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케토리모노가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케토리모노가타리(竹取物語)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일본의 모노가타리(이야기)로, 정확한 제작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대나무에서 발견된 아름다운 소녀 '가구야 공주'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그녀에게 구혼하는 다섯 명의 귀족과 천황의 이야기, 그리고 달로 돌아가는 가구야 공주의 신비로운 여정을 담고 있다. 이 이야기는 다양한 문헌에 언급되었으며, 1930년대부터 본문 계통 연구가 이루어졌다. 다케토리모노가타리는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며, 만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현대 미디어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노가타리 - 헤이케모노가타리
    헤이케모노가타리는 12세기 말 겐페이 전쟁을 배경으로 다이라 씨의 흥망성쇠를 그린 군담 소설이며, 불교의 무상함과 사무라이 정신을 주제로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친 구전 서사시이다.
  • 모노가타리 - 에마키모노
    에마키모노는 일본의 두루마리 형태 그림으로, 그림과 서예 텍스트를 결합하여 이야기나 일화를 담고 있으며, 내용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 달을 소재로 한 작품 - 고요의 바다 (드라마)
    2075년 미래, 물 부족으로 황폐해진 지구를 배경으로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대원들이 달의 발해 기지에서 수수께끼 샘플을 회수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벌어지는 음모, 위협, 배신, 그리고 윤리적 갈등을 그린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 달을 소재로 한 작품 -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는 2017년 닌텐도 스위치로 출시된 3D 플랫폼 게임으로, 마리오를 조작하여 다양한 왕국을 탐험하며 파워 문을 수집하고, 동료 캐피를 활용하여 적이나 사물을 캡처하며 2인 협동 플레이를 지원한다.
  • 달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소닉 X
    소닉 X는 세가의 원안을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으로, 닥터 에그맨과 소닉 일행의 모험을 그리며, 1기에서는 인간 세계를 배경으로, 2기에서는 우주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달을 배경으로 한 작품 - 타임 머신 (2002년 영화)
    타임 머신 (2002년 영화)은 H.G. 웰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연인의 죽음 이후 타임머신을 개발하여 과거를 바꾸려 하지만 실패하고 미래에서 해답을 찾는 알렉산더의 이야기를 다루며, 엘로이족과 몰록족을 만나 과거를 바꿀 수 없음을 깨닫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케토리모노가타리
개요
제목다케토리 이야기
원제竹取物語 (Taketori Monogatari)
다른 제목가구야 공주 이야기 (かぐや姫の物語, Kaguya-hime no Monogatari)
장르모노가타리 (物語, Monogatari), 설화 (說話, 설화)
언어고대 일본어
국가일본
발표 연도헤이안 시대 초기 (9세기 말 ~ 10세기 초 추정)
관련 장소나라현 고료정
내용
등장인물다케토리노 오키나 (竹取翁, Taketori no Okina)
가구야히메 (かぐや姫, Kaguya-hime)
미카도 (帝, Mikado)
줄거리늙은 대나무 장인이 빛나는 대나무에서 발견한 아이를 키워 공주로 성장시키지만, 결국 달로 돌아간다는 이야기
주제인간의 욕망과 덧없음
달과 지구의 관계
아름다움과 초월
특징
문체간결하고 우아한 고대 일본어
구성기승전결 구조
비현실적인 요소와 현실적인 묘사의 조화
영향후대 문학 작품 및 예술 작품에 지대한 영향
관련 작품
영화가구야 공주 (1935)
프린세스 프롬 더 문 (1987)
가구야 공주 이야기 (2013)
만화/애니메이션다수의 작품에서 모티브 및 오마주로 활용
음악가구야히메 (밴드)
기타 정보
연구작품의 작자, 시대 배경, 주제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 진행 중
전승일본 각지에 다케토리 이야기와 관련된 전설 및 유적 존재

2. 배경 및 학술적 분석

죽취 이야기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모노가타리로 여겨지지만, 정확한 제작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2]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은 1592년으로 추정된다.[2] 야마토 모노가타리에는 909년 궁궐에서 열린 달맞이를 언급하며 이 이야기가 약간 언급되어 있다. 고킨와카슈에 따르면 905년경에는 후지산에서 연기가 멈췄다고 하는데, 죽취 이야기에서 후지산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언급을 통해 이 이야기가 쓰여질 당시 화산이 여전히 활동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자료에서는 이 이야기가 871년에서 881년 사이에 쓰여졌다고 본다.[3]

겐지 이야기에는 "'''이야기의 시작'''(おや)'''이 되는 다케토리노 오키나'''"[28]라고 언급되어 있듯이,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이야기로 여겨진다. 9세기 후반부터 10세기 전반경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며, 가나로 쓰인 최초기의 이야기 중 하나이다.

쇼와에 들어서면서 「다케토리모노가타리」의 본문 계통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여러 학자들에 의해 본문은 크게 '''유포본 계'''와 '''고본 계'''로 나뉜다.


  • '''유포본 계''': 통행본 계라고도 불리며, 현재 가장 널리 유포되고 있는 본문이다. 여러 종류의 사본들이 존재하며, 그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고활자 십행 갑본을 저본으로 하는 것이다.

  • '''고본 계''': 가미가모 신사 미테 문고에 전해지는 1707년(호에이 4년) 교합본에서 유래한 것으로, 유포본 계와 비교하면 옛 모습을 더 많이 간직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가마쿠라 시대 중기경에는 이미 유포본 계와 고본 계 두 계통이 병립하고 있었다고 한다.


『달궁영(月宮迎)』(츠키오카 요시토시 『달의 백가지 모습(月百姿)』)


이 작품은 카구야히메가 대나무 속에서 태어났다는 '''죽통 탄생 설화(이상 출생 설화)''', 3개월 만에 커졌다는 '''급성장 설화''', 카구야히메의 신이함으로 대나무 깎는 노인이 부유해졌다는 '''치부 장자 설화''', 여러 구혼자에게 어려운 과제를 내어 모두 실패하는 '''구혼 난제 설화''', 천황의 구혼을 거절하는 '''천황 구혼 설화''', 카구야히메가 달로 돌아간다는 '''승천 설화(날개옷 설화)''', 후지산의 지명 유래를 밝히는 '''지명 기원 설화''' 등 매우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완성도를 보이고 있어 이야기, 혹은 고대 소설의 초기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날개옷 전설과 같이 이계에서 온 주인공이 가난한 사람을 부유하게 한 뒤 다시 이계로 떠나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헤이안 시대 후기의 곤자쿠 이야기집에도 다케토리모노가타리와 유사한 설화가 채집되어 있지만, 다케토리모노가타리보다 간략화된 내용으로, 구전되어 온 "전승 죽취 설화"의 고태를 전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있다.

2. 1. 작자

죽취 이야기일본어의 작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학자들은 미나모토노 시타고 (911–983), 헨조 승려, 인베 씨족의 일원, 덴무 천황에 반대하는 정치 세력의 일원, 한시일본어 시인 키노 하세오 (842–912) 등을 작가 후보로 추정해 왔다. 그러나 이 이야기가 한 사람이 쓴 것인지, 여러 사람이 쓴 것인지, 간분일본어, 일본어 가나일본어, 심지어 중국어로 쓰여졌는지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3]

당시 추정 문자 해독률을 고려하면 서민은 작가일 가능성이 낮고, 상류 계급에 속하며 귀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헤이안쿄 근교에 거주하며, 당시 권력을 쥐고 있던 후지와라 씨 계열이 아닌 인물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한학(한어·한문 훈독체 사용), 불교, 민간 전승에 정통하고, 가나 문자를 다룰 수 있으며, 와카 재능도 있는 지식인으로,[34] 귀중한 종이를 입수할 수 있는 남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와카의 기법(수사법, 인연어의 다용, 인명의 사용)은 육가선 시대의 경향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다.[35]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미나모토노 시타고, 미나모토노 토오루, 헨조, 기노 쓰라유키, 기노 나가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36] 등 다양한 인물들이 작가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2. 2. 문헌 기록

고킨와카슈에는 이 이야기와 관련된 내용이 905년경에 언급된다.[3] 또한, 곤자쿠 이야기집에도 유사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다케토리모노가타리는 헤이안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까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29]



옛 필사본의 제목으로는 『다케토리모노가타리』 외에도, 『'''다케토리'''』, 『'''죽 이야기'''』, 『'''죽취옹 이야기'''』 등으로 불렸다.[30]

2. 3. 다른 이야기와의 연관성

다케토리모노가타리는 중국창어 전설[13], 티베트의 반죽고낭 설화[103] 등 동아시아 지역의 여러 설화들과 유사성을 보인다.

창어 전설은 기원전 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선인 창어가 불멸성을 잃고 서왕모에게서 불사의 약을 훔쳐 달로 도망쳤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전설은 불멸성과 비행이라는 요소를 통해 도교의 선인 사상과 연결되며, 산에 나타나는 신비로운 존재라는 모티프를 공유한다.[13] 그러나 다케토리모노가타리에는 대나무를 베는 사람, 구혼자, 그리고 밤에 천상으로 납치되는 등의 새로운 요소들이 추가되었다.[13]

반죽고낭 설화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아바 티베트족에게 전해지는 이야기로, 대나무 속에서 태어난 소녀가 영주의 아들들에게 구혼을 받지만 어려운 과제를 내어 물리치고, 이전부터 마음을 두고 있던 남성과 맺어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03] 특히 구혼 부분에서 보물의 종류, 내용, 남성 측의 대화와 결말 등이 다케토리모노가타리와 매우 유사하다.

초기에는 반죽고낭이 다케토리모노가타리의 원형이라는 주장도 있었지만[104], 오쿠쓰 하루오와 송성덕 등의 연구에 의해 반죽고낭이 다케토리모노가타리를 번안한 것으로 밝혀졌다.[106][107] 리롄룽은 2019년 논문에서 반죽고낭의 이야기 구조, 특징, 인물 설정 등이 티베트족 이야기의 전통과 맞지 않으며, 다케토리모노가타리에서 유래하여 시대적 요구에 맞게 각색된 새로운 이야기라고 주장했다.[108]

이러한 유사성은 다케토리모노가타리가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 교류 속에서 형성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3. 줄거리

''카구야히메의 발견'' (17세기 말 묘사)


어느 날, 대나무 숲에서 ja라는 노인이 신비롭게 빛나는 대나무 줄기를 발견한다. 그것을 잘라보니, 엄지손가락만한 크기의 아기가 들어있었다. 자식이 없었던 노부부는 아기를 카구야히메なよたけのかぐ야姫|나요타케노 가구야히메|어린 대나무의 빛나는 공주일본어라 이름 짓고 딸로 키운다. 그 후 노인이 대나무를 벨 때마다 덩어리가 나와 가족은 부유해졌고, 카구야히메는 3개월 만에 아름다운 여인으로 성장한다.

천황을 포함한 많은 이들이 가구야 공주에게 청혼했지만, 가구야 공주는 이들의 청혼을 거절하기 위해 불가능에 가까운 과제를 내거나, 자신이 이 나라 사람이 아니라는 이유를 들어 청혼을 거절한다.

그 해 여름, 카구야히메는 보름달을 보며 눈물을 흘린다. 양부모가 걱정하며 묻자, 그녀는 자신이 지구 출신이 아니며 달로 돌아가야 한다고 밝힌다.

귀환 날짜가 다가오자 천황은 군대를 보내 카구야히메를 지키려 하지만, 달에서 온 사자들은 이상한 빛으로 경비병들을 무력화시킨다. 카구야히메는 슬픈 편지를 남기고 불사약을 천황에게 보낸 뒤, 깃털 옷을 입고 달로 돌아간다.[85]

노부부는 슬픔에 잠겨 병들었고, 천황은 카구야히메의 편지를 읽고 슬픔에 잠긴다. 천황은 신하들에게 하늘과 가장 가까운 산을 묻고, 스루가의 대산이라는 답을 듣는다. 천황은 부하들에게 편지를 산꼭대기에서 태워, 메시지가 닿기를 바랐다. 또한 그녀 없이 영원히 살고 싶지 않아 불사약을 태우라고 명했다.

전설에 따르면 라는 단어가 후지산의 이름이 되었고, 산의 한자는 문자 그대로 으로, 천황의 군대가 산비탈을 올라가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88] 불타는 연기는 오늘날까지 솟아오르고 있다고 전해진다.

3. 1. 5명의 구혼자

가구야 공주가 성장하여 아름다운 여인이 되자, 많은 귀족들이 청혼을 해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다섯 명의 귀족이 적극적으로 구혼했는데, 이들은 각각 石作皇子|이시츠쿠리노 미야|이시츠쿠리 황자일본어, 車持皇子|쿠라모치노 미야|구라모치 황자일본어, 阿倍御主人|아베노 미우시|아베노 미우시일본어, 大伴御行|오토모노 미유키|오토모노 미유키일본어, 中納言石上まろたり|이소노카미노 마로타리|이소노카미노 마로타리일본어였다.[68][69]

가구야 공주는 이들에게 결혼 조건으로 다섯 가지 불가능한 과제를 제시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귀족과제
이시츠쿠리 황자부처의 돌 걸식기
구라모치 황자신화 속 섬 호라이의 보석 가지
아베노 미우시불쥐 가죽으로 만든 옷
오토모노 미유키용의 목에서 나온 색깔 있는 보석
이시카미노 마로고둥 껍데기로 된 제비가 낳은 조개



다섯 귀족들은 가구야 공주가 제시한 물건을 구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첫 번째 귀족은 가짜 걸식기를 가져왔다가 들통났고, 두 번째 귀족은 장인이 만든 가짜 보석 가지를 가져왔다가 발각되었다. 세 번째 귀족은 중국 상인에게 속아 가짜 불쥐 가죽 옷을 샀고, 네 번째 귀족은 용을 찾으러 바다에 나갔다가 폭풍을 만나 포기했다. 다섯 번째 귀족은 제비 둥지를 찾다가 떨어져 다치고 말았다.

이들의 실패는 인간의 욕망과 허영심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일본에서는 이들 중 일부가 실존 인물을 모델로 했다는 주장이 있다. 에도 시대의 국문학자 가노 모로헤이는 아베노 미우시, 오토모노 미유키, 이시카미노 마로는 실존 인물이며, 구라모치 황자는 후지와라노 후히토, 이시즈쿠리 황자는 다지히노 시마를 모델로 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다섯 명은 모두 임신의 난에서 공을 세우고 덴무 천황지토 천황을 섬긴 인물들이기 때문에, 나라 시대 초기가 이야기의 배경으로 추정된다.

3. 2. 천황의 구혼

천황은 가구야 공주에게 구혼하지만, 가구야 공주는 자신이 이 세상 사람이 아니라는 이유로 거절한다.[73] 천황은 가구야 공주와 계속 연락을 주고받았지만, 가구야 공주는 계속해서 천황의 구혼을 거절했다. 천황과 가구야 공주는 편지로 3년 동안 소통했다.

3. 3. 달로의 귀환

천황과 가구야 공주가 편지를 주고받은 지 3년이 지났을 무렵, 가구야 공주는 달을 보며 깊은 생각에 잠겼다. 8월 보름달이 가까워지자, 가구야 공주는 슬픔에 젖어 격렬하게 울기 시작했다. 다케토리노 오키나가 그 이유를 묻자, 가구야 공주는 자신이 이 나라 사람이 아니라 달의 도읍 사람이며, 15일에 달로 돌아가야 한다고 고백했다.[82] 가구야 공주는 잠시 인간 세상에 왔을 뿐인데 오랜 세월을 보내게 되었지만,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고 이제 이별을 해야 한다고 슬퍼했다.

이 소식을 들은 천황은 슬퍼하며, 다케토리노 오키나의 뜻을 받아 용맹한 군대를 보내 가구야 공주를 지키려 했다. 15일, 천황은 각 관청에 명령을 내려 칙사로 중장 다카노 오쿠니를 지명하고, 육위부를 합쳐 2천 명을 다케토리노 오키나의 집에 파견했다. 병사들은 집 주변을 빈틈없이 지켰다. 천 명은 흙담 위에, 천 명은 건물 위에 배치되었고, 집 하인들도 많았다. 다케토리노 오키나는 칠흑[83] 안에서 가구야 공주를 안고 있었고, 문에는 자물쇠를 채우고 문 앞에 서 있었다.

하지만 가구야 공주는 "저를 가두고 지키며 싸울 준비를 해도, 저 나라(달) 사람들과 싸울 수는 없습니다. 활과 화살로 쏠 수도 없고, 이렇게 가둬두어도 저 나라 사람들이 오면 모두 열릴 것입니다. 싸우려 해도, 저 나라 사람들이 오면 용맹한 마음을 내는 사람도 없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다케토리노 오키나는 달에서 온 사람들을 향해 긴 손톱으로 눈을 쥐어뜯고, 머리카락을 잡아당기고, 엉덩이를 끌어내리는 등 격렬하게 저항하며 관리들에게 수치를 주려 했다. 하지만 가구야 공주는 지붕 위에 있는 자들이 들을까 걱정하며,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애정을 헤아리지 못하고 작별하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한, 달의 도읍 사람들은 매우 깨끗하고 아름다우며 늙지도 않고 생각도 없기에, 그런 곳에 가는 것이 기쁘지 않다고 덧붙였다.

자시(밤 12시경), 집 주변이 낮보다 밝아졌다. 하늘에서 사람들이 구름을 타고 내려와 땅에서 1.5m 정도 위에 섰다. 사람들은 정체를 알 수 없는 존재에게 압도되어 싸울 의지를 잃었다. 활과 화살을 잡으려 해도 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았고, 용기 있는 자가 활을 쏘려 했지만 화살은 엉뚱한 곳으로 날아갔다.

왕으로 보이는 사람이 "조마로, 나오너라"라고 말하자, 용맹했던 다케토리노 오키나도 술에 취한 듯 엎드려 엎드렸다. 왕은 다케토리노 오키나에게 "네가 어린아이[84]였을 때, 약간의 선행을 쌓았기에 돕기 위해 잠시 공주를 내려보냈다. 오랜 세월 동안 많은 황금을 받아 부자가 되었지만, 가구야히메는 죄를 지었기에 잠시 천한 너의 곁에 머물렀다. 이제 죄의 기한이 끝났으니, 빨리 내놓아라"라고 말했다. 하지만 다케토리노 오키나는 따르지 않았다.

하늘을 나는 수레가 가까이 오며 "자, 가구야히메. 더러운 곳(지상)에 어찌 그리 오래 머무르셨습니까"라고 말하자, 닫혀 있던 문과 격자가 즉시 열렸다. 다케토리노 오키나의 품에 안겨 있던 가구야 공주는 밖으로 나가 버렸다.

가구야 공주는 다케토리노 오키나에게 하늘로 올라가는 것만이라도 배웅해 달라고 부탁했지만, 다케토리노 오키나는 울며 엎드려 있었다. 가구야 공주는 "앞으로 그리울 때 꺼내 보세요"라며 편지를 남겼다.

천인 중 한 명이 가진 상자에는 '''천의 깃옷'''이, 또 다른 상자에는 '''불사의 약'''이 들어 있었다. 천인이 가구야 공주에게 "더러운 곳의 음식을 드셨으니 기분이 안 좋으실 겁니다"라며 약을 권하자, 가구야 공주는 조금 맛을 보았다. 그리고 천인이 천의 깃옷을 입히려 하자, 가구야 공주는 이를 제지하고 천황에게 편지와 노래를 썼다.

'''이제 와서 천의 깃옷을 입는 순간 그대를 사랑스럽게 생각하며 떠올리네[85]'''

가구야 공주는 편지에 약을 더하여 투장에게 건네주었다. 중장이 받자마자 천인이 쏜살같이 천의 깃옷을 입혔고, 가구야 공주가 다케토리노 오키나를 애처롭게 생각했던 마음은 사라졌다. 천의 깃옷을 입은 사람은 아무런 생각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가구야 공주는 수레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

3. 4. 후지산 전설

전설에 따르면 라는 단어가 산의 이름인 후지산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산의 한자는 문자 그대로 으로, 천황의 군대가 그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산비탈을 올라가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불타는 연기는 오늘날까지 솟아오르고 있다고 한다. (과거 후지산은 훨씬 더 활발한 화산이었고, 따라서 더 많은 연기를 냈다.)[88]

황제는 편지를 읽고 몹시 슬퍼하며 아무것도 먹지 않고 시가(詩歌)와 관현(管弦)도 하지 않았다. 대신과 조정의 대신들을 불러 "어느 산이 하늘에 가장 가까운가"라고 묻자, 어떤 사람이 스루가국에 있는 산이라고 말하는 것을 듣고 "만날 수도 없으니, 넘쳐흐르는 눈물에 잠긴 듯한 내 몸에 불사의 약이 무슨 소용이 있으랴"라고 읊조리며, 카구야히메로부터의 불사의 약과 편지를, 항아리와 함께 사자에게 주어, 츠키노 이와가사[86][87]라는 사람을 불러, 그것들을 스루가국에 있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에서 태우도록 명했다.

그 유래를 삼가 받아들여, "병사(つわもの)들을 많이 데리고, 불사약을 태우러 산에 올랐다"는 데서, 그 산을 "후지 산(ふじの山)"[88]이라고 이름 지었다.

4. 한국적 관점 및 해석



카구야 공주 설화는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가구야 공주의 신비로운 탄생과 성장은 민중의 희망과 이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나무 속에서 태어났다는 죽통 탄생 설화일본 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도 널리 퍼져 있으며, 일본의 옛 이야기에서는 대나무 속의 정령은 인간계에 머물 수 없는 경우가 많다고 여겨졌다.[89]

귀족과 천황의 구혼을 거절하는 모습은 권력과 부에 대한 비판, 그리고 진정한 사랑과 자유의 가치를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카구야 공주가 달로 돌아간다는 승천 설화는 날개옷 전설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4. 1. 현대적 변용

다케토리 이야기는 일본에서 매우 인기 있는 민담으로,[14] 만화, 애니메이션 등 수많은 현대 미디어에서 다양하게 각색, 재해석되었다.[15][16]

일본에서는 마츠모토 레이지의 퀸 밀레니아,[15]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15] 나루토,[21] 이누야샤[14][21] 등 여러 만화와 애니메이션에서 다케토리 이야기를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한국에서는 사이토 치호의 만화 카구야 덴이 다케토리 이야기를 소재로 하였다.

참조

[1] 문서 Katagiri et al. 1994: 81
[2] 문서 Katagiri et al. 1994: 95
[3] 서적 Seeds in the Heart: Japanese Literature from Earliest Times to the Lat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0-11-23
[4] 문서 Horiuchi (1997:345-346)
[5] 문서 Satake (2003:14-18)
[6] 문서 Yamada (1963:301-303)
[7] 서적 少年兒童出版社 1957
[8] 간행물 1971
[9] 서적 講談社 1973
[10] 서적 竹取物語の研究: 達成と変容 翰林書房 2000
[11] 서적 汲古書院 2004
[12] 문서 Katagiri et al. 1994
[13] 문서 Seimiya Tsuyoshi, "Shinsen shiso no kihon kozo." Shūkan Tōyōgaku no. 33 (1976)
[14] 웹사이트 Hot Clip: Ghibli's 'Tale of the Bamboo Cutter' https://www.animatio[...] 2013-11-18
[15] 뉴스 VIDEO: Studio Ghibli's "Princess Kaguya" Featured in Ad https://www.crunchyr[...] 2013-10-22
[16] 서적 Schoolgirl Milky Crisis: Adventures in the Anime and Manga Trade https://books.google[...] A-Net Digital LLC 2020-05-11
[17] 웹사이트 映画 かぐや姫 (1935)について 映画データベース - allcinema https://www.allcinem[...] 2021-07-04
[18] 서적 Envisioning The Tale of Genji: Media, Gender, and Cultural Produc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0-05-11
[19] 웹사이트 The Tale of the Princess Kaguya https://www.bendsour[...] 2020-05-11
[20] 웹사이트 Turn A Gundam's 20th Anniversary: A Reflection https://tsukinomayu.[...] 2020-05-11
[21] 웹사이트 The Tale Of The Bamboo Cutter, Japan's 10th-Century Sci-fi Folk Tale https://theculturetr[...] 2020-05-11
[22] 웹사이트 Het verhaal van de bamboesnijder - Pauline van de Ven | gedrukt boek | Bibliotheek.nl https://www.biblioth[...] 2022-01-19
[23] 문서 Publishing house De Geus, Breda 2003
[24] 웹사이트 ヌケニンたち3/キャラクター/ニンジャボックス/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https://ninjabox.bn-[...] 2023-02-23
[25] 웹사이트 「竹取」物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東京本館 2024-05-01
[26] 웹사이트 立教大学蔵「竹取物語絵巻」と「竹取物語 貼交(はりまぜ)屏風」について https://library.rikk[...] 立教大学 2024-05-01
[27] 웹사이트 『竹取物語』のあらすじと奈良県広陵町との関係について https://www.town.kor[...] 奈良県広陵町 2024-05-01
[28] 웹사이트 源氏物語 第十七帖 絵合 http://www.genji-mon[...]
[29] 문서 南波浩「日本古典全書 『竹取物語・伊勢物語』」朝日新聞社、1960年 p.5
[30] 문서 『竹取物語本文集成』王朝物語史研究会 編 勉誠出版 2008年9月、p. ⅴ
[31] 문서 中田剛直や阪倉篤義は慶長頃の書写とするが、吉田によれば、「題簽朱地短冊に模様のある料紙が、三条西実隆、三条西公条|公条などがその書写本に用いているものと同じであり、本文の書風から推しても、慶長まで下るものとは思われない」という。
[32] 문서 巻16第3791歌 - 第3793歌。
[33] 문서 巻31『本朝付雑事』第33「竹取翁、見付けし女の児を養へる語」
[34] 웹사이트 もはや推理小説「かぐや姫」の壮大なカラクリ | 日本人が知らない古典の読み方 | 東洋経済オンライン | 経済ニュースの新基準 https://toyokeizai.n[...]
[35] 문서 上原作和・安藤徹・外山敦子編『かぐや姫と絵巻の世界 一冊で読む竹取物語 訳注付』武蔵野書院 p. 174
[36] 문서 文章博士などを歴任し、仁和2年(886年)から仁和6年(890年)まで、竹取の翁の名・讃岐造と同じ讃岐国の讃岐守に遷任したことがあり、自身の出生も余呉湖余呉の羽衣伝説で語られる。
[37] 간행물 国語教育 1930-05
[38] 서적 竹取物語の研究 本文篇 国書出版 1944
[39] 문서 久曾神昇や田中登 (国文学者)|田中登は、後光厳院筆断簡を古本とも流布本とも異なる別系統とする。
[40] 서적 日本古典全書 『竹取物語・伊勢物語』 朝日新聞社 1960
[41] 문서 前伊賀守上原元純の書写本を、中院通勝が安土桃山時代の1592年(天正20年)に一度校正、1596年(文禄5年}に「松下民部少甫述久本」を以て重校した旨の奥付を有する。紹巴本の発見までは最古の写本と言われていた。国文学者武藤元信の旧蔵で、現在は天理大学附属天理図書館所蔵、重要文化財。
[42] 문서 後述するように古本書入を有する。現在は國學院大學図書館蔵。
[43] 문서 高山市図書館ではなく高山市郷土館の方である。
[44] 문서 現在は國學院大學図書館蔵。
[45] 문서 中院通勝が慶長3年(1598年)以前に書写した本の転写本であるが、427項(誤写等を除いても205項)もの独自異文を有し、これは古本系と流布本系との異文数546項に匹敵する。中田は、異文に本文を簡略化する傾向が極めて多い点から、「絵巻の絵詞本文ではなかつたらうか」と指摘している
[46] 문서 アイルランド共和国のチェスター・ビーティ図書館蔵。江戸初期、1630年代の写と見られ、狩野長信の近辺で制作されたのではないかとする指摘がある。
[47] 논문 『竹取物語』奈良絵本・絵巻の本文考 : 正保三年刊整版本の独自異文を視点とした粗描 2013
[48] 문서 西洞院時慶の筆と見られており、中田は武藤本に校合されている「松下本」(時慶と知己であり、今川氏真の師であったといわれる上賀茂神社神官の松下述久蔵本か)と同一とする。
[49] 문서 巻第309・物語部3に収載。塙保己一#.E5.AD.A6.E5.95.8F.E3.81.AE.E9.81.93|松平織部正乗尹蔵本に「古写本三本」(うち二本は滋岡本、内閣文庫本か)「活版本」「整版本|流布印本」(正保3年刊本)を校合した旨の識語を有する。
[50] 문서 紹巴による1570年(元亀元年}の奥書を持ち、年代が明らかな写本としては現在最古。
[51] 문서 現在国立歴史民俗博物館蔵。
[52] 문서 大阪天満宮の神職家。
[53] 문서 行数と刊行時期による分類で、十行甲本・乙本・(丙本)、十一行甲本・乙本・丙本・丁本がある。このうち十行甲本・十一行甲本は慶長の頃のもので、最も古いとされる。
[54] 문서 年代に関しては諸説あるが、小松茂美は鎌倉時代末期(14世紀初期)、久曾神昇や高田信敬は室町時代初期以前、片桐洋一は室町時代中期から後期としている。
[55] 서적 古筆学大成 講談社 1992-06
[56] 서적 古筆学のあゆみ 八木書店 1995
[57] 논문 新 古筆資料の年代測定Ⅲ―加速器質量分析法による炭素14年代測定― http://id.nii.ac.jp/[...] 中央大学文学部 2021-03
[58] 문서 書写者名と見られるが未詳。
[59] 서적 古本竹取物語校註解説 龍谷大学国文学会出版部 1954
[60] 문서 (『竹取物語 田中大秀旧蔵』笠間書院、1982年)
[61] 문서 流布本系第1類第1種の平瀬本への書入本文のこと。
[62] 문서 "◯伝阿仏筆竹取物語切 竹取物語は、新井信之氏の紹介された伝後光厳院筆小六半切以外全く知られてゐなかつたが、京都のG書店で伝阿仏筆と云ふ、下絵のある六半切を最近売つたと聞いた。好事家に渡つたらしく、紹介される見込は少ないが注目すべきものと思はれ、公開が望まれる」と述べられているのみで、本文などの情報は一切不明である。"
[63] 논문 物語系古筆切について(補遺篇) 1964-04
[64] 서적 日本古典全書 『竹取物語・伊勢物語』 朝日新聞社 1960
[65] 서적 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12 竹取物語、伊勢物語、大和物語、平中物語 小学館 1994-12
[66] 웹사이트 『竹取物語』の「不審本文」ー文学史料の「編纂」: 保立道久の研究雑記 http://hotatelog.coc[...] 2010-08
[67] 웹사이트 絶望の言説-『竹取翁物語』の物語る世界と物語世界 https://www.asahi-ne[...] 1998-09
[68] 문서 武藤本(流1-1)・高山図書館本(流1-1)・武田本(流1-2)・島原本(流2)・蓬左文庫本(流3-1)・吉田本(流3-1)等に「さかき」。山岸本(流1-3)・群書類従本(流3-2)に「さぬき」。他流布本、並び古本に「さるき」。
[69] 서적 日本古典全書 『竹取物語・伊勢物語』 朝日新聞社 1960
[70] 문서 この物語には「三」という数字が頻出する。
[71] 문서 三室戸斎部とも。斎部氏は朝廷 (日本)|朝廷の祭祀を司る氏族。
[72] 문서 なよ竹は「しなやかな竹」という意味で、ちらちらと揺れて光ることを「かがよう」という。
[73] 문서 「夜這い」の語は本来結婚を求める「呼ぶ」に由来する言葉とされている。ここでは「夜に這い回る」を語源とする新解釈を創作している。
[74] 문서 神仏が人の形をとって顕現した姿、または化物の類。
[75] 문서 「鉢を捨てる」と「恥を捨てる」を掛けている。
[76] 문서 「玉(玉の枝)が悪い」と「魂(性質)が悪い」を掛けている。
[77] 문서 「阿倍なし」と「敢へなし」("敢えない"、張り合いがない)を掛けている。
[78] 문서 「あな食べ難」(ああ食べにくい)と「あな堪へ難」(ああ耐え難い)を掛けている。
[79] 문서 「貝無し」と「甲斐なし」を掛けている。
[80] 문서 『年を経て浪たちよらぬ住吉のまつかひなしときくはまことか』。"幾年も経って浪が打ち寄せなくなった住吉の浜の「松」のように待っていたのに「貝がない」なら、「待つ」「甲斐がない」と聞くけれど、本当なの?"
[81] 문서 「かひはなく有りける物をわびはててしぬる命をすくひやはせぬ」。"かい(貝・甲斐)は無かったけれど、思い悩んで死んでいく命を、かい(匙)で掬うように、救ってはくれないのか"。
[82] 문서 人間界での長い年月は天人にとって僅かな時間に当たる。
[83] 문서 周囲を壁で塗り籠めた部屋。平安期の貴族の邸宅建築・寝殿造の中では唯一の閉鎖的な空間で防犯性に優れるため、寝室や貴重品置き場に使用された
[84] 문서 未熟者。天界と人界では時の感覚が異なり、翁といえど「幼き人」。あるいは単に「幼稚」(=愚かな)の意味か。
[85] 문서 最後だと、天の羽衣を着るまさにその時に、ふとあなたをしみじみと思い出してしまうものね。
[86] 문서 月世界への思いを表現する仕事に相応しい氏。新井本(古2)「いはかど」。その他流布本「いはかさ」。
[87] 서적 かぐや姫と絵巻の世界 一冊で読む竹取物語 訳注付 武蔵野書院
[88] 문서 「富士山|富士の山(士に富む山)」と「不死の山」。これは適当でないという説もある。
[89] 서적 日本古典全書 『竹取物語・伊勢物語』 朝日新聞社 1960
[90] 문서 「筒木」は筒状の木と解すれば竹、また「星」の古語「つづ」との関わりもあり、同音の「綴喜郡|綴喜(山城国綴喜郡)」にはツクヨミ|月読命を祀る樺井月神社と月読神社を祀る式内社が鎮座する。
[91] 뉴스 孫崎紀子「『竹取物語』のかぐや姫はイラン人だった」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2-02-13
[92] 서적 古代史謎解き紀行 I ヤマト編 ポプラ社 2006
[93] 서적 三省堂国語辞典から 消えたことば辞典 三省堂 2023
[94] 간행물 富士山縁起と「浅間御本地」 竹林舎 2013
[95] 간행물 杉田安養寺本『冨土山大縁紀』翻刻・解題 2013
[96] 웹사이트 第137回常設展示 「竹取」物語 IV 外国語訳 https://rnavi.ndl.go[...] 2005-05-19
[97] 논문 F.V.Dickinsと『竹取物語』 https://doi.org/10.5[...] 1993
[98] 문서 中川浩文は『竹取翁物語解』を主な典拠にしていると推測している。
[99] 문서 長谷川武次郎のちりめん本の英訳。
[100] 문서 著書『日本文学史』に収載。
[101] 웹사이트 南方熊楠を知る事典 http://www.aikis.or.[...] 講談社 1993-04
[102] 웹사이트 幸田露伴「月上女(日本の古き文学の一つに就きて)」 https://ohta-masakaz[...] 竹柏会 1911-05
[103] 서적 金玉鳳凰 少年児童出版社 1961
[104] 서적 かぐや姫の誕生 ― 古代説話の起源 講談社 1973
[105] 간행물 「斑竹姑娘」の性格−『竹取物語』とのかかわりで 1987
[106] 서적 竹取物語の研究 - 達成と変容 翰林書房 2000
[107] 논문 『竹取物語』、「竹公主」から「斑竹姑娘」へ https://doi.org/10.1[...] 京都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国語学国文学研究室 2004-09
[108] 웹사이트 "[李连荣 高木立子]藏族民间故事《斑竹姑娘》的生成及其与《竹取物语》关系谫论" http://iel.cass.cn/y[...]
[10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