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종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종은 고려 현종의 셋째 아들로, 덕종과 정종의 뒤를 이어 고려의 제11대 왕이 되었다. 그는 최충에게 율령과 서산을 정리하게 하여 법을 정비하고, 이자연과 최충을 등용하여 문치 정책을 추진했다. 불교를 장려하고 유학을 진흥시키는 한편, 여진족을 토벌하고 송나라 등과 교역을 활발히 하여 고려의 문물 제도를 발전시켰다. 재위 37년간 고려는 문화적으로 크게 성장하여 '고려의 황금기'로 불리며, 그의 치세는 고려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문종 - 전시과
    전시과는 고려시대 관리들의 관직과 인품을 기준으로 토지를 지급하던 제도로, 시정전시과, 개정전시과, 경정전시과를 거치며 문무 관료, 군인, 한인에게 수조권을 지급했으나 관직에서 물러나거나 사망 시 반납되었고 과전법 시행으로 폐지되었다.
  • 고려 문종 - 남경 (고려)
    남경은 고려 시대 서울 지역에 설치된 도시로, 궁궐 건설 후 천도 논의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잦은 전쟁과 기근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일시적인 천도 후 다시 개경으로 환도하였다.
  • 1083년 사망 - 증공
    증공은 북송 시대의 문인이자 당송팔대가 중 한 명으로, 지방관을 역임하며 민생 안정에 힘쓰고 국가 재정 문제에 날카로운 지적을 했으며, 실질적인 논의 전개가 특징인 문장으로 서발과 잡기 분야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 1083년 사망 - 순종 (고려)
    문종의 맏아들로 태어나 태자에 책봉되었고, 즉위 후 3개월 만에 사망했으나 문종 시대의 안정적인 기틀을 유지했다는 평가를 받는 고려 제12대 왕이다.
  • 1020년 출생 - 장재
    장재는 기(氣)를 우주의 근본 물질로 여기는 기일원론을 주장하고 성리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북송 시대의 유학자이다.
  • 1020년 출생 - 교황 그레고리오 7세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1073년 교황이 되어 교황권 강화, 교회 개혁, 하인리히 4세와의 서임권 투쟁, 성직 매매 금지, 성직자 독신 강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업적은 교황 수위권 발전에 기여했으나 로마 침공으로 망명 중 사망 후 시성되었다.
문종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문종
한자 표기文宗
로마자 표기Munjong
즉위1046년
퇴위1083년
왕조고려
가문왕씨
왕휘
초명서(緒)
촉유(燭幽)
출생1019년 12월 29일
출생 장소개경 안복궁
사망1083년 9월 2일 (63세)
사망 장소개경 중광전
묘소경릉
시호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
묘호문종(文宗)
정치
재위 기간1046년 ~ 1083년
즉위1046년, 개경 중광전
이전 통치자정종
다음 통치자순종
가족 관계
아버지현종
어머니원혜왕후
배우자인평왕후 김씨, 인예왕후 이씨
왕후 맞이1047년, 인예왕후
후궁인경현비 이씨 (숙령궁주), 인절현비 이씨 (숭경궁주) (1082년), 인목덕비 김씨 (성화궁주) (1049년 ~ 1083년)
아들왕훈
왕운
왕옹
왕후
왕수
왕탱
왕비
왕음
왕침
왕경
왕도
왕수
왕유
적경공주
보령궁주

2. 생애

2. 1. 생애 초반

문종은 1019년 현종과 원혜왕후 김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덕종과 정종의 이복 동생이며 정간왕에 추증된 평양공 왕기의 친형이었다. 덕종과 정종은 그의 이복 형이면서 동시에 이종 사촌 형이기도 했는데, 이모이자 적모인 원성왕후의 소생이었다.[12]

처음 이름은 서였으나 뒤에 휘로 고쳤다. 1022년 낙랑군으로 봉해졌으며, 1037년 내사령에 임명되었다. 이복 형인 정종이 세상을 뜬 후, 정종의 유지로 왕위를 계승했다.[13]

2. 2. 업적

문종은 즉위 후 문하시중 최충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게 함으로써 각종 법을 만드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장인인 이자연은 사심없이 그를 보필하였고, 이자연최충을 통해 문치 정책을 추진해 나갔다.[14]

불교를 신봉하여 1067년 흥왕사(興王寺)를 세웠고, 자신의 아들을 부처에게 바치겠다고 하고 태자 왕후(王煦)를 출가시켜 승려가 되게 하니 그가 바로 대각국사 의천이다.[14] 유학도 장려하여 이 무렵 최충의 9재(九齋)를 선두로 12도(十二徒)의 사학(私學)이 발달하였다. 지방에서도 중앙에서 파견하는 관리의 수가 늘었다.

국방과 외교에도 힘써 동여진(東女眞)이 북변을 침략하자 이를 토벌하여 동여진에 대한 초기의 정책은 다소 강경했으나 이후 점차 회유책을 썼고, 특히 송나라, 이슬람 등과 친선을 도모하여 교역이 융성하였다. 1056년 일본 사신이 개경을 방문하였다. 빈민 구휼에서도 치적을 쌓았다.

한편 일부 호족세력을 중심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자신의 친동생인 평양공을 추대하려 한 사실이 발각되자 1072년 평양공의 작위를 추탈하고 그 아들들을 유배보내기도 하였다.

2. 3. 사후

문종의 재위 37년간 고려의 문물 제도는 크게 정비되어 이 시기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불교, 유교, 미술, 공예 등 문화 전반에 걸쳐 괄목할 수준을 드러내 문화가 크게 발전되었다.

순종이 즉위 직후 3개월 만에 병사하여 둘째 아들 선종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능은 개성시 장풍군에 위치한 경릉(景陵)이다. 불교 중흥에 힘썼으므로, 인효성왕(仁孝聖王)라고도 부른다.

3. 대외 관계 및 귀화인 정책

고려는 송, 거란, 여진 등과 활발하게 교류했으며, 이들 국가에서 온 귀화인도 많았다. 귀화인의 직업으로 가장 많은 것은 문인, 문사, 관인지식인이었고, 그 외에 상인, 역관, 승려, 의사, 음악가, 점술가 등이 있었다. 후삼국 시대 통일을 주도한 세력은 무장이었기 때문에, 지식층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고려는 귀화인에게 관직, 토지, 가옥, 물품을 제공하는 등 귀화인을 우대했다[9].

여진의 야읍간(야읍간)이 동북면에 와서 자신의 아버지, 어머니, 형제 등 6명이 고려로 망명했고, 자신도 가족과 함께 살고 싶다고 간청했다. 문종은 "부모에게 효도하기 위해서라도, 부모의 친척들도 함께 데려와서 영남으로 이주시키라"는 명령을 내렸다[9]. 귀화인은 외교, 통역, 무역, 의료, 음악, 점술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여 고려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9].

4. 가족 관계

wikitext

colspan="2" |생몰년부모비고
현종
顯宗
992년 - 1031년안종
安宗
헌정왕후 황보씨
獻貞王后 皇甫氏
제8대 국왕
원혜왕후 김씨
元惠王后 金氏
미상 - 1022년김은부
金殷傅
안산군대부인 이씨
安山郡大夫人 李氏[15]



; 왕후

문종은 현종의 딸이자 이복 여동생인 인평왕후와 혼인하였으나 소생은 없었다.[16] 이후 이자연의 장녀인 인예왕후와 혼인하여 순종, 선종, 숙종 등을 낳았다.[16] 이자연의 차녀 인경현비에게서는 조선공, 부여공, 진한공을 얻었고,[16] 삼녀 인절현비 이씨와는 소생이 없었다.[16] 마지막으로 인목덕비를 왕후로 맞이하였으나 역시 소생은 없었다.[16]

시호본관
[16]
생몰년부모비고
제1비 인평왕후 김씨
仁平王后 金氏
안산미상현종
顯宗
원성왕후 김씨
元成王后 金氏
제2비 인예왕후 이씨
仁睿王后 李氏
인예순덕태후
仁睿順德太后
인주미상 - 1092년이자연
李子淵
계림국대부인 김씨
鷄林國大夫人 金氏
이자연의 장녀
제3비 인경현비 이씨
仁敬賢妃 李氏
인주미상이자연
李子淵
계림국대부인 김씨
鷄林國大夫人 金氏
이자연의 2녀
제4비인절현비 이씨
仁節賢妃 李氏
인주미상 - 1082년이자연
李子淵
계림국대부인 김씨
鷄林國大夫人 金氏
이자연의 3녀
제5비 인목덕비 김씨
仁穆德妃 金氏
경주미상 - 1094년김원충
金元沖



; 아들


  • 순종 (인예왕후 소생)
  • 선종 (인예왕후 소생)
  • 숙종 (인예왕후 소생)
  • 대각국사 의천 (인예왕후 소생)
  • 상안공 왕수 (왕수/王琇중국어) (인예왕후 소생)[3][4]
  • 보응승통 왕총 (인예왕후 소생)
  • 금관후 왕비 (왕비/王㮯중국어) (인예왕후 소생)[5]
  • 변한후 왕음 (왕음/王愔중국어) (인예왕후 소생)[6][7]
  • 낙랑후 왕침 (왕침/王忱중국어) (인예왕후 소생)
  • 총혜수좌 왕경 (왕경/王璥중국어) (인예왕후 소생)
  • 조선공 도 (인경현비 소생)
  • 부여공 수 (인경현비 소생)
  • 진한공 유 (인경현비 소생)


; 딸

colspan="2" |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적경궁주
積慶宮主
미상인예왕후 이씨부여공 왕수
扶餘公 王燧
2보령궁주
保寧宮主
미상 ~ 1113년인예왕후 이씨낙랑공 왕영
樂浪公 王瑛
3▨▨공주
▨▨宮主[19]
미상인예왕후 이씨조졸
4▨▨공주
▨▨公主[20]
미상인예왕후 이씨조졸
5▨▨공주
▨▨公主[21]
미상인절현비 이씨조졸
6▨▨공주
▨▨公主[22]
미상인절현비 이씨조졸
7▨▨공주
▨▨公主[23]
미상인목덕비 김씨조졸


4. 1. 왕후

문종은 현종의 딸이자 이복 여동생인 인평왕후와 혼인하였으나 소생은 없었다.[16] 이후 이자연의 장녀인 인예왕후와 혼인하여 순종, 선종, 숙종 등을 낳았다.[16] 이자연의 차녀 인경현비에게서는 조선공, 부여공, 진한공을 얻었고,[16] 삼녀 인절현비 이씨와는 소생이 없었다.[16] 마지막으로 인목덕비를 왕후로 맞이하였으나 역시 소생은 없었다.[16]

시호본관
[16]
생몰년부모비고
제1비 인평왕후 김씨
仁平王后 金氏
안산미상현종
顯宗
원성왕후 김씨
元成王后 金氏
제2비 인예왕후 이씨
仁睿王后 李氏
인예순덕태후
仁睿順德太后
인주미상 - 1092년이자연
李子淵
계림국대부인 김씨
鷄林國大夫人 金氏
이자연의 장녀
제3비 인경현비 이씨
仁敬賢妃 李氏
인주미상이자연
李子淵
계림국대부인 김씨
鷄林國大夫人 金氏
이자연의 2녀
제4비인절현비 이씨
仁節賢妃 李氏
인주미상 - 1082년이자연
李子淵
계림국대부인 김씨
鷄林國大夫人 金氏
이자연의 3녀
제5비 인목덕비 김씨
仁穆德妃 金氏
경주미상 - 1094년김원충
金元沖


4. 2. 자녀

wikitext

  • 아들

:* 순종 (인예왕후 소생)

:* 선종 (인예왕후 소생)

:* 숙종 (인예왕후 소생)

:* 대각국사 의천 (인예왕후 소생)

:* 상안공 왕수 (왕수/王琇중국어) (인예왕후 소생)[3][4]

:* 보응승통 왕총 (인예왕후 소생)

:* 금관후 왕비 (왕비/王㮯중국어) (인예왕후 소생)[5]

:* 변한후 왕음 (왕음/王愔중국어) (인예왕후 소생)[6][7]

:* 낙랑후 왕침 (왕침/王忱중국어) (인예왕후 소생)

:* 총혜수좌 왕경 (왕경/王璥중국어) (인예왕후 소생)

:* 조선공 도 (인경현비 소생)

:* 부여공 수 (인경현비 소생)

:* 진한공 유 (인경현비 소생)


colspan="2" |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적경궁주
積慶宮主
미상인예왕후 이씨부여공 왕수
扶餘公 王燧
2보령궁주
保寧宮主
미상 ~ 1113년인예왕후 이씨낙랑공 왕영
樂浪公 王瑛
3▨▨공주
▨▨宮主[19]
미상인예왕후 이씨조졸
4▨▨공주
▨▨公主[20]
미상인예왕후 이씨조졸
5▨▨공주
▨▨公主[21]
미상인절현비 이씨조졸
6▨▨공주
▨▨公主[22]
미상인절현비 이씨조졸
7▨▨공주
▨▨公主[23]
미상인목덕비 김씨조졸


4. 2. 1. 아들


  • 순종 (인예왕후 소생)
  • 선종 (인예왕후 소생)
  • 숙종 (인예왕후 소생)
  • 대각국사 의천 (인예왕후 소생)
  • 상안공 왕수 (왕수/王琇중국어) (인예왕후 소생)[3][4]
  • 보응승통 왕총 (인예왕후 소생)
  • 금관후 왕비 (왕비/王㮯중국어) (인예왕후 소생)[5]
  • 변한후 왕음 (왕음/王愔중국어) (인예왕후 소생)[6][7]
  • 낙랑후 왕침 (왕침/王忱중국어) (인예왕후 소생)
  • 총혜수좌 왕경 (왕경/王璥중국어) (인예왕후 소생)
  • 조선공 도 (인경현비 소생)
  • 부여공 수 (인경현비 소생)
  • 진한공 유 (인경현비 소생)

4. 2. 2. 딸

colspan="2" |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적경궁주
積慶宮主
미상인예왕후 이씨부여공 왕수
扶餘公 王燧
2보령궁주
保寧宮主
미상 ~ 1113년인예왕후 이씨낙랑공 왕영
樂浪公 王瑛
3▨▨공주
▨▨宮主[19]
미상인예왕후 이씨조졸
4▨▨공주
▨▨公主[20]
미상인예왕후 이씨조졸
5▨▨공주
▨▨公主[21]
미상인절현비 이씨조졸
6▨▨공주
▨▨公主[22]
미상인절현비 이씨조졸
7▨▨공주
▨▨公主[23]
미상인목덕비 김씨조졸


5. 평가

참조

[1] 뉴스 https://www.baccro.c[...] 2022-11-05
[2] 간행물 History of the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ieop) in Korea's Goryeo Dynasty (918-1392) 2015-12-19
[3] 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4-07-08
[4] 링크 http://db.history.go[...]
[5] 웹사이트 https://www.doopedia[...]
[6] 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4-07-08
[7] 링크 http://db.history.go[...]
[8]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1-06
[9] 뉴스 송·거란·여진인과의 통혼 http://contents.hist[...] 国史編纂委員会
[10] 서적 고려사》권8〈세가〉권8
[11] 링크 http://contents.hist[...]
[12] 문서 원성왕후와 원혜왕후, 원평왕후는 모두 김은부의 딸로 자매간이었다.
[13] 문서 현대 한 연구자는 정종이 사료에 나오는 것과는 달리 자신의 의지로 양위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임영희, 〈고려 靖宗의 讓位와 文宗의 왕위 계승〉 《인문사회 21》 36, 2019 참조.
[14] 문서 의천은 이미 출가한 외삼촌인 승려 김난원의 상좌가 되어 출가하였다.
[15] 문서 이허겸]]의 딸. [[이자연 (고려)|이자연]]의 고모.
[16] 문서 아버지가 국왕 혹은 왕족인 경우, 어머니 혹은 조모의 성씨를 사용
[17] 문서 《[[고려사]]》 세가의 기록순서에 따라 정렬한 것으로, 《고려사》는 어머니가 다른 이복 형제일 경우, 생모의 서열대로 정렬하여 기재하였다.
[18] 문서 이자연 (고려)|이자연]]의 손녀. [[이정 (고려 전기)|이정]]의 딸.
[19] 서적 《[[고려사]]》권91 열전 권제4 [종실 2, 공주(宗室 二, 公主)]
[20] 서적 《[[고려사]]》권91 열전 권제4 [종실 2, 공주(宗室 二, 公主)]
[21] 서적 《[[고려사]]》권91 열전 권제4 [종실 2, 공주(宗室 二, 公主)]
[22] 서적 《[[고려사]]》권91 열전 권제4 [종실 2, 공주(宗室 二, 公主)]
[23] 서적 《[[고려사]]》권91 열전 권제4 [종실 2, 공주(宗室 二, 公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