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항 (97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항은 신라 말 삼최 중 한 명인 최언위의 손자로, 고려 시대의 문신이다. 991년 성종 때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내사 사인이 되었고, 목종 때 지공지로 지명인사를 많이 뽑았다. 1009년 김치양의 음모를 알아채고 채충순과 함께 현종을 옹립하여 변을 막았으며, 이후 한림 학사, 정당 문학 등을 거쳐 추충진절위사 공신이 되었다. 정당문학으로 재직하며 팔관회를 부활시켰고, 현종의 명으로 태조 이하 7대조의 실록을 편찬했다. 거란의 침략 때 소실된 훈요 10조가 그의 집에서 발견되어 현종에게 바쳐졌으며, 성품이 성실하고 청렴하며 불심이 깊어 황룡사 탑을 수리하기도 했다. 덕종 때 정광으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72년 출생 - 교황 그레고리오 5세
독일인 최초의 교황으로 여겨지는 교황 그레고리오 5세는 996년부터 999년까지 재임하며 신성 로마 제국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오토 3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고 대립 교황 요한 16세를 진압하는 등 교회 정책을 펼쳤다. - 972년 출생 - 로베르 2세 (프랑스)
위그 카페의 아들인 로베르 2세는 아버지에 의해 공동 통치 왕으로 임명된 프랑스 왕으로, 결혼 문제로 파문당했으나 신심이 깊었으며 왕령 확대를 위해 부르고뉴 공작령을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 고려의 자작 - 위수여
위수여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인물로, 강화 위씨 출신이며 국왕의 측근 세력으로 관료가 되어 문하시중까지 올랐으나 1012년에 사망했다. - 고려의 자작 - 채충순
채충순은 고려 목종 때 중추원부사를 거쳐 현종 옹립에 기여하고 거란 침입 시 왕을 호종했으며, 이부상서와 참지정사를 지내고 정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024년 사망 - 하인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2세는 973년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2세와 부르군디의 기젤라 사이에서 태어나 1002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신성 로마 제국의 왕이자 1014년부터 황제를 지낸 오토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로, 왕권 강화, 폴란드와의 전쟁, 이탈리아 원정, 교회와의 관계 속에서 신권적인 제국 통치를 추구하다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작센 왕조가 단절되었고 1147년 시성되었다. - 1024년 사망 - 교황 베네딕토 8세
교황 베네딕토 8세는 1012년부터 1024년까지 재위하며 사라센족과 노르만족에 대처하고 성직 매매를 억제했으며, 클뤼니 수도원 개혁을 지지하다가 형제 요한 19세에게 교황 자리를 물려주었다.
최항 (97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최항 |
원어 이름 | 崔沆 |
작위 | 고려의 정당문학 |
재임 기간 | 1010년 ~ 1023년 |
군주 | 고려 현종 |
군주 칭호 | 국왕 |
휘 | 항(沆) |
시호 | 절의(節義) |
자 | 내융(來融) |
친인척 | 최언위(친조부) 최치원(재종조부) 최승로(삼종질) |
학력 | 991년 문과 장원 급제 |
출생일 | 972년 |
출생지 | 고려 개경 |
사망일 | 1024년 (53세) |
사망지 | 고려 개경 |
국적 | 고려 |
종교 | 불교 |
가문 | 경주 최씨 |
성별 | 남성 |
2. 생애
최항은 성실하고 청렴한 성품을 지녔으며 불교에 대한 믿음이 깊었다.[4] 황룡사 탑을 감독하고 수리하는 데에도 참여했다. 사후 덕종 때 정광으로 추증되었다.[3]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신라 말 '삼최(三崔)' 중 하나였던 최언위의 손자로, 991년 성종 때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내사사인이 되었다. 목종 때 지공지로 지명인사를 관료로써 많이 뽑았으며, 1009년 왕이 병석에 누워 있을 때 중추원사로서 김치양의 음모를 알아채고 채충순과 함께 현종을 즉위시켜 변을 막았다. 그 후 한림학사·정당문학 등을 지내고 추충진절위사공신의 호를 받았다. 정당문학으로 있을 때 30년간 폐지되었던 '팔관회'를 부활시켰다.[3]2. 2. 김치양의 난 진압과 현종 옹립
1009년 목종이 병석에 누웠을 때, 최항은 중추원사로서 김치양의 음모를 알아채고 채충순과 함께 현종을 옹립하여 변을 막았다.[3] 이후 최항은 한림 학사, 정당 문학 등을 지내고 추충진절위사 공신의 호를 받았다. 정당문학으로 재임 중에는 30년간 폐지되었던 팔관회를 부활시켰다.2. 3. 현종 대의 활동
1009년 현종이 병석에 누워 있을 때, 최항은 중추원사로서 김치양의 음모를 알아채고 채충순과 함께 현종을 즉위시켜 변을 막았다.[3] 이후 한림학사, 정당문학 등을 지내고 추충진절위사공신의 호를 받았다. 정당문학으로 재임하던 중 30년간 폐지되었던 팔관회를 부활시켰다.[3]현종의 명으로 유신(儒臣) 최항은 태조 이하 7대조의 실록을 편찬하였다.[3]
거란의 침략으로 원본이 불타버렸다고 알려진 〈훈요 10조〉는 우연히 경주 출신 최항의 집에서 발견되어 현종에게 바쳐졌다. 현종은 신라계를 외가로 하였고, 지지기반 역시 신라계 신하들이었다.[4]
2. 4. 훈요 10조 발견
고려 거란의 침략 때 원본이 불타버렸다고 알려진 〈훈요 10조〉는 우연히 경주 출신 최항의 집에서 발견되어 현종에게 바쳐졌다. 현종은 외가가 신라계였고, 지지기반 역시 신라계 신하들이었다.2. 5. 성품과 불교 신앙
최항은 성품이 성실하고 청렴했으며, 불심이 깊었다.[4] 황룡사 탑을 감독·수리하였다.2. 6. 사망과 추증
덕종 때 정광으로 추증되었다.[3]3. 최항이 등장한 작품
해당 섹션은 최항이 등장한 작품에 대한 간략한 목록만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하위 섹션과 겹치는 내용은 최대한 간결하게 작성한다.
3. 1.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최항 崔沆 a(? ~ 1024)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Choi Soo-jong's 'Goryeo–Khitan War', the final scene of the union script reading
https://entertain.na[...]
Sports Donga
2023-09-12
[3]
웹사이트
Home > 유교문화관 > 유교관련도서 > 지역역사 > 안동시사 2 :: 2절. 고려시대 유학의 발전
http://www.ugyo.net/[...]
유교넷
[4]
웹사이트
최항[崔沆,?~1024]
https://www.doopedia[...]
doopedia 두산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