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지방법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지방법원은 1909년 공주지방재판소 청주구재판소로 설치되어, 1945년 청주지방법원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청주시, 진천군, 보은군, 괴산군, 증평군을 관할하며, 소년보호사건은 충청북도 전 지역을 관할한다. 충주지원, 제천지원, 영동지원을 두고 있으며, 본원에는 등기과가 있다. 본원은 청주시 서원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지원 및 시/군 법원은 해당 지역에 소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지방법원 - 수원지방법원
수원지방법원은 경기도 남부 지역을 관할하며 수원시 영통구에 본원을 두고 성남, 여주, 평택, 안산, 안양에 지원을 두어 여러 시·군 법원을 통해 관할 지역의 사법 사무를 처리하는 지방법원이다. - 대한민국의 지방법원 - 서울북부지방법원
서울특별시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동대문구, 성북구, 중랑구를 관할하는 서울북부지방법원은 1974년 성북지원으로 설립되어 북부지원을 거쳐 2004년 지방법원으로 승격되었으며, 민사, 형사, 가정 재판 및 등기 업무를 담당하고 도봉구 도봉동에 위치한다. - 1945년 설치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1945년 설치 - 개풍군 (대한민국)
개풍군은 광복 당시 경기도에 속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 이북에 위치하며 대한민국 실효 지배에서 벗어난,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에 있는 14개 면으로 구성된 군이다. - 청주시 소재의 관공서 - 청주지방검찰청
청주지방검찰청은 충청북도를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지방검찰청으로, 1907년 공주지방재판소 검사국에서 시작하여 1947년 청주지방검찰청으로 독립 출범 후 충주, 제천, 영동지청을 산하에 두고 조직 확대와 청사 이전을 거쳐 충청북도 지역의 사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청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청주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은 1987년에 개관하여 어린이전시관, 청명관 등을 갖추고 있으며, 금속, 토제, 도자기 등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청주지방법원 | |
---|---|
법원 정보 | |
이름 | 청주지방법원 |
![]() | |
설립일 | 1945년 11월 19일 |
전신 | 대전지방법원 청주지청 |
관할 | 일반 사건: 청주시, 진천군, 보은군, 괴산군, 증평군 소년보호사건: 충청북도 전역 |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로62번길 51 |
기관장 | 법원장 |
상급기관 | 대전고등법원 |
산하기관 | #관할 지원 |
웹사이트 | 청주지방법원 웹사이트 |
관할 지원 |
2. 연혁
- 1909년 3월 10일 공주지방재판소 청주구재판소가 설치되었다.[1]
- 1912년 3월 19일 공주지방법원 청주지청으로 변경되었다.
- 1938년 7월 1일 대전지방법원 청주지청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 1945년 11월 19일 청주지방법원으로 승격되었다.[1]
- 2008년 9월 1일 대전고등법원 원외재판부가 설치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09년 3월 10일에 공주지방재판소 청주구재판소淸州區裁判所일본어가 설치되었다.[1] 1912년 3월 19일에는 공주지방법원 청주지청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38년 7월 1일 대전지방법원 청주지청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2. 2. 지방법원 승격 이후
1945년 11월 19일 청주지방법원으로 승격되었다.[1] 2008년 9월 1일 대전고등법원 원외재판부가 설치되었다.3. 역대 법원장
순번 | 이름 | 재임 기간 |
---|---|---|
1 | 서정국 | 1945년 11월 ~ 1948년 7월 |
2 | 남정숙 | 1948년 7월 13일 ~ 1952년 2월 |
3 | 문기선 | 1952년 2월 ~ 1954년 9월 |
4 | 이화종 | 1954년 9월 ~ 1956년 7월 |
5 | 최윤모 | 1956년 7월 ~ 1959년 2월 |
6 | 홍남표 | 1959년 2월 ~ 1960년 1월 |
7 | 김용섭 | 1960년 1월 ~ 1960년 5월 |
8 | 김헌섭 | 1960년 5월 ~ 1960년 11월 |
9 | 김영세 | 1960년 11월 ~ 1961년 8월 |
10 | 기세훈 | 1961년 8월 ~ 1963년 11월 |
11 | 강안희 | 1963년 11월 ~ 1965년 4월 |
12 | 이재옥 | 1965년 5월 ~ 1968년 12월 |
13 | 송명관 | 1968년 12월 ~ 1969년 9월 |
14 | 이종표 | 1969년 9월 ~ 1971년 9월 |
15 | 정태원 | 1971년 9월 ~ 1973년 3월 |
16 | 김태현 | 1973년 3월 ~ 1975년 7월 |
17 | 전병덕 | 1975년 7월 ~ 1977년 1월 |
18 | 한만춘 | 1977년 1월 ~ 1980년 5월 |
19 | 한정진 | 1980년 6월 ~ 1981년 4월 |
20 | 오석락 | 1981년 4월 ~ 1983년 3월 |
21 | 윤관 | 1983년 3월 ~ 1984년 7월 |
22 | 윤승영 | 1984년 7월 ~ 1985년 3월 |
23 | 윤영오 | 1985년 3월 ~ 1986년 4월 |
24 | 이민수 | 1986년 4월 ~ 1987년 8월 |
25 | 김재철 | 1987년 9월 ~ 1988년 7월 |
26 | 천경송 | 1988년 7월 ~ 1991년 1월 |
27 | 김영진 | 1991년 2월 ~ 1991년 9월 |
28 | 최공웅 | 1991년 9월 ~ 1993년 2월 |
29 | 박준서 | 1993년 2월 ~ 1993년 10월 |
30 | 김헌무 | 1993년 10월 ~ 1994년 2월 |
31 | 안석태 | 1994년 2월 ~ 1994년 7월 |
32 | 송재헌 | 1994년 7월 ~ 1995년 2월 |
33 | 정용인 | 1995년 2월 ~ 1996년 2월 |
34 | 김선석 | 1996년 2월 ~ 1997년 6월 |
35 | 조용완 | 1997년 9월 ~ 1998년 8월 |
36 | 권성 | 1998년 8월 ~ 1999년 10월 |
37 | 이보헌 | 1999년 10월 ~ 2000년 7월 |
38 | 홍일표 | 2000년 7월 ~ 2001년 2월 |
39 | 황인행 | 2001년 2월 ~ 2002년 2월 |
40 | 김상기 | 2002년 2월 8일 ~ 2003년 2월 11일 |
41 | 김재진 | 2003년 2월 ~ 2004년 2월 |
42 | 우의형 | 2004년 2월 ~ 2004년 4월 |
43 | 이광렬 | 2004년 4월 19일 ~ 2005년 2월 |
44 | 손기식 | 2005년 2월 14일 ~ 2005년 11월 3일 |
45 | 차한성 | 2005년 11월 4일 ~ 2006년 8월 23일 |
46 | 김이수 | 2006년 8월 24일 ~ 2008년 2월 12일 |
47 | 이재홍 | 2008년 2월 13일 ~ 2009년 2월 8일 |
48 | 민일영 | 2009년 2월 9일 ~ 2009년 9월 6일 |
49 | 이성보 | 2009년 9월 7일 ~ 2010년 8월 10일 |
50 | 서기석 | 2010년 8월 11일 ~ 2012년 2월 15일 |
51 | 사공영진 | 2012년 2월 16일 ~ 2014년 2월 12일 |
52 | 조경란 | 2014년 2월 13일 ~ 2016년 2월 10일 |
53 | 신귀섭 | 2016년 2월 11일 ~ 2018년 2월 12일 |
54 | 이상주 | 2018년 2월 13일 ~ 2020년 2월 12일 |
55 | 이승훈 | 2020년 2월 13일 ~ 2021년 2월 8일 |
56 | 허용식 | 2021년 2월 9일 ~ 2023년 2월 19일 |
57 | 임병렬 | 2023년 2월 20일 ~ |
4. 관할 구역
청주지방법원은 본원과 각 지원으로 관할 구역이 나뉜다. 본원은 청주시, 진천군, 보은군, 괴산군, 증평군을 관할하며, 소년보호사건은 충청북도 전 지역을 관할한다.[1]
각 지원의 관할 구역은 다음과 같다.
4. 1. 본원 관할
청주시, 진천군, 보은군, 괴산군, 증평군을 관할한다. 단, 소년보호사건은 충청북도 전 지역을 관할한다.4. 2. 지원 관할
5. 관할 지원 및 시/군 법원
청주지방법원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로 62번길 51 (산남동 505)에 있다. 산하에는 3개의 지원(충주지원, 제천지원, 영동지원)과 6개의 시/군 법원(괴산군법원, 보은군법원, 진천군법원, 음성군법원, 단양군법원, 옥천군법원)이 있다. 증평군에는 법원이 없다. 각 지원 및 시/군 법원의 상세 정보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5. 1. 지원
충주지원제천지원
영동지원
5. 2. 시/군 법원
법원명 | 소재지 | 관할구역 |
---|---|---|
괴산군법원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읍내로 5길 20 (동부리 673-3) | 괴산군 |
보은군법원 |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보은로 147 (교사리 54-13) | 보은군 |
진천군법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남산3길 6 (교성리 237-2) | 진천군 |
음성군법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광로 55 (읍내리 725-2) | 음성군 |
단양군법원 |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중앙1로 9 (별곡리 303) | 단양군 |
옥천군법원 |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중앙로 96 (문정리 451-4) | 옥천군 |
6. 관할 등기소
명칭 | 소재지 |
---|---|
청주지방법원(본원) 등기과 | 청주시 |
보은등기소 | |
옥천등기소 | |
진천등기소 | |
괴산등기소 | |
음성등기소 | |
단양등기소 |
6. 1. 본원 관할
6. 2. 지원 관할
지원 | 소재지 |
---|---|
보은등기소 |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군청길 34 |
옥천등기소 |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중앙로 99 |
진천등기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산로 36 |
괴산등기소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읍내로6길 15 |
음성등기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중앙로 147 |
단양등기소 |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중앙2로 9 |
7. 소재지
법원명 | 소재지 |
---|---|
청주지방법원 본원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로 62번길 51 (산남동 505) |
괴산군법원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읍내로 5길 20 (동부리 673-3) |
보은군법원 |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보은로 147 (교사리 54-13) |
진천군법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남산3길 6 (교성리 237-2) |
충주지원 | 충청북도 충주시 계명대로 103 (교현동 720-2) |
음성군법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광로 55 (읍내리 725-2) |
제천지원 | 충청북도 제천시 칠성로 53 (중앙로2가 16-2) |
단양군법원 |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중앙1로 9 (별곡리 303) |
영동지원 |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영동황간로 99 (매천리 306) |
옥천군법원 |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중앙로 96 (문정리 451-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