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천우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형 이원계의 아들로, 궁술과 마술에 능하고 용모가 수려했다. 왜구 토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고, 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다. 이후 이방원을 도와 정사공신, 좌명공신에 녹선되었으며, 완산부원군에 봉해졌다. 명나라에 정조사로 다녀오기도 했으며, 의정부찬성사, 병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사후 태종 묘정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양도이다. 그는 조선 왕실 및 유력 가문과의 혼맥으로 복잡한 가족 관계를 형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54년 출생 - 류량
    류량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1382년 장원 급제 후 형조판서, 이조전서를 거쳐 우의정을 지냈으며, 정1품 공신으로 문성부원군에 봉해지고 시호는 충경이다.
  • 1354년 출생 - 남은
    남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이성계, 정도전 등과 조선 건국에 기여하여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정도전과 함께 요동 정벌을 추진하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에게 살해되었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조선의 후작 - 화의군
    화의군 이영은 세종의 아들로 태어나 화의군에 봉해졌으나, 문란한 사생활과 단종 복위 운동 가담으로 고초를 겪었지만, 단종에 대한 충절을 인정받아 사후에 재평가되었다.
  • 조선의 후작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1417년 사망 - 루이 2세 당주
    앙주 공작 루이 1세의 아들인 루이 2세 당주는 앙주 가문의 유산을 상속받아 프로방스 백작이 되었고 나폴리 왕국 계승권을 주장하며 경쟁했으나 왕위 획득에는 실패했으며, 엑상프로방스에 대학교를 설립하고 프랑스 궁정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1417년 사망 - 조온
    조온은 조선 초 개국공신, 정사공신, 좌명공신에 책록되고 한천부원군에 봉해졌으며, 문하부참찬사, 의정부찬성사 등을 역임하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이천우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완산부원군 이천우 영정 (1774년 복제본)
한글이천우
한자李天祐
일본어 가나り てんゆう
일본어 가타카나イ・チョヌ
로마자 표기I Cheon-u
작위
작위후(侯)
군(君)
부원군(府院君)
별칭호(號)는 차산(此山)
시호(諡號)는 양도(襄度)
생애
출생일1354년
출생지원 간섭기 고려 함경도 화주
사망일1417년 (64세)
사망지조선 한성부
종교불교유교(성리학)
가족 관계
배우자삼한국대부인 여흥 민씨
자녀여양군 이굉(장남)
여성군 이완(차남)
여흥군 이선(3남)
아버지완풍대군 이원계
어머니경주 김씨 부인
친인척완원부원군 이양우(동복 형)
완남평부원군 이조(이복 아우)
원윤 이백온(이복 아우)
환조 이자춘(친조부)
후궁 한산 이씨(친조모)
의혜왕후 영흥 최씨(적조모)
정안옹주 김씨(서조모)
영성대군 이천계(동복 숙부)
조선 태조 이성계(이복 숙부)
의안대군 이화(이복 숙부)
대흥군 이연계(7촌 재종숙부)

2. 생애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형이었던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양우의 아우이고, 이후 동생 이조이백온이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궁술마술에 능했고, 용모가 수려했으며, 그릇이 컸다고 전해진다.[1]

1369년(공민왕 18년) 동녕부(東寧府)의 태수가 되었으나, 그해 사퇴하고 숙부 이성계의 휘하에 들어가 여러번 왜구 토벌에 출정, 참여하였다.[1] 왜구 토벌에 공을 세우고, 1392년(공양왕 4년) 7월 조선 건국에 참여하였다. 1393년 8월,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다.[1]

1393년(태조 2년) 8월 강천수 등 595인과 더불어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2]

1394년에 상의중추원사가 되고, 1396년 강원도조전절제사로 부임하여 강원도 지역을 침략하는 왜구를 토벌하고 해안가 단속 및 왜구 방비에 노력하였다. 이후 이방원의 편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1398년에 동지중추원사가 되었으며, 이해 이방원이 정변을 일으켜 정도전, 남은, 심효생 일파를 암살하자 이방원과 함께 형 이양우와 더불어 정사공신 2등관에 책록되고 150결의 공신전을 받았으며, 완산후의 작위를 받았다.

1400년(정종 2년) 판중추원사를 거쳐 지삼군부사(知三軍府事)로 있으면서 이방원회안대군 이방간 사이에 갈등으로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역시 이방원을 도와 방간군과 교전, 이방원이 승리하면서 좌명공신(佐命功臣) 2등관에 녹선되고 100결의 공신전을 지급받았다.

1404년 판사평부사를 지내고, 1407년 명나라에 정조사가 파견될 때 정조부사로 북경에 다녀왔다.[1] 이듬해 귀국, 그해 의정부찬성사에 오르고, 이후 병조판서를 지냈다.[1] 1409년 병조판서로서 삼군진무소가 신설되자 삼군진무소 도진무도총제를 겸임하였다.[1]

1410년 판의흥부사에 이어 다시 의정부찬성사가 되고, 판의용순금사사를 겸임하였으며, 1413년 이조판서 등을 거쳐 서북면도체찰사로 나갔다.[1] 1414년 소환,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완산부원군이 되었고, 의금부 도제조를 지낸 뒤 다시 의정부찬성사에 재임명되었다.[1]

궁술마술에 능했고, 용모가 수려했다.[1]

사후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고, 전라도 영광의 묘장영당에 제향되었다.[1] 시호는 양도(襄度)이다.[1]

2. 1. 군인, 왜구 토벌 활동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형이었던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양우의 아우이고, 이후 동생 이조이백온이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궁술마술에 능했고, 용모가 수려했으며, 그릇이 컸다고 전해진다.[1]

1369년(공민왕 18년) 동녕부(東寧府)의 태수가 되었으나, 그해 사퇴하고 숙부 이성계의 휘하에 들어가 여러번 왜구 토벌에 출정, 참여하였다.[1] 왜구 토벌에 공을 세우고, 1392년(공양왕 4년) 7월 조선 건국에 참여하였다. 1393년 8월,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다.[1]

2. 2. 조선 건국 이후

궁술마술에 능했고, 용모가 수려했다. 1369년, 동녕부에서 일하고 있었으나, 이성계의 지휘 아래 왜구 토벌에 공을 세웠다.[1] 1393년 8월, 강천수 등 595인과 더불어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2] 1394년, 상의중추원사가 되었고, 1396년에는 강원도 조전절제사가 되어 강원도 지역을 침략하는 왜구를 토벌하고 해안가 단속 및 왜구 방비에 노력하였다.[1]

1398년, 이방원이 정변을 일으켜 정도전, 남은, 심효생 일파를 암살하자 이방원과 함께 형 이양우와 더불어 정사공신 2등관에 책록되고 150결의 공신전을 받았으며, 완산후의 작위를 받았다. 같은 해 정사공신, 완산후에 봉해졌다.[1]

1400년(정종 2년)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이방원을 도와 이방간군과 교전, 이방원이 승리하면서 좌명공신(佐命功臣) 2등관에 녹선되고 100결의 공신전을 지급받았다. 이후 삼군부사, 좌명공신, 사평부사, 의용순금사사, 완산부원군을 역임했다.[1]

2. 2. 1. 제1차 왕자의 난

1393년(태조 2년) 8월 강천수 등 595인과 더불어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2]

1394년에 상의중추원사가 되고, 1396년 강원도조전절제사로 부임하여 강원도 지역을 침략하는 왜구를 토벌하고 해안가 단속 및 왜구 방비에 노력하였다. 이후 이방원의 편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1398년에 동지중추원사가 되었으며, 이해 이방원이 정변을 일으켜 정도전, 남은, 심효생 일파를 암살하자 이방원과 함께 형 이양우와 더불어 정사공신 2등관에 책록되고 150결의 공신전을 받았으며, 완산후의 작위를 받았다.

2. 2. 2. 제2차 왕자의 난

1400년(정종 2년) 판중추원사를 거쳐 지삼군부사(知三軍府事)로 있으면서 이방원회안대군 이방간 사이에 갈등으로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역시 이방원을 도와 방간군과 교전, 이방원이 승리하면서 좌명공신(佐命功臣) 2등관에 녹선되고 100결의 공신전을 지급받았다.

2. 3. 생애 후반

1404년 판사평부사를 지내고, 1407년 명나라에 정조사가 파견될 때 정조부사로 북경에 다녀왔다.[1] 이듬해 귀국, 그해 의정부찬성사에 오르고, 이후 병조판서를 지냈다.[1] 1409년 병조판서로서 삼군진무소가 신설되자 삼군진무소 도진무도총제를 겸임하였다.[1]

1410년 판의흥부사에 이어 다시 의정부찬성사가 되고, 판의용순금사사를 겸임하였으며, 1413년 이조판서 등을 거쳐 서북면도체찰사로 나갔다.[1] 1414년 소환,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완산부원군이 되었고, 의금부 도제조를 지낸 뒤 다시 의정부찬성사에 재임명되었다.[1]

궁술마술에 능했고, 용모가 수려했다.[1]

2. 4. 사후

사후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고, 전라도 영광의 묘장영당에 제향되었다.[1] 시호는 양도(襄度)이다.[1]

3. 가족 관계

이천우의 가족 관계는 조선 왕실 및 민제를 비롯한 유력 가문과의 혼맥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 할아버지 : 환조 이자춘
  • * 동복 숙부 : 영성대군 이천계: 환조 이자춘 형님 이자흥의 양자
  • * 이복 숙부 : 태조 이성계
  • * 이복 숙부: 의안대군 이화
  • 아버지 : 완풍대군 이원계
  • 전모 : 개성 김씨
  • * 친형 : 이양우
  • 친모 : 경주 김씨
  • 계모 : 남평 문씨
  • * 동생 : 이조
  • * 동생 : 이백온
  • 부인 : 삼한국대부인 여흥 민씨
  • * 아들 : 이굉(李宏)
  • * 며느리: 경주 김씨(월성부원군 김천서의 딸, 정안왕후의 여동생)
  • * 장인 : 민제
  • * 처남 :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무회
  • * 처제 : 원경왕후
  • * 처제 : 민씨
  • * 동서/사촌동생 : 이방원
  • ** 이질/5촌 당조카 : 세종대왕
  • * 동서/사촌동생 : 덕안대군 방연
  • * 동서 : 조박(趙璞)
  • * 동서 : 노한(盧閈)


그의 부인 여흥민씨는 민제의 딸이며,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무회는 그의 처남이다. 사촌동생들인 태종 이방원의 처 원경왕후덕안대군 방연의 처 여흥민씨는 모두 그의 처제들로, 사촌동생이면서 동서간이 된다. 양녕대군, 효령대군, 세종대왕, 성녕대군의 5촌 당숙이면서 이모부가 된다.

또한 며느리 중 한명은 사촌동생 정종의 왕비인 정안왕후의 여동생이다.

4. 이천우가 등장하는 작품

이천우는 조선 초기 역사를 다룬 여러 드라마에 등장하여 그의 삶과 업적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1] 용의 눈물 (KBS, 1996년~1998년, 배우: 김옥만)과 육룡이 나르샤 (SBS, 2015년~2016년, 배우: 최대성)에 등장하였다.

참조

[1] 뉴스 이천우(李天祐)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문서 정공신에 준하는 등급의 공신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