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네디역 (TT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네디역(Kennedy Station)은 캐나다 토론토에 위치한 TTC(Toronto Transit Commission)의 지하철역으로, 2호선 블루어-댄포스 선의 종착역이다. 1980년 개통 이후, 스카버러 RT를 위한 환승역으로 기능했으며, 현재는 3호선 스카버러 선이 폐쇄되고 2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5호선 에글린턴 선의 개통이 예정되어 있으며, GO 트랜싯의 스토우빌 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어 토론토 동부 지역의 중요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전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호선 스카버러 - 매코원역
매코원역은 1985년 개통한 토론토 지하철 3호선의 종착역이었으나 2023년 3호선 폐쇄로 더 이상 운영되지 않으며, 2호선 연장으로 대체될 예정이고, 폐쇄 당시 TTC 버스와 더럼 지역 교통 버스가 경유하는 교통 요지이자 매코원 차량기지와 연결되어 있었다. - 3호선 스카버러 - 스카버러센터역
스카버러센터역은 캐나다 토론토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과거 스카버러 RT 3호선의 역이었으나 현재는 버스 환승 중심지이며, 향후 2호선 연장선 개통과 함께 새로운 지하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 5호선 에글린턴 - 아이온뷰역
아이온뷰역은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의 역으로, 5호선 개통 시 34번 에글린턴 버스와 연결되어 마운트데니스역과 케네디역을 잇고, 동쪽으로는 로렌스 파크 역, 서쪽으로는 데이비스빌 역과 인접해 있다. - 5호선 에글린턴 - 사이언스 센터역
사이언스 센터역은 돈밀스 로드와 에글린턴 애비뉴 교차로의 온타리오 과학관 인근에 위치한 개착식 공법으로 건설된 역으로, 자전거 거치대, 버스 터미널 연결 통로, 사라 모리스의 공공 미술 작품, 루버가 설치된 외관을 갖춘 주요 환승역이다.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세인트조지역
세인트조지역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토론토 대학교 인근에 위치하여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며, 폴 아서가 디자인한 표지판과 접근성 및 승객 흐름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케네디역 (TTC)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2455 에글린턴 애비뉴 이스트 |
위치 | 토론토, 온타리오, 캐나다 |
웹사이트 | 공식 역 페이지 |
구조 | 지하 (2호선, 5호선) 고가 (3호선) |
승강장 형태 | 중앙 승강장 (2호선, 5호선) 상대식 승강장 (3호선) |
층수 | 4 |
선로 수 | 2 (2호선, 5호선) 1 (3호선) |
주차 공간 | 729대 |
개업일 | 2호선: 1980년 11월 21일 3호선: 1985년 3월 22일 |
개통 예정 | 5호선: 2024년 |
폐업일 | 3호선: 2023년 7월 24일 |
접근성 | 예 |
승객 수 | }} |
대중교통 환승 | |
버스 환승 | 킹스턴 로드 (Kingston Rd) 클리프사이드 (Cliffside) 브림리 (Brimley) 에글린턴 이스트 (Eglinton East) 하이랜드 크리크 (Highland Creek) 케네디 (Kennedy) 미들랜드 (Midland) 스카버러 (Scarborough) 댄포스 (Danforth) 모닝사이드 (Morningside) 매코원 노스 (McCowan North) 너겟 (Nugget) 닐슨 (Neilson) 커런 홀 (Curran Hall) |#FF2D16|border=hotpink}} 블러퍼스 파크 (Bluffer's Park) 블루어-댄포스 (Bloor–Danforth) 에글린턴 이스트 (Eglinton East) 케네디 (Kennedy) 케네디역-스카버러 익스프레스 (Kennedy Stn–Scarborough Express) 셰퍼드 케네디 익스프레스 (Sheppard Kennedy Express) 에글린턴 이스트 익스프레스 (Eglinton East Express) 하이랜드 크리크 익스프레스 (Highland Creek Express) 핀치 익스프레스 (Finch Express) 케네디 익스프레스 (Kennedy Express) 로렌스 이스트 익스프레스 (Lawrence East Express) 스카버러 익스프레스 (Scarborough Express) |
광역교통 환승 | 케네디 GO 역 (Kennedy GO Station) |
노선 정보 | |
이전/다음 역 (2호선 블루어-댄포스) | 워든 |
미래 노선 정보 | |
이전/다음 역 (5호선 에글린턴) | 아이온뷰 |
이전/다음 역 (2호선 동쪽 연장) | 워든 / 새로운 로렌스 이스트 역 |
과거 노선 정보 | |
이전/다음 역 (3호선 스카버러 RT) | 로렌스 이스트 역 |
2. 역사
1970년대 중반, 토론토 교통국과 시 당국은 지하철 건설 비용 증가와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 이미 지하철이 충분히 건설되었다는 판단으로 추가 건설에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23]
같은 시기, 인구 밀도가 낮은 교외 지역 수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론토 교통국은 노면 전차 노선을, 온타리오 주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철도를 각각 선호하였다. 시 당국은 블루어-댄포스 선을 워든역에서 한 정거장 연장하고, 케네디역에서 스카버러 타운 센터까지 경전철을 연결하는 방안을 추진하여 버스 혼잡 완화와 주차 문제 해소를 기대하였다. 당시 지하철 연장 예산은 케네디 동부 연장이 71.4억캐나다 달러, 키플링 서부 연장은 38.6억캐나다 달러로 총 1.1억캐나다 달러로 추산되었다.[23]
1985년, 케네디역은 6개 역이 있는 고가 경전철 노선인 3호선 스카버러선 운행을 위해 확장되었다. 3호선은 원래 노면 전차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봄바디어 운송에서 제작한 중간 용량 철도 시스템 열차 모델을 사용하는 중간 용량 철도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1988년 이후 회차 루프 사용은 중단되었지만, 고가 구조물은 여전히 남아있다.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트랜짓 시티 계획과 취소 과정에서 케네디역은 여러 경전철 노선의 시종착역으로 계획되었으나, 정치적 상황 변화로 인해 변경되거나 취소되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5호선 에글린턴선 및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선 계획이 추진되면서 케네디역은 대대적인 변화를 겪게 되었다. 5호선 역은 지하에 건설되며, 2호선 승강장과 연결될 예정이다.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선이 완공되면 케네디역은 통과역이 된다.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1970년대)
이 역이 교통 허브로 거듭나게 된 것은 거의 우연에 가까웠으며 기존에 스카버러 타운 센터에 스카버러 도심을 만들고 싶어했던 설계자들의 바람과는 어긋나게 되었다. 지하철 건설 계획이 진행되면서 토론토 교통국과 시 당국은 다음 지하철 건설에 대해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1970년대 중반, 스파다이나 지하철이 지어질 무렵, 지하철 건설 비용이 만만치 않음을 깨달았고 지하철이 필요한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는 이미 충분히 지어졌다고 판단하였다.1970년대 중반에 인구 밀도가 낮은 교외 지역을 어떻게 대중 교통으로 수송할 지 한창 논의가 이어졌다. 토론토 교통국은 전용 선로를 따라 달리는 노면 전차 노선을 선호했지만 온타리오 주는 그 당시 최첨단 기술을 선호하여 주 공기업인 도시 개발 교통 공사를 통해 선형 유도 자기 부상 모터를 사용한 철도를 추구하였다.[23] 교통국과 시 당국은 그 당시 블루어-댄포스 선의 종착역이었던 워든역과 스카버러 타운 센터를 고속 노면 전차 체계로 스카버러 북동쪽 끝까지 이을 계획이었다. 하지만 스카버러는 지하철 연장을 추구하였다. 이를 두고 시 당국은 블루어-댄포스 선을 워든역에서 북동쪽으로 한 정거장 연장하고, 케네디역에서 스카버러 타운 센터까지 경전철로 연장하고자 하였다.[23] 한편 이토비코도 이즐링턴역에서 서쪽으로 키플링까지 한 정거장 연장하기로 하였다. 이 연장에 따라 워든역과 이즐링턴역으로 진입하는 버스의 혼잡을 줄이고 새로운 환승 주차장 공간은 물론 기존 종착역의 주차 문제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1970년대 중반 지하철 연장 예산은 케네디 동부 연장이 71.4억캐나다 달러, 키플링 서부 연장은 38.6억캐나다 달러로 총 1.1억캐나다 달러로 추산되었다.[23]
2. 2. 2호선 블루어-댄포스 선 개통 (1980년)
케네디 연장 구간은 워든역 남서쪽부터 블루어-댄포스 선과 나란히 달리는 캐나다 노던 철로의 사용이 드문 철로 구간을 따라 올라갔다. 하지만, 인근 주민들의 소음과 부동산 가치 하락 등의 우려 및 철로 횡단 구간을 짓는 데 어려움에 따라 토론토 교통국은 이 구간을 지하로 짓기로 하였다. 케네디역은 커다란 4층짜리 건물로 지하철 승강장이 맨 아랫층에, 커다란 메자닌이 그 윗층에, 지상 버스 터미널이 그 윗층에, 추후 개통할 경전철의 고상 승강장이 맨 윗층에 배치되었다.거대한 메자닌 층은 에글린턴 애비뉴로 이어지는 출구와 585대 규모의 환승 주차장은 물론 역으로 마중 나오는 운전자들을 위한 정차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케네디역은 키플링역과 동시에 1980년 11월 22일에 개통하였다.[23] 개통식은 특별 전동차가 데이비스빌역을 12시 40분에 출발해 지금은 쓰이지 않는 베이역 하부 승강장을 거쳐 워든역으로 향하였다. 워든역에는 스카버러 시장 거스 해리스와 온타리오 주 커뮤니티 및 상업 관계 장관인 프랭크 드리가 열차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리고 있었다. 오후 1시 30분, 두 정치인은 스위치를 작동하여 열차가 케네디역까지 가는 신호를 주었다. 케네디역에서는 개통식 연설은 물론 기념판이 공개되었다.[23]
개통식이 끝난 직후, 전동차는 2시 20분에 케네디역을 출발하여 워든과 영역에만 정차하고 이즐링턴역까지 직행하였다. 이즐링턴역에는 이토비코 시장 데니스 플린이 스위치를 작동하고 전동차는 키플링역으로 향하게 되었다. 개통식이 끝난 직후 특별 전동차는 이즐링턴역에서 4시 10분에 일반 열차로 운행하기 위해 키플링역을 출발하였다.[23]
키플링역에는 GO 트랜싯의 밀튼 선 열차가 정차하였으나 케네디역은 개통 당시 통근열차로의 환승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스토우빌 선 열차는 1982년 9월 7일에 개통하였고 하루 상행 1편, 하행 1편으로 GO와 TTC는 이 역에서 통근 열차와의 환승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23]
2. 3. 스카버러 RT 건설 및 개통 (1985년)
케네디역은 지하철에서 스카버러로 가는 버스로 갈아타는 승객들로 항상 붐볐으며, 동시에 케네디역 윗층에는 스카버러 RT 공사가 한창이었다. 1980년대 초반, 온타리오 주는 토론토 교통국과 시 당국에 고속 노면 전차 대신 리니어 모터 기술을 시범 도입하고자 하였다.[23] 케네디역은 이미 토론토 시내에서 운행하는 CLRV 노면 전차에 맞게 지어졌으나, 디자인 변경에 상당한 예산이 필요했다. 디자인 변경에 따른 추가 비용은 주 정부에서 지불하기로 하고, RT는 리니어 모터 전동차에 맞게 다시 지어졌다.[23]스카버러 RT는 원래 개통 예정 시기보다 1년가량 늦어진 1985년 3월 24일에 개통하였고, 디자인 변경 등에 따라 1억달러에 가까운 추가 비용이 들어갔다.[23] 노면 전차로 등극할 뻔했던 스카버러 RT는 작은 지하철로 탈바꿈되었고, 추후에는 맬번으로 연장될 가능성도 열어두었다. 새로 개통한 노선이 궁금하였던 승객들이 개통일 당일 다수 몰려들었고, 스카버러의 주요 버스 노선이 기존의 케네디역에서 스카버러 타운 센터까지 RT를 이용하는 승객들도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23]
스카버러 RT는 버스보다 더 많은 승객들을 이끌었지만, 디자인 변경은 물론 제대로 시험되지 않은 기술의 사용으로 고장 문제도 발생하였다. 특히 케네디역의 각진 루프가 문제가 되었는데, 원래 노면 전차를 위해 설계되었던 이 선로는 리니어 모터 전동차가 운행하게 되면서 급커브를 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었다. 탈선 사태가 발생한 이후 루프의 제한 속도는 시속 5km로 제한되었고, 이러한 문제에 따라 교통국은 주 정부에 루프와 승강장 재공사에 2700만달러를 요구하였다.[23]
온타리오 주 정부는 이 지원을 승인하였고, RT는 1988년 여름에 석 달 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 케네디역에 스위치가 추가되었고, 루프는 비상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잠정 폐쇄되었다. 승강장 구조는 2면 1선으로 바뀌어 양쪽에서 문을 열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승객들은 북쪽 승강장에서 내리고 남쪽 승강장에서 승차하게 되었다.[23]
1985년, 케네디역은 6개의 역이 있는 고가 경전철 노선인 3호선 스카버러선을 운행하기 위해 확장되었다.
3호선 열차는 양방향으로 운행되는 지하철 열차였지만, 3호선의 선로는 최고층 플랫폼을 지나 토론토 노면전차 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지상 회차 루프로 연장되었다. 이는 3호선이 지하철 노선이 아닌 전용 우선 통행권 노면전차 노선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고층 플랫폼은 노면전차를 운행하도록 설계되었다. 3호선은 나중에 중간 용량 철도 시스템 열차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 중간 용량 철도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이 모델은 봄바디어 운송에서 제작했다. 이 노선은 2량 열차로 운행을 시작했으며 회차 루프를 따라 운행할 수 있었지만, 나중에는 4량 열차로 전환되어 좁은 루프를 따라 운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회차를 위한 루프 사용은 1988년 이후 중단되었지만, 루프의 고가 구조물은 승객 승하차 건물 위에 남아 있으며, 때때로 열차를 보관하기 위한 테일 트랙으로 사용되었다. 역 플랫폼은 단선으로 축소되었고 케네디역에서 승객을 내리고 태우는 스페인식 해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계획된 경전철의 원래 바닥 마감과 플랫폼 가장자리 표시는 현재 선로를 따라 볼 수 있다.
2. 4. 스카버러 RT 문제점 및 보수 (1988년)
케네디역은 지하철에서 스카버러로 가는 버스로 갈아타는 승객들로 항상 붐볐으며, 동시에 케네디역 윗층에는 스카버러 RT 공사가 한창이었다. 1980년대 초반, 온타리오 주는 토론토 교통국과 시 당국에 고속 노면 전차 대신 리니어 모터 기술을 시범 도입하고자 하였다.[23] 케네디역은 이미 토론토 시내에서 운행하는 CLRV 노면 전차에 맞게 지어졌으나, 디자인 변경에 상당한 예산이 필요했다. 디자인 변경에 따른 추가 비용은 주 정부에서 지불하기로 하고 RT는 리니어 모터 전동차에 맞게 다시 지어졌다.[23]스카버러 RT는 개통 예정 시기보다 1년가량 늦어진 1985년 3월 24일에 개통하였고, 디자인 변경 등에 따라 1억캐나다 달러에 가까운 추가 비용이 들어갔다.[23]
스카버러 RT는 버스보다 더 많은 승객들을 이끌었지만, 디자인 변경과 제대로 시험되지 않은 기술의 사용으로 고장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케네디역의 각진 루프가 문제가 되었는데, 원래 노면 전차를 위해 설계되었던 이 선로는 리니어 모터 전동차가 운행하게 되면서 급커브를 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탈선 사태 이후 루프의 제한 속도는 시속 5km로 제한되었고, 교통국은 주 정부에 루프와 승강장 재공사에 2700만캐나다 달러를 요구하였다.[23]
온타리오 주 정부는 이 지원을 승인하였고 RT는 1988년 여름에 석 달 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 케네디역에 스위치가 추가되었고 루프는 비상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잠정 폐쇄되었다. 승강장 구조는 2면 1선으로 바뀌어 양쪽에서 문을 열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승객들은 북쪽 승강장에서 내리고 남쪽 승강장에서 승차하게 되었다.[23]
1988년 이후 회차를 위한 루프 사용은 중단되었지만, 루프의 고가 구조물은 승객 승하차 건물 위에 남아 있으며, 때때로 열차를 보관하기 위한 테일 트랙으로 사용되었다. 역 플랫폼은 단선으로 축소되었고 케네디역에서 승객을 내리고 태우는 스페인식 해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 5. 트랜짓 시티 계획과 취소 (2000년대 후반 ~ 2010년대 초반)
케네디역은 두 노선이 개통한 이후 환승 지점의 설계가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았다. 정치적인 결정으로 스카버러 RT는 스카버러 지역으로 이어지는 핵심 노선이 되었지만, 케네디역 근처는 스카버러 타운 센터를 개발하려는 도시 계획 때문에 대중교통 중심의 고밀도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했다.[23]2007년, 온타리오 주 정부는 교통 계획안인 '무브온타리오 2020'을 발표하여 에글린턴 애비뉴, 셰퍼드 이스트, 핀치 웨스트 연선에 경전철을 건설하는 비용을 지원하기로 하였다.[23] 에글린턴 선은 피어슨 국제공항에서 출발해 웨스턴 로드에서 돈밀스까지 지하로 운행한 다음 케네디역까지 운행할 계획이었다. 두 번째 경전철 노선은 에글린턴을 따라 케네디역에서 동쪽으로 이동 후 맬번을 따라 북동쪽으로 가는 노선이고, 세 번째 경전철은 스카버러 RT의 수명이 만료되는 시점에 경전철로 전환될 예정이었다.[23]
이 계획에 따르면 케네디역에서 세 개의 경전철 노선이 시종착하기 때문에 건물 디자인을 다시 검토해야 했다.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과 에글린턴 맬번 선을 같은 깊이로 굴착하되 북쪽에 배치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스카버러 경전철은 에글린턴 경전철 북쪽의 넓은 루프에서 합류하고, 블루어-댄포스 선 승객들은 계단을 통해 스카버러 경전철을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었다.[23]
그러나 2010년 롭 포드 시장의 당선으로 트랜짓 시티 계획안이 취소되면서 에글린턴-맬번 선과 스카버러 경전철 선도 취소되었다.[23] 2년 뒤, 토론토 시의회는 시장에 맞서 트랜짓 시티 계획안을 부활시키고 에글린턴 맬번 선만 취소하되 블루어-댄포스 선을 스카버러센터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통과시켰다.[23]
2016년, 존 토리 토론토 시장은 블루어-댄포스 선을 스카버러센터까지 한 정거장 연장하고 에글린턴-맬번 선의 부활을 추진하였다.[23] 메트로링스는 케네디역에서 지하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 건설을 계속 추진하였고, 이 경전철은 2022년에 개통할 예정이었다.[23] 존 토리 시장은 스토우빌 통근열차 노선을 복선 전철화하여 양방향 상시 운행하는 스마트트랙 계획안을 추진하여, 케네디역은 토론토 동부의 교통 요지로 자리잡을 전망이다.[23]
2. 6.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 및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 계획 (2010년대 중반 ~ 현재)
케네디역은 두 노선이 개통한 이후 환승 지점이 어색하게 지어졌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정치적인 결정으로 스카버러 RT는 스카버러의 더 넓은 지역으로 이어지는 핵심 노선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케네디역 근처는 스카버러 타운 센터를 키우려는 스카버러 도시 계획안 때문에 대중교통 친화적인 고밀도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했다.[23]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네디역을 교통 요지로 키우기 위한 개발 움직임은 보이기 시작하였다. 2007년, 온타리오 주 정부는 교통 계획안인 무브온타리오 2020 계획을 발표하여 에글린턴 애비뉴, 셰퍼드 이스트, 핀치 웨스트 연선에 경전철을 짓는 데 공사 비용을 지원하기로 하였다.[23] 에글린턴 선은 피어슨 국제공항에서 출발해 웨스턴 로드에서 돈밀스까지 지하 구간으로 운행한 다음 케네디역까지 운행할 방침이었다. 두 번째 경전철 노선은 에글린턴을 따라 케네디역에서 동쪽으로 간 다음 맬번을 따라 북동쪽으로 가는 노선이고, 세 번째 경전철은 스카버러 RT의 내구 연한이 만료되는 시점에 경전철로 변환할 예정이었다.[23]
이 계획에 따르면 케네디역에서 세 개의 경전철 노선이 시종착하기 때문에 건물 디자인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했다. 이에 따라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과 에글린턴 맬번 선을 같은 깊이로 굴착하되 북쪽에 위치하는 방안이 거론되었다. 스카버러 경전철은 에글린턴 경전철 북쪽의 넓은 루프에서 합류하게 되었다. 블루어-댄포스 선 승객들은 계단 하나를 타고 올라와 스카버러 경전철을 탈 수 있게 되었다.[23]
하지만 이 계획안은 2010년 롭 포드 시장의 당선으로 트랜짓 시티 계획안이 취소되면서 에글린턴-맬번 선과 스카버러 경전철 선도 취소되었다.[23] 2년 뒤, 토론토 시의회는 토론토 시장에 맞서 트랜짓 시티 계획안을 다시 부활시키고 에글린턴 맬번 선만 취소하되 블루어-댄포스 선을 스카버러센터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통과하였다.[23]
2016년, 존 토리 토론토 시장은 블루어-댄포스 선을 스카버러센터까지 한 정거장 연장하고 에글린턴-맬번 선의 부활을 추진하였다.[23] 그와 동시에, 메트로링스는 케네디역에서 지하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을 계속 짓는 데 주목하였다.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경전철은 2022년에 개통할 예정이었다.[23] 한편 존 토리 시장은 스토우빌 통근열차 노선을 복선 전철화해 양방향 상시 운행하는 스마트트랙 계획안을 추진하게 됨으로써 케네디역은 앞으로 토론토 동부의 교통 요지로 자리잡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23]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선이라고 불리는 2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케네디역은 통과역이 될 예정이다. 케네디역에서부터 7.8km 길이의 3개 역을 잇는 연장선은 이글린턴 애비뉴 아래 동쪽으로, 댄포스 로드와 맥코완 로드 아래 북쪽으로 이동하여 셰퍼드 애비뉴에서 종착할 것이다.[8]
케네디역은 5호선 에글린턴선의 동쪽 종착역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5호선 역은 에글린턴 애비뉴 이스트의 남쪽 지하에 건설되며, 2호선 승강장 북쪽 약 30m 지점에 위치할 것이다.[9]
웨스트 서비스 로드와 트랜스웨이 크레센트의 남서쪽 모퉁이에 있는 케네디역의 주 출입구는 철거되었으며, 5호선 승강장 위층에 위치할 5호선 대합실로 연결되는 새로운 출입구로 대체되었다. 2개의 엘리베이터가 5호선 대합실과 5호선 승강장을 연결한다. 2개의 남북 통로가 5호선 대합실을 기존의 2호선 대합실과 연결할 것이다. 2호선 대합실에는 거의 변경 사항이 없을 것이다. 기존 GO 철도 회랑 동쪽에 있는 부 출입구는 GO역의 주 출입구 역할을 한다.[9]
3. 역 구조
케네디역은 에글린턴 가 남쪽, 케네디 로드 동쪽에 있는 4층 규모의 복합 건물이다. 맨 아래층에는 2호선 블루어-댄포스 선 지하철 승강장이 있고, 그 위층에는 넓은 메자닌 층이 있다. 지상층(3층, 엘리베이터에는 2층으로 표시됨)에는 버스 승강장 10개가 있으며, 역으로 이어지는 보행자 출입구 3개는 남쪽 주차장, 돈 몽고메리 커뮤니티 센터 옆, 트랜스웨이 크레센트의 승객 승하차 회전 교차로에 있다.[5] 맨 위층에는 앞으로 개통할 5호선 에글린턴 선 경전철의 고상 승강장이 배치될 예정이다.
넓은 메자닌 층은 에글린턴 애비뉴로 이어지는 출구와 더불어 585대 규모의 환승 주차장과 역으로 마중 나오는 운전자들을 위한 정차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는 729대 규모의 주차 환승 구역이 있었으나, 2023년 8월 21일부터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6]
케네디역은 1980년 11월 22일 키플링역과 동시에 개통되었다.[23] 개통식에는 스카버러 시장 거스 해리스와 온타리오 주 커뮤니티 및 상업 관계 장관 프랭크 드리가 참석하여 열차 운행 신호를 주었다.[23]
3. 1. 2호선 블루어-댄포스 선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은 1966년 2월 25일에 개통되었으며, 1968년 5월 10일 워든역까지 서쪽으로 연장되었고, 1980년 11월 21일에는 케네디역까지 연장되었다.[7]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선이라고 불리는 2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케네디역은 통과역이 될 예정이다. 케네디역에서부터 7.8km 길이의 3개 역을 잇는 연장선은 이글린턴 애비뉴 아래 동쪽으로, 댄포스 로드와 맥코완 로드 아래 북쪽으로 이동하여 셰퍼드 애비뉴에서 종착할 것이다.[8]
3. 2. 5호선 에글린턴 선 (개통 예정)
케네디역은 5호선 에글린턴선의 동쪽 종착역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5호선 역은 에글린턴 가 남쪽 지하에 건설되며, 2호선 승강장 북쪽 약 30m 지점에 위치할 것이다.[9]웨스트 서비스 로드와 트랜스웨이 크레센트의 남서쪽 모퉁이에 있는 케네디역의 주 출입구는 철거되었으며, 5호선 승강장 위층에 위치할 5호선 대합실로 연결되는 새로운 출입구로 대체되었다. 2개의 엘리베이터가 5호선 대합실과 5호선 승강장을 연결한다. 2개의 남북 통로가 5호선 대합실을 기존의 2호선 대합실과 연결할 것이다. 2호선 대합실에는 거의 변경 사항이 없을 것이다. 기존 GO 철도 회랑 동쪽에 있는 부 출입구는 GO역의 주 출입구 역할을 한다.[9]
3. 3. 3호선 스카버러 선 (폐쇄)
1980년대 초, 온타리오 주는 토론토 교통국과 시 당국에 고속 노면 전차 대신 리니어 모터 기술을 시범 도입하고자 하였다.[23] 케네디역은 이미 토론토 시내에서 운행하는 CLRV 노면 전차에 맞게 지어졌으나, 디자인 변경에 상당한 예산이 필요했다. 디자인 변경에 따른 추가 비용은 주 정부가 지불하기로 하고, RT는 리니어 모터 전동차에 맞게 다시 지어졌다.[23]스카버러 RT는 원래 개통 예정 시기보다 1년가량 늦어진 1985년 3월 24일에 개통하였고, 디자인 변경 등에 따라 1억캐나다 달러에 가까운 추가 비용이 들어갔다.[23] 노면 전차로 등극할 뻔했던 스카버러 RT는 자그마한 지하철로 탈바꿈되었고, 이후 맬번으로 연장될 가능성도 열어두었다. [23]
스카버러 RT는 버스보다 더 많은 승객들을 이끌었지만, 디자인 변경과 제대로 시험되지 않은 기술 사용으로 고장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케네디역의 각진 루프가 문제가 되었는데, 원래 노면 전차를 위해 설계되었던 이 선로는 리니어 모터 전동차가 운행하게 되면서 급커브를 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탈선 이후 루프의 제한 속도는 시속 5km로 제한되었고, 교통국은 주 정부에 루프와 승강장 재공사에 2700만캐나다 달러를 요구하였다.[23]
온타리오 주 정부는 이 지원을 승인하였고, RT는 1988년 여름에 석 달 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 케네디역에 스위치가 추가되었고 루프는 비상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잠정 폐쇄되었다. 승강장 구조는 2면 1선으로 바뀌어 양쪽에서 문을 열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승객들은 북쪽 승강장에서 내리고 남쪽 승강장에서 승차하게 되었다.[23]
1985년, 케네디역은 6개의 역이 있는 고가 경전철 노선인 3호선 스카버러선을 운행하기 위해 확장되었다. 2023년, 3호선은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2호선 스카버러 시티 센터 연장선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3호선 열차는 양방향으로 운행되는 지하철 열차였지만, 3호선의 선로는 최고층 플랫폼을 지나 토론토 노면전차 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지상 회차 루프로 연장되었다. 이는 3호선이 지하철 노선이 아닌 전용 우선 통행권 노면전차 노선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고층 플랫폼은 노면전차를 운행하도록 설계되었다. 3호선은 나중에 중간 용량 철도 시스템 열차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 중간 용량 철도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이 모델은 봄바디어 운송(Bombardier Transportation)에서 제작했다. 이 노선은 2량 열차로 운행을 시작했으며 회차 루프를 따라 운행할 수 있었지만, 나중에는 4량 열차로 전환되어 좁은 루프를 따라 운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회차를 위한 루프 사용은 1988년 이후 중단되었지만, 루프의 고가 구조물은 승객 승하차 건물 위에 남아 있으며, 때때로 열차를 보관하기 위한 테일 트랙으로 사용되었다. 역 플랫폼은 단선으로 축소되었고 케네디역에서 승객을 내리고 태우는 스페인식 해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계획된 경전철의 원래 바닥 마감과 플랫폼 가장자리 표시는 현재 선로를 따라 볼 수 있다.
4. 공공 미술
케네디역에는 예술가 프랭크 페르나의 벽화 ''A Sense of Place''가 있었다. 이 벽화는 1997년에 완성되었으며[10] 역의 주 출입구를 감싸고 있었지만, 2018년에 출입구가 철거되면서[11] 벽화의 절반이 파괴되었다.
5호선 에글린턴을 따라 주요 환승역에 미술 작품을 설치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케네디역은 노선이 개통되면 두 개의 새로운 미술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예술가 다그마라 겐다의 벽화 ''Reorganization of One Hedge''는 채광창 유리에 인쇄될 동일한 울타리에서 찍은 나뭇잎 사진으로 구성될 예정이다.[12] 두 번째 미술 작품인 예술가 조셉 코수스의 ''Locations of Meaning''은 토론토에서 사용되는 72개 언어 중 하나로 "의미"라는 단어를 각기 새긴 스테인리스 스틸 삽입물이 있는 타일로 구성될 예정이다.[13]
5. 대중교통 연결편
케네디역은 1980년 11월 22일 키플링역과 동시에 개통되었다.[23] 개통 당시에는 GO 트랜싯 통근열차와 환승이 되지 않았으나, 1982년 9월 7일 스토우빌선 열차가 개통하면서 환승이 가능해졌다.[23] 2021년 10월 기준으로 평일 러시아워에는 지하철역 밖에 있는 케네디 GO역에서 GO 트랜싯 스토우빌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개통식은 특별 전동차가 데이비스빌역을 출발해 지금은 쓰이지 않는 베이역 하부 승강장을 거쳐 워든역으로 향하면서 시작되었다. 워든역에서는 스카버러 시장과 온타리오 주 장관이 열차 도착을 기다리고 있다가, 스위치를 작동시켜 케네디역까지 가는 신호를 주었다. 케네디역에서는 개통식 연설과 기념판이 공개되었다.[23]
개통식 직후, 전동차는 케네디역을 출발하여 워든과 영역에만 정차하고 이즐링턴역까지 직행하였다. 이즐링턴역에서는 이토비코 시장이 스위치를 작동하고 전동차는 키플링역을 향하게 되었다. 개통식이 끝난 직후 특별 전동차는 이즐링턴역에서 일반 열차로 운행하기 위해 키플링역을 출발하였다.[23]
5. 1. 버스
케네디역에는 두 개의 버스 플랫폼이 있다. 요금 지불 구역 내에 있는 플랫폼 A에는 1번부터 10번까지의 버스 베이가 있다. 2023년 10월 8일에 개통된 버스 플랫폼 B는 플랫폼 A의 남쪽에 있는 역 건물 외부에 위치하며, 주로 스카버러센터역으로 급행 운행하는 버스를 위한 11번부터 18번까지의 버스 베이가 있다.[14] 2024년 2월 18일 현재,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과 관련된 공사로 인해 버스 베이 6번부터 10번까지는 폐쇄되었다.[15]지하철이 운행 중단된 동안, 승객들은 트랜스웨이 크레센트 근처의 역 밖에서 버스를 탈 수 있다. 역을 운행하는 TTC 노선은 다음과 같다.
베이 번호 | 노선 | 이름 | 추가 정보 |
---|---|---|---|
플랫폼 A | |||
1 | 하차 전용 | ||
2 | 34A | 에글린턴 이스트 | 에글린턴역 방면 서쪽행 |
34B | 돈 밀스 로드와 윈포드 드라이브 방면 서쪽행 | ||
954 | 로렌스 이스트 익스프레스 | 케네디 로드를 경유하여 스타스프레이 대로 방면 동쪽행 | |
3 | 12A | 킹스턴 로드 | 브림리와 버라이어티 빌리지를 경유하여 빅토리아파크역 방면 서쪽행 |
12B | 브림리 로드를 경유하여 빅토리아파크역 방면 서쪽행 | ||
116 | 모닝사이드 | 핀치 애비뉴 이스트와 모닝사이드 하이츠 방면 동쪽행 | |
201 | 블러퍼스 파크 | 블러퍼스 파크 방면 남쪽행 | |
4 | 86A | 스카버러 | 토론토 동물원 방면 동쪽행 |
86B | 하이랜드 크릭 방면 동쪽행 | ||
86C | 셰퍼드 애비뉴 이스트 방면 동쪽행 | ||
86D | 로렌스 애비뉴 이스트를 경유하여 비치그로브 드라이브 방면 동쪽행 | ||
154 | 커런 홀 | 토론토 대학교 스카버러 방면 동쪽행 | |
휠-트랜스 | |||
5 | 905A | 에글린턴 이스트 익스프레스 | 엘즈미어 로드와 토론토 대학교 스카버러를 경유하여 컨린스 로드 방면 동쪽행 |
905B | 토론토 대학교 스카버러 방면 동쪽행 | ||
986 | 스카버러 익스프레스 | 셰퍼드 애비뉴 이스트 방면 동쪽행 | |
6 | 공사 중 | ||
7 | |||
8 | |||
9 | |||
10 | |||
플랫폼 B | |||
11 | 903A | 케네디 역-스카버러 익스프레스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센테니얼 칼리지 방면 북쪽행[16][17] |
903B | 스카버러 센터 역 방면 북쪽행 | ||
904 | 셰퍼드-케네디 익스프레스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돈 밀스 역 방면 서쪽행 | |
939A | 핀치 익스프레스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핀치 역 방면 서쪽행 | |
939B | 스카버러 센터 역과 핀치 역을 경유하여 핀치 웨스트 역 방면 서쪽행 | ||
12 | 38A | 하이랜드 크릭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루즈 힐 GO 역 방면 동쪽행 |
38B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토론토 대학교 스카버러 방면 동쪽행 | ||
133 | 닐슨 | 스카버러 센터 역과 센테너리 병원을 경유하여 모닝사이드 하이츠 방면 북쪽행 | |
938 | 하이랜드 크릭 익스프레스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토론토 대학교 스카버러 방면 동쪽행 | |
334 | 이글린턴 이스트 | 블루 나이트 서비스; 킹스턴 로드와 모닝사이드 애비뉴를 경유하여 닐슨 로드와 핀치 애비뉴 이스트 방면 동쪽행 | |
13 | 131 | 너겟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올드 핀치 애비뉴와 모닝뷰 트레일 방면 동쪽행 |
300B | 블루어-댄포스 | 블루 나이트 서비스; 웨스트 몰 방면 서쪽행 | |
14 | 57 | 미들랜드 | 스틸스 애비뉴 이스트 방면 북쪽행 |
334 | 이글린턴 이스트 | 블루 나이트 서비스; 이글린턴 역 방면 서쪽행 | |
15 | 129A | 맥코완 노스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메이저 매켄지 드라이브 이스트 방면 북쪽행 |
129B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스틸스 애비뉴 이스트 방면 북쪽행 | ||
2호선 | 셔틀 버스 | 워든 역 방면 서쪽행 | |
16 | 43A | 케네디 | 스틸스 애비뉴 이스트 방면 북쪽행 |
43C | 빌리지 그린 스퀘어 방면 북쪽행 | ||
943 | 케네디 익스프레스 | 스틸스 애비뉴 이스트 방면 북쪽행 | |
343 | 케네디 | 블루 나이트 서비스; 스틸스 애비뉴 이스트 방면 북쪽행 | |
17 | 21C | 브림리 | 스카버러 센터 역을 경유하여 스틸스 애비뉴 이스트 방면 북쪽행 |
43B | 케네디 | 프로그레스 애비뉴를 경유하여 스카버러 센터 역 방면 북쪽행 | |
18 | 20 | 클리프사이드 | 메인 스트리트 역 방면 서쪽행 |
113 | 댄포스 | 메인 스트리트 역 방면 서쪽행 | |
미래: 5호선 이글린턴 개통 시 시행 예정[18] | |||
34 | 이글린턴 | 마운트 데니스 역 방면 서쪽행 현재 버스 노선 34 이글린턴 이스트의 모든 지점 대체 |
5. 2. GO 트랜싯
GO 트랜싯의 스토우빌선 열차는 1982년 9월 7일에 개통하였고, 하루 상행 1편, 하행 1편으로 GO와 TTC는 이 역에서 통근 열차와의 환승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23]2021년 10월 기준 케네디역에서 평일 러시아워에 지하철역 밖에 있는 통근열차역에서 GO 트랜싯의 스토우빌선 열차를 탈 수 있다.
6. 인접한 역
7. 향후 전망
케네디역은 두 노선이 개통된 이후 어색하게 지어진 환승 지점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정치적인 결정으로 스카버러 RT는 스카버러의 더 넓은 지역으로 이어지는 핵심 노선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케네디역 근처는 스카버러 타운 센터를 키우려는 스카버러 도시 계획안 때문에 대중교통 친화적인 고밀도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했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네디역을 교통 요지로 키우기 위한 개발 움직임은 보이기 시작하였다. 2007년, 온타리오 주 정부가 교통 계획안인 무브온타리오 2020 계획을 발표하여 에글린턴 애비뉴, 셰퍼드 이스트, 핀치 웨스트 연선에 경전철을 짓는 데 공사 비용을 지원하기로 하였다.[23] 에글린턴 선은 피어슨 국제공항에서 출발해 웨스턴 로드에서 돈밀스까지 지하 구간으로 운행한 다음 케네디역까지 운행할 방침이었다. 두 번째 경전철 노선은 에글린턴을 따라 케네디역에서 동쪽으로 간 다음 맬번을 따라 북동쪽으로 가는 노선이고, 세 번째 경전철은 스카버러 RT의 내구 연한이 만료되는 시점에 경전철로 변환할 예정이었다.[23]
이 계획에 따르면 케네디역에서 세 개의 경전철 노선이 시종착하기 때문에 건물 디자인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했다. 이에 따라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과 에글린턴 맬번 선을 같은 깊이로 굴착하되 북쪽에 위치하는 방안이 거론되었다. 스카버러 경전철은 에글린턴 경전철 북쪽의 넓은 루프에서 합류하게 되었다. 블루어-댄포스 선 승객들은 계단 하나를 타고 올라와 스카버러 경전철을 탈 수 있게 되었다.[23]
하지만 이 계획안은 2010년 롭 포드 시장의 당선으로 트랜짓 시티 계획안이 취소되면서 에글린턴-맬번 선과 스카버러 경전철 선도 취소되었다.[23] 2년 뒤, 토론토 시의회는 토론토 시장에 맞서 트랜짓 시티 계획안을 다시 부활시키고 에글린턴 맬번 선만 취소하되 블루어-댄포스 선을 스카버러센터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통과하였다.[23]
2016년, 토론토 시장 존 토리는 블루어-댄포스 선을 스카버러센터까지 한 정거장 연장하고 에글린턴-맬번 선의 부활을 추진하였다.[23] 그와 동시에, 메트로링스는 케네디역에서 지하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을 계속 짓는 데 주목하였다.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경전철은 2022년에 개통할 예정이다.[23] 한편 존 토리 시장은 스토우빌 통근열차 노선을 복선 전철화해 양방향 상시 운행하는 스마트트랙 계획안을 추진하게 됨으로써 케네디역은 앞으로 토론토 동부의 교통 요지로 자리잡게 될 예정이다.[23]
참조
[1]
웹사이트
TTC Kennedy Station
http://www.ttc.ca/Su[...]
2014-08-21
[2]
웹사이트
Kennedy Station
https://www.ttc.ca//[...]
2023-12-03
[3]
웹사이트
The future of TTC’s Line 3 Scarborough (SRT)
https://www.ttc.ca/a[...]
[4]
웹사이트
Eglinton Crosstown won't open until 2024, construction group to take legal action: Metrolinx
https://toronto.city[...]
2023-05-16
[5]
웹사이트
Kennedy Station
https://www.ttc.ca//[...]
2022-04-16
[6]
웹사이트
Kennedy Station Commuter Lot - Parking Reduction
https://www.ttc.ca/s[...]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3-12-03
[7]
웹사이트
2013 TTC Operating Statistics
http://www.ttc.ca/Ab[...]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7-01-27
[8]
웹사이트
Scarborough Subway Extension
https://www.metrolin[...]
Metrolinx
2023-10-15
[9]
웹사이트
Eglinton Crosstown LRT Interchange Stations – Final Designs
https://www.ttc.ca/A[...]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8-05-11
[10]
웹사이트
Kennedy Station Mural 1997
http://www.frankpern[...]
2023-12-01
[11]
웹사이트
Kennedy Station demolition: Mural at entrance to Kennedy Station
https://www.flickr.c[...]
2023-12-01
[12]
뉴스
Art installations will enliven Eglinton Crosstown LRT
https://www.thestar.[...]
2018-01-18
[13]
웹사이트
See the new art installations going up at Eglinton Crosstown LRT stations
https://blog.metroli[...]
Metrolinx
2022-06-30
[14]
웹사이트
903 Kennedy-Scarborough Centre Express
https://www.ttc.ca/r[...]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3-10-08
[15]
웹사이트
Kennedy Station north Platform A closure
https://www.ttc.ca/r[...]
2024-02-17
[16]
웹사이트
The future of TTC's Line 3 Scarborough (SRT)
https://www.ttc.ca/a[...]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3-10-10
[17]
웹사이트
October (2023) service adjustments
https://www.ttc.ca/r[...]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3-10-03
[18]
웹사이트
2024 Annual Service Plan
https://cdn.ttc.ca/-[...]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3-11-17
[19]
웹인용
Subway ridership, 2018
http://www.ttc.ca/PD[...]
토론토 교통국
2020-08-02
[20]
웹인용
TTC, City improving Line 3 Scarborough bus shuttle routes as train service set to permanently end
https://www.ttc.ca/n[...]
토론토 교통국
2023-08-27
[21]
웹인용
Subway ridership, 2018
http://www.ttc.ca/PD[...]
토론토 교통국
2020-08-02
[22]
뉴스
지하철 5호선 '에글링턴선' 개통 연기
https://www.cktimes.[...]
2023-05-21
[23]
웹인용
Kennedy
https://transit.toro[...]
Transit Toronto
2018-01-28
[24]
웹인용
903 Kennedy-Scarborough Centre Express
https://transittoron[...]
2020-11-24
[25]
웹인용
943 Kennedy Express - New service
http://ttc.ca/Servic[...]
2021-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