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응대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응대군은 조선 세종의 여덟째 아들로, 이름은 염이며, 1434년에 태어났다. 세종의 각별한 총애를 받았으며, 서예, 그림, 음악에 능했다. 1441년 영흥대군에 봉해졌고, 이후 역양대군, 영응대군으로 개봉되었다. 대방부부인 송씨, 춘성부부인 해주 정씨, 연성부부인 연안 김씨를 부인으로 두었으며, 1467년에 사망했다. 시호는 경효이며, 경기도 시흥시에 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34년 출생 - 아시카가 요시카쓰
    아시카가 요시카쓰는 1434년에 태어나 1442년 9세의 나이로 무로마치 막부의 7대 쇼군이 되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으로 실권을 호소카와 모치유키 등이 장악했고, 1443년에 1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434년 출생 - 영풍군 (왕족)
    영풍군 이瑔은 조선 세종의 아들로 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며, 사육신의 난 실패 후 사망했고, 이후 관작과 봉호가 회복되었다.
  • 1467년 사망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1467년 사망 - 황수신
    황수신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음서 출신임에도 세조의 측근으로 발탁되어 도승지,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까지 올랐으며, 세조 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고 『경국대전』 편찬 및 불경 언해에도 기여했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영응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염(李琰)
명지(明之)
시호경효(敬孝)
작위세종의 왕자, 대군
출생과 사망
출생일1434년 6월 1일 (양력)
사망일1467년 3월 16일 (사망 당시 32세) (양력)
가족 관계
부친세종
모친소헌왕후 심씨
배우자대방부부인 여산 송씨
춘성부부인 해주 정씨
연성부부인 연안 김씨
자녀1남 3녀 (길안현주, 청풍군, 이모진, 조덕온의 처)
기타 정보
묘소영응대군묘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산70
별칭영흥대군(永興大君), 역양대군(歷陽大君)

2. 생애

영응대군은 1434년(세종 16년) 4월 15일 세종소헌왕후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1] 세종은 영응대군을 각별히 아꼈으며, 다른 왕자들과 달리 '아버지'라고 부르게 하고 항상 곁에 두고 식사를 할 정도였다.[3]

1441년(세종 23년) 영흥대군(永興大君)에 봉해졌으며, 이후 역양대군(歷陽大君), 1447년(세종 29년) 영응대군(永膺大君)으로 개봉되었다. 1445년(세종 27년)에는 송복원의 딸 대방부부인 송씨(帶方府夫人 宋氏)와 혼인하였다.[4] 세종은 영응대군의 집을 지을 때 민가를 헐어서 지어주라고 할 정도로 아꼈다.

1450년(세종 32년) 세종은 문종과 수양대군(세조)에게 영응대군을 잘 보살필 것을 당부하는 유교를 내렸다.[6] 세종은 병세가 깊어지자 영응대군의 집으로 거처를 옮겨 그곳에서 승하하였다.[7]

세조 즉위 후, 영응대군은 세조를 지지하여 많은 총애를 받았으며, 1463년에는 「명황계감(明皇誡鑑)」의 가사를 한글로 번역하는 등 학문과 예술 분야에서도 재능을 보였다.

1467년(세조 13년) 2월 2일, 3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9] 세조는 매우 슬퍼하며 장례를 후하게 치를 것을 명하였다.[10]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 있으며, 시호는 경효(敬孝)이다.[9]

2. 1. 탄생과 대군 시절

1434년(세종 16년) 4월 15일, 세종소헌왕후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1] 세종은 영응대군을 '매우 사랑하여(甚愛)', '가장 사랑하여(最鍾愛 · 鍾愛)', '사랑하는 아들(愛子)', '총애하여(寵愛)' 등으로 표현하며 각별한 애정을 보였다.[2] 다른 왕자들과 달리 영응대군에게만 '아버지'라고 부르게 하였으며, 항상 곁에 두고 식사를 하였다.[3]

1441년(세종 23년) 영흥대군(永興大君)에 봉해졌으며, 1443년 역양대군(歷陽大君), 1447년(세종 29년) 영응대군(永膺大君)으로 개봉되었다.

1445년(세종 27년) 4월 21일, 송복원의 딸 대방부부인 송씨(帶方府夫人 宋氏)와 혼인하였다.[4] 세종은 영응대군의 집을 지을 때 안국방의 민가를 헐어서 지어주라고 할 정도로 아꼈다.

2. 2. 혼인과 부인들

영응대군은 1449년(세종 31년) 첫 부인인 대방부부인 여산 송씨와 혼인하였으나, 병약하다는 이유로 이혼하였다.[1] 이후 참판 정충경의 딸 춘성부부인 해주 정씨를 맞이하였다.[1] 그러나 영응대군은 첫 부인 송씨를 잊지 못하고 세조의 도움을 받아 계속해서 송씨를 찾아다녔다.

1453년(단종 1년), 영응대군은 송씨를 그리워하여 몰래 만남을 가졌고, 결국 춘성부부인 정씨와 이혼하고 송씨와 재결합하여 두 딸을 두었다.[1] 이러한 영응대군의 행동은 당시 의논들에게 비판받기도 하였다.

2. 3. 세종과 세조의 총애

1450년(세종 32년), 세종은 왕세자였던 문종과 수양대군(세조)에게 유교를 내려, 훗날 형제간 우애를 돈독히 하고 영응대군을 잘 보살필 것을 당부하였다.[6] 세종은 병세가 깊어지자 영응대군의 집으로 거처를 옮겼고, 그곳에서 승하하였다.[7]

세조 즉위 후, 영응대군은 세조를 지지하여 많은 총애를 받았으며 왕실 종친으로서 여러 행사와 연회에 참석하였다. 1463년에는 「명황계감(明皇誡鑑)」의 가사를 한글로 번역하는 등 학문과 예술 분야에서 재능을 보였다.

2. 4. 사망

1467년(세조 13년) 2월 2일 3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9] 세조는 매우 슬퍼하며 음식을 먹지 않았고, 예조에 명하여 장례를 후하게 치를 것을 전지하였다.[10] 영응대군묘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 있다. 시호는 경효(敬孝)인데, 밤낮으로 경계한 것을 경(敬)이라 하고, 도덕을 지키고 어기지 아니하는 것을 효(孝)라 한다.[9]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조부태종
조모원경왕후
아버지세종
어머니소헌왕후
문종
세조



영응대군은 세종소헌왕후의 아들로, 문종, 세조의 동생이다. 정실 부인은 해주 정씨여산 송씨이며, 측실은 연안 김씨이다.[1] 해주 정씨효령대군의 정실 부인의 조카이자 경혜공주의 남편인 정종의 누이이며, 여산 송씨단종정순왕후의 고모이다.

3. 1. 부인과 자녀

부인자녀
대방부부인 송씨(帶方府夫人 宋氏, ?~1507)[1]길안현주 억천(吉安縣主 億千, 1457 ~ 1519)[1]구수영(具壽永, 1456 ~ 1523)[1] (사위)
해주 정씨(春城府夫人 鄭氏)[1]없음
연안 김씨(延城府夫人 金氏)[1]* 장남: 청풍군 이원(淸風君 李源, 1460 ~ 1505)[1]


외손자: 능양위(綾陽尉) 구문경(具文璟, 1492~?) - 길안현주의 4남
외손부: 휘신공주(徽愼公主, 1491 ~ ?) - 연산군의 장녀
외손녀: 면천군부인 구씨(沔川郡夫人 具氏, 1480~1556) - 길안현주의 3녀
외손서: 안양군 이항(安陽君 李㤚, 1480~1505) - 성종의 3남

  • '''계부인''' 해주 정씨(春城府夫人 鄭氏)
  • '''2계부인''' 연안 김씨(延城府夫人 金氏)
  • * '''장남''' 청풍군 이원(淸風君 李源, 1460 ~ 1505)의 가족 관계[1]
  • ** 며느리: 배천 조씨 - 조원지(趙元祉)의 딸

손녀: 영광 류씨 류방(柳房)의 처
손자: 화림정(花林正) 이단(李檀, 1485 ~ 1551)
손자: 수성수(隋城守) 이순(李洵, 1497 ~ ?년 2월 14일)
손녀: 류광동(柳光同)의 처

  • ** 며느리(측실): 이름 미상

서손자: 청연령(淸淵令) 이수충(李守忠, 1499 ~ ?)

참조

[1] 서적 세종실록 1434-04-15
[2] 서적 세종실록 1448-12-14
[3] 문서 영응대군 신도비
[4] 서적 세종실록 1445-04-21
[5] 서적 세종실록 1449-06-26
[6] 서적 세조실록 1450-01
[7] 서적 세종실록 1450-02-17
[8] 서적 단종실록 1453-11-28
[9] 서적 세조실록 1467-02-02
[10] 서적 세조실록 1467-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