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50년 6월 4일에 실시되었으며,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으로 신설된 참의원의 과반수 의석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다. 선거 결과, 자유당이 52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나, 일본사회당이 36석으로 약진하며 진보 진영의 약진을 보였다. 총 투표율은 72.19%로, 한국전쟁 발발 직전의 상황과 맞물려 국민들의 정치적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선거 - 1950년 영국 총선
    1950년 영국 총선은 노동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했으나 의석수가 감소하여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킨 선거로, 소선거구제를 통해 치러졌으며 대학 선거구와 복수투표제가 폐지된 후 처음 실시되었다.
  • 1950년 선거 - 1950년 동독 총선거
    1950년 동독 총선거는 동독 건국 후 처음 치러진 선거로, 국민전선 후보가 기재된 투표용지를 사용하여 찬성은 무표시, 반대만 기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99.6%의 지지율로 국민전선이 압승을 거두었으나 민주적이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1950년 일본 - 경찰예비대
    경찰예비대는 한국 전쟁으로 인한 주일 미군 철수 후 일본의 방위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50년 창설된 준군사 조직으로, 치안 유지를 명목으로 했으나 사실상 군대 역할을 수행하며 이후 국가안전대를 거쳐 육상자위대의 전신이 되었다.
  • 1950년 일본 - 제3차 요시다 내각 (제1차 개조)
    요시다 시게루가 일본국 헌법 제68조에 따라 국무대신 임면권을 행사하여 단행한 최초의 내각 개조인 제3차 요시다 내각 (제1차 개조)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준비와 한국 전쟁 발발에 따른 국내외 정세 변화에 대응하고 민주자유당 내 파벌 갈등 해소 및 당내 융화를 도모하기 위해 단행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추진, 유엔군 군수 기지 역할 수행, 일본 경제 재건 발판 마련 등의 평가를 받는다.
  • 1950년 6월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 1950년 6월 - 1950년 FIFA 월드컵
    1950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브라질에서 개최되었으며, 13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 후 최종 리그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하여 '마라카낭의 비극'을 낳았다.
제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선거 정보
선거명제2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국가일본
선거 유형의회
진행 여부no
이전 선거제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47년
선거일1950년 6월 4일
다음 선거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53년
선출 의석132석 (전체 250석)
과반 의석126석
투표율72.19%
선거 결과
요시다 시게루
요시다 시게루
제1당 대표요시다 시게루
제1당자유당
제1당 색LP (1950)
제1당 대표 취임일1950년 3월 1일
제1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중의원 의원)
제1당 이전 선거신당
제1당 비개선 의석24
제1당 개선 의석37
제1당 획득 의석52
제1당 선거 전 의석61
제1당 선거 후 의석76
제1당 지방구 득표수10,414,995
제1당 지방구 득표율35.91%
제1당 전국구 득표수8,313,756
제1당 전국구 득표율29.05%
도쿠가와 무네요시
도쿠가와 무네요시
제2당 대표도쿠가와 무네요시
제2당녹풍회
제2당 색008000
제2당 대표 취임일1949년 10월
제2당 대표 선거구비개선 (전국구)
제2당 이전 선거신당
제2당 비개선 의석41
제2당 개선 의석29
제2당 획득 의석9
제2당 선거 전 의석70
제2당 선거 후 의석50
제2당 지방구 득표수1,773,576
제2당 지방구 득표율6.11%
제2당 전국구 득표수3,660,391
제2당 전국구 득표율13.08%
제3당 대표(부재)
제3당사회당
제3당 색JSP
제3당 대표 취임일-
제3당 이전 선거47
제3당 비개선 의석25
제3당 개선 의석18
제3당 획득 의석36
제3당 선거 전 의석43
제3당 선거 후 의석61
제3당 지방구 득표수7,316,808
제3당 지방구 득표율25.23%
제3당 전국구 득표수4,854,629
제3당 전국구 득표율17.34%
도마베치 기조
도마베치 기조
제4당 대표도마베치 기조
제4당국민민주당
제4당 색09236D
제4당 대표 취임일1950년 4월 28일
제4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중의원 의원)
제4당 이전 선거신당
제4당 비개선 의석20
제4당 개선 의석20
제4당 획득 의석9
제4당 선거 전 의석40
제4당 선거 후 의석29
제4당 지방구 득표수2,066,011
제4당 지방구 득표율7.12%
제4당 전국구 득표수1,368,783
제4당 전국구 득표율4.89%
도쿠다 규이치
도쿠다 규이치
제5당 대표도쿠다 규이치
제5당일본공산당
제5당 색CC222C
제5당 대표 취임일1945년 12월
제5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중의원 의원)
제5당 이전 선거4
제5당 개선 의석3
제5당 비개선 의석2
제5당 획득 의석2
제5당 선거 전 의석5
제5당 선거 후 의석4
제5당 지방구 득표수1,637,451
제5당 지방구 득표율5.65%
제5당 전국구 득표수1,333,872
제5당 전국구 득표율4.76%
구로다 히사오
구로다 히사오
제6당 대표구로다 히사오
제6당노동자농민당
제6당 색FF0000
제6당 대표 취임일1948년 12월 2일
제6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중의원 의원)
제6당 이전 선거신당
제6당 개선 의석5
제6당 비개선 의석3
제6당 획득 의석2
제6당 선거 전 의석8
제6당 선거 후 의석5
제6당 지방구 득표수471,649
제6당 지방구 득표율1.63%
제6당 전국구 득표수200,066
제6당 전국구 득표율0.71%
선거 상황
참의원 의장
선거 전사토 나오타케
선거 전 정당녹풍회
선거 후사토 나오타케
선거 후 정당녹풍회

2. 선거 배경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으로 일본은 양원제를 채택하고 참의원을 신설하였다. 제1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47년)에서 선출된 의원 중 절반의 임기가 일본국 헌법 제102조의 규정에 따라 3년으로 정해짐에 따라, 이들에 대한 선거가 필요했다.[1]

일본 공산당에서 전국구로 출마한 다카쿠라 테루는 득표수 45위로 당선권에 들었으나, 선거 다음 날 공직추방으로 당선 무효가 되었다.[3][4]

3. 선거 데이터


  • 내각: 제3차 요시다 시게루 내각 (제49대)[1]
  • 공시일: [1]
  • 투표일: 1950년(쇼와 25년) 6월 4일[1]
  • 개선 의석 수: 132석
  • * 지역구 : 76석 (보궐 선거로 1석 추가)[1]
  • * 전국구 : 56석 (보궐 선거로 6석 추가)[1]
  • 선거 제도:
  • * 지역구
  • ** 소선거구제: 25석
  • ** 중선거구제: 21석
  • ** 홋카이도는 결원 보충으로 1석이 추가되어 5석[1]
  • * 전국구
  • ** 대선거구제: 1개 선거구 (보궐 선거로 6석 추가)[1]
  • 투표 방법: 비밀투표, 단기투표, 2표제 (지역구·전국구)[1]
  • 선거권: 만 20세 이상의 일본 국민[1]
  • 피선거권: 만 30세 이상의 일본 국민[1]
  • 유권자 수: '''43,461,371명''' (남성: 20,762,502명, 여성: 22,698,869명)[5]
  • 후보자 수: 252명[1]
  • 투표율: '''72.19%'''[1]



4. 선거 결과

총 투표율은 72.19%로, 지난 선거에 비해 11.07% 증가했다.

정당별 당선자 수
정당지역구전국구합계
자유당341852
일본사회당211536
녹풍회369
국민민주당819
농민협동당213
일본공산당022
노동자농민당112
무소속71219
합계7656132


4. 1. 정당별 득표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 (%)당선인
자유당8,313,75629.718
일본사회당4,854,62917.315
녹풍회3,660,39113.16
국민민주당1,368,7834.91
일본공산당1,333,8724.82
농민협동당629,3702.21
노동자농민당200,0660.71
무소속7,632,52627.312
총합27,993,39310056


4. 2. 지역구별 결과



개선 정수 3 이상
홋카이도기노시타 겐고 (일본사회당)히가시 다카시 (농민협동당)와카기 가쓰조 (일본사회당)마쓰우라 데이기 (농민협동당)아리마 에이지 (민주당)
도쿄야나이 겐 (자유당)시게모리 도시하루 (일본사회당)호리 마코토 (노농당)후카가와 다마에 (민주당)
아이치현나리세 하지메 (일본사회당)야마모토 요네지 (자유당)구사바 류엔 (자유당)
오사카부오야 신조 (자유당)무라오 시게오 (일본사회당)사토 요시아키 (자유당)
효고현마쓰우라 세이이치 (일본사회당)야마가타 가쓰미 (자유당)아카기 마사오 (녹풍회)
후쿠오카현고마쓰 마사오 (일본사회당)단 이노 (자유당)니시다 다카오 (민주당)



개선 정수 2
후쿠시마현하시모토 만우에몬 (자유당)기무라 모리에 (자유당)이바라키현군 유이치 (자유당)기쿠타 시치헤이 (민주당)도치기현소마 스케지 (일본사회당)우에다케 하루히코 (자유당)
군마현이지마 렌지로 (무소속)스즈키 교헤이 (민주당)사이타마현마쓰나가 요시오 (일본사회당)우에하라 마사요시 (자유당)지바현쓰치야 슌조 (자유당)가노 긴스케 (자유당)
가나가와현소네 마사루 (일본사회당)이시무라 고사쿠 (자유당)니가타현기타무라 가즈오 (자유당)기요사와 도시히데 (일본사회당)나가노현다나하시 고토라 (일본사회당)이케다 우에몬 (자유당)
시즈오카현히라오카 이치조 (자유당)가와이 야하치 (녹풍회)교토부오노기 슈지로 (자유당)오야마 이쿠오 (무소속)오카야마현에다 사부로 (일본사회당)가토 다케노리 (자유당)
히로시마현야마다 세쓰오 (일본사회당)니다 다케이치 (자유당)구마모토현후카미즈 로쿠로 (자유당)다니구치 야사부로 (민주당)가고시마현사다 다다타카 (일본사회당)시마즈 다다히코 (자유당)



개선 정수 1
아오모리현구도 데쓰오 (자유당)이와테현센다 마사시 (무소속)미야기현다카하시 신타로 (자유당)아키타현하세야마 유키 (자유당)야마가타현고바야시 마타지 (일본사회당)
야마나시현히라바야시 다이치 (무소속)도야마현오야마 사부로 (무소속)이시카와현나카가와 고헤이 (자유당)후쿠이현도모리 요시오 (일본사회당)기후현후리이케 신조 (자유당)
미에현마에다 조 (무소속)시가현니시카와 젠고로 (자유당)나라현신타니 도라사부로 (녹풍회)와카야마현나가이 준이치로 (무소속)돗토리현나카다 요시오 (일본사회당)
시마네현사쿠라이 요시오 (민주당)야마구치현나카가와 이라 (자유당)도쿠시마현구레나이 미쓰 (민주당)가가와현모리사키 다카시 (일본사회당)에히메현미하시 하치지로 (일본사회당)
고치현이리코 다조 (자유당)사가현스기하라 아라타 (자유당)나가사키현아키야마 슌이치로 (자유당)오이타현이치마쓰 마사지 (자유당)미야자키현미와 사다지 (일본사회당)



1-10야마카와 요이치 (무소속)다카기 마사오 (무소속)가토 마사토 (무소속)스기야마 쇼사쿠 (무소속)이와자와 다다야스 (자유당)가토 시즈에 (일본사회당)이즈야마 산로쿠 (자유당)아라키 마사사부로 (일본사회당)오타니 에이준 (자유당)나가시마 긴조 (자유당)
11-20기쿠카와 다카오 (일본사회당)미우라 다쓰오 (무소속)쓰네오카 이치로 (녹풍회)노다 우이치 (자유당)다카하시 미치오 (녹풍회)다키이 지사부로 (자유당)오카다 신지 (자유당)이치마쓰 사다키치 (민주당)노미조 마사루 (일본사회당)우치무라 세이지 (일본사회당)
21-30히라이 타로 (자유당)후지와라 미치코 (일본사회당)구리야마 요시오 (일본사회당)미조구치 사부로 (녹풍회)이시카와 세이이치 (농민협동당)아이치 케이이치 (자유당)조조 아이이치 (일본사회당)오가사와라 후미오 (일본사회당)마쓰바라 가즈히코 (무소속)고사카이 요시오 (일본사회당)
31-40가타야나기 신키치 (녹풍회)미야모토 구니히코 (자유당)시게무네 유조 (자유당)호리키 가마사 (무소속)다카다 나호코 (일본사회당)하니 고로 (무소속)마쓰모토 노보루 (자유당)오야야 한지로 (자유당)이시카와 에이이치 (자유당)야지마 미요시 (무소속)
41-50오노 요시오 (무소속)고바야시 마사오 (녹풍회)스즈키 분시로 (녹풍회)시라나미세 요키치 (자유당)고바야시 고헤이 (일본사회당)다나카 하지메 (일본사회당)스도 고로 (일본공산당)기무라 기하치로 (노농당)호소카와 카로쿠 (일본공산당)모리 하치이치 (무소속)



보궐 당선 (임기 3년) - 제1회에서 선출된 야나가와 소자에몬, 마쓰모토 지이치로, 다나카 고타로, 히가시우라 쇼지, 게이쇼 가쓰자에몬, 아라이 하치로의 결원에 따른 것.

51-56나카야마 도시히코 (자유당)오가와 히사요시 (무소속)스즈키 교이치 (자유당)쓰바키 시게오 (일본사회당)야마하나 히데오 (일본사회당)테라오 유타카 (자유당)


5. 주요 정당 및 정치인

정당명당 대표/주요 인물
자유당총재: 요시다 시게루, 간사장: 히로카와 고젠
일본사회당중앙집행위원장: (궐석), 서기장: 아사누마 이네지로
녹풍회의원총회 의장: 도쿠가와 무네타카
국민민주당최고위원장: 도마베치 기사조
일본공산당서기장: 도쿠다 규이치
노동자농민당주석: 구로다 히사오
농민협동당히가시 다카시, 마쓰우라 데이기 등


참조

[1] 웹사이트 Table 13: Persons Elected and Votes Polled by Political Parties -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2011-03-23
[2] 웹사이트 27-11 Allotted Number, Candidates, Eligible Voters as of Election Day, Voters and Voting Percentages of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2006-01-04
[3] 서적 第2回参議院議員選挙一覧(昭和25年版) https://dl.ndl.go.jp[...] 参議院事務局
[4] 간행물 『官報』号外第58号 https://dl.ndl.go.jp[...] 1950-06-06 #추정 날짜. 쇼와 25년 6월 6일을 1950년 6월 6일로 변환
[5] 웹사이트 有権者数及び投票率の推移 https://www.pref.to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