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천시의 지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천시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 고생대 조선 누층군, 시대 미상의 천등산층, 금수산 규암층, 용암층, 옥천 누층군, 중생대 화강암 등으로 구성된다. 제천시에는 당골 단층, 황계덕 단층 등 여러 단층이 발달하며, 동명 중석-휘수연광상, 월악 중석-몰리브데넘광상, 우석광상, 당두 연-아연 광상, NMC 몰랜드 광산, 동아광산 등 다양한 광산에서 금, 중석, 몰리브데넘, 석면 등 다양한 지하자원을 채굴한다.

2.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변성암류는 제천시 북서부 지역인 백운면박달재 주변에 주로 분포한다.[2] 이 지역의 대표적인 변성암으로는 박달재 변성암류가 있다.

2. 1. 박달재 변성암류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는 제천시 북서부 지역인 백운면박달재 주변에만 분포한다. 박달재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편마암류는, 고개 이름을 따 '''박달재 변성암류'''(PCEggn; Precambrian granitic gneiss)라 불린다. 1967년 제천도폭에서 정의된 이 암석은 제천시 서부 변성암류의 기저를 이루며 박달재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뚜렷하게 발달하여 박달령 변성암류라고 명명되었다. 이 암석은 조선계 지층보다 아래에 있어 선캄브리아기 지층으로 추정되며 중생대 화강암에 의해 관입되었다. 박달재 변성암류는 호상 화강암질 편마암, 흑운모 반화강암질 편마암, 안구(眼球) 편마암으로 구성된다.[2]

3. 고생대 조선 누층군

고생대 초기 오르도비스기에 형성된 조선 누층군은 제천시 동부 영월군단양군과의 경계 지역과 청풍호 주변에 넓게 분포한다.[1] 제천시에 분포하는 조선 누층군은 대석회암층군(또는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의 일부로, 주로 돌로마이트로 구성된 흥월리층과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삼태산층으로 나뉜다.

3. 1. 흥월리층 (대석회암층군 돌로마이트)

'''대석회암층군 (흥월리층) 돌로마이트'''(Odo; Ordovician Joseon supergroup Heungwolri Dolomite Formation, 興月里層, 또는 와곡층)는 제천시에 분포하는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 중 최하부 지층이다.[1][3][1] 이 지층은 금성면 대장리, 청풍면 후산리, 광의리, 연론리, 단리 및 수산면 고명리와의 경계 지역, 수산면 수산리, 구곡리, 전곡리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 금성면 대장리: 대장리 단층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돌로마이트가 표식적으로 발달한 지역이다.
  • 청풍면 후산리: 서부에서는 후산리에서 청풍면 사오리로 가는 고개 서쪽에서 흥월리층 상부에 덮인 삼태산층과의 경계면이 관찰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흥월리층과 삼태산층 위에 서창리층이 경사 부정합으로 놓여 있기도 하다. 동쪽 경계는 수름산 단층에 의해 잘린다.
  • 청풍면 광의리: 비봉산 북사면에 소규모로 분포하며, 삼태산층과 구별이 쉽다. 비봉산 정상 부근에는 이 지층의 풍화로 인해 형성된 애추(崖錐, talus)가 있다.
  • 수산면 고명리 및 청풍면 단리: 지층의 주향은 북서 20~50°, 경사는 북동 40~60°가 일반적이나, 습곡의 영향으로 남서 방향으로 경사진 부분도 나타난다.


흥월리층의 암상은 주로 연회색 내지 암회색을 띠지만, 부분적으로 회백색, 백색, 분홍색을 보이기도 한다. 암석은 괴상(塊狀)이며, 편리 구조는 매우 희미하거나 관찰되지 않는다. 대부분 돌로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층은 습곡이나 단층 작용으로 인해 상부만 일부 노출되어 있어 전체 두께는 정확히 알 수 없다.[1][3][1]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흥월리 돌로마이트층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흥월리 돌로마이트층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흥월리 돌로마이트층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사오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흥월리 돌로마이트층

3. 2. 삼태산층 (대석회암층군 석회암)

'''대석회암층군 (삼태산층) 석회암'''(Ols; Ordovician Joseon supergroup Samtaesan formation, 三台山層, 또는 문곡층)은 청풍호를 중심으로 주변인 청풍면, 수산면, 덕산면 일대에 다소 넓게 분포한다. 이 지층은 주로 백색 내지 회색의 덩어리 형태(괴상, 塊狀) 또는 회백색에서 암회색을 띠는 판 모양(판상, 板狀) 석회암으로 구성된다.[1][1][1] 수산면덕산면, 청풍면 서쪽에서 서창리를 중심으로 발달하는 서창리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며, 덕산면 남동부에서는 석회규산염암이 이 위에 놓인다. 또한, 남동쪽 끝 단양군과의 경계 지역에서는 대동 누층군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인다.[1][1][1]

금성면 월굴리(도로명주소 : 제천시 금성면 청풍호로 1316)에 위치한 금월봉은 청풍대교 가기 전 낮은 구릉 위에 드러난 삼태산층 석회암 노두이다. 이곳에서는 단층습곡 등 다양한 지질 구조가 관찰된다. 특히 휴게소에서 금월봉 방향으로 가다 보면 붉은색으로 변질된 노두가 보이는데, 이는 남-북 방향의 단층이 발달한 흔적이며 이 단층을 따라 석회암 층리의 방향이 변하는 것이 확인된다.[4]

2024년 4월 현재 제천시 금성면 월굴리 지역에서는 국지도 제82호선과 지방도 제532호선의 도로 개량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공사 현장 곳곳에 삼태산층의 새로운 노두가 드러나 있다.

금성면 중전리 중앙고속도로 남제천 나들목 남쪽에 드러난 삼태산층의 노두


금월봉의 삼태산층


국지도 제82호선 도로변 공사현장의 노두, 금성면 월굴리


국지도 제82호선 도로변 공사현장의 노두, 금성면 월굴리


국지도 제82호선 도로변 공사현장의 노두, 금성면 월굴리


국지도 제82호선 도로변 공사현장의 노두, 금성면 월굴리


석회암층 내 습곡, 제천시 수산면 서곡로 596 입구 도로변


제천시 금성면 월굴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삼태산층 석회암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 청경명리조트(도로명주소 : 제천시 청풍면 호반로 4060) 전면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삼태산층 석회암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 청경명리조트(도로명주소 : 제천시 청풍면 호반로 4060) 전면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삼태산층 석회암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사오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삼태산층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사오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삼태산층

3. 3. 석회규산염암

'''대석회암층군 석회규산염암'''(Olsi; 石灰珪酸鹽巖)은 청풍호 동쪽과 남쪽에 분포하는 화강암 관입 주변부에 분포하는 접촉변질대이다. 대석회암층군 석회암(Ols)보다 위에 놓이고 서창리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인다. 금성면 월굴리와 수산면 일부 지역에 소규모로 그리고 제천시 남부에서 월악산을 중심으로 동쪽으로는 덕산면 도기리, 서쪽으로는 한수면 송계리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본 암석 중에는 두께 약 30m와 연장 3km 내외의 흑색 점판암이 협재되며, 수산면 내리 소재 야미산정에는 녹니석편암이 협재된다. 본 암의 주향과 경사월악산 주변 지역에서는 북동 40~60° 및 북서 45~60°가 지배적이며 수산면 내리 소재 야미산 부근에서는 남서 20°의 경사를 보인다.[1][1][1]

3. 4. 고운리층

대석회암층군 고운리층충주시 수안보면 고운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충주시 고운리에서 살미면 공이리를 거쳐 제천시 한수면 복평리까지 북동 방향으로 띠 모양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주로 흑색 점판암, 세립질 결정질 석회암, 암갈색 변질천매암질암, 석회규산암이 번갈아 쌓인 호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층은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의 석회규산염암 위에 정합 관계로 놓이는 것으로 보이며, 지층 경계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서로 번갈아 나타나는 고운리층과 석회규산염암은 구별할 수 있다. 고운리층 위에는 서창리층이 부정합으로 놓여 있으며, 한수면 탄지리에서는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 관봉 단층을 경계로 서창리층과 만난다. 지층의 주된 주향은 북동 40~70°이며, 경사는 북서 45~60°를 보인다.

4. 시대 미상

제천시 내에는 그 생성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없는 여러 지층들이 분포한다. 이러한 지층들은 주로 심한 변성 작용을 받았거나, 시대를 특정할 수 있는 표준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정확한 지질 연대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한다. 대표적인 시대 미상의 지층으로는 천등산층, 금수산 규암층, 용암층 등이 있다.


  • '''천등산층''': 천등산 부근에 분포하는 변성 퇴적암으로, 주로 석회규산염암과 석회암 등으로 구성된다. 이 지층은 더 오래된 박달령 변성암류를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 '''금수산 규암층''': 금수산을 중심으로 발달한 규암층이다. 주변 화강암의 관입과 변성 작용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나타나며, 원래는 이질(泥質) 퇴적암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 '''용암층''': 덕산면 신현리 일대에 소규모로 분포하며, 주로 흑색 점판암과 사질 셰일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 누층군 위에 부정합 관계로 놓여 있지만,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평안 누층군과의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1]


이들 지층은 분포 범위가 제한적이거나 다른 지층과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현재까지 정확한 생성 시기를 특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4. 1. 천등산층

'''천등산층'''(chg; Cheondeungsan formation, 天登山層)은 충주시 산척면제천시 백운면의 경계에 위치한 천등산을 중심으로 소규모로 발달하는 변성 퇴적암으로, 석회규산염암, 석회암, 함자철석미립(含磁鐵石微粒) 편마암으로 구성된다. 이 지층은 박달령 변성암류를 부정합으로 덮는다.[1]

4. 2. 금수산 규암층

'''금수산 규암층'''(Kq)은 금수산을 중심으로 단양군과의 경계를 따라 금성면에서 남한강에 이르기까지 북서-남동 방향으로 분포하는 규암층이다. 석영편암, 규암 및 운모편암으로 구성되며 분포지역 서측의 화강암과 접하는 부분은 백운모가 소량 함유된 석영편암이고 그 바깥은 규암이다. 특히 화강암의 북부에 분포하는 편상 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의 접촉부에서는 운모편암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규암층의 원암(原巖)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규암층은 이질(泥質) 퇴적암을 층암으로 하여 변질된 후 다시 화강암의 관입을 받아 규화(硅化)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1]

4. 3. 용암층

'''용암층'''(yong-am formation|용암층eng, 龍巖層)은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 일대에 삼각형 모양으로 소규모 분포하는 지층이다.[1]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 석회암(Ols) 위에 부정합으로 놓이며, 동북측과 남측 경계는 단층을 통해 조선 누층군 돌로마이트층(Odo)과 접한다.[1]

주요 구성 암석은 흑색 점판암셰일 및 사질 셰일이다.[1] 암상 측면에서는 평안 누층군과 유사성을 보이지만,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고 흑색 점판암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평안 누층군과의 직접적인 대비는 어렵다.[1]

지층의 주향은 북동 25° 또는 북서 15°이며, 경사는 북서 50° 또는 남서 35°를 나타낸다.[1] 단층의 영향으로 인해 정확한 지층 두께를 판별하기는 곤란하다.[1]

5. 옥천 누층군

제천시영남 지괴와 옥천 습곡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며, 남동부의 충주호 주변에는 지질시대를 알 수 없는 옥천 누층군이 분포한다.[1] '''옥천 누층군'''(Okcheon Supergroup, 沃川 累層群)은 옥천 습곡대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지층이다.[1] 제천시 지역에서는 북노리층을 기저로 하여 서창리층부정합으로 덮으며, 주로 함력(含礫)천매암질암과 녹니석편암으로 구성된다.[1]

5. 1. 서창리층

서창리층(西倉里層)은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에서 그 명칭이 유래된 변성 퇴적암으로, 옥천 누층군에 속한다. 함력(含礫)천매암질암과 녹니석편암으로 구성되며, 하위의 조선 누층군 또는 옥천 누층군의 기저인 북노리층을 부정합으로 덮는다.[1]

제천도폭 지역에서는 천매암과 녹니석(綠泥石)편암 및 부산(婦山)을 중심으로 심한 혼성암(混成巖)을 형성한 부분으로 구분된다. 황강리도폭 지역인 한수면과 그 주변 지역에서는 주로 암회색 천매암으로 구성된다.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의 서창리층 노두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의 서창리층 노두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의 서창리층 노두

5. 2. 북노리층

북노리층(北老里層, Okcheon supergroup Buknori Formation|옥천 누층군 북노리층eng)은 옥천계 최하부의 기저암층으로, 한수면 북노리에서 표식적으로 발달하여 이름 붙여졌다. 한수면 일대에서는 북노리를 중심으로 북동 방향으로 분포하며, 서창리를 중심으로는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여 서로 떨어져 나타난다.[1]

북노리 중심의 지층은 북동 20~50°의 주향과 북서 65~80° 또는 남동 30~70°의 경사를 보인다. 이곳에서는 북동 방향의 축을 갖는 배사 및 향사 습곡 구조가 발달하여 동일한 지층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이 관찰된다. 서창리 중심의 지층은 북북동 방향인 북동 30~40°의 주향과 북서 45~60°의 경사를 가지며, 부분적으로 규화되거나 혼펠스화된 양상을 보인다.[1]

북노리층은 주로 암회색을 띠며, 석회암이나 규암의 역(礫)과 석영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편리와 같은 편상 구조가 발달해 있다. 이 지층은 하부의 서창리층을 부정합 관계로 덮고 있다.[1]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의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에서는 북노리층의 노두를 관찰할 수 있다.[1]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노두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노두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노두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노두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노두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노두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노두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노두

5. 3. 명오리층

명오리층(Myeongori formation|명오리층eng; 鳴梧里層)은 충주시 동량면 명오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하부의 북노리층 및 상부의 황강리층과 정합적인 관계에 있으며, 황강리층(서쪽)과 북노리층(동쪽) 분포 지역 사이인 황강리에서 명오리를 거쳐 한수면 서창리까지 발달한다. 지층의 주향은 북동 35~65°이며, 경사는 층 내에 발달하는 습곡의 영향으로 남동 50~85° 및 북서 75°로 변화한다.[1][1]

5. 4. 황강리층

황강리층(PZoch, Okcheon supergroup Hwanggangri formation|옥천 누층군 황강리층eng, 黃江里層)은 제천시 한수면 황강리에서 이름이 유래된 지층이다.[1] 이 지층은 본래 옥천군에서 제천시까지 매우 길게 이어지며, 충주시 살미면 내사리와 문화리에서 제천시 한수면 황강리와 역리를 거쳐 충주시 동량면으로 이어진다.[1] 이름은 제천시 황강리에서 유래되었지만, 실제 제천시 내 분포 면적은 매우 작아 황강리, 역리, 서창리 일부 지역에만 분포한다.[1] 황강리층 하부에는 명오리층이 놓이며, 상부에는 문주리층(제천시에는 분포하지 않음)이 정합적으로 놓인다.[1] 전체적으로 암회색 함력(含礫)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북노리층의 함력천매암질암과는 암상이 약간 다르다.[1]

6. 중생대 화강암

제천시 시내 지역과 금수산 주변, 월악산 주변에는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분포한다.[1]

6. 1. 월악산과 흑운모 화강암

월악산 주변, 즉 덕산면 월악리와 한수면 송계리 일대에는 '''경상계 불국사층군 흑운모화강암'''(Kbgr)이 분포한다. 이 화강암은 문경시 북부에 관입한 대규모 화강암체의 일부로,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과 서창리층을 관입하였다.[1]

원래 월악산 일대는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의 석회암 지대였으나, 중생대 백악기에 이 석회암 지층으로 마그마가 관입하여 식으면서 현재의 화강암이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뜨거운 마그마의 열과 압력으로 인해 기존의 석회암이 변성되어 석회규산염암이 만들어지기도 했다.[5]

6. 2. 평동 화강암

백운면 남부 일대에 분포하는 '''평동 화강암'''(Jbgr)은 박달령 변성암류와 천등산층을 관입하며 분포 지역은 풍화침식을 심하게 받아 저지대를 형성하고 있다.[1]

6. 3. 송학 흑운모 화강암

송학면 일대와 제천시내 주변에는 '''송학 흑운모 화강암'''(Jbgr)이 분포한다. 이 암석과 접하는 변성암 및 퇴적암류는 장년기 지형을 이루는 반면, 송학 흑운모 화강암은 상대적으로 침식에 약해 저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화강암이 분포하는 제천시내 지역은 분지 지형을 이룬다. 송학 흑운모 화강암은 조선 누층군서창리층 천매암 그리고 박달령 변성암류를 관입하고 있다.[1]

6. 4. 반상 화강암

금성면 월림리, 중앙고속도로 제천휴게소 남동측에 드러난 경상계 불국사층군 반상 화강암(os)의 노두


경상계 불국사층군 '''반상 화강암'''(Kpgr)은 제천조차장역 주변 강제동, 천남동, 신동, 봉양읍 삼거리, 구곡리, 공전리, 연박리, 북부 장평리에 분포하는 반상(斑狀) 화강암이다.[1]

7. 단층

제천시에는 대규모의 단층은 지나지 않고 중,소규모의 단층만이 발달한다.[1]

7. 1. 당골 단층

횡성군 강림면 강림리에서 제천시 송학면 송학리까지 북서 30°의 주향으로 발달하는 수직 단층이다. 단층 계곡을 형성하고 있다.[6]

7. 2. 황계덕 단층

송학면 도화리에서 봉양읍 명암리를 지나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까지 이어지는 북서 80° 주향의 단층이다. 단층 계곡을 형성하며 명암리 서부에서는 중앙고속도로와 거의 일치하게 발달한다.[1]

7. 3. 기타 단층

단층은 대규모의 것은 지나지 않으며, 중소규모의 단층만이 발달한다.[1]

  • '''대장리 단층''' : 금성면 대장리에 있으며, 해당 지역의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 돌로마이트층을 절단한다.[1]
  • '''금수산 단층''' : 금수산 규암층을 절단하는 경사 단층이다.[1]
  • '''대덕산 단층''' : 금성면 월굴리 서측의 대덕산 근처를 북서 주향으로 지나는 단층으로 서창리층을 절단하고 있다.[1]
  • '''수름산 단층''' : 수름산과 청풍면 후산리를 지나는 북동 25° 주향의 힌지 단층이다.[1]
  • '''관봉 단층''' : 한수면 서창리 소재 관봉(冠峰)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발달하는 단층이다. 청풍면 진목리에서 한수면 서창리를 거쳐 덕산면 수산리까지 이어지며 서쪽이 내려가고 동쪽이 올라갔다. 연장은 11km 정도이다.[1][1]
  • '''봉화재 단층''' : 수산면 오티리와 한수면 덕곡리의 경계에 위치한 봉화재를 북서 45° 주향으로 지나는 단층이다. 용암층(y)이 분포하는 남서부가 내려가고 조선 누층군 대석회암층군이 분포하는 북동부가 올라갔다. 연장은 6km 정도이다.[1][1]
  • '''구곡리 단층''' : 수산면 구곡리를 북동 55°의 주향으로 지나가는 단층이다. 조선 누층군 돌로마이트층(Odo)이 분포하는 남동부가 올라가고 석회암층(Ols)이 분포하는 북서부가 내려갔다. 연장은 5km 정도이다.[1][1]
  • '''국사봉 단층''' : 청풍면 장선리 소재 국사봉 남쪽 계곡에 있는 동-서 주향의 소규모 단층이다. 서창리층을 절단한다.[1]

8. 광산과 지하자원

제천시 남부의 조선 누층군옥천 누층군 내에는 다양한 광상이 존재한다. 이들 광상은 주로 후기 화성 작용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특히 산성 심성암류가 기존 암석과 접촉하는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월악산 주변의 화강암 지역에서는 구리--아연 광상과 텅스텐-몰리브데넘 광상이 다수 발견된다.[7]

8. 1. 동명 중석-휘수연광상

제천시 송학면 무도리-자곡리에 위치하며, 쥐라기 시대의 제천 화강암체와 조선 누층군 및 갑산층 내 석회암층과의 접촉부를 따라 발달하는 스카른형 회중석 접촉교대광상이다.[9] 퇴적암류를 관입한 화강암 접촉부에는 부분적으로 스카른이 형성되어 중석과 휘수연석이 존재한다.[9] 주요 구성 광물은 회중석이며, 소량의 황철석, 자류철석, 방연석, 황동석 등도 함께 산출된다.[9]

8. 2. 월악 중석-몰리브데넘광상 (월악 중석광산)

'''월악 중석-몰리브데넘광상''' 또는 '''월악 중석광산'''(月岳重石鑛山)은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에 위치한 광산이다. 이 광산은 중석, 휘수석(輝水石), 창연(蒼鉛; 비스무트)을 주요 광종으로 등록하고 있으며, 일제 강점기인 1939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다.[1]

광산 지역의 지질은 조선 누층군의 석회규산염암 위에 서창리층이 부정합으로 놓여 있고, 서부와 남부에는 백악기 불국사층군에 속하는 흑운모 화강암이 관입해 있다. 이 광산에서 주로 산출되는 광물은 흑중석, 회중석, 휘수연석, 창연 등이며, 황동석, 방연석, 섬아연석 등이 함께 발견된다.[1]

월악 중석광산은 동산지구와 광천지구로 나뉜다.[10]

8. 3. 우석광상

'''우석광상'''(友石鑛床)은 제천시 청풍면에 위치하며[11], 옥천변성대 동북부 황강리광화대에 속하는 스카른열수 광상이다.[11] 광산의 지질은 조선 누층군의 석회암과 광상 동측에 관입한 백악기 무암사 화강암으로 구성된다.[11] 이 광상은 텅스텐, 몰리브데넘, 구리, , 아연 광화작용을 수반하며, 스카른은 하부갱에서만 발달한다.[11]

우석광상에서는 자류철석, 황동석, 황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자철석, 적철석, 휘수연석, 회중석, 철망간중석, 유비철석 등이 산출된다. 스카른 광물로는 석류석휘석이 나온다.[11]

광상은 하부에서 상부로 1호광체, 2호광체, 3호광체로 구분된다.[12]

  • 1호 광체: 괴상(塊狀)광체와 이를 절단하는 광맥으로 이루어져 있다. 괴상광체는 결정질석회암을 교대하며 자류철석, 자비철석, 황동석, 섬아연석, 방연석, 형석으로 구성된다. 광맥은 자비철석, 방연석, 섬아연석, 능망가니즈석으로 구성되고, 약간의 황동석, 황철석, 형석을 포함한다.[12]
  • 2호 및 3호 광체: 북동 방향의 주향과 북서 방향의 경사를 가진다. 주로 자류철석, 황동석, 형석으로 구성되며, 소량의 황철석, 자철석, 유비철석, 섬아연석, 방연석을 수반한다.[12]

8. 4. 당두 연-아연 광상 (당두광산)

'''당두 연-아연 광상''' 또는 '''당두광산'''(當頭鑛山)은 제천시 금성면 중전리에 위치한 연-아연 스카른 광상이다.[1][13] 광산 일대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인 서창리층, 조선 누층군의 돌로마이트, 석회암, 석회규산염암, 그리고 이들을 관입한 중생대화강암류 및 암맥들로 구성된다. 광상은 조선 누층군 석회암 내에 발달한 열극을 따라 교대 작용으로 형성되었다.[13]

1967년 발간된 제천 지질도폭에 따르면, 당두광산은 일제 강점기에 개발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광상은 남쪽에 관입한 화강암의 영향으로 형성된 접촉 교대 광상으로, 자철석, 구리, 아연 광상이 석회암 내에 층상으로 발달한다. 구리와 아연 광상의 연석(鉛石)은 주로 1~2 mm 크기의 방연석, 섬아연석, 황철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황동석도 포함하고 있다. 자철광체는 아연 광체로부터 남쪽으로 약 700m~8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1]

당두광산에서 산출되는 주요 광물은 섬아연석, 황동석, 자류철석, 방연석, 자철석, 황철석 등이다. 이 외에도 소량의 자연 비스무트, 휘창연석, 백철석 등이 함께 발견된다. 스카른 광물로는 녹렴석, 녹니석, 석류석, 단사휘석, 투각섬석, 석영, 방해석 등이 있다.[13]

8. 5. NMC 몰랜드 광산 (구 금성 휘수연-중석광산)

'''금성 휘수연-중석광상'''으로 알려졌던 이 광산은 현재 '''NMC 몰랜드 광산'''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제천시 남쪽으로 약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구체적인 좌표는 북위 37°01'00"~37°06'30", 동경 128°09'30"~128°16'30"이다.

이 광산은 1966년 11월에 처음 발견되어 '금성광산'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다. 주로 중석과 휘수연석을 채굴했으나, 경제성이 낮아져 1988년에 운영을 중단했다. 이후 2010년에 재개발되면서 광산 이름을 'NMC 몰랜드 광산'으로 바꾸고 몰리브데넘을 주요 생산 품목으로 삼았다. 2012년 기준으로 하루에 약 1,300톤의 몰리브데넘 원광을 생산하고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었다.[14][15][16]

NMC 몰랜드 광산은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에 속하는 삼태산층과 쥐라기 시대에 형성된 제천 화강암이 만나는 접촉부 근처에서 발달한 스카른 광상이다. 이곳에서는 주로 중석과 휘수연석이 산출된다.[17] 광상 내 스카른 지대는 다양한 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스카른 광물로는 석류석, 녹렴석, 녹니석, 투철휘석, 규회석, 석영 등이 있으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광물로는 휘수연석, 회중석, 황철석, 자류철석 등이 함께 발견된다.[17]

과거에는 광상이 지표에서 가까운 쥐라기 제천 화강암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2007년 최선규 등의 연구에서는 광상 남쪽에 위치한 백악기 시대의 무암사 화강암이 실제 관계 화성암일 가능성을 제기했다.[1] 이후 2014년 신영홍 등의 중력탐사 연구 결과, 지하 깊은 곳에 무암사 화강암이 광산 아래쪽으로 뻗어 있으며, 이것이 광상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18]

8. 6. 동아광산

동아광산은 제천시 한수면에 위치한 석면 광산이다. 광산의 지질은 조선 누층군 석회암과 돌로마이트로 구성되며, 흑운모 화강암에 의해 교대 생성된 투각섬석대가 존재한다. 192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투각섬석 계열의 석면을 채굴하였으며, 특히 1941년에는 전국 석면 생산량의 90%를 차지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중요한 광산이었다. 이 광산은 국내에서는 드물게 석회암 내에 석면이 포함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며, 광범위하게 광산 주변이 오염되어 있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이곳에서 발견되는 석면의 길이는 5~250 마이크로미터(µm)이며, 암석 시료 속 석면 결정은 뾰족한 바늘 모양(침상 형태)을 띤다.[19]

8. 7. 기타 광산

제천시 남부 조선 누층군옥천 누층군 중에 포함된 각종 광상(鑛床)은 후기의 화성 작용의 영향을 받아 산성 심성암류와의 접촉부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월악산 화강암 주변에는 구리--아연텅스텐-몰리브데넘 광상이 다수 분포한다.[7]

주식회사 대한광산개발은 2024년 소유 광산 중 한 곳인 제천광산(전 금풍광산)에서 고품위의 금맥이 발견되어 금 생산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시료채취 결과 톤당 13 g의 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는 기존의 금광보다 높은 수치이다.[8]

참조

[1]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堤川 地質圖幅說明書 (제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01-01
[3] 웹인용 黃江里 地質圖幅說明書 (황강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01-01
[4] 서적 충청권 지질유산 발굴 및 지질유산 가치평가 사업 대한지질학회 2016-01-01
[5] 서적 손영운의 우리땅 과학 답사기 2 2013-01-01
[6] 웹인용 神林 地質圖幅說明書 (신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4-01-01
[7] 저널 충주(忠州)-월악산(月岳山)-제천(提川) 화강암류(花崗岩類)의 암석화학적(岩石化學的) 연구(硏究) (Petrochemistry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Chungju, Wolaksan and Jecheon Granite Batholiths) http://www.koreascie[...] 1990-01-01
[8] 뉴스 제천광산서 금맥 폭 45m·연장 1800m의 국내 최대 금맥 발견 https://m.news.nate.[...] n뉴스 2024-01-31
[9] 저널 동명광산(東明鑛山)의 스카른형(型) 회중석(灰重石) 광상(鑛床)의 성인(成因) (On the Genesis of Skarn-type Scheelite Deposits at the Dongmyoung mine) http://www.koreascie[...] 1983-01-01
[10] 저널 Fluid Inclusion Studies on the Wolak Tungsten-Molybdenum Deposits, Korea (월악 중석-몰리브덴 광상의 유체포유물 연구) http://www.koreascie[...] 1982-01-01
[11] 저널 우석광상 다금속 광화작용의 시공간적 특성변화 (Spatio-Temporal Variation of Polymetallic Mineralization in the Wooseok Deposit) https://scienceon.ki[...] 2018-01-01
[12] 저널 Studies on the Fluid Inclusions of Useok Polymetallic Mineral Deposits 友石 多金屬 鑛床의 流體包有物 硏究) https://www.dbpia.co[...] 1979-12-01
[13] 저널 Mineralogy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Dangdu Pb-Zn Deposit (당두 연-아연 광상의 산출광물과 화학조성) http://www.koreascie[...] 2013-01-01
[14] 뉴스 국내 광산 중요성 재조명 https://www.energy-n[...] 에너지신문 2012-11-02
[15] 뉴스 '[르포]희유금속 \'몰리브덴\' 막장의 재발견' https://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2-11-12
[16] 웹인용 희유원소 광역 지구화학도 작성 (Regional Geochemical Mapping for Rare elements)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4-01-01
[17] 저널 금성 몰리브데늄광상의 잠두 반암형 광체에 대한 부존가능성과 성인적 환경 (Hidden Porphyry-Related Ore Potential of the Geumseong Mo Deposit and Its Genetic Environment) https://scienceon.ki[...] 2007-01-01
[18] 저널 충북 제천 NMC 몰랜드 광산의 관계 화성암에 대한 중력탐사 (Gravity Exploration Inferring the Source Granite of the NMC Moland Mine, Jecheon, Chungbuk) https://scienceon.ki[...] 2014-01-01
[19] 저널 동아광산 일대 투각섬석과 양기석의 산출상태 및 광물학적 특성 연구 (Mineralogical Characteristic and Occurrence of Tremolite and Actinolite in the Dong-A mine, Korea) https://scienceon.ki[...] 201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