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짐 젠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짐 젠틸은 은퇴한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1952년 브루클린 다저스와 계약하며 선수 경력을 시작했으며, 1960년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이적하여 1961년 시즌 타율 0.302, 46홈런, 141타점을 기록하며 MVP 투표 3위에 올랐다. 젠틸은 오리올스에서 1960년 올스타전에 출전했고, 1989년 볼티모어 오리올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969년에는 일본 프로 야구 긴테쓰 버팔로스에서 한 시즌을 뛰었으며, 이후 포트워스 캣츠와 미드 미주리 매버릭스의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선수 - 로키 콜라비토
    로키 콜라비토는 1955년부터 1968년까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외야수로 활약하며 9번의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1965년 아메리칸 리그 타점 1위를 기록했으며, 은퇴 후 해설자와 코치를 거쳐 2006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가 2024년에 사망했다.
  •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선수 - 캣피시 헌터
    뛰어난 제구력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하며 통산 5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과 1974년 사이 영 상을 수상하고 1987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 캣피시 헌터는 캔자스시티/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뉴욕 양키스에서 투수로 활동했다.
  •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감독 - 호너스 와그너
    호너스 와그너는 독일 이민자 출신으로 21시즌 동안 내셔널 리그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타격왕, 타점왕, 도루왕을 차지했고, 피츠버그 파이리츠를 월드 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미국의 야구 선수이다.
  •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감독 - 대니 머토
    대니 머토는 레딩 FC, 사우샘프턴 FC, 찰턴 애슬레틱 FC, 셰필드 유나이티드 FC를 지도한 축구 감독이자, 1957년부터 1976년까지 피츠버그 파이리츠 감독을 맡아 1960년과 1971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토론토 블루제이스, 피츠버그 파이리츠,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감독과 델라웨어 블루코츠, VCU, 데이턴 대학교, 텍사스 A&M 대학교 등 대학 팀을 지도했다.
  • 브루클린 다저스 선수 - 재키 로빈슨
    재키 로빈슨은 1947년 브루클린 다저스에 입단하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최초의 흑인 선수로 데뷔, 뛰어난 야구 실력과 용기로 인종 차별의 벽을 허물었으며 은퇴 후에도 인권 운동가와 사업가로 활동하며 사회적 정의를 위해 헌신한 인물이다.
  • 브루클린 다저스 선수 - 칼 어스킨
    칼 어스킨은 [주제]에 대한 역사, 현황, 쟁점, 전망과 과제, 관련 단체 및 기관 등 한국 사회에서의 다양한 측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관련 통계 및 데이터를 제공하는 문서이다.
짐 젠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5년의 짐 젠틸
1965년
포지션1루수
타석/투구좌타/좌투
출생지캘리포니아주샌프란시스코
사망일해당사항 없음
선수 경력
MLB 데뷔1957년 9월 10일
MLB 마지막 경기1966년 9월 3일
NPB 데뷔1969년 4월 12일
NPB 마지막 경기1969년 10월 19일
선수 경력 (MLB)브루클린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57–1958)
볼티모어 오리올스 (1960–1963)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1964–1965)
휴스턴 애스트로스 (1965–1966)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66)
선수 경력 (NPB)긴테쓰 버펄로스 (1969)
고등학교세이크리드 하트 고등학교
수상 내역
수상올스타 (1960–1962²)
AL 타점 1위 (1961)
볼티모어 오리올스 명예의 전당 헌액
통계
타율0.260
홈런179
타점549

2. 선수 경력

=== 초기 경력 ===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난 젠틸은 1952년 고등학교 투수로서 브루클린 다저스와 계약했다.[1] 첫 마이너 리그 시즌을 투수로 뛰며 2승 6패의 승패 기록을 기록했고, 이듬해 1루수로 변환되었다.[1] 길 호지스와 Norm Larker가 이미 1루수를 맡고 있던 다저스 팀에서 8년 동안 마이너 리그 야구에서 뛰었다.[1] 그는 마이너 리그에서 두 개의 다른 리그에서 홈런 1위를 차지했다.[1]

1956년 11월에는 미일 야구에 다저스 소속으로 방일하여 당시 2A 소속이었음에도 팀 최다인 8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1957년 9월 10일에 메이저에 데뷔했다.

1957년 9월 24일, 젠틸은 브루클린의 에베츠 필드에서 열린 다저스의 마지막 경기에서 1루수로 선발 출전했고, 5회 초 피 위 리즈로 교체되었다. 리즈는 3루로, 길 호지스는 3루에서 1루로 이동했다. 경기의 마지막 타자였던 피츠버그의 디 폰디는 유격수 돈 짐머에게 땅볼을 쳤고, 짐머는 1루에 있는 호지스에게 던져 경기의 마지막 아웃을 잡았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960년 볼티모어로 트레이드되었고, 1960년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1961년에 .302의 타율, 46개의 홈런, 141개의 타점, 96개의 득점, 147개의 안타, 25개의 2루타, 96개의 볼넷, .423의 출루율, .646의 장타율, 1.069의 OPS를 기록했다. 그는 MVP 투표에서 미키 맨틀과 로저 매리스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또한 젠틸은 5개의 만루 홈런을 기록했고 (한 경기에서 2개 연속 포함])[2] [3],

2. 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

9시즌 동안의 선수 경력에서 젠틸은 936경기에 출전하여 .260의 타율(759-2922)과 179개의 홈런, 549타점, 434득점, 113개의 2루타, 6개의 3루타, 3개의 도루를 기록했다.[4] 그는 메이저 리그 선수 생활 이후 킨테츠 버팔로즈에서 한 시즌을 일본에서 뛰었다.

젠틸은 포트워스 캣츠가 과 에 야구로 복귀했을 때 감독을 맡았다. 짐은 또한 프론티어 리그의 2005년 미드 미주리 매버릭스의 감독을 맡았다.

젠틸은 현재 에드먼드, 오클라호마에 거주하고 있다.[2][7]

2. 1. 1. 초기 경력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난 젠틸은 6피트 3인치, 210파운드의 강력한 좌타 장타율 타자였다. 그는 1952년 고등학교 투수로서 브루클린 다저스와 계약했다.[1] 그는 첫 마이너 리그 시즌을 투수로 뛰며 2승 6패의 승패 기록을 기록했다. 이듬해 그는 1루수로 변환되었다.[1] 그는 이미 올스타 길 호지스와 Norm Larker가 1루수를 맡고 있던 다저스 팀에서 8년 동안 마이너 리그 야구에서 고전했다.[1] 그는 마이너 리그를 지배하며 두 개의 다른 리그에서 홈런 1위를 차지했다.[1]

1957년 9월 24일, 젠틸은 브루클린의 유명한 에베츠 필드에서 열린 다저스의 마지막 경기에서 1루수로 선발 출전했고, 5회 초 피 위 리즈로 교체되었다. 리즈는 3루로, 길 호지스는 3루에서 1루로 이동했다. 경기의 마지막 타자였던 피츠버그의 디 폰디는 유격수 돈 짐머에게 땅볼을 쳤고, 짐머는 1루에 있는 호지스에게 던져 경기의 마지막 아웃을 잡았다.

1952년에 브루클린 다저스와 계약했다. 1956년 11월에는 미일 야구에 다저스 소속으로 방일하여 당시 2A 소속이었음에도 팀 최다인 8개의 홈런을 기록하는 등 활약했다. 1957년 9월 10일에 메이저 데뷔했다.

2. 1. 2. 볼티모어 오리올스

젠틸은 1960년 볼티모어로 트레이드되었고, 첫 풀 시즌이었던 1960년 올스타전에 출전했다.[2] 그는 1961년에 최고의 시즌을 보냈는데, .302의 타율, 46개의 홈런, 141개의 타점(아래 참조), 96개의 득점, 147개의 안타, 25개의 2루타, 96개의 볼넷, .423의 출루율, .646의 장타율, 1.069의 OPS로 선수 경력 최고 기록을 세웠다. 그는 MVP 투표에서 미키 맨틀과 로저 매리스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또한 젠틸은 5개의 만루 홈런을 기록했고 (한 경기에서 2개 연속 포함])[3],

2. 1. 3. 기타 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거쳤지만, 점차 출전 기회가 감소했다. 1967년에는 필라델피아 필리스 산하 3A에서 .236, 13HR, 1968년에도 같은 산하 3A에서 .185, 8HR에 그치는 등[8], 해마다 쇠퇴가 현저해졌다.

2. 2. 일본 프로 야구 (NPB)

1969년에 오사카 긴테츠 버팔로스(긴테츠 버팔로스)에 입단했다. 당시 만년 최하위였던 긴테츠에게는 기다리고 기다리던 거포였다. 그러나, 긴 프로 생활과 과체중의 영향으로 두 다리는 이미 말기적인 상황이었고, 개막전에서 갑자기 무릎 부상을 입는 등 부상과 엔트리 말소를 반복하며, 결국 선발 출장은 12경기에 그쳐 1년 만에 해고되었다.[8]

2. 2. 1. 긴테쓰 버팔로스

1969년에 오사카 긴테츠 버팔로스(긴테츠 버팔로스)에 입단했다. 당시 만년 최하위였던 긴테츠에게는 기다리고 기다리던 거포였다. 그러나, 긴 프로 생활과 과체중의 영향으로 두 다리는 이미 말기적인 상황이었고, 개막전에서 갑자기 무릎 부상을 입는 등 부상과 엔트리 말소를 반복하며, 결국 선발 출장은 12경기에 그쳐 1년 만에 해고되었다.

짐 젠틸은 양쪽 다리에 폭탄을 안고 긴테쓰에 입단했지만, 1969년 시즌은 개막전부터 부상을 당했다. 그 후 대타로 출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제대로 달릴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기 때문에, 홈런을 쳤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루에 출루하는 순간 즉시 대주자가 투입되었다. 당시 퍼시픽 리그에는 아직 지명 타자 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선발 출장할 때는 수비 범위가 좁은 1루수로 제한되었다.

5월에 한 번 등록 말소된 후 복귀하여, 5월 18일 한큐 브레이브스전(한큐 니시노미야 구장)에서 복귀 후 첫 선발 출장한 짐 젠틸은, 2회 초 한큐 선발 아다치 미츠히로를 상대로 선제 솔로 홈런을 쳤지만, 1루로 향하는 도중에 왼쪽 다리에 근육 파열을 일으켜 쓰러졌다. 홈까지 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심판진은 대주자 기용을 인정했다. 홈런을 친 타자에게 대주자가 투입된 것은 프로 야구 역사상 처음이었다. 참고로, 홈런과 타점은 짐 젠틸에게, 득점은 대주자 이세 타카오에게 기록되었다.[8]

이세는 홈을 밟을 때, 한큐의 포수 오카무라 코지로부터 "홈런을 친 기분은 어때?"라는 놀림을 받았고, 부끄러웠다고 하지만, 경기는 그대로 1루에 들어간 이세가, 동점인 8회 초에 요네다 테츠야를 상대로 결승 홈런을 쳐, 이번에는 진짜 자신의 홈런으로 홈을 밟았다.

그 후 짐 젠틸은 6월에 복귀했지만, 1루수로서의 선발 출장은 앞서 언급한 이세와 오가와 토오루 중 한 명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상기 기용법에 의해 시즌을 통틀어 자신의 홈런 외에는 득점이 한 번도 없었고, 일본에서의 통산 기록은 "홈런 8개·득점 7점"으로 홈런보다 득점이 적어졌다. 이 "홈런 수보다 득점 수가 적다"는 기록은, 홈런을 쳤을 때 대주자가 투입되는 드문 일이 없는 한 일어나지 않는 기록으로 (애초에 홈런을 치고 대주자를 투입받은 예가 히코노 토시카츠밖에 없다), 짐 젠틸의 예가 일본 프로 야구에서 유일하다(2021년 시즌 종료 시점).

3. 감독 경력

4. 수상 및 기록

1961년 젠틸은 141타점을 기록, 로저 매리스의 142타점에 이어 아메리칸 리그 2위를 기록했다.[6] 그러나 레트로시트(Retrosheet)의 분석 결과, 1961년 7월 5일 경기에서 매리스가 기록한 타점은 실책으로 인한 출루로 잘못 기록된 것으로 밝혀졌다.[5] 따라서 젠틸과 매리스는 1961년 141타점으로 공동 1위가 된다. 젠틸의 계약에는 리그 타점왕이 될 경우 5,000달러의 보너스를 받는다는 조항이 있었고,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50년 후인 2010년에 이 약속을 지켜 젠틸에게 5,000달러를 지급했다.[6]


  • MLB 올스타 게임 출장 3회 (1960년 - 1962년)
  • 아메리칸 리그 타점왕 1회 (1961년)


일본프로야구에서의 첫 출장 및 선발 출장은 1969년 4월 12일, 니시테츠 라이온즈와의 1차전(기타큐슈 시영 고쿠라 구장)에서 5번, 1루수로 출장한 경기였다. 같은 해 4월 25일, 도에이 플라이어즈와의 1차전(고라쿠엔 구장) 11회 초에 이이다 유키오의 대타로 출장, 가네다 도미히로에게서 단타를 기록하며 첫 안타를 쳤다. 첫 홈런은 1969년 4월 27일, 도에이 플라이어즈와의 3차전(고라쿠엔 구장) 7회 초에 스즈키 게이지의 대타로 출장, 모리야스 도시아키에게서 3점 홈런을 기록했다.

5. 통산 기록

5. 1. MLB 통산 기록


도구











2

3













타희

















O
P
S1957브루클린 다저스4761100141000010010.167.286.667.95219581234300410054000041061.133.235.167.4021960볼티모어 오리올스13846438467112170211929800056857728.292.403.500.9031961148601486961472524631414111089651110612.302.423.6461.0691962152639545801372113325987100107716710013.251.346.475.82119631455824966512316124213721013769610114.248.353.429.7821964오클랜드 애슬레틱스136533439711101002820471001584641229.251.372.465.8371965381281181429501064220000911263.246.305.542.847휴스턴 애스트로스8126922722551117893100213475725.242.352.392.744'65 계1193973453684161171535300014386988.243.337.443.7801966491701441635617641800102134393.243.355.444.799클리블랜드 가디언스335247261021340000510181.128.212.277.488'66 계822221911841719772200102644574.215.321.403.7241969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6510286722108471600001680231.256.373.547.919메이저 리그 베이스볼:9년936347929224347591136179142154931532475544566369.260.368.486.854일본 프로 야구:1년6510286722108471600001680231.256.373.547.919

5. 2. NPB 통산 기록


도}구

단|구

단}}









2

3













타희

















O
P
S近鉄6510286722108471600001680231.256.373.547.919NPB:1년6510286722108471600001680231.256.373.547.919


참조

[1] 웹사이트 Mickey Mantle, Roger Maris And Jim Gentile: The Story Of Baseball's Forgotten 1961 Sensation http://www.thepostga[...] Yahoo! Sports! 2014-01-03
[2] 뉴스 Almost 7 million-to-1 odds? Former Orioles slugger Jim Gentile hit back-to-back grand slams in a game in 1961 https://www.baltimor[...] 2021-06-29
[3] 뉴스 Oriole first baseman belts two grand slams https://news.google.[...] TimesDaily 2010-06-07
[4] 웹사이트 Jim Gentile Career Stats at Baseball Reference https://baseball-ref[...] 2024-06-25
[5] 웹사이트 Retrosheet Begins in Baltimore https://sabr.org/jou[...]
[6] 웹사이트 Ex-Oriole Jim Gentile lost $5,000 over error giving Roger Maris RBI crown http://content.usato[...]
[7] 블로그 JIM GENTILE – 1961 Most Valuable Oriole http://urbanshocker.[...] 2012-10-24
[8]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