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고 일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고 일본어는 794년부터 1185년까지 사용된 일본어의 한 형태로, 헤이안 시대에 사용되었다. 만요가나에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파생되었으며, 다케토리모노가타리, 이세모노가타리, 겐지모노가타리와 같은 고전 문학 작품이 등장했다. 문자 체계는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로 구성되었으며, 음운 체계는 억양을 알 수 있는 성점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문법은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를 가지며,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조사, 조동사 등 다양한 문법 요소가 사용되었다. 어휘는 고유어와 한자어로 나뉘며, 문체에 따라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의 역사 - 만요가나
    만요가나는 7세기경부터 사용된 일본어 표기 방식으로,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일본어를 표기했으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일본어의 역사 - 음편
    음편은 일본어의 음운 변화 현상으로, 한자음의 영향으로 발생했으며, 동사, 형용사 등에서 나타나고 우 음편, 발음편, 이 음편, 촉음편 등으로 분류된다.
  • 일본어 - 이로하 노래
    이로하 노래는 일본어 가나 전체를 사용하여 지은 7·5조 가요 형식의 시로, 불교적 무상함을 노래하며, 가나 손글씨 연습과 일본어 순서 표기에 활용되었고, 작자 미상에 다양한 해석과 이야기가 전해진다.
  • 일본어 - 후리가나
    후리가나는 일본어 한자 위에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 기호이며, 학습 자료, 만화, 표지판 등에서 활용되고,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등으로 표기된다.
중고 일본어
기본 정보
이름초기 중세 일본어
고유 이름中古日本語
시대12세기 말 후기 중세 일본어로 발전
지역일본
어족일본어족
어파일본어
조상 언어고대 일본어
문자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ISO 639-3ojp (고대 일본어)
링글리스트ojp
링글리스트 이름"현대 일본어의 조상. 서기 7~10세기." 고대 일본어에서 중세 일본어로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800년경 (나라 시대 말)으로 간주됨.
글롯로그없음
언어학적 특징
음운론국제음성기호 (IPA) 표기 사용
역사
발전 시기헤이안 시대
이전 단계상대 일본어
다음 단계중세 일본어
문서
헤이안 시대 초기에 쓰여진 가장 오래된 초서체 가나. 만요가나에서 히라가나가 탄생했음을 보여줌.

2. 배경

고대 일본어에서는 고대 한국어의 이두처럼 한자를 차용해서 일본어를 옮기고 있었으나, 헤이안 시대에는 견당사가 폐지되어 독자적인 국풍 문화가 발전하면서 표기 면에서도 만요가나에서부터 히라가나가타카나가 파생하여 나타났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 일본어 표기가 간략화되고 문학의 새 시대가 열려, 다케토리 이야기, 이세 이야기, 겐지 이야기 같은 고전이 등장하였다. 거기에 한자·가나 혼용문에 의한 새로운 문체도 생겨나게 되었다.

3. 문자 체계

중고 일본어의 문자 체계는 한자와 표음 문자인 히라가나, 가타카나의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한자를 표음 문자로 사용한 것을 만요가나라고 부른다. 히라가나는 만요가나의 초서체에서, 가타카나는 한자의 일부분을 생략한 형태에서 유래하였다.

서기 형식으로는 한문을 일본식으로 변형시킨 변체한문이 있으며, 옛 기록에 자주 쓰여 '기록체'라고도 불린다. 변체한문에는 만요가나를 섞기도 했다. 히라가나와 한자를 섞어 쓰는 '히라가나·한자 혼용문'은 와카나 이야기 형식의 문헌에 주로 쓰였다. 가타카나는 한문 훈독에 사용되거나 사적인 문서에 '가타카나문'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한자·가타카나 혼용문'은 9세기 동대사의 기록에 사용된 예가 있으나, 문학 작품에서 활발하게 쓰인 것은 12세기 이후이다.[2]

초기 중세 일본어의 음소와 가나의 관계는 아래 표와 같다.

초기 중세 일본어의 음소와 가나
음소
만엽, 히라, 가타
Ø
ア行일본어
カ行일본어サ行일본어タ行일본어/n/
ナ行일본어
ハ行일본어/m/
マ行일본어
/j/
ヤ行일본어
/r/
ラ行일본어
/w/
ワ行일본어
/k//g//s//z//t//d//ɸ//b/
/a/
ア段일본어
/a/
安、あ、ア일본어
/ka//ga//sa//za//ta//da//na/
奈、な、ナ일본어
/ɸa//ba//ma/
末、ま、マ일본어
/ja/
也、や、ヤ일본어
/ra/
良、ら、ラ일본어
/wa/
和、わ、ワ일본어
加、か、カ일본어左、さ、サ일본어太、た、タ일본어波、は、ハ일본어
/i/
イ段일본어
/i/
以、い、イ일본어
/ki//gi//si//zi//ti//di//ni/
仁、に、ニ일본어
/ɸi//bi//mi/
美、み、ミ일본어
Ø/ri/
利、り、リ일본어
/wi/
爲、ゐ、ヰ일본어
幾、き、キ일본어之、し、シ일본어知、ち、チ일본어比、ひ、ヒ일본어
/u/
ウ段일본어
/u/
宇、う、ウ일본어
/ku//gu//su//zu//tu//du//nu/
奴、ぬ、ヌ일본어
/ɸu//bu//mu/
武、む、ム일본어
/ju/
由、ゆ、ユ일본어
/ru/
留、る、ル일본어
Ø
久、く、ク일본어寸、す、ス일본어川、つ、ツ일본어不、ふ、フ일본어
/e/
エ段일본어
/e/
衣、え、일본어
15x15px
/ke//ge//se//ze//te//de//ne/
禰、ね、ネ일본어
/ɸe//be//me/
女、め、メ일본어
/je/
江、𛀁、エ일본어
/re/
礼、れ、レ일본어
/we/
惠、ゑ、ヱ일본어
計、け、ケ일본어世、せ、セ일본어天、て、テ일본어部、へ、ヘ일본어
/o/
お段일본어
/o/
於、お、オ일본어
/ko//go//so//zo//to//do//no/
乃、の、ノ일본어
/ɸo//bo//mo/
毛、も、モ일본어
/jo/
與、よ、ヨ일본어
/ro/
呂、ろ、ロ일본어
/wo/
遠、を、ヲ일본어
己、こ、コ일본어曽、そ、ソ일본어止、と、ト일본어保、ほ、ホ일본어



표의 각 칸에 있는 만요가나는 각 일본어 음절을 표기하는 한 가지 가능성만 보여주며, 선택된 한자는 해당 현대 히라가나의 직접적인 기원이다. 유성음과 무성음을 나타내는 다른 한자를 지정했지만,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유성음을 표시하기 위해 탁점(゛) 기호를 표준화하여 사용한 것은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서이다.

3. 1. 문자 체계의 변화와 한일 관계

헤이안 시대 초기에는 고대 한국어의 이두처럼 한자를 빌려 일본어를 표기했으나, 9세기 중반 견당사가 중단되고 국풍 문화가 발전하면서 만요가나에서 히라가나가타카나가 만들어졌다. 이로 인해 일본어 표기가 간략화되고 다케토리 이야기, 이세 이야기, 겐지 모노가타리와 같은 고전 문학 작품이 등장했다. 또한 한자와 가나를 섞어 쓰는 새로운 문체도 나타났다.

4. 음운

중고 일본어의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11세기 초, 어두에서 아행(ア行)의 オ(/o/)와 와행(ワ行)의 ヲ(/wo/)의 구별이 사라졌다. 1075년에 성립된 《실담요집기(悉曇要集記)》에는 オ만 존재하고 ヲ는 쓰이지 않았다.[5][6][7]

10세기 중반까지 아행(ア行)의 エ(/e/)와 야행(ヤ行)의 エ(/je/)가 구별되었으나, 이후 /je/로 통합되었다. 기노 쓰라유키(紀貫之)의 《도사일기(土佐日記)》(935년 경)에는 두 글자의 구별이 나타난다. 미나모토노 시타고(源順) (911~983)의 《미나모토노 시타고집(源順集)》에 실린 아메쓰치노코토바에는 'え'가 두 번 나와 구별이 있던 시대의 것임을 알 수 있다. 미나모토노 다메노리(源為憲)의 《구유(口遊)》(970년)에 실린 다이니노우타와 이로하 노래에는 구별이 없다.[5][6][7]

상대 특수 가나 사용법의 구별은 거의 사라졌으며, 9세기에는 コ의 갑을 구분이 약간 남아 있었으나 곧 소멸했다.[3]

ハ행의 자음은 무성 양순 마찰음이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28] 다만 어두 이외의 위치에서는 11세기 경까지 /w/|/w/일본어로 변화·합류했다. 이를 하행전호(ハ行転呼)라고 부른다.

サ행과 ザ행의 자음은 각각 /ɕ/, /ʑ/, /tɕ/, /dʑ/, /ts/, /dz/와 같은 파찰음이었을 가능성이 있다.[28]

オ와 ヲ가 합류한 이후, /wo/|/wo/일본어로 발음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28]

10세기에는 /e/|/e/일본어와 /je/|/je/일본어가 /je/|/je/일본어로 점진적으로 합쳐졌고, /o/|/o/일본어와 /wo/|/wo/일본어는 11세기까지 /wo/|/wo/일본어로 합쳐졌다.[5][6][7]

어떤 어휘에는 ブ(부)와 ム(무)의 혼동이 있었다. (예: けぶり(케부리)ーけむり(케무리), さぶしい(사부시이)ーさむしい(사무시이), ねむる(네무루)ーねぶる(네부루)).

'''모음 음소'''
/a/|/a/일본어
/i/|/i/일본어
/u/|/u/일본어
/e/|/e/일본어
/o/|/o/일본어



'''자음 음소'''
양순치경경구개연구개
비음/m/|/m/일본어/n/|/n/일본어colspan="2" |colspan="2" |
파열음/p/|/p/일본어 | /b/|/b/일본어/t/|/t/일본어 | /d/|/d/일본어colspan="2" |/k/|/k/일본어 | /ɡ/|/ɡ/일본어
마찰음/ɸ/|/ɸ/일본어 |/s/|/s/일본어 | /z/|/z/일본어colspan="2" |colspan="2" |
유음colspan="2" |/r/|/r/일본어colspan="2" |colspan="2" |
반모음colspan="2" |colspan="2" |/j/|/j/일본어/w/|/w/일본어



고대 특수 가나 사용법(Jōdai Tokushu Kanazukai)에서 볼 수 있는 특정 철자 구분의 상실은 중고 일본어 시기 음운 변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는 두 가지 유형의 コ|코일본어 , キ|키일본어, ヒ|히일본어를 구분했는데, 고대 일본어(Old Japanese) 단계 말기에 이미 흐릿해지기 시작하여 초기 중고 일본어에서는 완전히 사라졌다. 마지막으로 사라진 구분은 /ko1, go1/ 대 /ko2, go2/였다.[3] 예를 들어, 초기 중고 일본어 초기인 800년경에는 같은 텍스트에서 /ko1/는 초서체 「古|こ일본어」로, /ko2/는 초서체 「已|こ일본어」로 표기되었다.[4]

중국어(Chinese language) 차용어의 증가는 여러 음운적 영향을 미쳤는데, 구개음화(Palatalization (phonetics))]>[8]

4. 1. 음소

중고 일본어의 음소는 다음과 같다.

  • 11세기 초, 어두에서 아행(ア行)의 オ(/o/)와 와행(ワ行)의 ヲ(/wo/)의 구별이 사라졌다. 1075년에 성립된 《실담요집기(悉曇要集記)》에는 オ만 존재하고 ヲ는 쓰이지 않았다.[5][6][7]
  • 10세기 중반까지 아행(ア行)의 エ(/e/)와 야행(ヤ行)의 エ(/je/)가 구별되었으나, 이후 /je/로 통합되었다. 기노 쓰라유키(紀貫之)의 《도사일기(土佐日記)》(935년 경)에는 두 글자의 구별이 나타나지만, 미나모토노 시타고(源順)](911~983)의 《미나모토노 시타고집(源順集)》에 실린 아메쓰치노코토바에는 'え'가 두 번 나와 구별이 있던 시대의 것임을 알 수 있다. 미나모토노 다메노리(源為憲)의 《구유(口遊)》(970년)에 실린 다이니노우타에는 구별이 없고, 이로하 노래에도 마찬가지로 구별이 없다.[5][6][7]
  • 상대 특수 가나 사용법의 구별은 거의 사라졌으며, 9세기에는 コ의 갑을 구분이 약간 남아 있었으나 곧 소멸했다.[3]


중고 일본어 초기 음절(직음과 청음)
ア段イ段ウ段エ段オ段
아행(ア行)aiueo
가행(カ行)kakikukeko, kwo
사행(サ行)sasisuseso
타행(タ行)tatituteto
나행(ナ行)naninuneno
하행(ハ行)papipupepo
마행(マ行)mamimumemo
야행(ヤ行)jajujejo
라행(ラ行)ɾaɾiɾuɾeɾo
와행(ワ行)wawiwewo


4. 2. 음성

ハ행의 자음은 무성 양순 마찰음이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28] 다만 어두 이외의 위치에서는 11세기 경까지 /w/|/w/일본어로 변화·합류했다. 이를 하행전호(ハ行転呼)라고 부른다.

サ행과 ザ행의 자음은 각각 /ɕ/, /ʑ/, /tɕ/, /dʑ/, /ts/, /dz/와 같은 파찰음이었을 가능성이 있다.[28]

オ와 ヲ가 합류한 이후, /wo/|/wo/일본어로 발음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28]

10세기에는 /e/|/e/일본어와 /je/|/je/일본어가 /je/|/je/일본어로 점진적으로 합쳐졌고, /o/|/o/일본어와 /wo/|/wo/일본어는 11세기까지 /wo/|/wo/일본어로 합쳐졌다.[5][6][7]

어떤 어휘에는 ブ(부)와 ム(무)의 혼동이 있었다. (예: けぶり(케부리)ーけむり(케무리), さぶしい(사부시이)ーさむしい(사무시이), ねむる(네무루)ーねぶる(네부루)).

'''모음 음소'''
/a/|/a/일본어
/i/|/i/일본어
/u/|/u/일본어
/e/|/e/일본어
/o/|/o/일본어



'''자음 음소'''
양순치경경구개연구개
비음/m/|/m/일본어/n/|/n/일본어colspan="2" |colspan="2" |
파열음/p/|/p/일본어 | /b/|/b/일본어/t/|/t/일본어 | /d/|/d/일본어colspan="2" |/k/|/k/일본어 | /ɡ/|/ɡ/일본어
마찰음/ɸ/|/ɸ/일본어 |/s/|/s/일본어 | /z/|/z/일본어colspan="2" |colspan="2" |
유음colspan="2" |/r/|/r/일본어colspan="2" |colspan="2" |
반모음colspan="2" |colspan="2" |/j/|/j/일본어/w/|/w/일본어


4. 3. 음운 변화와 한일 관계

고대 특수 가나 사용법(Jōdai Tokushu Kanazukai)에서 볼 수 있는 특정 철자 구분의 상실은 중고 일본어 시기 음운 변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는 두 가지 유형의 , , 를 구분했는데, 고대 일본어(Old Japanese) 단계 말기에 이미 흐릿해지기 시작하여 초기 중고 일본어에서는 완전히 사라졌다. 마지막으로 사라진 구분은 /ko1, go1/ 대 /ko2, go2/였다.[3] 예를 들어, 초기 중고 일본어 초기인 800년경에는 같은 텍스트에서 /ko1/는 초서체 「古|こ일본어」로, /ko2/는 초서체 「已|こ일본어」로 표기되었다.[4]

10세기에는 와 가 로 점진적으로 합쳐졌고, 와 는 11세기까지 /wo/로 합쳐졌다.[5][6][7]

중국어(Chinese language) 차용어의 증가는 여러 음운적 영향을 미쳤는데, 구개음화(Palatalization (phonetics))]>[8]

5. 문법

중고 일본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며, 주제-술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중고 일본어의 문장은 크기 순서대로 문장, 구, 단어로 나눌 수 있다.


  • 문장 (文|ぶん일본어): 마침표(。)로 구분되는 의미 있는 단어들의 집합이다.
  • 예시 (『다케토리모노가타리』): 今は昔、竹取の翁といふ者ありけり。|이마와 무카시, 타케토리노 오키나토 이우 모노 아리케리.일본어
  • 한국어 번역: 지금은 옛날, 대나무를 베는 노인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었다.
  • 참고: '昔|무카시일본어'(옛날)는 명사이지만 사실상 "옛날이다"라는 의미의 술어이다. 초기 중세 일본어에서는 술어가 반드시 동사일 필요는 없었다.
  • (文節|분세쓰일본어): 의미에 따라 자연스럽게 구분되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 예시: 今は일본어일본어、竹取の일본어 翁と일본어 いふ일본어일본어 ありけり일본어
  • 조사 'は|와일본어'는 명사 '今|이마일본어'(지금)를 강조한다.
  • 조사 'の|노일본어'는 '竹取|타케토리일본어'(대나무를 베는, 복합 명사)와 '翁|오키나일본어'(노인)의 관계를 나타낸다.
  • 조사 'と|토일본어'는 '竹取|타케토리일본어'로 수식된 호칭 '翁|오키나일본어'를 동사 'いふ|이우일본어'(말하다)에 연결한다.
  • 조동사 'けり|케리일본어'는 동사 'あり|아리일본어'(있다)가 묘사하는 것이 과거의 소문이지 직접 경험이 아님을 나타낸다.
  • 단어 (単語|탄고일본어): 가장 작은 문법 단위이다.
  • 예시: 今일본어일본어일본어、竹取일본어일본어일본어일본어 いふ일본어일본어 あり일본어 けり일본어
  • 참고: '竹取|타케토리일본어'는 명사 '竹|타케일본어'와 동사 '取り|토리일본어'(얻다, 원형)의 결합이지만, 모든 복합 명사, 동사, 형용사는 단일 문법 단위로 간주된다.


중고 일본어는 상대 일본어와 달리 성점 자료를 바탕으로 억양 체계를 알 수 있다. ⟨F⟩는 하강조, ⟨H⟩는 고조, ⟨R⟩는 상승조, ⟨L⟩는 저조를 의미한다.[29]

규칙적인 악센트 활용을 보이는 용언은 저기식(낮게 시작)과 고기식(높게 시작)으로 나뉜다. 이는 도쿄식 악센트의 유핵과 무핵에 대응하지만, 수도권 방언에서는 형용사의 경우 이 둘이 거의 합쳐져 있다.[29]

5. 1. 동사

活用の種類|かつようのしゅるい|가쓰요노슈루이일본어어간
語幹|ごかん|고칸일본어활용형
活用形|かつようけい|가쓰요케이일본어번역미연형
未然形|みぜんけい|미젠케이일본어연용형
連用形|れんようけい|렌요케이일본어종지형
終止形|しゅうしけい|슈시케이일본어렌타이형
連体形|れんたいけい|렌타이케이일본어이젠형
已然形|いぜんけい|이젠케이일본어명령형
命令形|めいれいけい|메이레이케이일본어사단 활용
四段|よだん|요단일본어|き|기}}|きか|기카}} (-a)|きき|기키}} (-i)|きく|기쿠}} (-u)|きけ|기케}} (-e)'듣다'상일단 활용
上一段|かみいちだん|가미이치단일본어- (-i)|みる|미루}} (-iru) (-ire) (-i[yo])'보다'|もち|모치}}|もちゐ|모치이}}|もちゐる|모치이루}}|もちゐれ|모치이레}}|もちゐよ|모치이요}}'쓰다'하일단 활용
下一段|しもいちだん|시모이치단일본어- (-e)|ける|게루}} (-eru) (-ere) (-e[yo])'차다'상이단 활용
上二段|かみにだん|가미니단일본어|す|스}}|すぎ|스기}} (-i)|すぐ|스구}} (-u)|すぐる|스구루}} (-uru)|すぐれ|스구레}} (-ure)|すぎよ|스기요}} (-iyo)'지나가다'하이단 활용
下二段|しもにだん|시모니단일본어|う|우}}|うけ|우케}} (-e)|うく|우쿠}} (-u)|うくる|우쿠루}} (-uru)|うくれ|우쿠레}} (-ure)|うけよ|우케യോ}} (-e[yo])'받다'카변 활용
カ変|カへん|가헨일본어- (-o) (-i)|く|구}} (-u) (-uru) (-ure) (-o)'오다'사변 활용
サ変|サへん|사헨일본어- (-e) (-i)|す|스}} (-u) (-uru) (-ure) (-e[yo])'하다'|き|기}}|きせ|기세}}|きし|기시}}|きす|기스}}|きする|기스루}}|きすれ|기스레}}|きせよ|기세요}}날짜를 정하다 [1]나변 활용
ナ変|ナへん|나헨일본어|し|시}}|しな|시나}} (-a)|しに|시니}} (-i)|しぬ|시누}} (-u)|しぬる|시누루}} (-uru)|しぬれ|시누레}} (-ure)|しね|시네}} (-e)'죽다'라변 활용
ラ変|ラへん|라헨일본어|あ|아}}|あら|아라}} (-a)|あり|아리}} (-i)|ある|아루}} (-u)|あれ|아레}} (-e)'있다'



5. 2. 형용사

중고 일본어의 형용사는 사실상 상태 동사이며, 크게 일반 형용사와 형용사적 명사로 나뉜다. 일반 형용사는 다시 부사형이 「-く|-ku일본어」로 끝나는 쿠 활용과 「-しく|-siku일본어」로 끝나는 시쿠 활용으로 나뉜다.
쿠 활용

활용 종류하위 종류어간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체형이연형명령형의미
-く일본어
ク活用일본어
(주)
本活用일본어
高|たか일본어(たかく일본어 / たかけ일본어)たかく일본어 (-ku)たかし일본어 (-si)たかき일본어 (-ki)たかけれ일본어 (-kere)'높다'
(-kari)
カリ活用일본어
たから일본어 (-kara)たかり일본어 (-kari)たかる일본어 (-karu)たかれ일본어 (-kare)


시쿠 활용

활용 종류하위 종류어간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체형이연형명령형의미
-しく일본어
シク活用일본어
(주)
本活用일본어
美|うつく일본어(うつくしく일본어 / うつくしけ일본어)うつくしく일본어 (-siku)うつくし일본어 (-si)うつくしき일본어 (-siki)うつくしけれ일본어 (-sikere)'아름답다'
(-kari)
カリ活用일본어
うつくしから일본어 (-sikara)うつくしかり일본어 (-sikari)うつくしかる일본어 (-sikaru)うつくしかれ일본어 (-sikare)



활용 종류하위 종류어간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체형이연형명령형의미
-しく일본어
シク活用일본어

本活用일본어
同|おな일본어(-じく일본어)-じく일본어-じ일본어-じき일본어-じけれ일본어'같다'
kari
カリ活用일본어
-じから일본어-じかり일본어-じかる일본어-じかれ일본어



이들은 보통 '''연체형'''에서 「-じき일본어」보다는 「-じ일본어」를 사용했다.

5. 3. 형용동사

ナリ活用|나리 카츠요일본어|나라}}|나리}}|나리}}|나루}}|나레}}고요하다|니}}타리 활용
タリ活用|타리 카츠요일본어|쇼젠}}|타라}}|타리}}|타리}}|타루}}|타레}}조용히, 부드럽게[27]|토}}



나리 활용과 타리 활용은 비슷한 어원을 공유한다. 나리 형태는 부사 파티클 「に|니일본어」와 불규칙 동사 「」(있다)의 축약형이다. に|니일본어 + あり|아리일본어 → なり|나리일본어가 된다. 타리 활용은 부사 파티클 と|토일본어와 의 축약형이다. と|토일본어 + あり|아리일본어 → たり|타리일본어가 된다.

형용동사의 활용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체형이연형명령형
타리 활용–たら|타라일본어–たり|타리일본어–たり|타리일본어–たる|타루일본어–たれ|타레일본어-たれ|타레일본어
 -と|토일본어    
나리 활용–なら|나라일본어–なり|나리일본어–なり|나리일본어–なる|나루일본어–なれ|나레일본어-なれ|나레일본어
 –に|니일본어    


5. 4. 조사

중고 일본어의 조사는 격조사, 접속조사, 부조사, 계조사, 종조사, 간투조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2]

중고 일본어 조사의 종류
조사의 종류기능예시 (조사는 빨간색으로 표시)
격조사
格助詞|가쿠조시일본어
구와 그 다음 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명사에만 국한되지 않으므로 영어의 "case"와는 약간 다르다)いづ/方일본어일본어 (겐지모노가타리)
어느 방향으로 도망쳤는가(새가)?
접속조사
接続助詞|세쓰조쿠조시일본어
절과 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文を書きてやれども返り事もせず|후미오 가키테 야레 도모 가에리코토모세즈일본어 (다케토리모노가타리)
비록 文を書きてやれ|후미오 가키테 야레일본어지만, 返り事もせず|가에리코토모세즈일본어이다.
(ども|도모일본어사실상의 법(법어기능)이 앞서야 한다. 예를 들어 やれ|야레일본어는 동사 やる|야루일본어의 사실상의 법이다.)
부조사
副助詞|후쿠조시일본어
주로 그 뒤에 오는 용언을 수식한다.ただ浪の白きのみ見える|다다 나미노 시로키 노미 미유루일본어 (도사일기)
...오직 (정확히) 파도만 보인다 (사실 のみ|노미일본어는 見ゆる|미유루일본어의 표현 범위를 제한한다)
(동사 見ゆ|미유일본어는 계조사 |일본어에 의해 "구속"되므로, 서술형 見ゆる|미유루일본어로 나타난다.)
계조사
係助詞|가카리조시일본어
그 구를 강조하거나 의문형으로 만들고, 어미 용언이나 조동사의 활용 형태를 제한한다.いづ}}/方일본어일본어
어느 방향으로 도망쳤는가(새가)?
(완료 조동사 ぬ|누일본어는 계조사 |일본어에 의해 "구속"되므로, 서술형 ぬる|누루일본어로 나타난다.)
종조사
終助詞|슈조시일본어
주로 문장 끝에 위치하며, 여러 종류의 법(예: 의문법, 감탄법)을 나타낸다.我はこの比ろ惡きかし|와레와 고노 고로 와로키 카시일본어 (사라시나일기)
그 당시 나는 분명히 좋지 않았다!
(계조사 |일본어가 문장 끝에 있지만, 여전히 앞에 오는 단어가 서술형이어야 한다.)
간투조사
間投助詞|간토조시일본어
종조사와 유사하지만, 더 자유롭게 사용되며, 종종 문장 사이의 짧은 멈춤으로 사용된다.朝臣。さやうの落ち葉をだに拾へ|아손 사요노 오치바오 다니 히로에일본어 (겐지모노가타리)
유기리 아손 적어도 이런 종류의 낙엽은 주워라!



주어 기능은 주절에서는 조사가 없는 것으로, 종속절에서는 소유격 조사로 표시되었다. 여격/처소격 조사 ‘-に|-니일본어’는 서술어 ‘-に|-니일본어’의 간단한 원형과 동음이의어였으며, 동사 접미사는 더 복잡한 격 조사 ‘-にて|-니테일본어’(‘~곳에’), ‘-にして|-니 시테일본어’ 또는 ‘-にて|-니테일본어’(‘~에 의해’)를 제공한다. 여러 조사 + 동사 + ‘-て|-테일본어’ 연쇄는 다른 격 기능을 제공한다: ‘-によりて|-니 요리테일본어’ ‘~때문에’(’yor|-요르일본어’ - ‘의존하다’에서 유래), ‘-につきて|-니 쓰키테일본어’ ‘~에 관하여’(’tuk|-쓰쿠일본어’ - ‘붙어 있다’에서 유래), ‘-として|-토 시테일본어’ ‘~로서’(’se-|-세일본어’ ‘하다’에서 유래). 더 복잡한 구조는 소유격 조사 + 장소 명사 + 적절한 격 조사(일반적으로 처소격 ‘-に|-니일본어’)에서 유래했으며, 특히 공간적 및 시간적 관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요 장소 명사는 前|마에일본어 ‘앞’(명사-‘の前に|노 마에니일본어’ ‘명사 앞에’), 上|우에일본어 ‘위’(명사-‘の上に|노 우에니일본어’ ‘명사 위에’ ~ ‘명사 위에’), 下|시타일본어 ‘아래’(명사-‘の下に|노 시타니일본어’ ‘명사 아래에’), 先|사키일본어 ‘앞’(명사-‘の先に|노 사키니일본어’ ‘명사 앞에’) 등이 있다.

문장 끝의 용언(조동사 포함)의 활용 형태를 제한하는 특수한 조사가 있었다. 이러한 조사를 '''계조사'''(係助詞|가카리조시일본어)라고 한다. 이러한 제한을 '''연결 규칙'''(係り結びの法則|가카리무스비노호소쿠일본어)이라고 한다.

중고 일본어의 연결 규칙
연결 조사의미종결 형태예시
ぞ|조일본어강조rowspan="4" |ふるさとは花昔の香に匂ひける|후루사토와 하나 무카시노 가니 니오이 케루일본어 (고킨와카슈, 42번)
なむ|나무일본어もと光る竹なむ一筋ありける|모토 히카루 다케 나무 히토스지 아리 케루일본어 (다케토리모노가타리)
や|야일본어(혹은 やは|야와일본어)의문 또는 수사 의문ときおそきと聞きわかむ|하루 토키 하나 오소키 토 기키와카무일본어 (고킨와카슈, 10번)
か|카일본어(혹은 かは|카와일본어)生きとし生けるもの いづれ歌を詠まざりける|이키토시 이케루 모노 이즈레 우타오 요마자리 케루일본어 (고킨와카슈, 가나 서문)
こそ|코소일본어강조男はこの女をこそと思ふ|오토코와 고노 온나오 코소 토 오모우일본어 (이세모노가타리)



조사 と|토일본어는 앞 문장의 인용을 나타내며, 사용될 경우 인용 부분은 연결 규칙 적용 시 '''독립된''' 문장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오노 스스무는 이러한 연결 조사가 원래 '''종조사'''의 역할을 했다고 추정했다.[13]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만요가나: 苦毛 零'''來'''雨 (만요슈, 265번에서 발췌)

>

> 현대 음역: 苦しくも 降り'''来る'''雨}}

'''来る'''|'''구루'''일본어는 명사 雨|아메일본어를 수식하기 때문에 '''서술형'''이다(명사 雨|아메일본어의 수식어). 오노 스스무의 추정에 따르면, 문제의 명사(즉, 雨|아메일본어)를 강조하려면 다음과 같이 전체 문장을 도치시킬 수 있다.

> 雨 후리 '''구루'''}}

분명히 이것은 '''연결 규칙'''을 낳는다. 다른 연결 조사들도 고대 일본어에서 종조사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추정은 타당하다.

5. 5. 조동사

조동사는 여러 형태의 용언에 붙어 시제, 상, 법, 태, 극성 등의 의미를 더한다.[22] 조동사는 동사와 마찬가지로 여러 활용 종류로 분류된다.[22]

일반적으로 조동사의 사용법을 배우려면 (1) 활용 형태, (2) 앞말의 필요한 형태, (3) 다양한 기능을 알아야 한다. 다음은 「る」와 「らる」에 대한 자세한 예이다.

활용의 종류
活用の種類|카츠요노 슈루이일본어
미연형
未然形|미젠케일본어
연용형
連用形|렌요케일본어
종지형
終止形|슈시케일본어
연체형
連体形|렌타이케일본어
이연형
已然形|이젠케일본어
명령형
命令形|메레케일본어
하니단 활용
下二段|시모니단일본어
れ (-e)る (-u)るる (-uru)るれ (-ure)れよ (-u[yo])
られ (-e)らる (-u)らるる (-uru)らるれ (-ure)られよ (-u[yo])



「る」는 '''미연형'''에 '''-a''' 어미가 붙는 경우(즉, 사단, 불규칙 N형, 불규칙 R형)에 앞에 와야 하며, 「らる」는 '''미연형'''에 '''-a''' 어미가 '''붙지 않는''' 경우(즉, 다른 종류)에 앞에 와야 한다.

이들은 네 가지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수동의 의미:
'''あなづら'''もの|히토니 아나즈라루루 모노}} (마쿠라노소시)
번역: 사람들에게 경멸당하는 것

# 경어법(수동태를 통해):
母の'''こと|하하노 카나시가라루루 코토}} (토사일기)
번역: 어머니(작가의 아내)를 슬프게 하는 것 (즉, 자신의 아내에 대한 약간의 존경을 표현)

# 가능성이나 잠재력:
して''''''|유미야시테 이라레지}} (다케토리모노가타리)
번역: 활과 화살이 쏘지 못할 것 같다. (「」는 미연형에 앞서야 하는 조동사임에 유의)

# 자발적인 표현(의지적인 통제 없음):
に'''か'''|카제노 오토니조 오도로카레누루}} (고킨와카슈, 169번)
번역: 바람 소리에 놀라게 되었다. (「」는 완료 조동사 「ぬ|누일본어」의 연체형. 「」라는 연결 조사에 의해 "구속"되어 연체형으로 나타나야 함)

음성: ‘수동’과 ‘사동’:



시제/상:[22][23]

법:[22][24]

극성:[25]

「ず」「しむ」「る/らる」「す/さす」 등 미연형에 붙는 서술격의 조동사는 모두 악센트 상으로는 동사의 접미사이며, 연결하는 동사의 어성조의 지배하에 활용한다 (예: 「取る」LF「取らしむ」LLLF). 다만, 저기동사의 연용·종지·이연·명령형에서 어 전체가 4박 이상이 되었더라도 본동사처럼 …LHL과 같은 음조형이 되지 않고 …LLF 그대로이다. 「む」「じ」도 종지형과 연체형이 같은 악센트라는 것을 제외하면 「ず」「しむ」 등과 행동은 유사하다. 희망을 나타내는 「な」「ね」도 종지형밖에 없는 조동사로 분석할 수 있는 악센트를 취한다.

또한, 가정의 「ば」나 부정의 종지형의 「ず」는 이연형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하강이 없다는 점에서, 직전에 내림핵을 가진 동사 어미로 분석된다 (예: 見る LF,見ず RL. 또, 着す HL,着せば HHL). 조동사가 미연형 연결의 다른 조동사로 연장된 경우에도 마지막 조동사를 중심으로 악센트가 취해진다.

6. 어휘 및 문체

일본어의 어휘에는 고유어에 해당하는 야마토고토바(和語)와 한자어의 차이가 있는데, 고유어 중에서도 문장에 따라서 그 편향이 돋보인다. '가나문특유어(和文特有語)', '한문훈독특유어(漢文訓読特有語)', 그리고 기록체(변체한문) 특유의 어휘도 지적되는데, 예를 들어 '빨리'라는 단어를 표현할 때 가나문에서는 'とく(疾く)'라고 하는 것을 한문훈독에서는 'スミヤカニ'라고 말하며, 기록체에서는 '早(ハヤク)'라고 한다.[2] 이렇게 가나문체, 한문훈독문체, 기록체라는 세 가지 문체에 따라 사용하는 어휘가 조금씩 다르며, 용도에 따라 문장을 달리 썼다.

7. 어휘 및 문체와 한일 관계

일본어 어휘는 고유어와 한자어로 크게 나뉘는데, 고유어 안에서도 문체에 따라 쓰이는 어휘가 달라지는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빨리'라는 뜻을 나타내는 단어는 가나문에서는 'とく(疾く)'라고 하고, 한문 훈독에서는 'スミヤカニ'라고 하며, 기록체에서는 '早(ハヤク)'라고 표현한다. 이처럼 가나문체, 한문 훈독체, 기록체라는 세 가지 문체에 따라 사용하는 어휘가 조금씩 달랐으며, 용도에 따라 문체를 구분해서 사용했다.[2] 이는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한자어가 많이 유입되었지만, 단순히 한자를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일본어만의 독자적인 방식으로 한자어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논문 1987
[2] 웹사이트 大辞林 特別ページ 日本語の世界 平仮名 http://daijirin.dual[...] 2022-05-28
[3] 논문 2001
[4] 웹사이트 大辞林 特別ページ 日本語の世界 片仮名 http://daijirin.dual[...] 2022-05-17
[5] 논문 2005
[6] 논문 1997
[7] 논문 1995
[8] 논문 2012
[9] 논문 2012
[10] 논문 1972
[11] 논문 2002
[12] 웹사이트 での意味 - 古文辞書 - Weblio古語辞典 https://kobun.weblio[...] 2022-05-15
[13] 서적 Kakarimusubi no kenkyū https://www.worldcat[...] Iwanami Shoten 1993
[14] 서적 A Reference Grammar of Classical Japanese Prose RoutledgeCurzon
[15] 서적 A Reference Grammar of Classical Japanese Prose
[16]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Routledge
[17] 웹사이트 ばの意味 - 古文辞書 - Weblio古語辞典 https://kobun.weblio[...] 2022-05-14
[18] 웹사이트 むの意味 - 古文辞書 - Weblio古語辞典 https://kobun.weblio[...] 2022-05-14
[19] 웹사이트 ともの意味 - 古文辞書 - Weblio古語辞典 https://kobun.weblio[...] 2022-05-13
[20] 웹사이트 べしの意味 - 古文辞書 - Weblio古語辞典 https://kobun.weblio[...] 2022-05-13
[21] 웹사이트 べしとは https://kotobank.jp/[...] 2022-05-13
[22] 서적 A Reference Grammar of Classical Japanese
[23]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24]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25]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26] 학술지 「萬葉集に於ける所謂形容詞のカリ活用について」 : 人麿作歌及び人麿歌集歌を中心として https://irdb.nii.ac.[...]
[27] 웹사이트 小學堂中古音 https://xiaoxue.iis.[...] 2022-05-15
[28] 서적 Nihongo no keisei https://www.worldcat[...] Iwanami Shoten 2000
[29] 학술지 平安時代京都方言のアクセント活用 https://doi.org/10.2[...] 日本音声学会 2004
[30] 문서 バによる仮定形はのぞく
[31] 학술지 付属語のアクセントについて https://bibdb.ninjal[...] 国立国語研究所 1983-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