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필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필중은 전 KBO 리그 투수로, 1995년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OB 베어스 시절, 1995년 한국시리즈 6차전 완투승으로 팀의 우승에 기여했으며, 1999년에는 16승 36세이브를 기록하며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2002년 KIA 타이거즈로 이적, 이후 LG 트윈스를 거쳐 2008년 키움 히어로즈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은퇴 후에는 코치와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프로 야구 150세이브 클럽 - 임창용
임창용은 KBO 리그에서 '창용불패'라는 별명으로 활약하며 최연소 구원왕을 차지하고, NPB와 MLB에서도 활동한 오른손 사이드암 투수 출신 야구 선수이자 코치이지만, 불법 도박 혐의와 여러 논란으로 복잡한 평가를 받는다. - 한국 프로 야구 150세이브 클럽 - 조규제
조규제는 KBO 리그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쌍방울 레이더스 시절 신인왕과 구원왕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둔 야구 선수 출신 코치로, 은퇴 후 프로 팀 투수 코치를 거쳐 현재 제주고등학교 야구부 투수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서울역삼초등학교 동문 - 이병헌 (2003년)
두산 베어스 소속 프로 야구 선수인 이병헌(2003년)은 2022년 데뷔 후 3시즌 동안 122경기에 출전하여 6승 1패, 27홀드, 평균자책점 3.42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괄목할 만한 성적 향상을 보였다. - 서울역삼초등학교 동문 - 엄상백
엄상백은 2015년 KT 위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상무 야구단을 거쳐 KT 위즈로 복귀했으며, 2024년에는 FA 계약을 통해 한화 이글스로 이적한 투수이다. - 200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200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다구치 소
다구치 소는 간사이 학생 야구 연맹 최다 안타 기록을 세우고 오릭스 블루웨이브에서 데뷔하여 NPB와 MLB에서 외야수로 활약하며 골든 글러브,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하고 오릭스 코치를 역임한 뛰어난 수비력과 클러치 능력을 가진 야구 선수이다.
진필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이름 | 진필중 |
원어명 | Jin Pil-jung |
영문 표기 | Jin Pil-Jung |
출생일 | 1972년 10월 1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신장 | 180cm |
체중 | 91kg |
프로 입단 연도 | 1995년 |
드래프트 순위 | 1995년 2차 2순위 (OB 베어스) |
첫 출장 | KBO / 1995년 4월 16일 대전 대 한화전 |
마지막 경기 | KBO / 2006년 8월 2일 잠실 대 현대전 |
계약금 | 6,000만원 |
연봉 | 알 수 없음 |
선수 경력 | |
소속팀 | OB / 두산 베어스 (–) 기아 타이거즈 () LG 트윈스 (–) 우리 히어로즈 · 히어로즈 (2008) |
수상 경력 | |
주요 수상 | 2× 한국시리즈 우승 (1995, 2001) 3x KBO saves leader (2000, 2001, 2002) |
올림픽 메달 | }} |
통계 (KBO) | |
승패 기록 | 75–70 |
세이브 | 191 |
평균자책점 | 3.20 |
탈삼진 | 751 |
코치 경력 | |
소속팀 | 롯데 자이언츠 General 2nd Pitching Coach (2015–present) 한민대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09년 ~ 2011년) 경찰청 투수코치 (2012년 ~ 2013년) 롯데 자이언츠 드림팀 투수코치 (2016년 ~ 2017년) |
해설위원 경력 | |
방송사 | XTM 야구 해설위원 (2014년) SPOTV+ 야구 해설위원 (2015년) |
기타 정보 | |
대표 국가 | 대한민국 |
올림픽 참가 | 2000 시드니 |
아시아 선수권 대회 메달 | 금메달: 1999 서울 (단체전) |
2. 선수 시절
진필중은 1995년 중앙대를 졸업하고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데뷔 시즌에 6승 2패, 2세이브,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1995년 한국시리즈에서 9이닝 3피안타 1실점 완투승을 거두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2] 1998년에는 6승 19세이브, 1999년에는 16승 36세이브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2]
2002년 메이저 리그 진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2003년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되었다.[3][4] KIA 타이거즈에서는 마무리와 셋업맨으로 활약했지만, 3점대 평균자책점, 4승 4패, 19세이브를 기록하며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4]
2004년 자유계약선수 자격을 얻어 LG 트윈스와 4년간 총액 30억원에 계약하며 이적했지만,[5] 부상과 부진으로 4년간 3승 14패, 15세이브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고 2007년 방출되었다.[5] 2008년 우리 히어로즈에 신고선수로 입단했으나, 2군 6경기에서 평균자책 8.10을 기록하며 부진했고, 결국 6월에 방출되었다.[6]
2. 1. OB 베어스 & 두산 베어스 시절
1995년 중앙대를 졸업하고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데뷔 시즌 6승 2패, 2세이브,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그 해 롯데 자이언츠와의 1995년 한국시리즈에서 당시 OB 베어스의 감독이었던 김인식은 6차전에 풋내기 신인이었던 그를 선발 투수로 내세우는 승부수를 띄웠다. 그는 9이닝 3피안타 1실점 완투승을 거두며 우려를 불식시키고, 롯데 자이언츠의 우승을 저지하며 OB 베어스의 한국시리즈 2번째 우승에 기여하였다. 1998년 선발과 마무리를 오가며 6승 19세이브를 기록했고, 1999년 16승 36세이브를 기록하여 한국 신기록을 세웠으며, 2002년까지 4년 동안 132세이브를 올렸다.[2]2. 2. KIA 타이거즈 시절
2002년 초 메이저 리그 진출을 위해 포스팅 공시를 하였으나 아무도 응찰하는 구단이 없었다. 2002년 시즌을 마치고 다시 포스팅 공시를 했지만 25000USD(당시 약 3000만원)에 그쳐 진출을 포기했다.[3] 그의 포스팅 실패 이후 그의 추락이 시작되었다. 2003년 시즌을 앞두고 KIA 타이거즈가 손혁, 김창희를 상대로 현금 8억원을 두산 베어스에 주는 조건으로 트레이드되었다.[4] 마무리와 셋업맨 보직을 오가면서 활약했었다. 3점대 평균자책점, 4승 4패, 19세이브를 기록하였지만, 썩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중간에 2군으로도 내려갔다.2. 3. LG 트윈스 시절
2004년 자유계약선수 자격을 얻어 LG 트윈스에 이적하였다. 2003년 11월, LG 트윈스와 4년간 총액 30억원에 계약하여 구단의 큰 기대를 받았으나, 입단 첫 해인 2004년부터 등판할 때마다 자주 난조를 보이고 부진을 겪었다. 이후 3년간 부상과 부진을 겪으며 1군과 2군을 오가며 FA 계약 기간인 4년간 3승 14패, 15세이브라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한 채 2006년을 마지막으로 1군에서 자취를 감춘 후 2007년 말 방출되었다.[5] 2004년에는 부진한 그를 대신하여 이동현이 마무리 투수로 쏠쏠한 활약을 했으나, 병역 비리로 시즌 아웃되어 LG 트윈스는 난관에 부딪혔다.2. 4. 키움 히어로즈 시절
2008년 5월 14일 우리 히어로즈에 신고선수로 계약했으나, 2군 6경기에 등판해 6과 2/3이닝 동안 평균자책 8.10을 기록하며 부진했고, 결국 6월에 계약이 해지되어 방출되었다.[6]3. 야구선수 은퇴 후
방출 이후 개인 훈련을 하며 미국 마이너 리그 진출을 추진하다가 2008년 9월에 교통사고를 당했고, 이후 현역 복귀를 사실상 포기했다. 2009년 1월 5일 LG 트윈스 시절 동료였던 안상준의 제의로 한민대학교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7] 이후 2012년 경찰 야구단 투수 코치로 선임되었다. 2013년을 마지막으로 경찰 야구단 코치직에서 물러난 후, 2014년부터 최원호와 함께 XTM 프로야구 해설위원으로 영입되었다.[8]
4. 출신 학교
4. 1. 초등학교
서울역삼초등학교를 졸업했다.4. 2. 중학교
휘문중학교를 졸업하였다.4. 3. 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4. 4. 대학교
중앙대학교5. 수상
진필중은 선수 시절 다음과 같은 상을 받았다.
5. 1. 개인 수상
6. 주요 기록
7.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나이 | 승리 | 패전 | 승률 | 평균자책점 | 출장 | 선발 | 완투 | 완봉 | 세이브 | 홀드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탈삼진 | 몸에 맞는 공 | 보크 | 폭투 | 실점 | 자책점 | 타자수 | WHIP |
---|---|---|---|---|---|---|---|---|---|---|---|---|---|---|---|---|---|---|---|---|---|---|---|---|---|
1995 | OB | 23 | 6 | 2 | .750 | 3.21 | 36 | 9 | 2 | 0 | 2 | 0 | 109.1 | 112 | 2 | 32 | 3 | 50 | 8 | 0 | 5 | 43 | 39 | 464 | 1.32 |
1996 | 24 | 13 | 10 | .565 | 3.11 | 32 | 23 | 5 | 2 | 4 | 0 | 191.0 | 186 | 4 | 42 | 5 | 69 | 5 | 1 | 3 | 72 | 66 | 774 | 1.19 | |
1997 | 25 | 7 | 12 | .368 | 3.72 | 26 | 26 | 1 | 1 | 0 | 0 | 130.2 | 152 | 11 | 37 | 1 | 72 | 6 | 1 | 4 | 69 | 54 | 571 | 1.45 | |
1998 | 26 | 8 | 6 | .571 | 2.33 | 61 | 5 | 1 | 1 | 19 | 0 | 158.1 | 135 | 7 | 42 | 5 | 100 | 5 | 0 | 5 | 44 | 41 | 638 | 1.12 | |
1999 | 두산 | 27 | 16 | 6 | .727 | 2.37 | 73 | 0 | 0 | 0 | 36 | 0 | 114.0 | 84 | 9 | 37 | 3 | 114 | 4 | 0 | 8 | 32 | 30 | 454 | 1.06 |
2000 | 28 | 5 | 5 | .500 | 2.34 | 59 | 0 | 0 | 0 | 42 | 0 | 73.0 | 64 | 3 | 25 | 4 | 61 | 0 | 0 | 6 | 23 | 19 | 301 | 1.22 | |
2001 | 29 | 9 | 6 | .600 | 3.22 | 51 | 5 | 0 | 0 | 23 | 0 | 89.1 | 87 | 7 | 40 | 3 | 88 | 1 | 0 | 3 | 41 | 32 | 388 | 1.42 | |
2002 | 30 | 4 | 5 | .444 | 3.47 | 54 | 0 | 0 | 0 | 31 | 0 | 62.1 | 60 | 8 | 16 | 5 | 58 | 3 | 1 | 2 | 28 | 24 | 261 | 1.22 | |
2003 | KIA | 31 | 4 | 4 | .500 | 3.08 | 46 | 2 | 0 | 0 | 19 | 0 | 64.1 | 64 | 11 | 22 | 2 | 71 | 2 | 0 | 2 | 24 | 22 | 271 | 1.34 |
2004 | LG | 32 | 0 | 4 | .000 | 5.23 | 34 | 1 | 0 | 0 | 15 | 0 | 32.2 | 49 | 3 | 12 | 3 | 23 | 1 | 0 | 4 | 22 | 19 | 156 | 1.87 |
2005 | 33 | 3 | 7 | .300 | 5.82 | 13 | 12 | 0 | 0 | 0 | 0 | 51.0 | 58 | 5 | 21 | 0 | 27 | 7 | 0 | 5 | 40 | 33 | 237 | 1.55 | |
2006 | 34 | 0 | 3 | .000 | 3.95 | 25 | 3 | 0 | 0 | 0 | 2 | 43.1 | 54 | 3 | 15 | 0 | 18 | 0 | 0 | 4 | 21 | 19 | 190 | 1.59 | |
KBO 통산 : 12년 | 75 | 70 | .517 | 3.20 | 510 | 86 | 9 | 4 | 191 | 2 | 1119.1 | 1105 | 73 | 341 | 34 | 751 | 42 | 3 | 51 | 459 | 398 | 4705 | 1.29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참조
[1]
뉴스
Eagles' Ryu on MLB radar
https://www.koreatim[...]
2012-09-11
[2]
간행물
진필중, "내가 돌고래로 태어나고 싶은 이유"
http://www.sports2.c[...]
스포츠 2.0
2007-12-10
[3]
뉴스
진필중, 빅 리그에서 연습생보다도 못한 수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4]
뉴스
KIA 이번엔 ‘마무리’ 업그레이드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5]
뉴스
LG서 방출된 진필중 “은퇴요? 명예회복이 먼저입니다”
https://www.donga.co[...]
동아뉴스
2007-11-19
[6]
간행물
야구 인생 9회말 투아웃, 은퇴의 갈림길에 선 진필중
http://www.sports2.c[...]
스포츠 2.0
[7]
뉴스
진필중, 선수 꿈 완전 포기...지도자로 새인생 시작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09-02-13
[8]
뉴스
최희·공서영, XTM 'Wanna B' 공동 MC…최원호·진필중 합류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