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미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미수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조선 문종의 외손이자 경혜공주의 아들이다. 1456년에 태어나 1512년에 사망했으며,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에 책록되고 해평부원군에 봉해졌다. 그는 아버지 정종이 세조에 반기를 들어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단종이 사사된 후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올라와 세조의 특명으로 연좌를 면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연산군 때 당상관에 올랐고,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다. 정미수는 갑자사화에서 사람들을 구하고, 훈구세력의 특징을 보여주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56년 출생 - 호조 소운
    호조 소운은 무로마치 막부의 중신으로 이세 종수이나 이세 신쿠로 등으로 불렸으며, 이마가와 가문의 가독 다툼에 개입하고 이즈, 사가미 등지를 정복하며 고호조씨의 기반을 마련한 센고쿠 시대 초기의 중요 인물이다.
  • 1456년 출생 - 공혜왕후
    조선 성종의 왕비 공혜왕후는 영의정 한명회의 딸로, 성종 즉위 후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9세에 요절하여 '공혜'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능은 파주 순릉에 있다.
  • 중종반정 - 김개 (조선 중기의 문신)
    김개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연산군 시절 언관으로 활동하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 안정에 기여했으며 사후 수산사에 제향되었다.
  • 중종반정 - 연산군일기
    연산군일기는 조선 10대 왕 연산군 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1509년 완성되었으며 대외 관계, 사론, 연산군과 신하들의 시를 담고 있으나, 내용 부실과 객관성 결여의 한계도 존재한다.
  • 1512년 사망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에 활동한 이탈리아의 상인이자 탐험가로, 신대륙 탐험과 기록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 명명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항해 기록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1512년 사망 - 바예지드 2세
    바예지드 2세는 1481년부터 15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을 통치했으며, 동생과의 왕위 쟁탈전에서 승리하고 영토 확장과 유대인 포용 정책을 펼쳤으나, 아들 셀림 1세에게 폐위된 술탄이다.
정미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정미수
작위해평부원군
배우자전의 이씨 이덕량의 차녀
가문해주 정씨
아버지영양위 정종
어머니경혜공주
출생일1456년
출생지전라도 광주
사망일1512년 음력 4월 15일(57세)
매장지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리
국적조선

2. 생애

정미수는 1456년(세조 2년) 해주 정씨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정종, 어머니는 문종의 딸 경혜공주이다. 정미수는 아버지가 세조에게 반기를 들었다 유배된 광주에서 태어났다. 2살 때 외숙부 단종이 영월에서 사약을 받았고, 7살 때(1462년, 세조 8년) 아버지마저 처형되었다. 이후 어머니 경혜공주와 함께 서울로 돌아왔으며, 세조의 특별 명령으로 연좌를 면하고 직위를 회복했다.[1]

1473년(성종 4년) 돈녕부 직장으로 벼슬을 시작했으나, 역신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반대에 부딪혔다. 그러나 정희왕후가 세조의 유교라며 반발을 무마시켰다.[4] 같은 해 어머니 경혜공주가 사망하자, 정미수는 지극한 정성으로 병간호를 하였다.[6]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495년(연산군 1년) 당상관에 올랐고,[7] 1506년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병충분의정국공신에 책록, 1507년(중종 2년)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책봉되었다.[8]

1512년(중종 7년) 57세로 사망하여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리에 묻혔다.[9] 전의 이씨 이덕량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7촌 조카인 정승휴로 후사를 이었다.[11][12] 시호는 소평(昭平)이다.[13]

단종의 이자 정미수의 외숙모인 정순왕후는 폐위 후 정미수의 집에 기거하다 승하하여 정미수의 선산에 안장되었는데, 이곳이 현재의 사릉이다. 사릉은 왕비릉으로 복위되기 전까지 해주 정씨 집안에서 관리하였다.[14][15]

2012년 7월에는 경혜공주가 정미수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내용을 담은 분재기(分財記)가 발견되었다. 이 문서에는 정미수가 정선방과 통진에 있는 집 등을 물려받는 내용이 담겨있다.[16]

유자광에 따르면, 정미수는 현덕왕후의 복권 여론을 처음 주장했고, 남효온김일손을 사주하여 현덕왕후 소릉 복권 상소를 올렸다고 한다.[17]

2. 1. 출생과 가계

1456년(세조 2년)에 태어났으며, 본관은 해주, 는 기수(耆叟)이다. 아버지는 영양위에 봉해진 정종이고, 어머니는 문종의 적녀인 경혜공주이다. 정미수가 태어날 당시 아버지 정종이 세조에 대한 반기를 들었다가 광주로 유배를 가 있던 바람에 정미수는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나이 2살 때 외숙부 단종이 영월에서 사약을 받고 세상을 떠났다.

아버지 정종이 처형된 후 7살 때인 1462년(세조 8년) 어명으로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들어왔다. 일반적으로 역신의 가족들은 대명률에 따라 연좌되어야 하나, 세조의 특명으로 경혜공주와 정미수는 연좌를 면하였으며, 직위까지 모두 회복하였다.[1]

2. 2. 한양 귀환과 관직 생활

1462년(세조 8년) 아버지 정종이 처형된 후, 어명으로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들어왔다. 역신의 가족은 대명률에 따라 연좌되어야 하지만, 세조의 특별 명령으로 경혜공주와 정미수는 연좌를 면하고 직위까지 모두 회복하였다.[1] 1473년(성종 4년) 돈녕부 직장으로 벼슬을 시작하였는데, 역신의 아들이라 하여 많은 이들이 정미수의 임용을 반대하였다.[2][3] 그러나 당시 수렴청정을 하던 세조비 정희왕후는 세조의 유교라 하며 이들의 반발을 무마시켰다.[4]

이 해 음력 12월 30일에 어머니 경혜공주가 사망하였는데,[5] 당시 16세이던 정미수는 항상 약물을 먼저 맛보고 옷도 벗지 않으며, 경혜공주의 대변을 직접 맛보는 등 병간호에 매우 정성을 다하였다.[6]

이후 정미수는 여러 관직을 두루 지냈으며, 1495년(연산군 1년)에는 당상관의 지위에 올랐다.[7] 1506년(연산군 12년)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병충분의정국공신에 책록되고, 1507년(중종 2년)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책봉되었다.[8]

2. 3. 중종반정과 사망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병충분의정국공신에 책록되었고, 1507년(중종 2년)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책봉되었다.[8]

1512년(중종 7년) 음력 4월 15일 향년 57세를 일기로 사망하였으며, 이 해 음력 8월 1일 경기도 양주(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리[9])에 장사지냈다. 전의 이씨 이덕량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첩실도 따로 있었으나,[10] 7촌 조카인 정승휴로 하여금 후사를 이었다.[11][12] 시호는 소평(昭平)이다.[13]

3. 가족 관계

wikitext

구분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본가조부정충경? ~ 1443[20]
아버지정종? ~ 1461[21]
외조부문종1414 ~ 1452재위 1450 ~ 1452
외조모현덕왕후1418 ~ 1441
어머니경혜공주1436 ~ 1473
누이해주 정씨
외숙부단종1441 ~ 1457재위 1452 ~ 1455
외숙모정순왕후1440 ~ 1521
처가처조부이지장
장인이덕량1435 ~ 1487[22]
전의 이씨이덕량의 차녀
양자정승휴1488 ~ 1534[12]


3. 1. 본가

항목내용
조부정충경(?~1443)[20]
아버지정종(?~1461)[21]
외조부문종(1414~1452, 재위:1450~1452)
외조모현덕왕후(1418~1441)
어머니경혜공주(1436~1473)
누이해주 정씨
외숙부단종(1441~1457, 재위:1452~1455)
외숙모정순왕후(1440~1521)


3. 2. 처가


  • 처조부: 이지장(李智長)
  • 장인: 이덕량(李德良, 1435~1487[22])
  • 처: 이덕량의 차녀 전의 이씨
  • 양자: 정승휴(鄭承休, 1488~1534[12])

4. 평가와 논란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는 정미수에 대해 문종의 외손으로 궁중에서 자라 사치스러운 면이 있었으나, 선비를 아끼고 갑자사화에서 사람들을 구하려 했다고 평가한다.[18] 강혼은 정미수의 신도비문에서 그의 수려한 외모와 옥사 논의 시 깐깐함, 형조에서의 구휼 활동을 언급했다.[11]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정미수를 조선 초기 훈구세력의 특징을 보여주는 인물로 평가했다.[19]

4. 1. 긍정적 평가


  • 조선왕조실록연산군일기는 정미수에 대해 "문종의 외손으로 궁중에서 자라나 호화와 사치가 습관이 되었으나, 선비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졌으며 청의(淸議)를 말하여, 갑자사화에서 사람들을 구하기에 힘썼다"라고 평하고 있다.[18]
  • 정미수의 신도비문을 지은 강혼은 "외모가 수려하였으며, 옥사에 대해 논의할 때에는 매사에 깐깐하여 일의 경중이 늘 공에게 달려있었다. 죄 없는 사람들이 앙화에 걸리니 공이 형조에 있으면서 많은 이들을 살렸다"라고 평하였다.[11]
  •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정미수는 문종의 외손이자 중종의 공신으로, 조선 초기 훈구세력의 특징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라고 평하였다.[19]

4. 2. 부정적 평가와 논란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는 정미수에 대해 "문종의 외손으로 궁중에서 자라나 호화와 사치가 습관이 되었으나, 선비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졌으며 청의(淸議)를 말하여, 갑자사화에서 사람들을 구하기에 힘썼다"라고 평하고 있다.[18]

정미수의 신도비문을 지은 강혼은 "외모가 수려하였으며, 옥사에 대해 논의할 때에는 매사에 깐깐하여 일의 경중이 늘 공에게 달려있었다. 죄 없는 사람들이 앙화에 걸리니 공이 형조에 있으면서 많은 이들을 살렸다"라고 평하였다.[11]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정미수는 문종의 외손이자 중종의 공신으로, 조선 초기 훈구세력의 특징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라고 평하였다.[19]

5. 기타


  • 단종의 이자 정미수에게는 외숙모가 되는 정순왕후는 폐위 후 정미수의 집에 기거하다가 승하하였다. 사후 정미수의 선산에 안장되었는데, 현재의 사릉이다. 사릉은 왕비릉으로 복위되기 전까지 해주 정씨 집안에서 관리하였다.[14][15]
  • 2012년 7월 경혜공주가 정미수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내용을 담은 분재기(分財記)가 발견되었다. 해당 문서는 해주 정씨 종가에서 소유하고 있던 문서로, 정미수가 정선방에 있는 집과 통진(지금의 경기도 김포시)에 있는 집 등을 물려받는 내용이 담겨있다.[16]
  • 유자광에 의하면 그가 현덕왕후의 복권 여론을 처음 주장했고, 남효온김일손을 사주하여 현덕왕후 소릉 복권 상소를 올렸다 한다.[17] 1507년 유자광은 자신이 김종직 문하생들의 원한을 사서 견딜 수 없다며 상소를 올렸고, 당시 김종직의 문하생들을 지목하면서 정미수를 언급했다. 그는 "김종직의 여당이 지금 어찌 많이 있겠습니까? 정미수는 무오년 일에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미수는 곧 문종의 외손으로 소릉(昭陵)이 그 조모이니, 미수 역시 세조에 원한이 없지 않은 자입니다. 김종직·남효온·김일손 등의 소릉을 회복하자는 상소 또한 미수가 시킨 것입니다. 반정 후, 사(赦)를 논하던 날 먼저 발언하여 무오년에 연좌(緣坐)한 사람을 석방하자고 의논한 자 역시 미수였는데, 신 역시 해가 오래여서 놓아 주어야 하겠으므로 논계(論啓)하여 놓아 주었던 것입니다.[17]"라고 하였다.

참조

[1] 뉴스 문종 큰딸 경혜공주 母子, 연좌 면하고 복직돼 입궁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3-01-22
[2]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29권, 성종 4년 4월 8일 무진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29권, 성종 4년 4월 11일 신미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29권, 성종 4년 4월 11일 신미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37권, 성종 4년 12월 30일 병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38권, 성종 5년 1월 1일 정해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연산군일기 5권, 연산 1년 5월 10일 임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8]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3권, 중종 2년 7월 4일 을사 7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9] 두산백과 두산백과 〈정미수묘와 신도비〉항목 https://terms.naver.[...]
[10]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27권, 중종 12년 4월 23일 무진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1] 국조인물고 국역 국조인물고 〈정미수〉항목 https://terms.naver.[...]
[12] 두산백과 두산백과 〈정승휴〉항목 https://terms.naver.[...]
[13]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15권, 중종 7년 4월 16일 경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숙종실록 32권, 숙종 24년 11월 9일 경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5]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영조실록 117권, 영조 47년 9월 6일 계묘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6] 뉴스 단종 누이 경혜공주 재산상속 ‘分財記’ 발견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2-07-24
[17]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2권, 중종 2년 2월 2일 병자 2번째기사 1507년 명 정덕(正德) 2년 유자광의 낙향 상소를 불허하다
[18]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연산군일기 45권, 연산 8년 7월 14일 갑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9] 뉴스 경혜공주의 아들 정미수 500주기 맞아 행적 재조명 활발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2-12-31
[20] 웹인용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 〈정충경〉항목 https://web.archive.[...] 2016-03-21
[2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종〉항목 http://encykorea.aks[...]
[22] 국조인물고 국역 국조인물고 〈이덕량〉항목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