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 (영양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종은 조선 단종 시기에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단종의 신임을 받았으나 수양대군에 의해 유배되었다. 세조 즉위 후 문종의 사위라는 이유로 양근으로 이송되었고, 사육신 사건 이후 광주로 안치되었다. 이후 반역을 도모하다 발각되어 능지처참되었다. 영조 때 신원되어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단종 묘와 동학사 숙모전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헌민이며, 묘는 경혜공주 묘 옆에 설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열형된 사람 - 투팍 아마루 2세
투팍 아마루 2세는 페루 부왕령의 카시케로서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고, 그의 반란은 페루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치며 페루 사회와 문화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 거열형된 사람 - 상앙
상앙은 위나라 출신의 법가 사상가이자 진나라의 개혁가로, 효공의 신임을 얻어 법률 제도를 개혁하여 능력주의를 강조하고 중앙집권화 및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혜문왕에 의해 처형당했다. - 1461년 사망 - 샤를 7세
샤를 7세는 백년 전쟁 시기에 프랑스를 통치했으며, 잔 다르크의 도움으로 잉글랜드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프랑스를 재건했으나 아들과의 갈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461년 사망 - 변효문
변효문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농업 기술 및 법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일본과의 계해약조 체결 등 외교적 역할도 수행했으나, 만년에 불법 장물 사건으로 파직되었다. - 해주 정씨 - 정웅인
정웅인은 1996년 데뷔 후 다양한 작품에서 활동하다 2013년 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에서 악역을 맡아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악역 연기와 예능 프로그램 출연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높인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해주 정씨 - 정난교
정난교는 1863년 출생하여 개화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 유학 후 갑신정변에 가담했으나, 귀국 후 친일 행위를 하며 조선총독부 관료로 활동하다 1944년에 사망하여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정종 (영양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귀족 정보 | |
이름 | 정종 |
작위 | 영양부원군(寧陽府院君), 영양위(寧陽尉) |
재임 | 1450년 ~ 1455년 |
배우자 | 경혜공주 |
자녀 | 정미수(鄭眉壽) |
가문 | 해주 정씨 |
아버지 | 추증 의정부 좌찬성 정충경 |
어머니 | 정경부인 여흥민씨 |
출생일 | 1437년 |
사망일 | 1461년 |
국적 | 조선 |
2. 생애
(내용 없음)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내용 없음)2. 2. 혼인과 관직 생활
단종 초기에 형조판서가 되어 단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그러나 1455년(단종 3년), 수양대군에 의해 금성대군 등과 함께 유배되었다. 같은 해 수양대군이 세조로 즉위하자, 문종의 유일한 사위라는 이유로 경기도 양근으로 옮겨졌다(양이, 量移). 1456년(세조 2년)에는 사육신 사건에 연루되어 죄가 더욱 무거워져 수원, 통진을 거쳐 전라도 광주에 안치되었다. 1461년에는 승려 성탄 등과 함께 세조에 반대하는 움직임을 도모하다 발각되어 능지처참이라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이후 영조 때 이르러 신원(伸寃)되었으며, 순충적덕보조공신(順忠積德補祚功臣) 의정부 영의정 영양부원군(寧陽府院君)으로 추증되었다. 단종의 묘정(廟庭)과 공주 동학사 숙모전(肅慕殿)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헌민(獻愍)이다. 묘는 실전(失傳)되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경혜공주묘 옆에 설단(設壇)하였다.
2. 3. 단종 복위 운동과 처형
단종 초기에 형조판서가 되어 단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그러나 1455년(단종 3년) 수양대군(훗날 세조)에 의해 금성대군 등과 함께 유배되었다. 같은 해 수양대군이 세조로 즉위하였고, 정종은 문종의 유일한 사위라는 이유로 경기도 양근으로 유배지가 옮겨졌다(양이).1456년(세조 2년) 사육신 사건이 일어나자 이와 연루되어 죄가 더욱 무거워졌고, 수원과 통진을 거쳐 전라도 광주에 안치되었다. 유배 생활 중에도 단종 복위를 포기하지 않았던 정종은 1461년 승려 성탄 등과 함께 거사를 도모하였으나, 계획이 발각되어 능지처참이라는 참혹한 형벌을 받고 처형되었다.
오랜 세월이 흐른 뒤 영조 때 이르러 신원(명예 회복)되었으며, 순충적덕보조공신(順忠積德補祚功臣) 의정부 영의정(領議政) 영양부원군(寧陽府院君)으로 추증되었다. 단종의 묘정(廟庭)과 공주 동학사 숙모전(肅慕殿)에 배향되었으며, 헌민(獻愍)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의 묘는 실전되어 현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에 있는 부인 경혜공주의 묘 옆에 제단(설단)이 마련되어 있다.
2. 4. 사후 복권과 추증
영조 때 신원되어 순충적덕보조공신(順忠積德補祚功臣)에 봉해지고, 영의정 및 영양부원군(寧陽府院君)으로 추증되었다. 단종의 묘와 공주시 동학사 숙모전(肅慕殿)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헌민(獻愍)이다. 묘는 실전(失傳)되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경혜공주 묘 옆에 설단(設壇)되었다.3. 가계
아들 정미수의 손녀 중 한명은 중종의 서자인 금원군 이영의 아내가 되었다.
관계 | 이름 및 정보 |
---|---|
증조부 | 대광 정윤규 |
조부 | 좌찬성 정도공 정역 |
조모 | 정경부인 안동권씨 |
아버지 | 형조참판 정충경 |
어머니 | 정경부인 여흥민씨 |
고모/처종조모 | 예성부부인 정씨 (효령대군의 부인) |
고모부/처종조부 | 효령대군 (양녕대군의 동생, 세종의 둘째 형) |
숙부 | 정충석(鄭忠碩, 1406~?) - 동지중추부사 |
숙모 | 정경부인 연일정씨 (정종성(鄭宗誠)의 딸) |
장인 | 문종 (조선 제5대 국왕) |
장모 | 현덕왕후 권씨 |
부인 | 경혜공주 |
아들 | 해평부원군 소평공 정미수 (정순왕후 송씨의 시양자) |
며느리 | 정경부인 전의이씨 |
누나 | 숙부인 정씨 (행주 기씨 기축의 부인) |
누나/처숙모 | 춘성부부인 정씨 (영응대군의 부인) |
매형/처숙부 | 영응대군 |
처남 | 단종 (조선 제6대 국왕) |
처남댁 | 정순왕후 송씨 |
4. 미디어에서의 등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