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온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개국공신, 정사공신, 좌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한천군, 부원군에 봉해졌다. 1392년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1400년 문하부참찬사를 지냈다. 1401년에는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고 명나라에 성절사로 다녀왔으며, 1402년 의정부찬성사와 동북면찰리사를 역임했다. 1400년 제1차 왕자의 난 당시 이방원에게 붙었다는 이유로 유배되었으나, 사헌부 등의 변호로 풀려났다. 아버지 조인벽은 용원부원군이며, 태조 이성계의 누이인 정화공주가 계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7년 사망 - 루이 2세 당주
앙주 공작 루이 1세의 아들인 루이 2세 당주는 앙주 가문의 유산을 상속받아 프로방스 백작이 되었고 나폴리 왕국 계승권을 주장하며 경쟁했으나 왕위 획득에는 실패했으며, 엑상프로방스에 대학교를 설립하고 프랑스 궁정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1417년 사망 - 이천우 (조선)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인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 조선 건국에 참여한 공신으로서 왜구 토벌에 공을 세웠고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지지하여 공신에 책록, 완산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사후 태종 묘정에 배향, 시호는 양도이다. - 1347년 출생 - 조인옥
조인옥은 공민왕 때 벼슬을 시작하여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1등공신으로 녹훈되었으며, 용성군, 한산군에 봉해지고 사후 충정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1347년 출생 - 이숭인
이숭인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로,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고, 정몽주 등과 함께 성균관에서 학관을 겸하며 명나라와의 외교 업무를 수행했으나, 정도전 등과 정치적 견해를 달리하며 유배와 감금을 반복하다 조선 건국 후 정몽주의 일당으로 몰려 처형당했다. - 좌명공신 - 이지란
이지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건주여진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왜구 토벌과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군에 봉해졌으며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좌명공신 - 이종무
이종무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태종을 도와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세종 원년에 삼군도체찰사로서 대마도 정벌을 지휘했으며, 사후 양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조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지 | 고려 |
직업 | 문신 |
별명 | 시호는 양절(良節) |
2. 이력
조온은 1392년(태조 1)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고 한천군(漢川君)에 봉해졌다. 1398년(태조 7)에는 친군위도진무(親軍衛都鎭撫)로서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1400년(정종 2) 문하부(門下府)참찬사(參贊事) 겸 삼사좌사(三司左使)가 되었다. 1401년(태종 1) 의정부(議政府)참찬사(參贊事)로 있을 때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고, 부원군(府院君)으로 진봉(進封)되었으며,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2년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 겸 동북면찰리사(東北面察理使)가 되었다.
2. 1. 주요 관직
조온은 1392년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어 한천군(漢川君)에 봉해졌다. 1398년에는 친군위도진무(親軍衛都鎭撫)가 되고,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1400년(정종 2) 문하부참찬사(門下府參贊事)와 삼사좌사(三司左使)를 역임했다. 1401년 의정부참찬사(議政府參贊事)가 되고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으며,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지고 성절사(聖節使)가 되었다. 1402년에는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와 동북면찰리사(東北面察理使)를 역임했다.2. 2. 공신 책봉
조온은 1392년(태조 1)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고 한천군(漢川君)에 봉해졌다. 1398년(태조 7)에는 친군위도진무(親軍衛都鎭撫)로서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1400년(정종 2) 문하부참찬사(門下府參贊事) 겸 삼사좌사(三司左使)가 되었다. 1401년(태종 1) 의정부참찬사(議政府參贊事)로 있을 때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고, 부원군(府院君)으로 진봉(進封)되었으며,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2년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 겸 동북면찰리사(東北面察理使)가 되었다.3. 유배와 복권
1400년(정종 2년), 태상왕은 세자 이방원에게 '조온은 지난 난리 때 나를 배반하고, 너에게 붙은 것은 신하로서 두 개의 마음을 가진 불충의 죄를 저질렀다'라고 하였다.[1] 이방원은 임금에게 이를 고하여 조온을 완산부(完山府)에 귀양 보내게 하였다.[1] 이 때 태상왕은 조온과 함께 이무와 조영무도 같이 귀양을 보내도록 하였다.[1] 그러나 사헌부와 병조 등에서 조온 및 이무, 조영무 등은 정사공신이니 풀어줄 것을 청하였고, 대신들도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이들을 변호하니 조온 및 이무, 조영무는 유배 명령이 떨어진 그 날로 풀려났다.[1]
3. 1. 유배 배경
1400년(정종 2년), 태상왕은 세자 이방원에게 '조온은 지난 난리 때 나를 배반하고 너에게 붙은 것은 신하로서 두 마음을 품은 불충'이라 말했다.[1] 이방원은 왕에게 이를 고하여 조온을 완산부(完山府)에 귀양 보내도록 했다.[1] 태상왕은 조온과 함께 이무와 조영무도 귀양 보내도록 했다.[1] 그러나 사헌부와 병조 등에서 조온, 이무, 조영무 등은 정사공신이니 풀어줄 것을 청했고, 대신들도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이들을 변호하여 유배 명령이 내려진 당일 풀려났다.[1]3. 2. 유배와 복권
1400년(정종 2년), 태상왕은 세자 이방원에게 '조온은 지난 난리 때 나를 배반하고, 너에게 붙은 것은 신하로서 두 개의 마음을 가진 불충의 죄를 저질렀다'라고 하였다.[1] 이방원은 임금에게 이를 고하여 조온을 완산부(完山府)에 귀양 보내게 하였다.[1] 이 때 태상왕은 조온과 함께 이무와 조영무도 같이 귀양을 보내도록 하였다.[1] 그러나 사헌부와 병조 등에서 조온 및 이무, 조영무 등은 정사공신이니 풀어줄 것을 청하였고, 대신들도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이들을 변호하니 조온 및 이무, 조영무는 유배 명령이 떨어진 그 날로 풀려났다.[1]4. 가족 관계
- 아버지 : 용원부원군 조인벽(趙仁璧)[2]
- 어머니 : 하동 정씨
- 계모 : 정화공주 - 태조 이성계의 동복 누나
- 장남 : 첨지중추부사 조의(趙儀)
- 차남 : 자헌대부 지중추원사 한풍군 조완(趙琓)
- 3남 : 도제별장 조하(趙河)
- 4남 : 선공감정 증이조참판 조흥(趙興)
- 5남 : 의영고사 증이조참판 조육(趙育)
- 자부 : 용인 이씨
- 손자 : 적장손 조증, 조충손(趙衷孫)
- 장녀 : 이중경(李仲慶)의 처
- 차녀 : 윤희전(尹希錢)의 처
- 3녀 : 이소인(李紹仁)의 처
4. 1. 본인 및 배우자
- 아버지 : 용원부원군 조인벽(趙仁璧)[2]
- 어머니 : 하동 정씨
- 계모 : 정화공주 - 태조 이성계의 동복 누나
- 장남 : 첨지중추부사 조의(趙儀)
- 차남 : 자헌대부 지중추원사 한풍군 조완(趙琓)
- 3남 : 도제별장 조하(趙河)
- 4남 : 선공감정 증이조참판 조흥(趙興)
- 5남 : 의영고사 증이조참판 조육(趙育)
- 자부 : 용인 이씨
- 손자 : 적장손 조증, 조충손(趙衷孫)
- 장녀 : 이중경(李仲慶)의 처
- 차녀 : 윤희전(尹希錢)의 처
- 3녀 : 이소인(李紹仁)의 처
4. 2. 자녀
- 아버지 : 용원부원군 조인벽[2]
- 어머니 : 하동 정씨[2]
- 계모 : 정화공주 - 태조 이성계의 동복 누나
- 장남 : 첨지중추부사 조의(趙儀)
- 차남 : 자헌대부 지중추원사 한풍군 조완(趙琓)
- 3남 : 도제별장 조하(趙河)
- 4남 : 선공감정 증이조참판 조흥(趙興)
- 5남 : 의영고사 증이조참판 조육(趙育)
- 자부 : 용인 이씨
- 장녀 : 이중경(李仲慶)의 처
- 차녀 : 윤희전(尹希錢)의 처
- 3녀 : 이소인(李紹仁)의 처
4. 3. 손자
용원부원군 조인벽과 하동 정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들에게는 조의, 조완, 조하, 조흥, 조육이 있었다.[2] 이들의 며느리는 용인 이씨이다. 조온의 적장손은 조증이며, 조충손이라는 손자도 있었다. 딸 셋은 각각 이중경, 윤희전, 이소인의 처가 되었다.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추가 정보 필요)
(추가 정보 필요)
[2]
웹사이트
국역 국조인물고 〈조온〉
https://terms.naver.[...]
(추가 정보 필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