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공은 건창 출신의 북송 시대 문인으로, 12세에 육론을 저술하고 1057년 구양수가 주최한 과거에 합격하여 이름을 알렸다. 그는 관각교감, 집현교리 등을 거쳐 지방관으로 재직하며 민생 안정에 기여했으며, 판삼반원사로 재직하며 국가 재정 삭감을 주장하기도 했다. 왕안석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신법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수수한 인품으로 관계에는 크게 출세하지 못했으나 끈기 있는 논리를 펼치는 문장으로 평가받았다. 남풍칠증의 일원이며, 당송팔대가 중 한 명으로, 고대 서적 교감에도 힘썼다. 저서로는 『원풍류고』, 『속원풍류고』, 『융평집』 등이 있으며, 전국책 교정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19년 출생 - 사마광
사마광은 북송 시대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이며 《자치통감》 편찬으로 유명하고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했으며 철종 시대에 재상으로 복귀하여 신법 폐지를 주도하는 등 시대적 배경과 평가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인물이다. - 1019년 출생 - 양종묘
양종묘는 북송 인종의 후궁으로, 장헌황후와의 친족 관계를 통해 입궁하여 아름다운 용모와 뛰어난 재능으로 총애를 받았으나 황후와의 갈등으로 출가 후 다시 궁으로 돌아와 현비, 덕비로 추증되었다. - 1083년 사망 - 문종 (고려)
문종은 고려 제11대 왕으로, 유능한 인재 등용과 과거 제도 정비, 여진족 정벌 및 국방력 강화 등의 노력으로 고려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문벌 귀족 사회의 폐단이 시작된 시기이기도 하다. - 1083년 사망 - 순종 (고려)
문종의 맏아들로 태어나 태자에 책봉되었고, 즉위 후 3개월 만에 사망했으나 문종 시대의 안정적인 기틀을 유지했다는 평가를 받는 고려 제12대 왕이다. - 당송팔대가 - 소순
소순은 북송 시대의 문장가이자 정치 사상가로, 아들 소식, 소철과 함께 3소로 불리며 육경과 제자백가에 통달했고 전국시대풍의 문체와 유가 인습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사상, 자주적인 국가 운영을 주장한 진보적인 정치 사상이 특징이다. - 당송팔대가 - 구양수
구양수는 북송 시대의 문인, 사학자, 정치가로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이며 한유의 고문 운동을 계승하여 문장 혁신을 주도했고, 역사학에도 조예가 깊어 《신당서》와 《신오대사》 편찬에 참여했으며, 만년에는 취옹이라 자칭했다.
증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019년 9월 30일 (천희 3년 8월 25일) |
출생지 | 난펑, 장시성 |
사망일 | 1083년 4월 30일 (원풍 6년 4월 11일) |
사망지 | 난징, 장쑤성 |
직업 | 수필가, 역사가, 시인, 정치가, 작가 |
자 | 자고 (子固) |
사상과 운동 | |
관련 운동 | 신고문운동 |
소속 그룹 | 당송팔대가 |
가족 관계 | |
형제자매 | 증역점 |
주요 작품 | |
대표 작품 | 유신주옥산소암기 (遊信州玉山小岩記) 제(齊州) 양주(襄州) 명주(明州) |
관직 및 칭호 | |
관직 | 중서사인 (中書舍人) |
시호 | 문정 (文定) |
작품집 | |
주요 작품집 | 원풍유고 (元豐類稿) 속원풍유고 (續元豐類稿) 융평집 (隆平集) |
2. 소전
건창 남풍현(현재의 장시성 남풍현) 출신이다. 12세 때에 『육론』을 썼다.[2] 1057년 구양수가 주최한 과거에 형제인 소식, 소철과 함께 급제하여 문풍(文風)을 일신시켜 명성을 얻었다. 태평주 사법참군(司法参軍)을 거쳐 중앙에 들어가 편교사관서적(編校史館書籍; 중앙도서관), 관각교감(館閣校勘), 집현교리(集賢校理), 영종실록검토관(英宗實錄檢討官)을 역임했다. 이후 지방으로 나가 월주, 통주의 통판(通判), 제주, 양주, 홍주, 복주, 명주, 박주 등의 지주(知州)를 역임하며 부임지마다 민중의 안녕과 행복 증진을 위한 행정에 힘써 치적을 올렸다. 제주(齊州) 지주(知州) 임기를 마치고 떠날 때, 민중이 그의 공적을 애석히 여겨 교량을 파괴하고 성문을 닫아 그를 보내지 않으려 하여, 밤을 틈타 간신히 떠났다고 한다. 이어 판삼반원사(判三班院事)로 재직 시, 국가 재정이 팽창하는 것에 우려를 표하며 경비 삭감을 주장하는 상소(上奏)를 올렸다. 인종은 이를 가납하여 "오조(五朝)의 치적은 증공에게 판단하게 하는 것이 좋겠다"라고 하며 사관수찬(史館修撰)에 임명했다. 1082년 중서사인(中書舎人)을 거쳐 이듬해 4월에 사망했다.
왕안석과 1041년경에 먼 친척 간의 혼인 관계로 알게 된 후, 평생 친밀하게 교류했다.[3] 그러나 동생 증포는 신법당의 유력한 일원이었지만, 증공은 신법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왕안석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반성을 촉구하기도 했다.[3] 수수한 성품으로 인해 관료 사회에서 크게 출세하지는 못했다.[3]
당송팔대가 중 가장 수수한 문장을 썼다고 여겨진다. 특히 서적 해제 문장에 정평이 있으며, 도학의 영향이 강하다. 후세에는 청나라 시대의 동성파(桐城派)에 의해 높게 평가받았다. 청나라 시대에는 이론적이고 화려하지 않은 문장이 선호되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대표작으로는 「전국책 목록의 서(戰國策目録の序)」, 「묵지기(墨池の記)」, 「구양사(欧陽舎人)에게 보내는 서(寄する書)」가 있다.[1]
1057년 구양수가 주최한 과거에 형제인 소식, 소철과 함께 급제하여 문풍을 일신하며 명성을 얻었다. 당송팔대가의 일원으로서 서발(序跋)·잡기(雑記) 등에 우수한 작품이 많고, 고대 서적 정리 및 교감에 종사하던 시기의 작품인 『전국책목록서(戰國策目錄序)』가 유명하다. 시문집으로는 『원풍류고(元豊類藁)』 50권, 『속원풍류고(續元豊類藁)』 40권, 『융평집(隆平集)』 30권이 있다.[1]
먼 친척인 왕안석과는 1041년경에 알게 된 후 평생 친분을 유지했다. 동생 증포는 신법당(新法黨)의 일원이었으나, 증공은 신법(新法)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왕안석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반성을 촉구하기도 했다. 수수한 성품으로 인해 관직에서 크게 출세하지는 못했고, 그의 산문은 화려함은 부족하지만 견실한 논의 전개가 특징이다. 청나라 동성파(桐城派)의 고문가(古文家) 요내는 "증공(曾公)은 능히 그의 단점을 피하고 범하지 않는다"라고 평했다. 남풍칠증(南豐七曾)의 일원이자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으로서 서발(序跋)·잡기(雑記) 등에 뛰어난 작품이 많으며, 고대 서적 정리·교감에 종사하던 시기의 작품인 『전국책목록서(戰國策目錄序)』가 유명하다. 시문집으로는 『원풍유고(元豊類藁)』 50권, 『속원풍유고(續元豊類藁)』 40권, 『융평집(隆平集)』 30권이 있다.
고전(古典籍) 교정(校訂)과 보전에도 힘썼으며, 현존하는 『전국책』 33편본은 증공이 재교정한 것이다.[3]
3. 왕안석과의 관계
4. 문학적 특징 및 평가
요내(姚鼐)는 “증공(曾公)은 능히 그 단점으로 하는 곳을 피해 어기지 않는다”라고 평했다. 증공의 산문은 화려는 부족하지만, 끈기 있고 결실한 의론(議論)의 전개가 특징이다.[1] 남풍칠증(南豐七曾)의 일원이자 당송팔대가의 일원으로서 서발(序跋)·잡기(雑記) 류에 우수한 작품이 많고 고대 서적 정리·교감에 종사하던 시기의 작품인 『전국책목록서(戰國策目錄序)』가 유명하다. 시문집에 『원풍류고(元豊類藁)』 50권·『속원풍류고(續元豊類藁)』 40권·『융평집(隆平集)』 30권이 있다.[1]
고전적(古典籍)의 교정(校訂)과 보전에도 노력하였으며, 현존하는 『전국책』 33편본은 증공이 재교정을 시행한 텍스트이다.[1]
5. 저서
고전 서적의 교정(校訂)과 보전에도 노력하여, 현존하는 『전국책』 33편본은 증공이 재교정한 텍스트이다.[1] 당송팔대가 중 가장 수수한 문장을 썼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서적 해제 문장에 정평이 있으며, 도학의 영향이 강하다. 후세에는 청나라 시대의 동성파(桐城派)에 의해 높게 평가받았는데, 이는 청나라 시대에 이론적이고 화려하지 않은 문장이 선호되었기 때문이다. 대표작으로는 「전국책 목록의 서(戰國策目録の序)」, 「묵지기(墨池の記)」, 「구양사(欧陽舎人)에게 보내는 서(寄する書)」가 있다.[1]
6. 관련 자료
7. 가계
증공은 강서성 남풍현(南豊縣) 건창(建昌) 출신이다. 1041년경 먼 친척 관계인 왕안석과 알게 된 후 평생 친하게 지냈다. 동생 증포(曾布)는 신법당(新法黨)의 유력한 일원이었지만, 증공은 신법(新法)을 비판했다.
참조
[1]
뉴스
Chinese calligraphy letter sets new auction record
https://www.bbc.co.u[...]
2016-05-16
[2]
문서
年十二、試作六論、援筆而成、辞甚偉。
[3]
서적
戦国策3
平凡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