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현재까지 역대 도지사들이 재임했다. 초기에는 관선으로 임명되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부터는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역대 도지사로는 박경훈, 유해진, 우근민, 김태환, 원희룡 등이 있으며, 2022년 선거를 통해 오영훈이 현재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구만섭
구만섭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총무처, 행정안전부,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근무하며 천안시 부시장,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국가기록원장, 행정안전부 차관보 등을 역임했고, 현재 대통령비서실 지방시대비서관으로 재직 중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청 - 기당미술관
기당미술관은 강구범씨의 소장품 기탁으로 1987년 개관한 개인 소장품 기반의 미술관으로, 변시지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야외전시장 등을 갖추고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운영된다. - 제주특별자치도청 - 제주관광공사
제주관광공사는 제주 지역 관광 활성화와 글로벌 마케팅 강화를 목표로 설립된 공기업으로, 면세점 운영, 관광 상품 개발, 스마트 관광 기반 체계 구축 등을 통해 제주 관광 경쟁력 제고에 힘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직책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관할 | 제주특별자치도 |
공식 명칭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로마자 표기 | Jeju Teukbyeoljachido Jisa |
한자 표기 | 濟州特別自治道知事 |
휘장 | [[File:Logo of Jeju Province, South Korea.svg|180px|휘장]] |
현직 | 오영훈 |
현직 임기 시작일 | 2022년 7월 1일 |
임기 | 4년 |
웹사이트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설치일 | 1946년 8월 1일 |
초대 지사 | 박경훈 |
기타 |
2. 역대 도지사
2. 1. 미군정기 제주도 도사(島司)
wikitext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관선 | 1대 | 오노 도라이치/小野 虎市일본어 | 1945년 8월 16일~1945년 9월 10일 | 조선총독부 최후의 제주도 도사(島司) |
2대 | 안세훈(安世勳) | 1945년 9월 10일~1945년 9월 22일 | ||
권한대행 | 김문희 | 1945년 9월 10일~1945년 10월 28일 | ||
3대 | 셔먼 스타우트/Thurman A. Stout영어 | 1945년 10월 28일~1946년 3월 28일 | 현역 미국 육군소령 | |
대리 | 김문희 | 1945년 10월 28일~1945년 11월 8일 | ||
4대 | 박경훈 | 1946년 3월 28일~1946년 7월 31일 | 마지막 제주도 도사(島司) |
1946년부터 1995년까지 제주도지사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임명하였다.
2. 1. 1. 역대 도사(島司)
wikitable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관선 | 1대 | 오노 도라이치/小野 虎市일본어 | 1945년 8월 16일~1945년 9월 10일 | 조선총독부 최후의 제주도 도사(島司) |
2대 | 안세훈(安世勳) | 1945년 9월 10일~1945년 9월 22일 | ||
권한대행 | 김문희 | 1945년 9월 10일~1945년 10월 28일 | ||
3대 | 셔먼 스타우트/Thurman A. Stout영어 | 1945년 10월 28일~1946년 3월 28일 | 현역 미국 육군소령 | |
대리 | 김문희 | 1945년 10월 28일~1945년 11월 8일 | ||
4대 | 박경훈 | 1946년 3월 28일~1946년 7월 31일 | 마지막 제주도 도사(島司) |
2. 2. 제주도지사
wikitext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도정구호 | |
---|---|---|---|---|---|---|
관선 | 초대 | 박경훈 | 1946년 8월 1일~1947년 3월 20일 | |||
직무대리 | 김두현 | 1947년 3월 21일~1947년 4월 12일 | ||||
2대 | 유해진 | 1947년 4월 13일~1948년 5월 | 한국독립당 | |||
3대 | 임관호 | 1948년 5월 28일~1949년 4월 21일 | ||||
4대 | 김용하 | 1949년 4월 21일~1949년 11월 15일 | ||||
5대 | 김충희 | 1949년 11월 15일~1951년 8월 | ||||
6대 | 최승만 | 1951년 8월~1953년 11월 23일 | ||||
7대 | 길성운 | 1953년 11월 23일~1959년 5월 30일 | ||||
8대 | 전인홍 | 1959년 5월 30일~1960년 4월 30일 | ||||
직무대리 | 장윤석 | 1960년 5월 1일~1960년 5월 11일 | ||||
9대 | 양제박 | 1960년 5월 12일~1960년 10월 7일 | ||||
10대 | 김선옥 | 1960년 10월 7일~1960년 12월 31일 | ||||
민선 | style="background:#808080"| | 11대 | 강성익 | 1960년 12월 31일~1961년 5월 24일 | 무소속 | |
관선 | 12대 | 김영관 | 1961년 5월 24일~1963년 12월 17일 | |||
13대 | 강우준 | 1963년 12월 19일~1966년 1월 25일 | ||||
직무대리 | 하형모 | 1966년 1월 25일~1966년 1월 28일 | ||||
14대 | 정우식 | 1966년 1월 29일~1968년 2월 22일 | ||||
15대 | 구자춘 | 1968년 2월 22일~1969년 10월 25일 | ||||
16대 | 권용식 | 1969년 10월 25일~1971년 6월 11일 | ||||
17대 | 이승택 | 1971년 6월 11일~1976년 1월 12일 | ||||
18대 | 장일훈 | 1976년 1월 12일~1978년 9월 11일 | ||||
19대 | 강신익 | 1978년 9월 11일~1980년 1월 17일 | ||||
20대 | 박상렬 | 1980년 1월 17일~1980년 7월 16일 | ||||
21대 | 이규이 | 1980년 7월 16일~1982년 1월 5일 | ||||
22대 | 최재영 | 1982년 1월 5일~1984년 10월 10일 | ||||
23대 | 장병구 | 1984년 10월 10일~1987년 10월 21일 | ||||
24대 | 이창수 | 1987년 10월 22일~1988년 5월 19일 | ||||
25대 | 이군보 | 1988년 5월 19일~1989년 12월 13일 | ||||
26대 | 홍영기 | 1989년 12월 13일~1991년 7월 29일 | ||||
직무대리 | 박찬무 | 1991년 7월 29일~1991년 7월 31일 | ||||
27대 | 우근민 | 1991년 8월 1일~1993년 3월 3일 | ||||
28대 | 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7일 | |||||
29대 | 신구범 | 1993년 12월 27일~1995년 3월 28일 | ||||
30대 | 김문탁 | 1995년 3월 29일~1995년 6월 30일 | ||||
민선 | 31대 | 신구범 | 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 무소속(1995~1998) 새정치국민회의(1998) 무소속(1998) | 위대한 제주시대를 연다 | |
32대 | 우근민 |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1998~1999) 새천년민주당(2000~2004) 열린우리당(2004) | 100만 제주인 함께 열린 세계로 | ||
33대 | 2002년 7월 1일~2004년 4월 27일 | 세계를 향한 강한 제주 | ||||
권한대행 | 권영철 | 2004년 4월 28일~2004년 6월 5일 | 행정부지사 | |||
34대 | 김태환 | 2004년 6월 6일~2006년 5월 8일 | 한나라당(2004~2006) 무소속(2006) | 제2의 도약 제주, 하나된 힘으로 | ||
권한대행 | 김한욱 | 2006년 5월 8일~2006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2. 2. 1. 관선 도지사
1946년부터 1995년까지 제주도지사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임명하였다.선출 방법 | 역대 | 성명 | 임기 |
---|---|---|---|
관선 | 1 | 박경훈 | 1946년 8월 1일 ~ 1947년 3월 20일 |
2 | 유해진 | 1947년 4월 13일 ~ 1948년 5월 | |
3 | 임관호 | 1948년 5월 28일 ~ 1949년 4월 21일 | |
4 | 김용하 | 1949년 4월 21일 ~ 1949년 11월 15일 | |
5 | 김충희 | 1949년 11월 15일 ~ 1951년 8월 | |
6 | 최승만 | 1951년 8월 ~ 1953년 11월 23일 | |
7 | 길성운 | 1953년 11월 23일 ~ 1959년 5월 30일 | |
8 | 전인홍 | 1959년 5월 30일 ~ 1960년 4월 30일 | |
9 | 양제박 | 1960년 5월 12일 ~ 1960년 10월 7일 | |
10 | 김선옥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31일 | |
민선 | 11 | 강성익 | 1960년 12월 31일 ~ 1961년 5월 24일 |
관선 | 12 | 김영관 | 1961년 5월 24일 ~ 1963년 12월 17일 |
13 | 강우준 | 1963년 12월 19일 ~ 1966년 1월 25일 | |
14 | 정우식 | 1966년 1월 29일 ~ 1968년 2월 22일 | |
15 | 구자춘 | 1968년 2월 22일 ~ 1969년 10월 25일 | |
16 | 권용식 | 1969년 10월 25일 ~ 1971년 6월 11일 | |
17 | 이승택 | 1971년 6월 11일 ~ 1976년 1월 12일 | |
18 | 장일훈 | 1976년 1월 12일 ~ 1978년 9월 11일 | |
19 | 강신익 | 1978년 9월 11일 ~ 1980년 1월 17일 | |
20 | 박상렬 | 1980년 1월 17일 ~ 1980년 7월 16일 | |
21 | 이규이 | 1980년 7월 16일 ~ 1982년 1월 5일 | |
22 | 최재영 | 1982년 1월 5일 ~ 1984년 10월 10일 | |
23 | 장병구 | 1984년 10월 10일 ~ 1987년 10월 21일 | |
24 | 이창수 | 1987년 10월 22일 ~ 1988년 5월 19일 | |
25 | 이군보 | 1988년 5월 19일 ~ 1989년 12월 13일 | |
26 | 홍영기 | 1989년 12월 13일 ~ 1991년 7월 29일 | |
27 | 우근민 | 1991년 8월 1일 ~ 1993년 3월 3일 | |
28 |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 ||
29 | 신구범 | 1993년 12월 27일 ~ 1995년 3월 28일 | |
30 | 김문탁 | 1995년 3월 29일 ~ 1995년 6월 30일 |
2. 2. 2. 민선 도지사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제주도지사는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었다.임기 | 초상 | 성명 | 재임 기간 | 정당 | 선출 | ||||||||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
제주도 (1995–2006) | |||||||||||||
1대 | ![]() | 신구범 신구범 愼久範한국어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3년 | style="background:;" | | 무소속 | 1995 | |||||
2대 | ![]() | 우근민 우근민 禹瑾敏한국어 | 1998년 7월 1일 | 2004년 4월 27일 | 5년 9개월 26일 | rowspan="2" style="background:;" | |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 | 1998 | |||||
3대 | 2002 | ||||||||||||
권영철 권영철 權寧喆한국어 | 2004년 4월 28일 | 2004년 6월 5일 | 38일 | style="background:;" | | 무소속 | — | |||||||
김태환 김태환 金泰煥한국어 | 2004년 6월 6일 | 2006년 5월 8일 | 1년 11개월 2일 | style="background:;" | | 한나라당 | 2004년 | 2006년 5월 8일 | 2006년 6월 30일 | 53일 | style="background:;" | | 무소속 | — | |
제주특별자치도 (2006–현재) | |||||||||||||
4대 | 김태환 김태환 金泰煥한국어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4년 | style="background:;" | | 무소속 | 2006 | ||||||
5대 | 우근민 우근민 禹瑾敏한국어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4년 | rowspan="2" style="background:; border-bottom-style:hidden;" | | 무소속 → 새누리당 | 2010 | ||||||
style="background:;" | | |||||||||||||
6대 | 원희룡 원희룡 元喜龍한국어 | 2014년 7월 1일 | 2021년 8월 11일 | 7년 1개월 10일 | rowspan="2" style="background:;" | | 새누리당 → 바른정당 → 무소속 →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 2014 | ||||||
7대 | 2018 | ||||||||||||
구만섭 구만섭 丘萬燮한국어 | 2021년 8월 12일 | 2022년 6월 30일 | 10개월 18일 | style="background:;" | | 무소속 | — | |||||||
8대 | 오영훈 오영훈 吳怜勳한국어 | 2022년 7월 1일 | 현임 | 1년 10개월 9일 | style="background:;" | | 더불어민주당 | 2022 |
2. 3.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도정구호 | |
---|---|---|---|---|---|---|
민선 | | | 35대 | 김태환 | 2006년 7월 1일~2009년 8월 6일 | 무소속 | 도민의 시대 새로운 도전 제주특별자치도 |
| | 권한대행 | 이상복(李相福) | 2009년 8월 6일~2009년 8월 26일 | 행정부지사 | ||
| | 35대 | 김태환 | 2009년 8월 27일~2010년 6월 30일 | 무소속 | ||
| | 36대 | 우근민 | 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 | 무소속(2010~2013) 새누리당(2013~2014) | 세계가 찾는 제주, 세계로 가는 제주 | |
| | 37대 | 원희룡 | 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 | 새누리당(2014~2016) 바른정당(2017~2018) 바른미래당(2018) 무소속(2018~2020) 미래통합당(2020) 국민의힘(2020~2021) | 자연·문화·사람의 가치를 키우는 제주 | |
| | 38대 | 2018년 7월 1일~2021년 8월 11일 | ||||
| | 권한대행 | 구만섭 | 2021년 8월 12일~2022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
| | 39대 | 오영훈 | 2022년 7월 1일~ | 더불어민주당 | 다함께 미래로, 빛나는 제주 |
김태환 초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주민 소환 투표로 인해 2009년 8월 6일부터 2009년 8월 27일까지 직무가 정지당했었으나,[2] 투표율이 33.3%에 못 미쳐 주민 투표는 통과되지 않아 지사직을 유지하였다.[3]
원희룡 지사는 새누리당, 바른정당, 무소속,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등 여러 정당을 거쳤으며, 보수 정당 소속으로 제주도정을 이끌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발전에 힘썼으나, 환경 파괴 및 난개발 논란, 도민과의 소통 부족 문제 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오영훈 지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2022년 당선되어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2. 3. 1. 민선 도지사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도정구호 | |
---|---|---|---|---|---|---|
민선 | | | 35대 | 김태환 | 2006년 7월 1일~2009년 8월 6일 | 무소속 | 도민의 시대 새로운 도전 제주특별자치도 |
| | 권한대행 | 이상복(李相福) | 2009년 8월 6일~2009년 8월 26일 | 행정부지사 | ||
| | 35대 | 김태환 | 2009년 8월 27일~2010년 6월 30일 | 무소속 | ||
| | 36대 | 우근민 | 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 | 무소속(2010~2013) 새누리당(2013~2014) | 세계가 찾는 제주, 세계로 가는 제주 | |
| | 37대 | 원희룡 | 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 | 새누리당(2014~2016) 바른정당(2017~2018) 바른미래당(2018) 무소속(2018~2020) 미래통합당(2020) 국민의힘(2020~2021) | 자연·문화·사람의 가치를 키우는 제주 | |
| | 38대 | 2018년 7월 1일~2021년 8월 11일 | ||||
| | 권한대행 | 구만섭 | 2021년 8월 12일~2022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
| | 39대 | 오영훈 | 2022년 7월 1일~ | 더불어민주당 | 다함께 미래로, 빛나는 제주 |
1995년에 치러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제주도지사 선거에서는 무소속 신구범 후보가 40.6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자유당 우근민 후보는 32.53%, 민주당 강보성 후보는 24.27%를 득표했다. 무소속 신두완 후보도 출마하여 2.54%를 득표했다.
김태환 초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주민 소환 투표로 인해 2009년 8월 6일부터 2009년 8월 27일까지 직무가 정지당했었으나,[2] 투표율이 33.3%에 못 미쳐 주민 투표는 통과되지 않아 지사직을 유지하였다.[3]
원희룡 지사는 새누리당, 바른정당, 무소속,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등 여러 정당을 거쳤으며, 보수 정당 소속으로 제주도정을 이끌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발전에 힘썼으나, 환경 파괴 및 난개발 논란, 도민과의 소통 부족 문제 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오영훈 지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2022년 당선되어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3. 선거
1998년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우근민 후보가 52.7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구범 후보는 30.78%, 한나라당 현임종 후보는 16.45%를 득표했다.1998년 제주도지사 선거 정당 번호 후보자 득표수 득표율 bgcolor=""| 새정치국민회의 2 우근민 139,695 52.76% align=right| bgcolor=""| 무소속 4 신구범 81,491 30.78% align=right| bgcolor=""| 한나라당 1 현임종 43,559 16.45% align=right| 합계 264,745 100.00% 투표율 73.70%
2002년에 치러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우근민 후보가 한나라당 신구범 후보를 51.40%의 득표율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민주당 신두완 후보는 3.18%를 득표하였다.2002년 제주도지사 선거 정당 번호 후보자 득표수 득표율 bgcolor=""| 새천년민주당 2 우근민 135,283 51.40% bgcolor=""| 한나라당 1 신구범 119,502 45.41% bgcolor="#0f168c"| 민주당 3 신두완 8,373 3.18% 합계 263,158 100.00% 투표율 68.94%
2004년에 실시된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보궐선거에서는 한나라당 김태환 후보가 56.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우리당 진철훈 후보는 44.00%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전체 투표율은 49.80%였다.
2006년 지방 선거에서 김태환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한나라당 현명관 후보와 열린우리당 진철훈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2006 제주도지사 선거 정당 번호 후보자 득표수 득표율 bgcolor=""| 무소속 6 김태환 117,244 42.73% bgcolor=""| 한나라당 2 현명관 112,774 41.10% bgcolor=""| 열린우리당 1 진철훈 44,334 16.15% 합계 274,352 100.00% 투표율 67.26%
2010년에 치러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무소속 우근민 후보가 41.4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현명관 후보는 40.55%로 2위, 민주당 고희범 후보는 18.03%로 3위를 기록했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 원희룡 후보가 새누리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014 제주지사 선거 정당 후보자 득표수 득표율 새누리당 원희룡 172,793 59.97% 새정치민주연합 신구범 99,493 34.53% 통합진보당 고승완 12,209 4.23% 새정치 주종근 3,637 1.26% 합계 288,132 100.00% 투표율 62.79%
2018년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서 원희룡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이 선거에서 원희룡 후보는 178,255표(51.72%)를 득표하였고,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후보는 137,901표(40.01%)를 얻었다. 녹색당 고은영 후보는 12,188표(3.53%), 자유한국당 김방훈 후보는 11,241표(3.26%), 바른미래당 장성철 후보는 5,019표(1.45%)를 기록했다. 전체 투표율은 65.90%였다.
2022년, 더불어민주당 소속 오영훈 후보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오영훈 후보는 163,116표(55.14%)를 획득하여, 116,786표(39.48%)를 얻은 국민의힘 허향진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녹색당 부순정후보는 5,750(1.94%)를 득표하였고,무소속 박찬식 후보는 10,138(3.42%)를 득표하였다.2022 제주도지사 선거 정당 번호 후보자 득표수 득표율 bgcolor="#0064FF"| 더불어민주당 1 오영훈 163,116 55.14% align=right| bgcolor="#FF0000"| 국민의힘 2 허향진 116,786 39.48% align=right| bgcolor="#9a9a9a"| 무소속 5 박찬식 10,138 3.42% align=right| bgcolor="#40A84F"| 녹색당 4 부순정 5,750 1.94% align=right| 총계 295,790 100.00% 투표율 53.11%
3. 1. 1995년
1995년에 치러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제주도지사 선거에서는 무소속 신구범 후보가 40.6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자유당 우근민 후보는 32.53%, 민주당 강보성 후보는 24.27%를 득표했다. 무소속 신두완 후보도 출마하여 2.54%를 득표했다.
3. 2. 1998년
1998년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우근민 후보가 52.7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구범 후보는 30.78%, 한나라당(Grand National Party (1997)) 현임종 후보는 16.45%를 득표했다.
1998년 제주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새정치국민회의 | 2 | 우근민 | 139,695 | 52.76% | align=right| |
bgcolor=""| | 무소속 | 4 | 신구범 | 81,491 | 30.78% | align=right| |
bgcolor=""| | 한나라당(Grand National Party (1997)) | 1 | 현임종 | 43,559 | 16.45% | align=right| |
합계 | 264,745 | 100.00% | ||||
투표율 | 73.70% |
3. 3. 2002년
2002년에 치러진 제주도지사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우근민 후보가 한나라당 신구범 후보를 51.40%의 득표율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민주당 신두완 후보는 3.18%를 득표하였다.2002년 제주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새천년민주당 | 2 | 우근민 | 135,283 | 51.40% | |
bgcolor=""| | 한나라당 | 1 | 신구범 | 119,502 | 45.41% | |
bgcolor="#0f168c"| | 민주당 | 3 | 신두완 | 8,373 | 3.18% | |
합계 | 263,158 | 100.00% | ||||
투표율 | 68.94% |
3. 4. 2004년 (보궐선거)
2004년에 실시된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보궐선거에서는 한나라당 김태환 후보가 56.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우리당 진철훈 후보는 44.00%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전체 투표율은 49.80%였다.3. 5. 2006년
2006년 지방 선거에서 김태환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한나라당 현명관 후보와 열린우리당 진철훈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2006 제주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 | 무소속 | 6 | 김태환 | 117,244 | 42.73% | |
bgcolor=""| | 한나라당 | 2 | 현명관 | 112,774 | 41.10% | |
bgcolor=""| | 열린우리당 | 1 | 진철훈 | 44,334 | 16.15% | |
합계 | 274,352 | 100.00% | ||||
투표율 | 67.26% |
3. 6. 2010년
2010년에 치러진 제주도지사 선거에서는 무소속 우근민 후보가 41.4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현명관 후보는 40.55%로 2위, 민주당 고희범 후보는 18.03%로 3위를 기록했다.3. 7. 2014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원희룡 후보가 새누리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014 제주지사 선거 | |||||
---|---|---|---|---|---|
정당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원희룡 | 172,793 | 59.97% | ||
새정치민주연합 | 신구범 | 99,493 | 34.53% | ||
통합진보당 | 고승완 | 12,209 | 4.23% | ||
새정치 | 주종근 | 3,637 | 1.26% | ||
합계 | 288,132 | 100.00% | |||
투표율 | 62.79% |
3. 8. 2018년
2018년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서 원희룡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이 선거에서 원희룡 후보는 178,255표(51.72%)를 득표하였고,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후보는 137,901표(40.01%)를 얻었다. 녹색당 고은영 후보는 12,188표(3.53%), 자유한국당 김방훈 후보는 11,241표(3.26%), 바른미래당 장성철 후보는 5,019표(1.45%)를 기록했다. 전체 투표율은 65.90%였다.3. 9. 2022년
2022년, 더불어민주당 소속 오영훈 후보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오영훈 후보는 163,116표(55.14%)를 획득하여, 116,786표(39.48%)를 얻은 국민의힘 허향진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녹색당 부순정후보는 5,750(1.94%)를 득표하였고,무소속 박찬식 후보는 10,138(3.42%)를 득표하였다.2022 제주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bgcolor="#0064FF"| | 더불어민주당 | 1 | 오영훈 | 163,116 | 55.14% | align=right| |
bgcolor="#FF0000"| | 국민의힘 | 2 | 허향진 | 116,786 | 39.48% | align=right| |
bgcolor="#9a9a9a"| | 무소속 | 5 | 박찬식 | 10,138 | 3.42% | align=right| |
bgcolor="#40A84F"| | 녹색당 | 4 | 부순정 | 5,750 | 1.94% | align=right| |
총계 | 295,790 | 100.00% | ||||
투표율 | 53.11% |
참조
[1]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2019-10-05
[2]
뉴스
제주지사 6일 권한정지..도정 타격 불가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8-05
[3]
뉴스
제주지사 "바쁘다 바빠"..27일 업무 복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