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역은 캐나다 토론토의 지하철역으로, 1966년 블로어-댄포스선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영-유니버시티 선과 블로어-댄포스 선 열차가 직결 운행하는 인터라이닝 시스템이 시범 운영되었으나, 혼란과 지연 문제로 인해 3개월 만에 중단되었다. 이로 인해 하부 승강장(Lower Bay)은 폐쇄되었으며, 현재는 영화 촬영, 직원 훈련 등에 활용된다. 베이 스트리트의 역사와 베이 노면전차, 지하철 개통 이후의 변화, 역의 특징과 대중 공개, 버스 연결편, 인접 역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세인트조지역
세인트조지역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토론토 대학교 인근에 위치하여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며, 폴 아서가 디자인한 표지판과 접근성 및 승객 흐름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아이온뷰역
아이온뷰역은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의 역으로, 5호선 개통 시 34번 에글린턴 버스와 연결되어 마운트데니스역과 케네디역을 잇고, 동쪽으로는 로렌스 파크 역, 서쪽으로는 데이비스빌 역과 인접해 있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미조노쿠치역
미조노쿠치역은 1927년 다마가와 전기철도 미조노쿠치선의 역으로 개업하여 고가화와 역명 변경을 거쳐 덴엔토시선과 오이마치선이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역이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베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주소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베이 스트리트 1240 |
좌표 | 43°40′13″N 79°23′24″W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베이 |
로마자 표기 | Bei yeok |
운영 기관 | 토론토 교통국 |
노선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형태 | 섬식 |
승강장 수 | 1면 2선 |
개업일 | 1966년 2월 26일 |
깊이 | 지하 |
층수 | 2층 |
접근성 | 예 |
자전거 보관 | 예 |
주차장 | 없음 |
무료 와이파이 | 가능 |
승하차 통계 | |
2018년 | 32,690명 |
인접 역 | |
이전 역 | 세인트 조지 |
다음 역 | 영 |
버스 환승 | |
버스 노선 | 19 베이 300 블루어-댄포스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분실물 센터 | 토론토 교통국 분실물 센터 |
![]() | |
![]() | |
![]() |
2. 역사
베이역은 1966년 블루어-댄포스선 첫 구간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며, 서쪽 키일에서 동쪽 우드바인까지 연결되었다. 초기 계획에는 "요크빌"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려 했으나, 승강장 표지판에는 "BAY"라는 큰 글씨와 함께 "YORKVILLE"이라는 작은 글씨가 병기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1호선과 2호선 열차가 직결 운행하는 인터라이닝 시스템이 시범 운영되었다. 윗층 승강장에서는 서쪽(킬)이나 동쪽(우드바인) 방면 열차를, 아랫층 승강장에서는 시내 또는 우드바인 방면 열차를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승객들에게 혼란을 야기하여 3개월 만에 중단되었다. 인터라이닝 시스템 중단 이후 베이역 하부 승강장은 폐쇄되었고, 현재는 영화 촬영이나 지하철 우회 운행 등에 사용된다.
2019년 8월, 베이역의 휠체어 접근성 개선 공사가 시작되어[3] 2020년 12월 30일에 완료되었다.[4]
2. 1. 베이 스트리트의 역사
베이 스트리트는 18세기 말 토론토의 전신이었던 요크 설립 이후 베어 스트리트 (Bear Street)로 시작하였다. 1797년에 이 도로는 롯 스트리트 (Lot Street, 오늘날의 퀸 스트리트)와[30] 부두로 이어지면서 오늘날의 이름으로 바뀌었다.[31] 19세기에 베이 스트리트는 토론토 시내의 주요 상업 도로로 발전하였고 토론토 메일과 토론토 스타를 포함한 각종 신문사들이 킹과 베이에 자리를 잡았다.[32]베이 스트리트의 전신은 여러 개의 짧은 도로로 나뉘었는데, 퀸에서 칼리지까지는 존 심코 매콜레이의 사유지 이름을 따서 테롤리 스트리트 (Terauley Street)로 지어졌다.[31] 칼리지에서는 주택 때문에 도로가 끊겼고, 그렌빌에서 세인트조셉까지는 세인트빈센트 스트리트 (St. Vincent Street), 세인트조셉에서 세인트메리까지는 채플 스트리트 (Chapel Street), 세인트메리에서 블루어까지는 노스 스트리트 (North Street)로 불리었다. 블루어에서는 이미 개발된 부지가 길을 막았고, 이후 스콜러드에서 대번포트까지는 케첨 애비뉴 (Ketchum Avenue)가 있었다.[32]
1920년대 영 스트리트와 스파다이나 애비뉴 사이에는 남북 간선도로가 마땅치 않았고, 유니버시티 애비뉴 (19세기 당시 칼리지 애비뉴)는 퀸 남쪽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토론토시는 차량과 노면전차를 위한 우회 도로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32] 1922년, 토론토는 짧은 도로들을 하나의 간선 도로로 직선화하기 위해 베이 스트리트를 북쪽으로 연장하는 공사를 진행하였다. 베이는 퀸에서 테롤리로 이어졌고, 칼리지와 블루어에서는 부지를 매입해 도로를 직선으로 놓아 스콜러드 애비뉴까지 이어졌다.[32] 이후 1924년 7월 28일, 케첨 애비뉴는 베이 스트리트로 이름이 바뀌어 대번포트까지 이어졌다.[32]
2. 2. 베이 노면전차
베이 스트리트에는 20세기 초까지 노면전차가 운행되지 않았다. 토론토 철도 회사 (TRC)는 영 스트리트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베이 스트리트에 노면전차 선로를 놓았다.[32] 1921년 9월 1일, 토론토 교통국(TTC)이 TRC를 대체하면서 베이 스트리트를 경유하는 노면전차 노선이 생겼다.[32] 1923년 7월 1일, TTC는 애비뉴 로드 노면전차를 베이 스트리트로 경유하도록 변경하였다.[33] 1931년에는 베이와 대번포트를 따라 애비뉴 로드까지 노면전차 선로가 연장되었다.[33]베이 스트리트는 토론토 북서쪽에서 시내로 향하는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했다. 베이와 듀폰트 노면전차 노선은 혼잡한 영 노면전차를 대체하는 노선으로 자리잡았다. 또한, 토론토 증권거래소를 비롯한 여러 기업들이 베이 스트리트에 입주하면서 금융가로 발전하게 되었다.[32]
2. 3. 지하철 개통
토론토에 지하철을 건설하려는 계획은 초기부터 베이 스트리트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1911년 계획에는 베이 스트리트를 따라 지하 터널을 건설하는 방안이 포함되었고, 1942년 지하 전차 계획에도 베이 스트리트 노선이 다시 거론되었다. 그러나 1946년 영 스트리트를 따라 지하철을 건설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되었다.[32]1959년 유니버시티 선 공사가 시작되면서 베이 역은 Y자 분기점의 북동쪽 역으로 계획되었다. 베이 역은 1966년 2월 26일 블루어-댄포스 선의 첫 구간 개통과 함께 개통되었다.[32] 역명은 설계 당시 동네 이름인 요크빌을 따서 요크빌역으로 지으려고 했으나, 베이 역이 공식 명칭으로 확정되었고 요크빌은 역명판에 병기되었다.[32]
개통 당시에는 1호선과 2호선 열차가 직결 운행하는 인터라이닝 시스템이 시범 운영되었는데, 윗층 승강장에서는 서쪽(킬)이나 동쪽(우드바인) 방면 열차를, 아랫층 승강장에서는 시내 또는 우드바인 방면 열차를 탈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승객들에게 혼란을 야기하여 3개월 만에 중단되었다.[32]
인터라이닝 시스템 중단 이후 베이 역의 하부 승강장은 폐쇄되었고, 현재는 영화 촬영이나 지하철 우회 운행 등에 사용된다.[32]
2. 4. 개통 이후
1976년 퀘벡 총선에서 퀘벡당이 과반 의석을 획득하면서 퀘벡 분리주의 운동이 일어났고, 영어권 캐나다인들이 몬트리올의 세인트제임스 스트리트 (오늘날의 뤼 생자크)를 떠나 토론토의 베이 스트리트에 정착하게 되면서 베이 스트리트는 금융 중심지로 더욱 성장했다.[32]베이 스트리트 금융가 덕분에 토론토 교통국은 1975년과 76년에 6번 베이 버스를 트롤리버스로 전환하였고 이 노선은 토론토에서 가장 바쁜 트롤리버스 노선이 되었다.[32] 1980년대에는 영 지하철의 승객이 늘어나면서 토론토 교통국과 시 당국은 베이 스트리트를 블루어에서 프론트까지 "어반 클리어웨이" (Urban Clearway)로 지정하여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버스와 택시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32] 그러나 1990년대 초반 경기 침체로 중요성을 잃게 되었고 1993년에 트롤리버스는 운행이 중단되었다.[32]
2019년 8월에 베이역의 휠체어 접근성 개선 공사가 시작되었으며,[3] 이 공사는 2020년 12월 30일에 완료되었다.[4]
3. 역 특징
베이 역은 2018년 기준 하루 평균 32,690명이 이용하는 역으로, 요크빌 및 베이-블루어 센터, 블루어 스트리트 연선의 상점과 식당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다.[32] 역 건물은 모더니즘 양식의 벽돌 건물이며, 6번 베이 버스는 역 밖 버스 정류장에서 환승한다.[32]
세인트 조지 역과 유사하게 복층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역 동쪽 정문에는 메자닌(중간층)이 있고 벨에어 스트리트로 이어지는 출구가 있다. 베이 역은 흰색 바탕에 파란색 테두리의 타일로 장식되어 있다.[32]
역 구내에는 토론토 교통국 전체의 분실물 센터가 있다. 분실물은 평일에 찾을 수 있으며, 분실물의 3분의 1에서 절반 정도는 주인이 찾아가고 나머지는 경찰 경매에 부쳐진다.[32]
3. 1. 개통 후 변경 사항
1974년, 베이역 정문 맞은편에 컴버랜드 테라스가 개장하면서 지하 통로도 함께 개장되었다.[32] 2008년에는 컴버랜드 출입구가 유리와 철제로 재건축되었다.[32]개통 후 가장 크게 바뀐 것은 아랫층 승강장이 문을 닫은 것이다. 아랫층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는 벽돌로 막혀있으며, 녹색 타일이 기존의 흰색 타일과 대비된다. 아랫층은 현재 창고로 쓰이고 있으며, 승강장 타일 교체와 같은 역 리모델링의 시험판으로 쓰이고 있다. 이와 동시에 아랫층 승강장은 영화 촬영용으로 쓰이곤 한다.[32]

베이역은 개통 후 기존 모습을 대부분 그대로 보전하였으며, 동쪽 메자닌의 남쪽 벽은 흰색 타일이 회색과 빨간색 타일의 미술 작품인 《맥박》 (The Pulse)으로 대체되었다.[32]
4. 로어 베이 (Lower Bay)
베이 역의 주요 플랫폼 아래에는 폐쇄된 플랫폼인 "로어 베이"(Lower Bay)가 있다. TTC에서는 "베이 로어"(Bay Lower)라고도 부른다.[5][6] 이 플랫폼은 1966년 2월부터 9월까지 6개월 동안 영-유니버시티선과 블로어-댄포스 노선의 일부를 통합하는 인터라이닝 시스템을 실험 운영할 때 사용되었다.
인터라이닝 시스템은 3개의 노선을 운영하여, 승객들이 환승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한 곳에서 지연이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으로 확산되고, 역들이 교차 플랫폼 환승에 효과적이지 않아 승객들이 다음 열차를 어느 플랫폼에서 타야 할지 몰라 혼란을 겪는다는 단점이 있었다.[5][7] 결국, TTC는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인터라이닝 시스템이 실패했다고 판단했다.
로어 베이와 연결 선로는 여전히 존재하며, 새로운 운전자 훈련, 열차 이동, 플랫폼 표면 실험, 영화 촬영 등에 활용된다. TTC는 이 역을 뉴욕 지하철역처럼 보이도록 개조하기도 했으며, 영화 ''돈 세이 어 워드'' 촬영에 사용된 세트를 기증받아 유지하기도 했다. 로어 베이에서는 ''펠햄 123'', ''존 윅'', ''불릿프루프 몽크'' 등 다양한 영화와 뮤직비디오가 촬영되었다.[8][9] 또한, 현지 육군 예비군이 훈련 장소로 사용하기도 한다.[10]
로어 베이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지만, 특정 기간 동안 지하철 우회 운행이나 토론토 도어즈 오픈, 뉘 블랑쉬와 같은 행사를 통해 공개되기도 했다.[12][13][14][15][16] 2007년 토론토 도어즈 오픈 행사에서는 1966년 이후 처음으로 플랫폼이 공개되어 많은 사람이 방문했다.
4. 1. 로어 베이 재개방 제안
2014년, 엔지니어 요제프 케이츠는 출퇴근 시간에 북쪽으로 향하는 유니버시티 선 열차가 세인트 조지 역을 통과하는 대신 베이 역에서 단기 회차하도록 하여 로어 베이를 재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11] 케이츠는 이 방안이 블루어-댄포스 선에서 시내 방향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욘 또는 세인트 조지 역 대신 베이 역에서 환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인트 조지 역과 블로어-영 역의 혼잡을 완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1]5. 대중 공개
베이 역 아래층에는 "Lower Bay"라고 불리는 사용되지 않는 승강장이 있다. 이 승강장은 1966년 영-유니버시티 선과 블로어-댄포스 선의 일부 구간을 통합하여 열차를 시험 운행할 때 6개월 동안만 사용되었다.[5][6]
이 역은 평소에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지만, 지하철 선로 보수 공사 등으로 인해 우회 운행이 이루어질 때 열차 창문을 통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2007년 2월 24일부터 3월 11일까지 베이 역과 세인트 조지 역 사이 터널 천장 구조 보수 공사로 인해 열차가 뮤지엄 역으로 우회 운행되었다.[12][13] 이 때 승객들은 블로어-영 역과 뮤지엄 역 사이를 이동하면서 기차 창문을 통해 로어 베이를 볼 수 있었다.
TTC는 2007년 5월 26일 토론토 도어즈 오픈 행사의 일환으로 로어 베이를 대중에 공개했다.[16] 이는 1966년 이후 처음으로 역 승강장을 대중에게 공개한 것이었다. 한 번에 제한된 인원만 플랫폼에 들어갈 수 있었기 때문에 긴 줄이 형성되었다. 두 대의 열차가 선로에 주차되어 있었고, 비디오 화면에는 로어 베이에서 촬영된 영화나 광고가 상영되었으며, 플랫폼 주변에는 영화 포스터가 걸려 있었다. 2007년 이후에도 이 역은 뉘 블랑쉬 및 토론토 도어즈 오픈 행사 등을 통해 정기적으로 대중에게 공개되고 있다.
6. 버스 연결편
베이역에서는 6번 베이 버스와 300A, 300B 블루어-댄포스 심야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버스 환승은 역 밖 버스 정류장에서 이루어지며, 요금 증명이 필요하다.[1]
7.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Toronto Transit Commission, TTC Lost Articles
http://www.ttc.ca/Ri[...]
2013-05-28
[2]
웹사이트
Wi-fi Now Available At
https://web.archive.[...]
TCONNECT
2015-01-08
[3]
웹사이트
Bay Station - Easier Access Project
https://web.archive.[...]
2021-01-04
[4]
웹사이트
TTC Bay Station
http://ttc.ca/About_[...]
2021-01-05
[5]
웹사이트
Toronto's Lost Subway Stations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transit.toron[...]
2014-11-09
[6]
Youtube
TTC – Behind the Scenes at Bay and Queen Stations
https://www.youtube.[...]
2014-02-21
[7]
웹사이트
Invisible Toronto: from the bees' home above to the shuttered station below
https://www.thestar.[...]
2017-09-19
[8]
간행물
Grimes Enlists Vampiric Cyberpunks for 'Kill V. Maim' Video
https://www.rollings[...]
2021-03-12
[9]
웹사이트
Fucked Up to Headline CMW Underground Showcase in Lower Bay Station
https://exclaim.ca/m[...]
2018-05-12
[10]
뉴스
Toronto army reserve to participate in Lower Bay Station training exercise
https://www.thestar.[...]
2023-03-25
[11]
웹사이트
Big Ideas: Bring back Bay Lower Station to relieve Yonge-University line
https://www.thestar.[...]
2014-03-31
[12]
간행물
Media Advisory: TTC Adjusts Subway Service During Weekend Construction
https://web.archiv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07-05-27
[13]
간행물
TTC Construction Completed Ahead of Schedule No Weekend Subway Diversion
https://web.archiv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07-05-27
[14]
웹사이트
Glimpse of TTC's 'ghost' station on view this weekend
https://www.thestar.[...]
2018-01-23
[15]
웹사이트
Bloor–Danforth Subway – Split Service – May 14–15
http://www3.ttc.ca/S[...]
2011-05
[16]
웹사이트
TTC Opens Doors to Lower Bay Station, During Doors Open, May 26 – Transit Toronto – Weblog
https://transit.toro[...]
2018-05-26
[17]
웹사이트
Toronto Transit Commission Subway ridership – 2018
https://www.ttc.ca/P[...]
トロント交通局
2020-06-30
[18]
웹사이트
There's now free WiFi at over 40 TTC subway stations
https://www.blogto.c[...]
blogTO
2020-06-29
[19]
웹사이트
Lost Articles
https://www.ttc.ca/C[...]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0-06-30
[20]
웹사이트
How TTC subway stations got their atypical names
https://www.blogto.c[...]
2020-06-30
[21]
웹사이트
What Yorkville was like in the 1960s
https://www.blogto.c[...]
2020-06-30
[22]
웹사이트
TTC Lost Articles is Toronto's strangest lost and found
https://www.blogto.c[...]
2020-06-30
[23]
웹사이트
That time the subway went from anywhere, to anywhere
https://www.blogto.c[...]
2020-06-30
[24]
웹사이트
Toronto's Lost Subway Stations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transit.toron[...]
2014-11-09
[25]
Youtube
TTC – Behind the Scenes at Bay and Queen Stations
https://www.youtube.[...]
2020-06-30
[26]
웹사이트
Bay Lower
https://www.stationf[...]
Station Fixation
2020-06-30
[27]
웹사이트
The Truth Behind the Interlining Trial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s://transittoron[...]
2020-06-30
[28]
웹사이트
Fucked Up to Headline CMW Underground Showcase in Lower Bay Station
https://exclaim.ca/m[...]
2018-05-12
[29]
웹사이트
Lower Bay's Doors Open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s://transittoron[...]
2020-06-30
[30]
웹인용
Shaping Toronto: Queen West
https://torontoist.c[...]
Torontoist
2020-03-28
[31]
웹인용
How Bay Street came to be in Toronto
https://www.blogto.c[...]
2020-03-28
[32]
웹인용
Bay
https://transit.toro[...]
2020-03-28
[33]
웹인용
The Dupont and Bay Streetcars (Deceased)
https://transit.toro[...]
2020-03-28
[34]
뉴스
Timeline: 160 years of the Toronto Stock Exchange
https://business.fin[...]
2020-03-28
[35]
웹인용
Bay Station - Easier Access Project
http://ttc.ca/Servic[...]
2021-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