이지 않은 왼쪽 절단 가능 소수이다. 제한적인 왼쪽 절단 가능 소수는 1442개가 있다.
3. 2.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는 오른쪽부터 숫자를 하나씩 제거해도 항상 소수가 되는 소수이다. 십진법에서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는 총 83개이며, 가장 큰 수는 8자리 수인 73939133이다.자릿수 | 소수 |
---|---|
1 | 2, 3, 5, 7 |
2 | 23, 29, 31, 37, 53, 59, 71, 73, 79 |
3 | 233, 239, 293, 311, 313, 317, 373, 379, 593, 599, 719, 733, 739, 797 |
4 | 2333, 2339, 2393, 2399, 2939, 3119, 3137, 3733, 3739, 3793, 3797, 5939, 7193, 7331, 7333, 7393 |
5 | 23333, 23339, 23399, 23993, 29399, 31193, 31379, 37337, 37339, 37397, 59393, 59399, 71933, 73331, 73939 |
6 | 233993, 239933, 293999, 373379, 373393, 593933, 593993, 719333, 739391, 739393, 739397, 739399 |
7 | 2339933, 2399333, 2939999, 3733799, 5939333, 7393913, 7393931, 7393933 |
8 | 23399339, 29399999, 37337999, 59393339, 73939133 |
[1]
두 자릿수 이상의 모든 절단 가능 소수는 가장 왼쪽의 자릿수가 2, 3, 5, 7 중 하나이며, 왼쪽에서 두 번째 이후 자릿수의 모든 숫자가 1, 3, 7, 9로 되어있다. 5보다 큰 모든 소수는 1, 3, 7 또는 9로 끝나므로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는 첫 번째 숫자 뒤에 해당 숫자만 포함할 수 있다.
3. 3. 양쪽 절단 가능 소수
양쪽 절단 가능 소수는 왼쪽과 오른쪽 양쪽에서 숫자를 하나씩 제거해도 항상 소수가 되는 소수를 말하며, '양면 소수'라고도 불린다. 십진법에서 양쪽 절단 가능 소수는 총 15개이며, 다음과 같다.[1]: 2, 3, 5, 7, 23, 37, 53, 73, 313, 317, 373, 797, 3137, 3797, 739397
절단 가능 소수에는 왼쪽 절단 가능 소수,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 양쪽 절단 가능 소수의 세 종류가 있다.
3. 3. 1. 제한적 왼쪽 절단 가능 소수
왼쪽에 어떤 숫자를 붙여도 합성수가 되는 왼쪽 절단 가능 소수를 제한적 왼쪽 절단 가능 소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7937은 7937로 끝나는 아홉 개의 5자리 숫자가 모두 합성수이므로 제한적인 왼쪽 절단 가능 소수이지만, 3797은 33797도 소수이므로 제한적이지 않은 왼쪽 절단 가능 소수이다.[1]제한적인 왼쪽 절단 가능 소수는 총 1442개가 있다. 다음은 그 목록의 일부이다.
:2, 5, 773, 3373, 3947, 4643, 5113, 6397, 6967, 7937, 15647, 16823, 24373, 33547, 34337, 37643, 56983, 57853, 59743, 62383, 63347, 63617, 69337, 72467, 72617, 75653, 76367, 87643, 92683, 97883, 98317, ...
3. 3. 2. 제한적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
오른쪽에 어떤 숫자를 붙여도 합성수가 되는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를 의미한다. 총 27개가 있다.[1]27개의 제한적인 오른쪽 절단 가능 소수는 다음과 같다.
: 53, 317, 599, 797, 2393, 3793, 3797, 7331, 23333, 23339, 31193, 31379, 37397, 73331, 373393, 593993, 719333, 739397, 739399, 2399333, 7393931, 7393933, 23399339, 29399999, 37337999, 59393339, 73939133
4. 다른 기수법
소수의 소수 여부는 사용된 기수에 따라 달라지지 않지만, 절단 가능 소수는 특정 기수와 관련해서만 정의된다. 십진법 외에 다른 기수법에서도 절단 가능 소수를 생각할 수 있으며, 각 기수법마다 절단 가능 소수의 개수와 최대값은 다르다. 예를 들어, 사진법에서의 최대 좌절단 가능 소수는 333323(base-4|4091영어)이며, 그 자신과 절단한 수 33323, 3323, 323, 23, 3(base-4|1019, 251, 59, 11, 3영어)은 모두 소수이다.
''n''진법에서 좌절단 가능 소수의 개수와 자릿수는 다음과 같다.
n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좌절단 가능 소수의 개수 | 0 | 3 | 16 | 15 | 454 | 22 | 446 | 108 | 4260 | 75 | 170053 | 100 | 34393 | 9357 | 27982 | 362 | 14979714 | 685 | 3062899 | 59131 | 1599447 | 1372 | 1052029701 | 10484 | 7028048 | 98336 | 69058060 | 3926 |
최대 좌절단 가능 소수의 자릿수 | 0 | 3 | 6 | 6 | 17 | 7 | 15 | 10 | 24 | 9 | 32 | 8 | 26 | 22 | 25 | 11 | 43 | 14 | 37 | 27 | 37 | 17 | 53 | 20 | 39 | 28 | 46 | 19 |
(첫 항의 0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삼십진법에서의 최대 좌절단 가능 소수는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이후 항은 알려져 있지 않다.
참조
[1]
OEIS
[2]
문서
[3]
간행물
なんと、端から数字を落としていっても「やっぱり素数」になった…学校では学べない「数学センス」は「身近な例から一般化するクセ」だった(花木 良) {{!}} ブルーバックス {{!}} 講談社(1/2)
https://gendai.media[...]
[4]
웹사이트
left-truncatable prime
http://primes.utm.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