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몽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몽군은 1937년 12월 일본군이 내몽골과 화북 지역에 주둔하기 위해 창설된 부대이다. 중일 전쟁 기간 동안 몽강군과 몽골 기병대를 지원하고 훈련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1938년 7월 화북 방면군의 지휘를 받았다. 1939년 기병 집단이 추가되었고, 1942년에는 제4 기병 여단이 제12군으로, 기병 집단의 나머지 부대는 제3 전차 사단으로 전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군의 만주 침공에 대비하지 못했으며, 1946년 7월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7년 설립된 단체 - 애국금차회
애국금차회는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후 윤덕영 부인 김복수가 회장을 맡아 조직된 일제강점기 친일 단체로, 조선 귀족 부인들과 신교육 여성들이 일본군의 전쟁 수행을 위한 국방 헌금 모금 및 위문 활동을 펼쳤다. - 1937년 설립된 단체 - 미국 국립암연구소
미국 국립암연구소는 1937년 설립되어 암 연구를 주도하며, 원인과 치료법 연구, 정보 수집 및 배포, 연구 인프라 확대, 항암제 개발 등 암 관련 광범위한 분야를 지원하는 미국의 주요 기관이다. - 주중 일본군 - 지나 주둔군
지나 주둔군은 의화단 운동 진압을 위해 파견된 청나라 임시파견대를 기원으로 신축조약에 따라 1901년 창설된 일본 제국의 군대로, 중국 주재 일본인의 보호를 주 임무로 하였으나 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켜 중일 전쟁을 도발했다. - 주중 일본군 - 상하이 파견군
상하이 파견군은 제1, 2차 상하이 사변과 상하이 전투 당시 일본군이 상하이에 파견한 부대로, 편성 및 해체를 거쳐 난징 공략전에 참여하여 난징 대학살을 자행, 국제적 비난을 받았으며 중지나 방면군에 병합되어 해체 후 중지나 파견군으로 재편성되었다. - 1946년 해체된 단체 - 제5상륙군단
제5상륙군단은 1943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타라와, 사이판, 이오지마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며, 1946년 해체된 미국 해병대 군단이다. - 1946년 해체된 단체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주몽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부대 명칭 | 일본 몽골 주둔군 |
원어 명칭 | |
복무 기간 | 1937년 12월 27일 - 1946년 7월 27일 |
국가 | 일본 제국 |
군종 | 일본 제국 육군 |
병과 | 보병 |
역할 | 군단 |
주둔지 | 칼간 (Zhangjiakou) |
통칭 | 戌 (보) |
최종 상급 부대 | 북지나 방면군 |
지휘 구조 (1945년) | |
상위 부대 | 북지나 방면군 |
하위 부대 | 26 보병 사단 독립 혼성 제2 여단 |
주요 전투 | |
참전 | 만주 전략공세작전 |
2. 역사
주몽군은 1937년 12월 27일 내몽골과 화북 인접 지역에서 일본의 주둔군으로 창설되었다. 1938년 7월 4일부터 화북 방면군의 행정 관할을 받았다. 1939년 1월 제1 기병 여단과 제4 기병 여단으로 구성된 기병 집단이 추가되었다. 1942년 12월, 제4 기병 여단은 제12군으로 파견되었고, 기병 집단의 나머지 부대는 제3 전차 사단으로 전환되었다.
중일 전쟁과 소일 중립 조약으로 인해 내몽골은 주로 후방 지역이었고, 주몽군은 낡은 기병으로 몽강군과 몽골 기병대를 지원하고 훈련하는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 붉은 군대의 기갑 공격에 대비하지 못했으며, 1946년 7월 27일 공식 해산되었다. 생존자 다수는 소련의 일본군 포로가 되었다.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37년 ~ 1941년)
1937년 12월 27일, 주몽병단으로 창설되어 화베이에 있는 몽강연합자치정부의 몽고군을 보조하고 훈련하는 임무를 받았다. 1938년 7월 4일, 주몽군으로 군급 부대로 재편성되면서 북지나 방면군에 전속되었다. 같은 해 1월 4일 대륙명 제42호에 의해 주몽병단 편조가 하달되어 내몽골, 차난 및 진베이 지방의 경비에 임했다. 이후 주몽병단은 주몽군으로 개편되어 북지나 방면군 전투 서열에 편입, 몽강 방면에서의 군사 작전 및 점령 지역의 경비에 종사했다.1939년, 기병 제1, 제3, 제4여단으로 편성된 기병집단이 전속하였다. 중일 전쟁 기간 동안, 그리고 소일 중립 조약으로 인해 내몽골은 주로 후방 지역이었고, 몽골 수비군은 낡은 기병을 가지고 몽강군과 몽골 기병대를 지원하고 훈련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했다.
2. 2. 태평양 전쟁과 소련의 참전 (1941년 ~ 1945년)
1941년 4월 13일에 맺었던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파기한 소련은 1945년 8월 8일에 만주국을 향해 공세를 시작하였다.8월 20일, 포츠담 조약에 따라 중일 전쟁의 총책임자인 지나 파견군 사령관은 무장해제 정전명령에 따른 항복 명령을 내렸으나, 주몽군은 이를 현실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거부하고 진군하는 극동전선군을 공격하였다. 약 4만 명의 재류 일본인의 후송이 완료되는 8월 21일까지 방어 전투를 수행하였다. 그 후, 경계를 늦추지 않으면서 8월 27일까지 전투를 벌이고 베이징에서 50km 떨어진 스서우시 난커우로 후퇴하였다. 극동전선군의 대규모 기갑강습에서 살아남은 잔존병력은 1946년 7월 27일에 전쟁포로가 되었다.
3. 지휘부
주몽군의 지휘부는 다음과 같다.
'''사령관'''
순서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하스누마 시게루 중장 | 1937년 12월 28일 | 1939년 8월 31일 |
2 | 스기야마 하지메 원수 | 1939년 8월 31일 | 1939년 9월 12일 |
3 | 오카베 나오사부로 대장 | 1939년 9월 12일 | 1940년 9월 29일 |
4 | 야마와키 마사타카 중장 | 1940년 9월 29일 | 1941년 1월 20일 |
5 | 아마카스 시게타로 중장 | 1941년 1월 20일 | 1942년 3월 2일 |
6 | 시치다 이치로 중장 | 1942년 3월 2일 | 1943년 5월 28일 |
7 | 고즈키 요시오 중장 | 1943년 5월 28일 | 1944년 11월 22일 |
8 | 네모토 히로시 중장 | 1944년 11월 23일 | 1945년 8월 19일 |
'''참모장'''
순서 | 이름 | 기간 |
---|---|---|
1 | 이시모토 토라조 | 1937년 12월 28일 ~ 1939년 1월 13일 |
2 | 다나카 신이치 | 1939년 2월 12일 ~ 1940년 8월 1일 |
3 | 다카하시 시게루 | 1940년 8월 1일 ~ 1941년 10월 21일 |
4 | 이나무라 도요지로 | 1941년 10월 21일 ~ 1942년 12월 1일 |
5 | 야노 마사오 | 1942년 12월 1일 ~ 1944년 10월 26일 |
6 | 나카가와 료조 | 1944년 10월 26일 ~ 1945년 8월 19일 |
3. 1. 사령관
순서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하스누마 시게루 중장 | 1937년 12월 28일 | 1939년 8월 31일 |
2 | 스기야마 하지메 원수 | 1939년 8월 31일 | 1939년 9월 12일 |
3 | 오카베 나오사부로 대장 | 1939년 9월 12일 | 1940년 9월 29일 |
4 | 야마와키 마사타카 중장 | 1940년 9월 29일 | 1941년 1월 20일 |
5 | 아마카스 시게타로 중장 | 1941년 1월 20일 | 1942년 3월 2일 |
6 | 시치다 이치로 중장 | 1942년 3월 2일 | 1943년 5월 28일 |
7 | 고즈키 요시오 중장 | 1943년 5월 28일 | 1944년 11월 22일 |
8 | 네모토 히로시 중장 | 1944년 11월 23일 | 1945년 8월 19일 |
3. 2. 참모장
순서 | 이름 | 기간 |
---|---|---|
1 | 이시모토 토라조 | 1937년 12월 28일 ~ 1939년 1월 13일 |
2 | 다나카 신이치 | 1939년 2월 12일 ~ 1940년 8월 1일 |
3 | 다카하시 시게루 | 1940년 8월 1일 ~ 1941년 10월 21일 |
4 | 이나무라 도요지로 | 1941년 10월 21일 ~ 1942년 12월 1일 |
5 | 야노 마사오 | 1942년 12월 1일 ~ 1944년 10월 26일 |
6 | 나카가와 료조 | 1944년 10월 26일 ~ 1945년 8월 19일 |
4. 부대 편성
주몽군은 여러 차례 편성이 변경되었다.
1939년에는 제1, 3, 4여단으로 편성된 기병집단이 주몽군에 전속되었다. 당시 주몽군의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
부대 | 지휘관 |
---|---|
제26사단 | 구로다 시게노리 중장 |
기병집단 | 고지마 기치조 중장 |
독립혼성 제2여단 | 히토미 요이치 소장 |
태평양 전쟁 초기에는 제26사단, 독립혼성 제2여단, 기병집단 등이 주몽군을 구성했다. 기병집단은 기병 제1여단과 기병 제4여단으로 편성되었다. 이외에도 고사포 제21연대, 전신 제11연대, 자동차 제23연대가 주몽군 소속이었다.
1942년에는 기병집단이 전차 제3사단으로 재편성되고, 제4기병여단은 제12군으로 전속되었다.
1944년에는 제118사단과 독립혼성 제2여단이 주몽군에 소속되었다. 제26사단은 필리핀 전역에 배치되었고, 제118사단은 제13군에, 전차 제3사단은 제12군에 소속되었다.
종전 당시 주몽군은 독립혼성 제2여단, 제4독립경비대, 자동차 제23연대, 전신 제11연대, 독립 유선 제130중대, 독립 유선 제131중대, 제166병참병원, 제167병참병원, 제198병참병원, 제199병참병원으로 구성되었다.
4. 1. 1939년
1939년, 제1, 3, 4여단으로 편성된 기병집단이 주몽군에 전속되었다.1939년 말 주몽군의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
부대 | 지휘관 |
---|---|
제26사단 | 구로다 시게노리 중장 |
기병집단 | 고지마 기치조 중장 |
독립혼성 제2여단 | 히토미 요이치 소장 |
4. 2. 태평양 전쟁 초기 (1941년)
주몽군은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제26사단, 독립혼성 제2여단, 기병집단 등으로 구성되었다. 기병집단은 기병 제1여단과 기병 제4여단으로 편성되었다. 이외에도 고사포 제21연대, 전신 제11연대, 자동차 제23연대가 주몽군 소속이었다.
4. 3. 1942년 ~ 1943년
1942년 12월 1일, 기병집단이 전차 제3사단으로 재편성되고, 제4기병여단은 제12군으로 전속되었다. 당시 주몽군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부대 |
---|
제26사단 |
전차 제3사단 |
독립혼성 제2여단 |
전신 제11연대 |
자동차 제23연대 |
4. 4. 1944년
부대 |
---|
제118사단 |
독립혼성 제2여단 |
전신 제11연대 |
자동차 제23연대 |
- 제26사단은 1944년 7월, 필리핀 전역에 배치되었다.
- 제118사단은 1944년 7월부터 1945년 4월까지 제13군에 소속되었다.
- 전차 제3사단은 1944년 4월, 제12군에 소속되었다.
4. 5. 종전 (1945년)
부대 | 지휘관 | 비고 |
---|---|---|
독립혼성 제2여단 | 유노가와 타츠오 소장 | |
제4독립경비대 | 사카모토 키치타로 소장 | |
자동차 제23연대 | 후쿠다 하츠키로 중좌 | |
전신 제11연대 | 나가오카 모리타카 중좌 | |
독립 유선 제130중대 | | | |
독립 유선 제131중대 | | | |
제166병참병원 | 장자커우 | |
제167병참병원 | 마츠오카 초에이 군의 중좌 | 다퉁 |
제198병참병원 | 바오터우 | |
제199병참병원 | 핑디취안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