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릭터 클래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릭터 클래스는 롤플레잉 게임(RPG)에서 캐릭터의 역할과 능력을 정의하는 핵심적인 시스템이다. 최초의 RPG 중 하나인 《던전 & 드래곤》에서 유래되었으며, 테이블탑 게임, 비디오 게임, 라이브 액션 롤플레잉 게임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클래스 시스템은 파이터, 마법사, 도적과 같은 전형적인 클래스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역할 분담과 설정을 돕고, 멀티클래스, 클래스 변경과 같은 다양한 변형을 통해 게임의 깊이를 더한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초 D&D의 소개와 함께 클래스 시스템이 알려졌으며, 이후 한국 고유의 RPG와 온라인 RPG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클래스 시스템은 게임의 장르와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며, 스킬 기반 시스템과의 결합을 통해 캐릭터의 자유로운 성장과 플레이 스타일을 제공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릭터 클래스 - 올라운더
    올라운더는 스포츠에서 여러 분야에 걸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선수를 의미하며, 비디오 게임에서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캐릭터나 게임 전반에 능숙한 플레이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캐릭터 클래스 - 전사 (캐릭터 클래스)
    높은 체력과 공격력을 가진 전사는 다양한 게임에서 근접 전투를 수행하며, 파티에서 탱커 역할을 하고 다양한 무기와 갑옷으로 적을 제압하는 대표적인 캐릭터 클래스이다.
  • 롤플레잉 게임 용어 - 능력치
    능력치는 롤플레잉 게임에서 캐릭터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게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캐릭터의 강점과 약점을 나타낸다.
  • 롤플레잉 게임 용어 - 캐릭터 생성
    캐릭터 생성은 게임 시작 전 플레이어가 캐릭터의 능력치, 외모, 배경 등을 설정하여 속성과 기술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게임 종류에 따라 방식이 다양하며, 캐릭터 시트에 정보가 기록되고, 성장은 게임 진행에 따라 능력치가 향상됨을 의미한다.
캐릭터 클래스
게임 캐릭터 클래스
유형게임 디자인 요소
개요
설명게임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의 역할, 능력, 스타일을 정의하는 요소이다. 캐릭터 클래스는 플레이어에게 특정 역할 수행에 필요한 능력과 플레이 스타일을 제공하며, 게임 진행 방식과 전략에 영향을 미친다.
역할플레이어에게 역할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게임 플레이를 다양화한다.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한다.
게임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특징
특징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기술 및 능력
캐릭터가 착용할 수 있는 장비
캐릭터의 플레이 스타일
게임 내 캐릭터의 역할
추가 특징캐릭터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특정 역할, 강점, 약점을 가지고 있다.
역사
기원캐릭터 클래스의 개념은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에서 시작되었다.
1974년의 던전 앤 드래곤에서 플레이어는 "클래스"를 선택하여 플레이했다.
발전비디오 게임에서 캐릭터 클래스는 더욱 정교해지고 다양해졌다.
일부 게임은 플레이어가 게임을 진행하면서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유형
아키타입 기반 클래스전사
마법사
도적
사제
하이브리드 클래스마검사
암살자
성기사
특수 클래스소환사
연금술사
기술자
게임 디자인에서의 역할
역할캐릭터 클래스는 게임 디자인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플레이어 경험플레이어가 게임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고, 게임 플레이 스타일에 맞는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게임 밸런스각 클래스의 강점과 약점을 조절하여 게임 밸런스를 유지한다.
콘텐츠 다양성다양한 클래스를 제공하여 게임 콘텐츠를 풍부하게 만든다.
참고
참고 자료참고 문헌
관련 항목

2. 역사

공식적으로 최초의 롤플레잉 게임으로 알려진 《던전 & 드래곤(D&D)》은 《체인메일》과 같은 미니어처 워게임에 등장하는 유닛에서 영감을 얻어 클래스를 도입했다.[5] D&D 이후에 만들어진 게임들은 이 아이디어를 채택하되 나름대로 변형하여 사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들을 '''클래스 기반''' 체계의 게임이라고도 부른다. 캐릭터 클래스는 테이블 게임,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 라이브 액션 롤플레잉 게임 등에도 등장한다. 가장 인기 있는 롤플레잉 게임들은 대부분 형태가 조금씩 다를 뿐 여전히 캐릭터 클래스를 기반으로 하며, 이와 더불어 인종이나 종족, 기술(스탯), 소속과 같이 캐릭터의 구별이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요소를 함께 제공한다.

''던전 & 드래곤''(D&D)은 최초의 공식화된 롤플레잉 게임으로, 체인메일의 유닛에서 영감을 얻어 클래스 사용을 도입했다.[5] 이후 많은 게임들이 이와 동일한 아이디어를 변형하여 채택했다. 이러한 게임들은 때때로 '클래스 기반' 시스템이라고 불린다.

던전 & 드래곤』에서 제시된 파이터(전사), 매직 유저(마법사), 클레릭(사제), 시프(도적)는 캐릭터 클래스의 한 전형적인 예시이며, 파티 멤버의 역할 분담과 캐릭터 설정의 기준으로, 이후의 RPG와 게임계의 판타지 작품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기본적인 4개의 클래스를 바탕으로, 여러 역할을 겸하는 클래스(예를 들어, 『AD&D』에서 클레릭의 마법을 사용할 수 있고 몇 가지 특수한 힘을 가진 전사 "팔라딘"이나, 『위저드리』에서의 전사 + 마법사로 "사무라이" 등), 특수한 능력을 부여한 변형된 클래스 등이 점차 증가했다.

처음에는 클래스는 캐릭터 한 명당 고정적으로 하나로 정해지는 것이었지만, 일정한 조건 하에 여러 클래스를 함께 사용하는 것(멀티클래스)이나, 클래스의 변경(듀얼 클래스, 클래스 체인지) 등이 허용되면서, 그 종류가 더욱 풍부해졌다.

2. 1. 초기 롤플레잉 게임과 클래스 시스템의 등장

공식적으로 최초의 롤플레잉 게임으로 알려진 《던전 & 드래곤(D&D)》은 《체인메일》과 같은 미니어처 워게임에 등장하는 유닛에서 영감을 얻어 클래스를 도입했다.[5] D&D 이후에 만들어진 게임들은 이 아이디어를 채택하되 나름대로 변형하여 사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들을 '''클래스 기반''' 체계의 게임이라고도 부른다.[5] 캐릭터 클래스는 테이블 게임,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 라이브 액션 롤플레잉 게임 등에도 등장한다.[5]

던전 & 드래곤』에서 제시된 파이터(전사), 매직 유저(마법사), 클레릭(사제), 시프(도적)는 캐릭터 클래스의 한 전형적인 예시이며, 파티 멤버의 역할 분담과 캐릭터 설정의 기준으로, 이후의 RPG와 게임계의 판타지 작품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처음에는 클래스는 캐릭터 한 명당 고정적으로 하나로 정해지는 것이었지만, 일정한 조건 하에 여러 클래스를 함께 사용하는 것(멀티클래스)이나, 클래스의 변경(듀얼 클래스, 클래스 체인지) 등이 허용되면서, 그 종류가 더욱 풍부해졌다.

2. 2. 클래스 시스템의 발전과 다양화

던전 & 드래곤(D&D) 이후 등장한 많은 롤플레잉 게임(RPG)들은 클래스 시스템을 채택하고 변형하여 사용했다.[5] 초기에는 D&D의 기본 클래스인 파이터(전사), 매직 유저(마법사), 클레릭(사제), 시프(도적)를 바탕으로, 각 클래스에 특수한 능력을 부여하거나 여러 역할을 겸하는 하이브리드 클래스를 추가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예를 들어, 《AD&D》에서는 클레릭의 마법을 사용할 수 있는 전사인 팔라딘이, 《위저드리》에서는 전사와 마법사의 능력을 겸비한 사무라이 클래스가 등장했다.[5]

시간이 지나면서 클래스 시스템은 더욱 다양화되어, 멀티클래스(여러 클래스를 함께 사용), 클래스 체인지(클래스 변경) 등 플레이어가 캐릭터의 클래스를 더욱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 등장했다.

2. 3. 한국 롤플레잉 게임과 클래스 시스템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 초 던전 & 드래곤(D&D)을 비롯한 해외 RPG들이 번역, 소개되면서 클래스 시스템이 알려지기 시작했다.[5] ''던전 & 드래곤''에서 제시된 파이터(전사), 매직 유저(마법사), 클레릭(사제), 시프(도적)는 캐릭터 클래스의 한 전형적인 예시이며, 파티 멤버의 역할 분담과 캐릭터 설정의 기준으로, 이후의 RPG와 게임계의 판타지 작품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후 마스터즈,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등 한국 고유의 RPG들이 개발되면서 클래스 시스템은 한국 RPG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처음에는 클래스는 캐릭터 한 명당 고정적으로 하나로 정해지는 것이었지만, 일정한 조건 하에 여러 클래스를 함께 사용하는 것(멀티클래스)이나, 클래스의 변경(듀얼 클래스, 클래스 체인지) 등이 허용되면서, 그 종류가 더욱 풍부해졌다. 특히, 온라인 RPG의 발달과 함께 클래스 시스템은 더욱 다양화되고 발전했다. 리니지, 바람의 나라, 뮤 온라인 등 인기 온라인 RPG들은 독특한 클래스 시스템을 선보이며 한국 게임 산업의 성장을 이끌었다.

3. 클래스의 전형

Falcon's Eye의 클래스 선택 화면


판타지 게임에서 전사, 마법사, 도적은 기본적인 세 가지 클래스의 전형적인 조합을 이루며, 각 클래스의 능력은 서로의 약점을 보완한다.[2] 파이터는 힘이 세고 무기를 이용하는 전투에 특화되어 있으나 느리고 공격범위가 좁으며,[19] 마법사는 연약하지만 다양한 마법을 사용하는 원거리 전투원이며, 도적 또한 방어력은 떨어지지만 빠른 움직임과 은신을 장점으로 한다.[19]

초기 버전의 ''던전 & 드래곤''에는 전사(이후 "파이터"로 변경), 마법 사용자(개정판에서는 "메이지"와 "위자드"로 변경), 성직자의 세 가지 클래스가 있었다.[6] 보충 규칙을 통해 도적 클래스가 추가되었다.

  • '''전사''': 전투 능력에 특화되었고 마법 능력은 거의 없다.
  • '''마법사''': 강력한 마법 능력을 가지지만 신체 능력이 취약하다.
  • '''성직자''': 신으로부터 받은 신성한 힘을 전달하여 주술과 기적을 행하며, 우주로부터 얻은 비전 마법으로 주문을 시전하는 대신)의 세 가지 클래스가 포함되었으며, 치유 및 지원 계통의 마법 능력에 특화되어 있다.[23][24]


개정판에서 도적 및 레인저 클래스가 추가되었다.

  • '''도둑''': 은신과 사교 기술에 특화된 민첩한 전투원이며, 부상에 대한 저항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대신 강력한 특수 공격 능력 보유
  • '''순찰자''': 원거리 무기 전문가[24]


공상 과학이나 논판타지 롤플레잉 게임에서는 클래스들이 원형은 따라가되 조금씩 변화한다. 마법사의 역할은 과학자와 같은 지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클래스로 채워지고, 성직자는 의료 관계자 등 지원하는 역할의 클래스로 대체되며, 로그와 레인저는 탐험가나 암살자로 변형된다.[21]

위에 나열된 클래스들의 특징을 혼합한 클래스도 있으며, 종종 '하이브리드 클래스'라고 부르기도 한다.[20] 예를 들어 음유시인과 팔라딘이 있다.

3. 1. 기본 클래스



판타지 게임에서 전사, 마법사, 도적은 기본적인 세 가지 클래스의 전형적인 조합을 이루며, 각 클래스의 능력은 서로의 약점을 보완한다.[2] 파이터는 힘이 세고 무기를 이용하는 전투에 특화되어 있으나 느리고 공격범위가 좁으며,[19] 마법사는 연약하지만 다양한 마법을 사용하는 원거리 전투원이며, 도적 또한 방어력은 떨어지지만 빠른 움직임과 은신을 장점으로 한다.[19]

초기 버전의 ''던전 & 드래곤''에는 전사(이후 "파이터"로 변경), 마법 사용자(개정판에서는 "메이지"와 "위자드"로 변경), 성직자의 세 가지 클래스가 있었다.[6], 보충 규칙을 통해 도적 클래스가 추가되었다.

  • '''전사''': 전투 능력에 특화되었고 마법 능력은 거의 없다.
  • '''마법사''': 강력한 마법 능력을 가지지만 신체 능력이 취약하다.
  • '''성직자''': 신으로부터 받은 신성한 힘을 전달하여 주술과 기적을 행하며, 우주로부터 얻은 비전 마법으로 주문을 시전하는 대신)의 세 가지 클래스가 포함되었으며, 치유 및 지원 계통의 마법 능력에 특화되어 있다.[23][24]


개정판에서 도적 및 레인저 클래스가 추가되었다.

  • '''도둑''': 은신과 사교 기술에 특화된 민첩한 전투원이며, 부상에 대한 저항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대신 강력한 특수 공격 능력 보유
  • '''순찰자''': 원거리 무기 전문가[24]


공상 과학이나 논판타지 롤플레잉 게임에서는 클래스들이 원형은 따라가되 조금씩 변화한다. 마법사의 역할은 과학자와 같은 지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클래스로 채워지고, 성직자는 의료 관계자 등 지원하는 역할의 클래스로 대체되며, 로그와 레인저는 탐험가나 암살자로 변형된다.[21]

위에 나열된 클래스들의 특징을 혼합한 클래스도 있으며, 종종 '하이브리드 클래스'라고 부르기도 한다.[20] 예를 들어 음유시인과 팔라딘이 있다.

3. 2. 하이브리드 클래스



하이브리드 클래스는 기본 클래스의 특징을 결합한 클래스이다.[20] 예를 들어 음유시인과 팔라딘이 있다.[3] 음유시인은 도적마법사를 혼합하여, 대인 관계 기술, 정신과 시각을 다루는 마법, 지원 마법에 특화된 클래스이다.[3] 팔라딘은 파이터와 성직자의 조합으로, 파이터에 비해 전투 능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회복, 아군 보호, 사악한 적에 대한 격퇴 및 강력한 공격 등의 다양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3]

3. 3. SF 및 현대 배경의 클래스

SF나 현대 배경의 RPG에서는 판타지 RPG의 클래스가 변형된 형태로 나타난다.[21][4] 마법사 역할은 과학자와 같이 지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클래스가 담당하며,[21][4] 성직자는 의료병과 같이 부상 치료 및 지원 역할을 수행하는 클래스로 대체된다.[21] 도적이나 순찰자는 탐험가나 암살자로 변형되어 은신 및 특수 기술을 사용한다.[21] 일부 SF 및 초자연적 테마의 롤플레잉 게임은 마법 대신에 초능력을 사용하기도 한다.[25][7]

4. 클래스 시스템의 변형

클래스 메커니즘에 또 다른 변형을 제공하는 롤플레잉 게임도 있다. 예를 들어 《워해머 판타지 롤플레이(WFRP)》에서 플레이어는 첫 직업을 결정하기 위해 주사위를 던진다.[22] 그리고 다양한 기술에 할당할 수 있는 무료 스킬 포인트를 제공 받는다.[26] 그 선택한 직업과 투자한 스킬 포인트에 따라 캐릭터에 추가되는 능력(WFRP에서는 기술 및 재능)으로 인해 변화하는 캐릭터의 특징이 캐릭터 클래스처럼 작동하는 시스템이다.[27] 플레이어가 경험치를 쌓아가는 과정에서 연관된 다른 직업으로 승급을 하거나 완전히 다른 직업으로 전직을 할 수도 있다.

클래스 기반 체계의 대안으로서의 '''스킬''' 기반 체계는 플레이어의 자신의 캐릭터 발전 방식에 대한 제어력이 높아지도록 설계되었다.[28] 이러한 체계에서 플레이어는 특정 기술에 경험치를 투자하여 캐릭터의 발전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클래스가 없는 게임 중에서는 플레이어에게 템플릿을 제공하여 작업할 수 있게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전통적인 캐릭터 클래스를 기반으로 한다. 다시 말해, 많은 클래스리스 게임들의 설정 시스템 또는 규칙 시스템은 클래스의 전형에 대한 특정 트렌드를 따른다. 예를 들어,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폴아웃》에서는 "슈터", "생존주의자", "과학자", "스무스 토커" 및 "좀도둑" 등의 개념이 등장하지만, 이들 각각의 특징은 레인저, 성직자, 도적 등의 전형적인 클래스에 맞아떨어진다.[29] 폴아웃에 영감을 준 겁스 또한 클래스가 없는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30]

롤플레잉 게임은 아니지만, 일부 협력형 비디오 게임들은 클래스 기반 시스템을 이용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배틀필드 2》,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II》 등이 이에 해당한다.)[31][32]

이러한 캐릭터 클래스를 채용하는 롤플레잉 게임의 시스템을 "클래스 시스템" 또는 "클래스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클래스제는 TRPG, 컴퓨터 RPG 모두에서 볼 수 있지만, 컴퓨터 RPG에서는 배경 설정을 포함한 고유 명칭이 붙은 캐릭터 그 자체에 초점이 맞춰지는 작품도 많기 때문에 캐릭터 클래스가 그다지 의식되지 않거나, 자유도가 어느 정도 좁혀지는 경우도 있다(클래스가 정해진 채 변경되지 않거나, 클래스 선택 폭이 캐릭터에 의해 정해지는 등).

한편, 『룬퀘스트』나 『GURPS』 등의 TRPG에서는 "스킬 시스템" 또는 "스킬제"라고 불리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는 캐릭터가 가진 기본적인 능력을 수십 개의 스킬(기술)로 표현하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 클래스제 시스템에서는 "파이터"라는 클래스 하나로 표현되던 "검술에 능하고, 몸을 피하는 솜씨가 뛰어난" 특징은, 스킬제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검술》과 《회피》의 스킬 값이 높은 캐릭터" 등으로 표현된다. 캐릭터의 능력이 클래스의 틀 안에서 고정적으로 세팅되어 있던 시대에, 스킬제 시스템에서는 "《검술》은 특기지만, 《창술》은 서투른 전사", "《회피》는 서투르지만, 《받아넘기기》는 특기인 전사" 등, 다양한 바리에이션의 캐릭터를 비교적 높은 자유도로 만들 수 있는 경우가 많아, 현실적인 캐릭터 표현 방법으로 주목을 받았다.

한편, 스킬제에는 캐릭터 제작에 비교적 시간이 걸리고, 그 캐릭터의 능력적 특성을 한마디로 표현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정 스킬 선택을 사전에 행한 패키지를 아키타입이나 템플릿으로 예시하는 시스템도 보였지만 (이 스킬 패키지를 샘플이 아닌 고정화하여, 클래스제와 절충한 것이 『소드 월드 RPG』의 "클래스 스킬제"이다), 이는 클래스제와 스킬제의 중간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한때의 스킬제 시스템의 융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TRPG에서는 직관적이고 평이하다는 이점을 가진 클래스제를 채용하는 게임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는 수십, 수백 개의 캐릭터 클래스가 존재하는 게임도 있으며, 그 캐릭터 바리에이션의 표현력은 방대하여, 플레이어의 욕구를 자극한다. 클래스 중에서도 특수 능력의 선택 폭을 넓힘으로써 "다양한 파이터"를 표현할 수 있게 하거나, 클래스에 더하여, 스킬의 취득도 가능하게 하여, 클래스제와 스킬제의 양쪽의 이점을 취하고 있는 시스템도 일반적이다.

4. 1. 스킬 기반 시스템

스킬 기반 시스템은 클래스 기반 체계의 대안으로, 플레이어가 캐릭터의 발전 방식을 더욱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28] 이러한 체계에서 플레이어는 경험치를 특정 기술에 투자하여 캐릭터의 발전 방향을 선택한다. 클래스가 없는 게임 중에서는 플레이어에게 템플릿을 제공하여 작업할 수 있게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전통적인 캐릭터 클래스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폴아웃》에서는 "슈터", "생존주의자", "과학자", "스무스 토커", "좀도둑" 등의 개념이 등장하지만, 이들 각각의 특징은 레인저, 성직자, 도적 등의 전형적인 클래스에 맞아떨어진다.[29] 폴아웃에 영감을 준 겁스 또한 클래스가 없는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30]

스킬제 시스템에서는 캐릭터가 가진 기본적인 능력을 수십 개의 스킬(기술)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클래스제 시스템에서 "파이터"라는 클래스 하나로 표현되던 "검술에 능하고, 몸을 피하는 솜씨가 뛰어난" 특징은, 스킬제 시스템에서는 "《검술》과 《회피》의 스킬 값이 높은 캐릭터" 등으로 표현된다. "《검술》은 특기지만, 《창술》은 서투른 전사", "《회피》는 서투르지만, 《받아넘기기》는 특기인 전사" 등, 다양한 바리에이션의 캐릭터를 비교적 높은 자유도로 만들 수 있어, 현실적인 캐릭터 표현 방법으로 주목받았다.

스킬제는 캐릭터 제작에 비교적 시간이 걸리고, 그 캐릭터의 능력적 특성을 한마디로 표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정 스킬 선택을 사전에 행한 패키지를 아키타입이나 템플릿으로 예시하는 시스템도 있었지만, 이는 클래스제와 스킬제의 중간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스킬 기반 시스템 RPG로는 『룬퀘스트』와 『겁스』등이 있다.

4. 2. 클래스 시스템과 스킬 시스템의 결합

일부 롤플레잉 게임(RPG)은 클래스 시스템과 스킬 시스템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를 채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소드 월드 RPG》는 "클래스 스킬제"를 통해 클래스 기반 시스템의 직관성과 스킬 시스템의 자유도를 모두 제공하는 방식을 채택했다.[29]

《워해머 판타지 롤플레이(WFRP)》에서는 플레이어가 주사위를 굴려 초기 직업을 결정하고, 이후 경험치를 사용하여 새로운 직업으로 전직하거나 다른 직업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22][26][27]

5. 슈팅 게임에서의 클래스 시스템

다수의 멀티플레이어 슈팅 게임은 다양한 전술과 플레이 스타일을 제공하고 팀워크와 협력을 장려하기 위해 클래스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러한 클래스는 장비에만 차이가 있을 수도 있고, 주목할 만한 게임 플레이 차이점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게임은 플레이어가 여러 클래스의 요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메뉴를 통해 매치 전 또는 매치 중에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일부 게임은 각 개별 클래스에 대한 진행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클래스별로 잠금 해제 가능한 아이템을 제공한다.

''배틀필드'' 시리즈,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II'', ''라이징 스톰 2: 베트남'', 그리고 ''인서전시: 샌드스톰'' 등이 클래스가 있는 슈팅 게임의 예시이다.[16][17] 이 모든 예시에는 "헤비" 또는 "지원" 클래스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일종의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제압 사격과 팀 지원에 중점을 둔 기동성이 낮은 클래스이다. 또한, 추가적인 고유 장비(예: 추가 폭발물을 가진 소총병인 "폭파" 클래스)를 갖춘 표준 소총수 클래스도 포함된다.

주목할 만한 예시 중 하나는 2007년 팀 기반 슈팅 게임인 ''팀 포트리스 2''로, 공격, 방어, 지원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뉜 아홉 개의 뚜렷한 클래스를 특징으로 한다. 공격 클래스(스카우트, 솔저, 파이로)는 목표 완수를 위해 적을 공격하고 압도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방어 클래스(데모맨, 헤비, 엔지니어)는 위치를 방어하고 적의 진격을 방해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지원 클래스(메딕, 스나이퍼, 스파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팀을 지원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 클래스는 해당 범주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주목할 만한 게임 플레이 차이점을 특징으로 하지만, 공격 및 방어 플레이 스타일에 다양한 정도로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클래스는 가위바위보와 유사한 스타일로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파이는 헤비와 스나이퍼와 같은 느리거나 움직임이 적은 클래스에 강하며, 엔지니어의 구조물을 특별히 카운터하는 장비를 갖추고 있지만, 그의 은신 능력은 파이로의 불에 의해 무효화되며, 스카우트와 같은 더 기동성이 좋은 클래스에 대해 비실용적이다. 각 클래스는 고유한 개성, 배경 이야기, 다른 클래스와의 상호 작용을 가진 자신만의 캐릭터로 취급된다.

이러한 유형의 클래스의 파생물은 각 영웅이 고유한 능력과 무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종종 전형적인 기존 클래스를 결합하거나 자체적으로 고유한 히어로 슈터에서 볼 수 있다.

5. 1. 슈팅 게임 클래스의 예시

''배틀필드'' 시리즈,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II'', 라이징 스톰 2: 베트남, 인서전시: 샌드스톰 등의 슈팅 게임에는 클래스 시스템이 사용된다.[16][17]

이러한 게임들에는 일종의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제압 사격과 팀 지원에 중점을 둔 "헤비" 또는 "지원" 클래스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추가적인 고유 장비(예: 추가 폭발물을 가진 소총병인 "폭파" 클래스)를 갖춘 표준 소총수 클래스도 포함된다.[16][17]

2007년 팀 기반 슈팅 게임인 팀 포트리스 2는 공격, 방어, 지원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뉜 아홉 개의 뚜렷한 클래스를 특징으로 한다. 공격 클래스는 적을 공격하고 목표를 완수하는 데 특화되어 있고, 방어 클래스는 위치를 방어하고 적의 진격을 방해하는데 특화되어 있다. 지원 클래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팀을 지원한다. 각 클래스는 가위바위보와 유사한 스타일로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16][17]

일반적인 클래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돌격병 (Assault): 소총을 주 무기로 사용하는 기본적인 클래스이다.
  • 중화기병 (Heavy): 기관총을 주 무기로 사용하며, 제압 사격과 팀 지원에 특화된 클래스이다.
  • 저격병 (Sniper): 저격 소총을 주 무기로 사용하며, 원거리에서 적을 제압하는 클래스이다.
  • 공병 (Engineer): 폭발물 설치 및 해체, 장비 수리 등 기술 지원을 담당하는 클래스이다.
  • 의무병 (Medic): 아군을 치료하고 부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5. 2. 팀 포트리스 2의 클래스 시스템

팀 포트리스 2는 2007년에 출시된 팀 기반 슈팅 게임으로, 공격, 방어, 지원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뉜 아홉 개의 뚜렷한 클래스를 제공한다.[16] 각 클래스는 고유한 개성, 배경 이야기, 다른 클래스와의 상호 작용을 가지며, 가위바위보와 유사한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16]

공격 클래스(스카우트, 솔저, 파이로)는 목표 완수를 위해 적을 공격하고 압도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방어 클래스(데모맨, 헤비, 엔지니어)는 위치를 방어하고 적의 진격을 방해하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지원 클래스(메딕, 스나이퍼, 스파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팀을 지원한다.[16]

예를 들어, 스파이는 헤비와 스나이퍼와 같은 느리거나 움직임이 적은 클래스에 강하며, 엔지니어의 구조물을 무력화하는데 효과적이지만, 파이로의 불에 의해 은신 능력이 무효화되며, 스카우트와 같은 기동성이 좋은 클래스에게는 비효율적이다.[16]

6. 현대 한국 RPG에서의 클래스 시스템

7. 비판 및 논란

7. 1. 경직성 문제

7. 2. 젠더 고정관념 문제

7. 3. 한국 MMORPG의 클래스 시스템 문제

참조

[1] 논문 The Character of Difference: Procedurality, Rhetoric, and Roleplaying Games http://gamestudies.o[...] 2016-06-12
[2] 서적 Fundamentals of game design New Riders
[3] 서적 The evolution of fantasy role-playing games McFarland & Co 2011
[4] 서적 Basics of game design A K Peters/CRC Press 2011
[5] 간행물 Dungeons, Dragons, and Resilience: Role playing as a thought model for complex resilience https://globalresili[...] Global Resilience Institute at Northeastern University
[6] 웹사이트 Original 'D&D' and 5th Edition, Some Side-by-Side Comparisons Part I https://geekdad.com/[...] 2019-06-11
[7] 서적 Basics of game design A K Peters/CRC Press 2011
[8] 웹사이트 10 Great Things About 'Warhammer Fantasy Roleplay' https://geekdad.com/[...] 2019-06-11
[9] 웹사이트 Warhammer Fantasy Roleplay Preview – Class and Career https://cubicle7.co.[...] 2019-06-11
[10] 웹사이트 Warhammer Fantasy Roleplay 4th Edition Review https://techraptor.n[...] 2019-06-11
[11] 웹사이트 The Division has 'classless characters,' second screen detailed https://www.engadget[...] 2019-06-12
[12] 뉴스 เครื่องราง https://www.muamulet[...] 2023-09-18
[13] 웹사이트 Fallout: New Vegas character build guide https://www.gamesrad[...] 2019-06-11
[14] 웹사이트 Fallout: The first modern role-playing game https://www.engadget[...] 2019-06-12
[15] 서적 Final Fantasy XII Official Strategy Guide DKPublishing
[16] 웹사이트 PC Games Guide: Battlefield 2 - A Guide To Soldier Classes in this First-Person Shooter https://www.alteredg[...] 2019-06-12
[17] 웹사이트 Star Wars Battlefront 2 Tips: Which Class Is Best For You? https://www.gamespot[...] 2019-06-12
[18] 논문 The Character of Difference: Procedurality, Rhetoric, and Roleplaying Games http://gamestudies.o[...] 2016-06-12
[19] 서적 Fundamentals of game design https://archive.org/[...] New Riders
[20] 서적 The evolution of fantasy role-playing games McFarland & Co 2011
[21] 서적 Basics of game design A K Peters/CRC Press 2011
[22] 웹인용 10 Great Things About 'Warhammer Fantasy Roleplay' https://geekdad.com/[...] 2019-06-11
[23] 웹인용 Original 'D&D' and 5th Edition, Some Side-by-Side Comparisons Part I https://geekdad.com/[...] 2019-06-11
[24] 웹인용 A Handful of Class-ic Histories {{!}} Dungeons & Dragons https://dnd.wizards.[...] 2019-06-11
[25] 서적 Basics of game design A K Peters/CRC Press 2011
[26] 웹인용 Warhammer Fantasy Roleplay 4th Edition Review https://techraptor.n[...] 2019-06-11
[27] 웹인용 Warhammer Fantasy Roleplay Preview – Class and Career https://cubicle7.co.[...] 2019-06-11
[28] 웹인용 The Division has 'classless characters,' second screen detailed https://www.engadget[...] 2019-06-12
[29] 웹인용 Fallout: New Vegas character build guide https://www.gamesrad[...] 2019-06-11
[30] 웹인용 Fallout: The first modern role-playing game https://www.engadget[...] 2019-06-12
[31] 웹인용 PC Games Guide: Battlefield 2 - A Guide To Soldier Classes in this First-Person Shooter https://www.alteredg[...] 2019-06-12
[32] 웹인용 Star Wars Battlefront 2 Tips: Which Class Is Best For You? https://www.gamespot[...] 2019-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