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립 모레스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립 모레스네는 1816년부터 1919년까지 벨기에와 프로이센 사이에 존재했던 중립 지역이다. 빈 회의 이후 아연 광산의 소유권을 두고 두 국가가 합의하여, 광산과 켈미스 지역을 공동 통치하는 중립 지역으로 설정되었다. 중립 모레스네는 낮은 세금과 관세 부재로 경제적 이점을 누렸지만, 1885년 광산 고갈 이후 독립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침공으로 중립성이 훼손되었고, 베르사유 조약으로 벨기에에 편입되면서 소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영토 분쟁 - 엠스강
엠스강은 독일 북서부를 흐르는 371km 길이의 강으로, 동베스트팔렌에서 발원하여 북해로 흘러가며 하구에서는 독일과 네덜란드의 국경을 이루고, 운하 건설과 자전거 도로 연결로 산업 및 관광에 활용된다. - 독일의 영토 분쟁 - 바르샤바 조약 (1970년)
바르샤바 조약(1970년)은 서독과 폴란드가 체결하여 양국 관계 정상화와 평화적 공존을 목표로 오데르-나이세 선을 폴란드 서부 국경으로 인정하고 독일의 영토 관련 요구 포기를 통해 전후 독일의 영토 문제 해결과 유럽 긴장 완화에 기여한 조약이다. - 공동통치령 - 크라쿠프 자유시
크라쿠프 자유시는 빈 회의 결과로 세워진 자치 공화국이었으나, 열강의 간섭과 크라쿠프 봉기 실패 후 오스트리아에 합병되어 소멸되었다. - 공동통치령 - 앵글로-이집트 수단
앵글로-이집트 수단은 1899년부터 1956년까지 영국과 이집트가 공동으로 통치한 지역으로, 오늘날 수단에 해당하며, 이집트의 지배와 마흐디스트 혁명을 거쳐 1956년 독립했다. - 벨기에의 역사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795년까지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부르고뉴 공작령 상속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스페인의 가톨릭 박해와 전제정치로 80년 전쟁을 겪으며 북부 7개 주는 독립하고 남부 지역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벨기에의 역사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중립 모레스네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모레스네 |
공식 명칭 | 프랑스어: Moresnet Neutre (모레스네 뇌트르) [mɔ.ʁɛ.nɛ nøtʁ] 독일어: Neutral-Moresnet (노이트랄 모레스네트) [nɔɪ̯ˈtʁaːl ˈmɔʁəsnɛt] 네덜란드어: Neutraal Moresnet (뇌트랄 모레스넛) |
지위 | 중립 지대 |
정부 형태 | 콘도미니엄 "고유의" |
국가 | 아미케조 행진곡 (Marche Amikejo, 우정의 장소) |
수도 | 켈미스 |
언어 |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저지 디츠 (림뷔르흐어) 에스페란토 (1908년부터) |
통화 | 프랑스 프랑 |
면적 | 3.5 제곱킬로미터 |
인구 (1900년) | 3,000명 |
인구 (1914년) | 3,500명 |
별칭 | 모레스네트 |
데모님 | 모레스네트인 |
정치 | |
시장 | 아르놀트 티모테 데 라소 (1817–1859, 초대) 피에르 그리냐르 (1918–1921, 마지막) |
역사 | |
시작 사건 | 아헨 협정 (1816년 6월 26일) |
종료 사건 | 벨기에 합병 (1921년 1월 10일) |
기타 사건 | 프로이센 합병 (1915년 6월 27일) 베르사유 조약 (1919년 6월 28일) |
이전 국가 | |
이전 국가 1 | 부르봉 왕정 복고 시대 프랑스 왕국 |
이후 국가 | 벨기에 |
2. 역사
1815년 빈 회의에서 유럽의 지도가 새롭게 그려지는 동안, 네덜란드와 프로이센은 모레스네 지역의 비에유 몽타뉴 아연 광산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1816년 양국은 모레스네 지역을 분할하는 절충안을 채택했다. 모레스네 마을은 네덜란드가, 노이모레스네는 프로이센이 차지하고, 광산과 켈미스(La Calamine) 지역은 중립 지역으로 설정되어 공동 통치하기로 했다.[25] 이 지역은 삼각형 모양으로, 밑변은 아헨에서 리에주로 가는 길이었고, 광산은 그 길 바로 북쪽에 있었다. 나머지 두 선은 발서르베르흐에서 만났다.
1830년 벨기에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면서 벨기에는 중립 모레스네에서 네덜란드의 역할을 승계받았다. 그러나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모레스네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지 않았다. 초기에는 이웃 두 나라에서 온 의원들이 통치했지만, 이후 의원이 지명한 시장과 10명 정원의 의회가 설치되면서 모레스네는 더 독립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1885년 광산이 고갈되면서 모레스네의 존속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모레스네를 더 독립적으로 만들기 위한 여러 아이디어가 제기되었는데, 그중에는 카지노와 독자적인 우편 서비스가 있었다. 독일계 의사 빌헬름 몰리는 모레스네를 세계 최초로 에스페란토를 공식 언어로 쓰는 곳으로 만들려고 했으며, 'Amikejoeo(아미케요, 친구의 땅)'라는 이름과 같은 제목의 에스페란토 행진곡을 국가로 제안했다. 하지만 어떤 제안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벨기에와 프로이센은 서로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1900년 프로이센은 더 공격적인 자세를 보였고 모레스네의 행정을 방해하기도 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때 독일은 벨기에를 침범했고 1915년에 모레스네를 합병했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벨기에로 편입되면서 한 세기 넘게 이루어졌던 모레스네의 ‘한시적인 중립’은 끝나게 되었다. 독일은 제2차 세계 대전 때 그 지역을 다시 합병했지만, 1944년에 다시 벨기에에 돌려주게 되었다. 현재는 동부 벨기에 켈미스의 일부이다.
2. 1. 설립 배경
1814년부터 1815년에 걸쳐 개최된 빈 회의는 나폴레옹 전쟁 종결 후 유럽의 질서 회복과 제국 간의 세력 균형을 목표로 영토를 재분배했다. 이 과정에서 새로 설립된 네덜란드 연합 왕국(네덜란드)과 프로이센 왕국 간의 국경선도 확정되었다. 양국은 대체로 기존 경계선을 따르기로 합의했지만, 아헨 남서쪽에 위치한 모레스네 지역을 두고 분쟁이 발생했다.[25]분쟁의 핵심에는 아연·황동 가공에 필수적인 능아연광 광산이 있었다. 당시 유럽에서 아연 생산이 가능한 곳은 모레스네와 영국의 브리스톨뿐이었다. 프랑스어로 비에유 몽타뉴(Vieille Montagne), 독일어로 알텐베르크(Altenberg)라고 불린 이 광산("오래된 산"이라는 뜻)은 원래 모레스네 마을 동쪽에 위치했다. 네덜란드와 프로이센 모두 이 자원을 확보하고자 했다.[25]

b: 리에주-아헨 가도
c: 벨기에·독일 국경(1919년)
1815년 12월, 양국 대표는 아헨 근교에서 회합을 가졌고, 1816년 6월 26일 모레스네 지역을 세 부분으로 나누는 타협안에 합의했다.
- 동부 (프로이센령 모레스네): 프로이센에 귀속. 프로이시슈-모레스네트(Preußisch-Moresnet) 마을이라고 불렸으며, 현재는 노이-모레스네트(Neu-Moresnetde)로 이름이 바뀌어 켈미스 시의 일부가 되었다.
- 중부 (중립 모레스네): 아연 광산과 켈미스(Kelmisde, La Calamine|라 칼라민프랑스어)를 포함. 장래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양국의 공동 통치 구역으로 설정. 양측 군대의 진주는 금지되었고, 중립 지대로서 공동 관리가 이루어졌다.
- 서부 (네덜란드령 모레스네): 네덜란드에 귀속. 원래 모레스네 마을이 포함되며, 현재 프롱비에르 시의 일부가 되었다.
1830년 벨기에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면서, 벨기에는 중립 모레스네에서 네덜란드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권리를 포기한 적이 없다).
2. 2. 공동 통치 시대 (1816-1915)
1815년 빈 회의에서 유럽의 지도가 새롭게 그려지는 과정에서, 네덜란드와 프로이센은 모레스네 지역의 비에유 몽타뉴 아연 광산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1816년, 양국은 모레스네 지역을 분할하는 절충안을 채택했다. 모레스네 마을은 네덜란드, 노이모레스네는 프로이센에 귀속되었고, 광산과 켈미스(Kelmisde, La Calamine|라 칼라민프랑스어) 지역은 중립 지역으로 설정되어 공동 통치 하에 놓였다.[25]이 지역은 삼각형 모양으로, 밑변은 아헨에서 리에주로 가는 길이었고, 광산은 그 길 바로 북쪽에 위치했다. 나머지 두 선은 발서르베르흐에서 만났다.
1830년 벨기에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면서, 벨기에는 중립 모레스네에서 네덜란드의 역할을 승계받았다. 그러나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모레스네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지 않았다.
초기에는 이웃 두 나라에서 온 의원들이 통치했지만, 이후 의원이 지명한 시장과 10명 정원의 의회가 설치되면서 모레스네는 더 독립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1883년부터 중립 모레스네는 검정, 흰색, 파랑의 삼색기를 국기로 사용했다. 이 국기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설이 있다.[10]

이 영토는 각 인접국에서 파견된 두 명의 왕립 위원이 통치했다. 시정부는 위원들이 임명한 시장이 지휘했다. 프랑스 통치 기간 동안 도입된 나폴레옹 법전은 중립 모레스네가 존속하는 동안 계속 효력을 유지했다. 그러나 중립 영토에는 법원이 없었기 때문에 벨기에와 프로이센 판사들이 들어와 나폴레옹 법에 따라 사건을 결정해야 했다. 행정 법원도 없었기 때문에 판사의 결정에 대해 항소할 수 없었다.[12]
1859년, 중립 모레스네는 1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시의회를 설치하여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시의회는 복지 위원회 및 학교 위원회와 함께 시장이 임명했으며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주민들에게는 투표권이 없었다.[12]
중립 모레스네의 삶은 비에유 몽타뉴 광산 회사에 의해 지배되었다. 이 회사는 주거 시설, 상점, 병원, 은행 등을 운영하며 지역 경제의 중심 역할을 했다. 광산은 인접 국가에서 많은 노동자를 끌어들여 인구가 증가했다. 우편과 같은 대부분의 서비스는 벨기에와 프로이센이 공유했다. 영토에는 5개의 학교가 있었고, 프로이센 국민은 프로이센 모레스네의 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영토에서 생활하는 것은 낮은 세금, 수입 관세 부재, 낮은 물가 등의 이점을 제공했다. 그러나 중립 모레스네 출신 사람들은 무국적자로 간주되어 자체 군대를 가질 수 없었다. 많은 이민자들이 징병을 피하기 위해 모레스네에 정착했지만, 1854년 벨기에는 모레스네로 이주한 자국민을 징집하기 시작했고, 프로이센도 1874년에 마찬가지로 했다. 그때부터 면제는 원래 주민의 후손에게만 적용되었다.[13]

2. 3. 쇠퇴와 독립 시도
1885년 주요 산업이었던 아연 광산이 고갈되면서, 중립 모레스네의 존속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립 모레스네를 보다 독립적인 지역으로 만들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었다.독일계 의사이자 우표 수집가이며 에스페란토 지지자였던 빌헬름 몰리 박사(1838년 ~ 1919년)는 중립 모레스네를 세계 최초의 에스페란토 사용 국가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 그는 국가 이름을 Amikejoeo(아미케요, '우정의 땅')로 짓고, 같은 제목의 에스페란토 행진곡을 국가로 제안했다.[15] 1908년 8월 13일 켈미스에서 Amikejoeo 건국을 지지하는 집회가 열렸고, 드레스덴에서 열린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는 중립 모레스네를 에스페란토 공동체의 세계 수도로 선언하기도 했다.[15] 많은 주민들이 에스페란토를 배우면서 이러한 움직임은 활기를 띠는 듯했다.
하지만 몰리 박사의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대신, 카지노 설립과 독자적인 우편 서비스 구축 등의 다른 방안들이 모색되었다. 1903년 8월에는 벨기에의 카지노 금지 조치에 대응하여 중립 모레스네에 카지노가 설립되기도 했다. 그러나 지역 주민의 도박 참여와 20명 이상의 동시 모임이 금지되는 등 엄격한 제한이 있었고, 빌헬름 2세 황제의 압력으로 결국 중단되었다.[16] 이 시기에 중립 모레스네에는 진 제조를 위한 세 개의 증류소가 설립되기도 했다.[16]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벨기에 합병 (1915-1920)
1900년경, 독일은 중립 모레스네에 대해 더욱 강경한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고, 행정 절차를 방해한다는 혐의를 받았다.[16]제1차 세계 대전은 중립 모레스네의 중립성에 종말을 가져왔다. 1914년 8월 4일, 독일은 벨기에를 침공했고, 1915년 6월 27일에는 중립 모레스네를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했지만,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했다.[18]
1918년 11월 11일, 콩피에뉴에서 체결된 프랑스와 독일 간의 휴전 협정에 따라 독일은 벨기에와 모레스네에서 철수해야 했다. 또한, 독일 침공 후 임명된 독일 국적 시장인 빌헬름 킬이 축출되었다.[19]
1919년 6월 28일, 베르사유 조약은 중립 모레스네를 프로이센 모레스네 및 독일의 오이펜-말메디와 함께 벨기에에 할당함으로써 1세기 전에 중립 영토를 만들었던 분쟁을 해결했다.[19] 이 조약은 1920년 1월 10일에 발효되어 중립 모레스네는 벨기에의 자치구로 전환되었다.
이미 존재하던 모레스네 마을과 구별하기 위해 중립 모레스네는 켈미스(La Calamine프랑스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켈미스는 아연 광석을 뜻하는 지역 방언에서 유래했다.[20]
병합 후에도 중립 모레스네 시장 피에르 그리냐르는 사실상 직무를 유지하며 켈미스의 초대 시장이 되었다. 중립 모레스네 의회 의원 10명은 프로이센 출신 의원들이 국적을 포기한 후 켈미스 시의회 의원으로 인정받았다. 이들은 1923년 2월 7일 새 시의회가 선출될 때까지 직무를 수행했다.[20][21]

2. 5. 합병 이후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중립 모레스네는 벨기에에 편입되면서 한 세기 넘게 이루어졌던 ‘한시적인 중립’은 끝나게 되었다.[22] 제2차 세계 대전 때 독일이 다시 합병했지만, 1944년에 다시 벨기에에 돌려주게 되었다. 1920년 이후 중립 모레스네는 오이펜이나 말메디와 같은 역사를 밟았다.[2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재점령과 1944년 벨기에로의 복귀, 1973년 벨기에 독일어 사용 공동체 편성이 그것이다. 1977년 켈미스는 인접한 코뮌인 노이모레스네와 헤르겐라스를 흡수했다.[23]노이모레스네에 있는 작은 박물관 Göhltal Museumde은 "중립 모레스네"의 역사에 관한 전시를 하고 있다.
비에유 몽타뉴 사의 광산은 폐쇄되었지만, 회사로서는 중립 모레스네에서 살아남아 몇 개의 분기를 거치면서 21세기 현재까지 계통을 이어가고 있다. 세계적인 금속 회사인 유미코어도 그중 하나이다.[25]
2016년 10월 26일, 알윈 하켄스-파펜이 사망한 후, 카타리나 메센이 과거 영토의 마지막 생존 시민이 되었다.[26] 2020년 초, 메센은 10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7]
3. 정치
중립 모레스네는 인접한 두 나라에서 파견된 두 명의 왕립 위원이 통치했으며, 시정부는 위원들이 임명한 시장이 이끌었다. 1859년, 1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시의회가 설치되어 자치권이 강화되었지만, 주민들에게는 투표권이 없었다.
프랑스 통치 시기에 도입된 나폴레옹 법전은 계속 효력을 가졌으나, 중립 영토에는 법원이 없어 벨기에와 프로이센 판사들이 사건을 결정해야 했다. 행정 법원도 없어 판사의 결정에 항소할 수 없었다.
중립 모레스네 주민들은 무국적자로 간주되었고, 자체적인 군대를 보유할 수 없었다. 많은 이들이 징병을 피하고자 모레스네로 이주했으나, 1854년 벨기에는 모레스네로 이주한 자국민에 대한 징병을 시작했고, 프로이센 역시 1874년에 같은 조치를 취했다. 이후 징병 면제는 원래 주민의 후손에게만 적용되었다.[13]
이름 | 임기 | 직업 등 |
---|---|---|
빌헬름 하르트 | 1817년 8월 6일 – 1819년 | 광산 컨설턴트 |
베르너 야콥 | 1817년 12월 8일 – 1823년 12월 2일 | 변호사 |
람베르트 에른스트 | 1835년 6월 8일 – 1840년 | 리에주 항소 법원 부검사 |
요제프 브란데스 | 1823년 12월 2일 – 1830년 | 학교 감독관 |
마티유 크레머 | 1840년 2월 1일 – 1889년 | 베르비에 판사 |
요한 마르틴 다니엘 마이어 | 1819년 4월 22일 – 1836년 3월 | 광산 컨설턴트 |
하인리히 마르틴스 | 1836년 7월 9일 – 1853년 11월 9일 또는 1854년 | 광산 컨설턴트 |
페터 베네딕트 요제프 아만트 폰 하렌 | 1852년 8월 11일 또는 1854년 – 1866년 1월 7일 | 오이펜 구역 위원 |
프라이헤어 폰 데어 하이 | 1866년 12월 12일 – 1868년 | 전 오이펜 구역 위원 |
에드워드 귈처 | 1868년 – 1871년 | 오이펜 구역 위원 |
알프레드 테오도르 슈테르니켈 | 1871년 6월 18일 – 1893년 4월 | 오이펜 구역 위원 |
페르난 자크 블레이퓨에스 | 1889년 11월 30일 – 1915년 3월 27일 | 베르비에 구역 위원 |
알프레드 야콥 베른하르트 테오도르 귈처 | 1893년 4월 18일 – 1909년 1월 1일 | 오이펜 구역 위원 |
발터 카를 마리아 데어 로젠 | 1909년 1월 13일 – 1918년 11월 1일 | 오이펜 구역 위원 |
닥터 바이에르 (대행) | 1915년 3월 27일 – 1915년 6월 27일 | 베르비에 민간 위원 |
페르난 자크 블레이퓨에스 | 1918년 11월 – 1920년 1월 10일 | 베르비에 구역 위원 |
3. 1. 행정 및 사법
중립 모레스네는 인접한 두 나라에서 파견된 두 명의 왕립 위원이 통치했다. 이 위원들은 대개 벨기에 베르비에와 프로이센 오이펜 출신의 공무원이었다. 시정부는 위원들이 임명한 시장이 이끌었다.[12]프랑스 통치 시기에 도입된 나폴레옹 법전은 중립 모레스네가 존속하는 동안 계속 효력을 가졌다. 그러나 중립 영토에는 법원이 없었기 때문에 벨기에와 프로이센 판사들이 들어와 나폴레옹 법전에 따라 사건을 결정해야 했다. 행정 법원도 없었으므로 판사의 결정에 대해 항소할 수 없었다.[12]
1859년, 중립 모레스네는 1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시의회를 설치하여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시의회는 복지 위원회 및 학교 위원회와 함께 시장이 임명했으며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주민들에게는 투표권이 없었다.[12]
이름 | 임기 | 직업 등 |
---|---|---|
빌헬름 하르트 | 1817년 8월 6일 – 1819년 | 광산 컨설턴트 |
베르너 야콥 | 1817년 12월 8일 – 1823년 12월 2일 | 변호사 |
람베르트 에른스트 | 1835년 6월 8일 – 1840년 | 리에주 항소 법원 부검사 |
요제프 브란데스 | 1823년 12월 2일 – 1830년 | 학교 감독관 |
마티유 크레머 | 1840년 2월 1일 – 1889년 | 베르비에 판사 |
요한 마르틴 다니엘 마이어 | 1819년 4월 22일 – 1836년 3월 | 광산 컨설턴트 |
하인리히 마르틴스 | 1836년 7월 9일 – 1853년 11월 9일 또는 1854년 | 광산 컨설턴트 |
페터 베네딕트 요제프 아만트 폰 하렌 | 1852년 8월 11일 또는 1854년 – 1866년 1월 7일 | 오이펜 구역 위원 |
프라이헤어 폰 데어 하이 | 1866년 12월 12일 – 1868년 | 전 오이펜 구역 위원 |
에드워드 귈처 | 1868년 – 1871년 | 오이펜 구역 위원 |
알프레드 테오도르 슈테르니켈 | 1871년 6월 18일 – 1893년 4월 | 오이펜 구역 위원 |
페르난 자크 블레이퓨에스 | 1889년 11월 30일 – 1915년 3월 27일 | 베르비에 구역 위원 |
알프레드 야콥 베른하르트 테오도르 귈처 | 1893년 4월 18일 – 1909년 1월 1일 | 오이펜 구역 위원 |
발터 카를 마리아 데어 로젠 | 1909년 1월 13일 – 1918년 11월 1일 | 오이펜 구역 위원 |
닥터 바이에르 (대행) | 1915년 3월 27일 – 1915년 6월 27일 | 베르비에 민간 위원 |
페르난 자크 블레이퓨에스 | 1918년 11월 – 1920년 1월 10일 | 베르비에 구역 위원 |
3. 2. 국적 및 군사
중립 모레스네 주민들은 무국적자로 간주되었으며, 자체적인 군대를 보유할 수 없었다.[12] 많은 사람들이 징병을 피하고자 모레스네로 이주하였으나, 1854년 벨기에는 모레스네로 이주한 자국민에 대한 징병을 시작했고, 프로이센 역시 1874년에 동일한 조치를 취했다. 이후 징병 면제는 원래 주민의 후손에게만 적용되었다.[13]4. 경제 및 사회
나폴레옹의 나폴레옹 제국 몰락 이후, 1814~15년의 빈 회의는 유럽 지도를 재편성하여 세력 균형을 이루고자 했다. 네덜란드 연합 왕국과 프로이센 왕국 사이의 국경선을 정하는 과정에서, 양측은 대부분의 영토에 동의했지만, 모레스네 지역은 비에유 몽타뉴라는 가치 있는 아연 광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 당시 영국의 브리스톨만이 아연 광석을 가공할 수 있었기 때문에, 네덜란드와 프로이센 정부는 황동 생산에 필요한 이 자원을 확보하고 싶어했다.[25]
1830년 벨기에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면서, 벨기에는 중립 모레스네에서 네덜란드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 영토는 각 인접국에서 파견된 두 명의 왕립 위원이 통치했으며, 시정부는 위원들이 임명한 시장이 지휘했다. 프랑스 통치 기간 동안 도입된 나폴레옹 법전은 중립 모레스네가 존속하는 동안 계속 효력을 유지했다. 그러나 중립 영토에는 법원이 없었기 때문에 벨기에와 프로이센 판사들이 들어와 사건을 결정해야 했다. 행정 법원도 없었기 때문에 판사의 결정에 대해 항소할 수 없었다.
1859년, 중립 모레스네는 1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시의회를 설치하여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시의회는 복지 위원회 및 학교 위원회와 함께 시장이 임명했으며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주민들에게는 투표권이 없었다.[12]
중립 모레스네의 주요 산업은 비에유 몽타뉴 광산 회사의 아연 채굴이었다. 이 회사는 인접 국가에서 많은 노동자를 끌어들여 인구가 증가하게 되는 주요 원인이었다. 우편과 같은 대부분의 공공 서비스는 벨기에와 프로이센이 공유했다. 영토에는 5개의 학교가 있었다.[13]
영토에서 생활하는 것은 낮은 세금, 수입 관세 부재, 국경 바로 건너편과 비교하여 낮은 가격 등의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중립 모레스네 출신 사람들은 무국적자로 간주되어 자체 군대를 가질 수 없다는 단점도 있었다. 많은 이민자들이 징병을 피하기 위해 모레스네에 정착했지만, 1854년 벨기에, 1874년 프로이센이 징집을 시작하면서 면제는 원래 주민의 후손에게만 적용되었다.[13]
4. 1. 통화 및 재정
프랑스 프랑이 법정 통화였으며, 프로이센(1871년 이후에는 독일 제국)과 벨기에, 네덜란드의 통화도 유통되었다. 1848년에는 지역 통화가 유통되기 시작했지만, 이 동전들은 공식적인 통화로 간주되지 않았다.[14]중립 모레스네는 100년에 걸친 역사 속에서 자체적인 통화를 발행한 적이 없었다. "국가 예산"의 규모는 그 역사를 통틀어 거의 2735FRF으로 고정되어 있었고, 주민들의 세금 부담은 가벼웠다. 중립 모레스네의 국경을 통과할 때 수입 관세가 부과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경 건너편에 비해 물가가 비교적 저렴했다.
4. 2. 산업
중립 모레스네의 생활은 주요 고용주였던 Vieille Montagne|비에유 몽타뉴프랑스어 광산 회사에 의해 지배되었다. 이 회사는 광산뿐만 아니라 주택, 상점, 병원, 은행도 운영했다.[25] 광산은 인접 국가에서 많은 노동자를 끌어들여 인구가 1815년 256명에서 1858년 2,275명, 1914년 4,668명으로 증가했다.[25]4. 3. 공공 서비스 및 교육
우편을 비롯한 대부분의 공공 서비스는 벨기에와 프로이센이 공동으로 운영했다. 이는 오늘날의 안도라와 비슷한 방식이었다.[12]중립 모레스네에는 5개의 학교가 있었고, 프로이센 국민은 프로이센 측 모레스네의 학교에 다닐 수도 있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Neutral-Moresnet Archive
https://archive.toda[...]
[2]
웹사이트
Avez-vous déjà entendu parler de Moresnet ?
https://threadreader[...]
[3]
웹사이트
Het absurde verhaal van Neutraal Moresnet
https://cultradar.wo[...]
[4]
문서
le lieu de l'amitié
[5]
서적
Zink
De Bezige Bij
2018
[6]
뉴스
Plombières : visite du Viaduc de Moresnet par les écoles.x
https://www.vedia.be[...]
Télé Vesdre
2022-06-18
[7]
서적
Das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ag
2005
[8]
서적
The Treaties of Peace, 1919–1923
https://books.google[...]
Lawbook Exchange
2006
[9]
웹사이트
Route 4: Landgraben
https://web.archive.[...]
GrenzRouten
2016-03-16
[10]
웹사이트
Neutral-Moresnet: History
http://www.moresnet.[...]
[11]
웹사이트
The Neutral Territory of Moresnet (1816–1918)
https://flagspot.net[...]
2005-05-01
[12]
서적
Unvisited Places of Old Europe
https://archive.org/[...]
1914
[13]
서적
The Neutral Territory of Moresnet
1882
[14]
웹사이트
Coins
https://web.archive.[...]
2008-10-24
[15]
웹사이트
Galmei und Esperanto, der fast vergessene europäische Kleinstaat Neutral‑Moresnet
http://www.swr.de/-/[...]
Südwestrundfunk
2016-03-15
[16]
뉴스
Awaiting a Crisis in Belgium
https://timesmachine[...]
1903-09-13
[17]
서적
An Atlas of Countries That Don't Exist: A Compendium of Fifty Unrecognized and Largely Unnoticed States
Macmillan
[18]
서적
Under Four Flags for France
D. Appleton & Company
1918
[19]
웹사이트
Peace Treaty of Versailles, Articles 31 – 117, Political Clauses for Europe and Annexes
http://net.lib.byu.e[...]
[20]
웹사이트
Kelmis (Municipality, Province of Liège, Belgium)
http://www.crwflags.[...]
[21]
웹사이트
Startseite – Ihre Gemeinde Kelmis-Hergenrath-Neu Moresnet
https://web.archive.[...]
2017-03-20
[22]
서적
De laatste Belgen, een geschiedenis van de oostkantons (The last Belgians, a history of the eastern districts)
Meulenhoff/Manteau
[23]
웹사이트
Gemeinde Kelmis
https://www.ostbelgi[...]
[24]
웹사이트
In search of the bordermarkers of Moresnet
http://www.grenspale[...]
2008-09-01
[25]
웹사이트
VMZINC : un leadership enraciné dans l'histoire
http://www.vmzinc.fr[...]
VMZINC
2008-10-24
[26]
뉴스
Dwergstaatje Neutraal Moresnet heeft nog slechts één oud-bewoner
http://www.trouw.nl/[...]
2017-03-20
[27]
뉴스
Catharina Meessen (1914–2020), de laatste Moresnetter, is overleden. De ministaat is nu echt historie
https://www.trouw.nl[...]
2020-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