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올은 어원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지역과 문화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식민지 시대에 유럽인의 후손을 지칭하거나, 아프리카계와 비아프리카계 인종 또는 문화적 유산이 혼합된 민족 집단을 가리키는 등 여러 의미를 갖는다. 스페인 식민지에서는 아메리카에서 태어난 유럽인의 후손을 지칭하며, 카리브해에서는 계급이나 조상에 관계없이 카리브해 문화의 일부인 모든 사람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아프리카에서는 유럽 식민 시대에 형성된 혼혈 민족 집단을 의미하며, 미국에서는 알래스카, 루이지애나, 텍사스 등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크리올은 사회적, 정치적 위치와 관련하여 차별과 갈등의 역사를 겪었으며, 독립 운동의 중요한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족명 - 갈색 인종
    18세기와 19세기에 유럽 작가들이 지리적 차이에 따라 인종을 분류하며 사용한 "갈색 인종"은 블루멘바흐, 달로이, 피귀에 등에 의해 말레이인을 지칭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현대 과학에서는 인종 간 생물학적 차이를 지지하지 않으며, 20세기와 21세기에는 다양한 인종 집단을 포괄하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민족명 - 보슈냐크인
    보슈냐크인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민족 국가로 여기며 이슬람교를 믿는 남슬라브족으로, 보스니아 지역과 보스나 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불리며 독자적인 문화와 언어, 그리고 다양한 전통과 관습을 유지하며 주변국과 서유럽, 북미 지역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민족사 - 인간 동물원
    인간 동물원은 제국주의 시대 서구 열강이 피지배 민족을 전시하며 우월성을 과시한 인종차별적 전시 형태로, 만국박람회 등에서 비유럽인을 가두어 전시하고 문화를 왜곡하여 구경거리로 만들었다.
  • 민족사 - 동포
  • 크리올 - 자이데코
    자이데코는 루이지애나주 크리올 문화에서 시작된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 장르로, 빠른 템포와 싱코페이션 리듬, 아코디언, 베스트 프로트와르, 블루스, 록 등 다양한 요소가 특징이며, 기원에는 여러 설이 있고 클리프턴 체니어 등의 음악가를 통해 발전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크리올 - 율리마르 로하스
    베네수엘라의 육상 선수 율리마르 로하스는 여자 세단뛰기 세계 기록 경신과 함께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베네수엘라 최초의 여성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세단뛰기의 여왕'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LGBT+ 활동가이다.
크리올
지도 정보
인구
분류혼합된 문화적 및 언어적 조상을 가진 민족 집단
어원'Creole'은 포르투갈어 'crioulo'에서 유래, '집에서 자란'을 의미
관련 용어메스티소
물라토
삼보
역사와 문화
기원유럽인과 비유럽인 사이의 사회적, 문화적, 인종적 접촉의 결과
유럽 식민지주의의 유산
문화적 특징혼합된 문화적 요소
고유한 언어 (크리올어)
독자적인 음악, 춤, 문학
다양한 인종적 배경을 가진 사회
크리올화문화적 창의성의 과정
문화적 혼합과 새로운 문화 창조를 포괄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른 모습
언어
크리올어모국어와 식민 지배자의 언어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언어
문법과 어휘에서 독자적인 특징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사용
지리적 분포
주요 지역카리브해
인도양
태평양
아메리카 대륙 일부 지역
국가별 분포서인도 제도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사회 및 정치적 의미
정체성복잡하고 다면적인 정체성
다양한 민족적 기원을 반영
사회적 지위역사적으로 차별과 불평등을 경험
정치적 운동자율성과 권리를 위한 운동 참여
추가 정보
관련 연구 분야언어학
인류학
사회학
역사학
문화 연구
참고 자료메리엄-웹스터 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Cohen, Robin. "Creolization and Cultural Globalization." (2007)
Baron, Robert A., and Cara, Ana C. "Creolization as Cultural Creativity." (2011)
Stewart, Charles. "Creolization history, ethnography, theory." (2016)

2. 어원

"criollo"(크리오요), "crioulo"(크리울루)라는 단어는 "criar"(크리아르, 기르다)라는 동사에서 파생되었으며, 본래는 "현지에서 자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식물이나 언어, 요리에 대해서도 "그 땅에서 태어났다", "그 땅 고유의"라는 의미로 "criollo"라는 형용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인간에게 crioulo, criollo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은 흑인 노예가 처음이다. 15세기 이후 노예 무역이 발달하면서, 아프리카 대륙이 아닌 인근의 상투메 프린시페 또는 카보베르데 제도, 그리고 나중에는 신대륙에서 태어나 자란 흑인 노예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2. 1. 어원과 의미 변화

"criollo"(크리오요), "crioulo"(크리울루)라는 단어는 "criar"(크리아르, 기르다)라는 동사에서 파생되었으며, 본래는 "현지에서 자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백인 뿐만 아니라 흑인도 식민지 태생의 경우에는 "negro criollo"(네그로 크리오요, 현지에서 태어난 흑인)로 표현하며, 아프리카 대륙에서 태어난 흑인("negro bozal"(네그로 보살), "negro africano"(네그로 아프리카노))과 구별했다.[23][24][25] 또한 동식물과 언어, 요리에 대해서도 "그 땅에서 태어났다", "토지 관련"이라는 의미에서 "criollo"라는 형용사가 추가되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현지 태생의 백인을 "criollo"라고 일컫는 용법이 생겨났고, 이미 식민지 시대 초기(16세기)에는 이 의미로 사용된 경우가 관찰된다. 곧, 스페인령 아메리카에서는 18세기가 될 무렵에는 "criollo = 아메리카 태생의 백인"라는 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한편, 포르투갈어권인 브라질의 경우 "crioulo"는 "현지에서 태어난 흑인"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크리올(Creole)이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créol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포르투갈어 ''crioulo''에서 나왔다. ''crioulo''는 "집에서 길러진 사람"을 의미하는 ''cria''의 축소형이다. ''Cria''는 "기르거나 양육하다"를 의미하는 ''criar''에서 유래했고, 이는 다시 "만들다, 낳다, 생산하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creare''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영어 단어 "create"(창조하다)의 어원이기도 하다. 원래는 식민지에서 태어난 유럽 식민 개척자들의 후손을 가리켰다. 크리올은 ''crioulo'', ''criollo'', ''creolo'', ''kriolu'', ''criol'', ''kreyol'', ''kreol'', ''kriol'', ''krio'', ''kriyoyo'' 등 다른 언어의 동족어로도 알려져 있다.

루이지애나에서는 1792년부터 아프리카계 또는 혼혈 부모의 자손뿐만 아니라 인종 혼합이 없는 프랑스계 및 스페인계 자손을 나타내는 데 크리올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언어의 이름으로서의 사용은 1879년부터 시작되었고, 언어에 대한 형용사로서의 사용은 1748년경에 시작되었다.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크리요요''라는 단어는 아메리카에서 태어난 유럽인의 후손을 가리키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지역적인 것 또는 매우 전형적인 것을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카리브해에서는 계급이나 조상(아프리카계, 동아시아계, 유럽계, 인도계)에 관계없이 카리브해 문화의 일부인 모든 사람들을 광범위하게 가리킨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는 아시아계를 제외한 모든 트리니다드 토바고인을 지칭하는 데 크리올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수리남에서는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인의 후손만을 가리키고, 이웃 프랑스령 기아나에서는 피부색에 관계없이 유럽식 생활 방식을 채택한 모든 사람을 가리킨다.

아프리카에서는 크리올이라는 용어는 유럽 근세 식민지 시대에 형성된, 아프리카계와 비아프리카계 인종 또는 문화적 유산이 혼합된 모든 민족 집단을 가리킨다. 크리올 공동체는 아프리카 원주민이 유럽인과 처음으로 상호 작용했던 대부분의 아프리카 섬과 대륙 연안 지역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접촉의 결과로 아프리카에는 포르투갈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네덜란드인, 프랑스인, 영국인의 다섯 가지 주요 크리올 유형이 등장했다.

아프리카계 또는 포르투갈계와 아프리카계 혼혈인 ''Crioulos''는 결국 카보베르데, 기니비사우, 상투메 프린시페, 앙골라, 모잠비크의 여러 민족 집단을 탄생시켰다.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모리셔스 크리올과 세이셸 크리올인은 모두 아프리카계 또는 혼혈이며 기독교화되었다. 레위니옹에서는 크리올이라는 용어가 섬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동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노예와 네덜란드인 정착민의 혼합으로 나중에 크리올화된 인구가 생겨났다. 페르난디누 크리올족은 아프로 쿠바인과 에만시파도스, 영어를 사용하는 해방된 아프리카인의 혼합이며, 아메리코 리베리아인과 시에라리온 크리올인은 아프리카 탈환자와 아프로 카리브인,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혼합으로 생겨났다.

스페인의 옛 식민지 지역에서 스페인어 단어 ''크리오요''(토착 출생을 의미함)는 역사적으로 주로 유럽계, 특히 스페인계 혈통으로 식민지에서 태어난 사람들을 포함하는 식민지 카스타 제도의 계층을 나타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모호한 민족 인종적인 방식으로, ''크리오요''는 현재 그들의 민족성에 관계없이 식민지 시대에 이미 그 지역에 존재했던 조상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사용된다. 예외는 어두운 피부색의 아프리카 사람들과 현재의 원주민 집단이다.

''크리오요''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크리올''의 어원이자 동족어이다.

인간에게 crioulo, criollo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은 흑인 노예가 처음이라고 생각된다. 15세기 이후 노예 무역이 발달하면서, 아프리카 대륙이 아닌 인근의 상투메 프린시페 또는 카보베르데 제도, 그리고 나중에는 신대륙에서 태어나 자란 흑인 노예가 증가했다. 이 때문에 제도나 신대륙 출신의 흑인은 "negro criollo"(네그로 크리오요)라고 불리며, 아프리카 대륙 출신의 흑인("negro bozal"(네그로 보살), "negro africano"(네그로 아프리카노))과 구별되었다. 신대륙의 식민지화가 진행됨에 따라 신대륙 출신의 백인에게도 "criollo"라는 표현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스페인령 아메리카의 경우 18세기 무렵에는 "criollo = 아메리카 대륙 출신의 백인"이라는 연관성이 두드러졌다.

한편, 포르투갈어권인 브라질의 경우, "crioulo"는 “현지 출신의 흑인”이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3. 사회적 위치

크리올과 페닌술라르 사이에는 균열이 존재했고, 이는 양자 간 대립 심화의 원인이 되었다. 16세기 중엽 남미 식민지 개척 초기부터 스페인은 신대륙 출생 크리올을 위험하게 여겨 주요 관직에서 배제했다.[42] 경제적 부를 얻어도 정치적으로는 페닌술라르의 그늘에 가려 있었다.[43]

페닌술라르의 우월적 언동은 크리올의 감정을 자극했고, 크리올 사이에서 페닌술라르에 대한 반감이 조성되었다. 18세기 부르봉 왕가 개혁은 본국 왕실의 의도와 명령을 식민지 사회에서 신속하게 시행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크리올보다 페닌술라르가 중용되었다. 이러한 정치 영역 특혜는 크리올과 페닌술라르 간 정신적 균열을 확대시켰다.

이처럼 같은 이베리아인이면서 신대륙 출생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은 것은 크리올이 페닌술라르와 본국 정부에 반감을 품게 했고, 이는 독립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45]

3. 1. 식민지 사회의 계층 구조

"크리올"의 반대어는 "페닌술라르"(이베리아 반도 출생 백인), "에우로페오"(유럽인) 등의 표현이 해당된다.[43] 그러나 이들은 혼인, 친족, 부모와 자식 등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구분되는 두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16세기부터 18세기에 걸친 시대에 양자를 포함한 백인이 식민지 사회에서 지배 집단을 구성하고 있었다. 이들의 지배 하에 흑인과 원주민인 인디언, 인디오 외에도 메스티소(백인과 인디언·인디오와 혼혈), 물라토(흑인과 백인 혼혈), 삼보(흑인과 인디언·인디오와 혼혈) 등의 혼혈 민족이 피지배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다.[44]

18세기 이후 피부색에 따른 신분 구별이 약화되고,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계층 구분이 강화되는 사회 변화가 나타났다. 유럽 출신 스페인인(페닌술라르)이든 크리올이든, 재산이 있거나 유력자와 혈연 관계가 있는 사람들은 사회 상층에 위치할 수 있었고, 반대로 돈과 인맥이 없는 사람들은 사회 중하층에 위치하는 사회가 성립되었다.[41]

3. 2. 크리올과 페닌술라르의 갈등

스페인은 16세기 중엽 남미 식민지 개척 초기 시대부터 신대륙에서 태어난 크리올을 위험 인물로 간주하여 주요 관직에서 배제하고 중용하지 않았다.[42] 크리올은 능력에 따라 경제적인 부를 획득하더라도, 정치적으로 늘 페닌술라르의 그늘에 가려 있었다.[43]

페닌술라르의 우월적인 언동은 때때로 크리올의 감정을 자극하여, 크리올 사이에서 페닌술라르에 대한 반감이 커지게 되었다. 또한 18세기에 실시된 부르봉 왕가 개혁은 본국 왕실의 의도와 명령이 식민지 사회에서 신속하게 시행되기를 원했고, 그 실현에 있어서는 크리올보다 페닌술라르가 중용되었다. 이러한 정치 영역에서 페닌술라르에게 주어진 특혜는 크리올과 페닌술라르 사이의 정신적 균열을 확대시켰다.

이와 같이 같은 이베리아 사람이면서 신대륙에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차별받은 것은 크리올들이 페닌술라르와 본국 정부에 반감을 품게 하였으며, 이 반감은 독립 운동의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45]

4. 지역별 크리올

크리올은 유럽식민지 시대에 형성된, 아프리카계와 비아프리카계 인종 또는 문화적 유산이 혼합된 모든 민족 집단을 가리킨다.[10] 크리올 공동체는 아프리카 원주민이 유럽인과 처음으로 상호 작용했던 대부분의 아프리카 섬과 대륙 연안 지역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접촉의 결과로 아프리카에는 포르투갈, 아프리카계 미국인,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의 다섯 가지 주요 크리올 유형이 등장했다.[10]

스페인의 옛 식민지 지역에서 스페인어 단어 ''크리오요''(토착 출생을 의미함)는 역사적으로 주로 유럽계, 특히 스페인계 혈통으로 식민지에서 태어난 사람들을 포함하는 식민지 카스타 제도의 계층을 나타냈다.[8]

카리브해 남부 지역의 많은 곳에서 크리올인이라는 용어는 섬에서 태어난 유럽인과 아프리카인의 혼혈 후손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3]

4. 1. 미국

알류트족 남성과 알래스카 크리올 여성이 알류샨 열도에 있는 모습.


알래스카 크리올(영어로는 구어체에서 "크리올"이라고도 함(러시아어 креол에서 유래))은 18세기 후반 시베리아계 러시아인 남성 ''프로미슐렌니키''와 알류트족 및 에스키모 여성의 혼혈을 통해 처음 등장한 독특한 민족으로, 러시아 아메리카와 북태평양 연안의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17][18][19][20]

대서양 크리올은 역사가 아이라 버린이 16세기와 17세기에 아프리카, 유럽, 그리고 때로는 카리브해와 문화적 또는 민족적 연관성을 가진 앙골라와 중앙 아프리카 사람들의 집단을 묘사하기 위해 만든 용어이다. 이들 중 일부는 1660년 이전 아메리카 유럽 식민화 기간 동안 노예의 창립 세대(Charter Generation)로 체서피크 식민지에 도착했다. 일부는 북미에 오기 전(또는 이송되기 전)에 유럽이나 카리브해에서 살고 일했다.[21] 존 펀치와 에마누엘 드리거스(그의 성은 로드리게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음)가 그러한 예이다. 식민지 초기 정착 당시, 식민지 이민자들의 자녀들은 종종 "크리올"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체서피크 식민지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22]

미국에서 "루이지애나 크리올인"이라는 용어는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루이지애나 지역이 미국의 일부가 되기 전, 식민지 시대 프랑스 라 루이지안(La Louisiane)과 식민지 시대 스페인 루이지애나(Louisiana (New Spain)) 정착민들의 후손인 모든 인종 또는 혼혈 인종을 가리킨다. 이 용어와 민족 집단은 16세기 카리브해에서 시작된 유사한 용법에서 유래했는데, 이 용법은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태어난 사람들을 각각의 카리브해가 아닌 고향에서 태어난 다양한 신규 이민자들과 구분했다. 미국 다른 지역의 일부 작가들은 이 용어가 혼혈 인종만을 가리킨다고 잘못 추정했지만, 이것은 전통적인 루이지애나식 용법이 아니다.[23][24][25][26]

루이지애나에서 "크리올"이라는 용어는 처음으로 루이지애나에서 태어난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그들은 이 용어를 사용하여 새로 온 이민자들과 자신들을 구별했다. 그것은 인종이나 민족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었고, 단순히 "신세계에서 태어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어떤 민족 배경을 가진 원주민들(백인, 흑인 또는 그 혼혈)을 유럽 이민자들과 아프리카에서 수입된 노예들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다. 나중에 새로 온 앵글로-아메리카인들이 크리올리테(créolité), 즉 크리올인의 특징을 혼혈 조상과 연관시키기 시작하면서 이 용어는 인종적으로 분류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백인 크리올들은 이 용어가 주류 미국인들에게 자신들이 혼혈이라고 믿게 만들어 생계나 사회적 지위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결국 그 명칭을 버렸다. 후대 작가들은 가끔 프랑스 크리올(유럽계 조상), 유색 크리올(혼혈 조상), 그리고 가끔 아프리카 크리올(주로 아프리카계 후손)을 구분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범주는 후대의 발명이며, 18세기, 19세기, 20세기 초의 대부분의 주요 문서에서는 추가적인 수식어 없이 "크리올"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스페인계와 독일계 크리올도 존재하며, 스페인계 크리올은 루이지애나 남부에서 발견되는 이슬레뇨스(Isleños)와 말라게뇨스(Malagueños)로서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다. 그러나 코카시안, 혼혈, 아프리카계, 아메리카 원주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인종 범주의 크리올들은 자신을 크리올로만 생각하고 언급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엄격한 인종 분리가 미국 역사와 북유럽의 다양한 문화권 출신 인구가 많은 다른 국가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과 달리 많은 다른 프랑코폰(Francophone)과 이베로아메리카(Iberoamerican)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인종 중립성은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으며, 많은 크리올들은 민족 문화의 일부가 되는 요소로 인종을 사용하지 않는다.[23][24][25]

현대적인 용법에서는 다시 루이지애나 크리올 사람들(Louisiana Creole people)이라는 의미가 확대되어 식민지 루이지애나 배경을 공유하는 모든 인종의 광범위한 문화 집단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크리올"로 자신을 식별하는 루이지애나 주민들은 역사적으로 프랑코폰(Francophone)과 히스패닉 공동체 출신인 경우가 가장 흔하다. 그들의 조상 중 일부는 프랑스, 스페인 또는 독일에서 직접 루이지애나로 왔고, 다른 일부는 카리브해와 캐나다의 프랑스와 스페인 식민지들을 통해 왔다. 많은 루이지애나 크리올 가족들은 카리브해 식민 중심지인 산토도밍고아바나의 다른 이민자들과 함께 아이티 혁명으로부터 피난민으로 루이지애나에 도착했다. 주로 서아프리카에서 온 노예들의 자녀들도 크리올로 여겨졌고, 아메리카 원주민과 비원주민 사이의 결합으로 태어난 자녀들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루이지애나의 크리올 문화는 유럽, 아메리카 원주민 및 아프리카 문화의 독특한 조합으로 구성된다.

자유 유색인 여성과 혼혈 딸; 18세기 후반 콜라주 그림, 뉴올리언스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언어를 사용했다. 오늘날 가장 두드러진 언어는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이다. ("크리올" 사람들과 "크리올" 언어에는 차이가 있다. 모든 크리올이 크리올어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크리올이 프랑스어, 스페인어 또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미시시피 걸프 코스트 지역에는 크리올 인구가 상당히 많으며, 특히 패스 크리스천, 걸프포트, 빌록시, 파스카굴라에 집중되어 있다. 파스카굴라에는 크리올타운(Creoletown)이라는 지역이 있는데, 그 역사는 기록으로 남아 있다.[29] 이 지역의 많은 주민들은 가톨릭 신자이며, 크리올어, 프랑스어, 영어를 사용해 왔다.

텍사스의 스페인계 크리올인


식민지 시대 텍사스에서 "크리올"(criollo)이라는 용어는 구세계 아프리카인과 유럽인을 신세계에서 태어난 그들의 후손인 크리올과 구분했다. 그들은 뉴스페인의 테하스(Tejas) 주의 시민 계급을 구성했다.[30][31][32]

텍사스 크리올 문화는 주로 아프리카계, 스페인계 또는 메스티소계의 ''바케로스''(카우보이)와 텍사스 남동부와 루이지애나 서부에 여러 정착지를 설립한 틀라스칼라 나우아틀 정착민이 참석하는 "'''란초스'''"(크리올 농장)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예: 로스 아다에스).[30][31][33][34]

흑인 텍사스 크리올들은 1600년대부터 텍사스에 존재해 왔으며, 텍사스 동부의 스페인 주둔지에서 군인으로 복무했다. "흑인 테하노스"로도 알려진 여러 세대의 흑인 텍사스 크리올들은 텍사스 역사의 후기 단계, 즉 멕시코 텍사스, 텍사스 공화국, 미국 텍사스에서 역할을 수행했다.[32]

4. 2. 아프리카

유럽 식민지 시대에 형성된, 아프리카계와 비아프리카계 인종 또는 문화적 유산이 혼합된 모든 민족 집단을 가리킨다.[10] 크리올 공동체는 아프리카 원주민이 유럽인과 처음으로 상호 작용했던 대부분의 아프리카 섬과 대륙 연안 지역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접촉의 결과로 아프리카에는 포르투갈, 아프리카계 미국인,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의 다섯 가지 주요 크리올 유형이 등장했다.[10]

아프리카계 또는 포르투갈계와 아프리카계 혼혈인 ''Crioulos''는 결국 카보베르데, 기니비사우, 상투메 프린시페, 앙골라, 모잠비크의 여러 민족 집단을 탄생시켰다.[21]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모리셔스 크리올과 세이셸 크리올인은 모두 아프리카계 또는 혼혈이며 기독교화되었다. 레위니옹에서는 크리올이라는 용어가 섬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고,[11]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동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노예와 네덜란드 정착민의 혼합으로 나중에 크리올화된 인구가 생겨났다.[12] 페르난디누 크리올족은 아프로 쿠바인과 에만시파도스, 영어를 사용하는 해방된 아프리카인의 혼합이며,[13] 아메리코 리베리아인과 시에라리온 크리올인은 아프리카 탈환자와 아프로 카리브인,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혼합으로 생겨났다.[14][15]

시에라리온의 크리올 가족, 1900년대 초


시에라리온에서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에 걸쳐 해방된 아프리카인들과 서반구 출신의 혼혈 유산을 가진 노바스코샤인과 자메이카 마룬, 그리고 해방된 아프리카인(예: 아칸족, 이그보족, 요루바족 등)이 여러 세대에 걸쳐 혼합되면서, 현재는 ''크리올인''으로 알려진 귀족적인 민족 집단이 형성되었다. 철저히 서구화되었고 부르주아적인 크리올인들은 영국 식민 당국의 편애와 정치 및 경제 활동을 결합하여 시에라리온에서 지배력을 확립했다. 그들의 영향력은 현대 공화국에서도 상당하며, 그들의 언어인 크리오어(영어 기반의 크리올어)는 전국적으로 사용되는 공용어이자 사실상의 국어이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 시에라리온인들의 사업 및 종교 활동이 이웃 나이지리아로 확장되었는데, 많은 이들이 조상과의 유대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곳에서 파생된 집단인 ''사로족''이 생겨났다. 현재는 더 넓은 의미의 요루바 민족의 일부로 간주되는 사로족은 정치, 법률, 종교, 예술, 언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대서양 크리올은 역사학자 아이라 버린(Ira Berlin)이 16세기와 17세기에 아프리카와 유럽, 그리고 때로는 카리브해와 문화적 또는 민족적 연관성을 가진 앙골라와 중앙 아프리카 출신 사람들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용어이다. 그들은 종종 포르투갈식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혼혈인 경우도 있었다.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지식으로 그들은 숙련된 상인이자 협상가였지만, 일부는 노예가 되어 1660년 이전에 대서양 노예 무역 기간 동안 노예의 창설 세대(Charter Generation)로 체서피크 식민지에 도착했다.[21]

포르투갈인과 아프리카인 혼혈인 ''크리울루스''(Crioulos)는 결국 아프리카, 특히 카보베르데, 기니비사우, 상투메 프린시페, 적도 기니(특히 아노봉 주), 지긴쇼르(카사망스), 앙골라, 모잠비크에서 여러 주요 민족 집단의 기원이 되었다. 이들 중 몇몇 집단만이 ''크리울루''(crioulo) 또는 그 변형된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 카보베르데: ''크리올루스''(Kriolus) 또는 ''크리올스''(Kriols)라고 불리는 주요 민족 집단; 그들의 언어 또한 "크리올어"라고 불린다.
  • 기니비사우: ''크리울루스''(Crioulos)
  • 상투메 프린시페: ''크리울루스''(Crioulos)


세이셸 빅토리아(Victoria)에서 열린 세이셸 크리올 축제에 참가한 여성들이 그들의 유산을 기념하고 있다.


인도양 남서부 섬들에서 크리올어의 사용은 섬에 따라 다릅니다. 모리셔스에서는 모리셔스 크리올인들은 민족과 종교 모두를 기반으로 구분됩니다. 모리셔스 크리올인들은 모리셔스 혈통을 가진 유색인종 또는 인종적으로 혼혈이며 기독교인인 사람들입니다. 모리셔스 헌법은 힌두교, 이슬람교, 중국계, 일반 주민 등 네 가지 공동체를 규정합니다. 크리올인들은 백인 기독교인들과 함께 일반 주민 범주에 포함됩니다.

이 용어는 세이셸 사람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레위니옹에서는 크리올이라는 용어가 섬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된다.[11]

세 사회 모두에서 크리올은 프랑스어에서 파생되고 다른 언어를 통합한 새로운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언어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아메리카와 달리 남아프리카에서는 아프리카계와 유럽계 혼혈 인종을 지칭할 때 "컬러드(coloured)"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의한 케이프 식민지 식민화는 인도네시아, 동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노예들의 수입으로 이어졌고, 이들은 네덜란드 정착민들과 원주민들과 혼혈되어 1700년대 초 크리올 인구를 형성하였다. 또한, 포르투갈 상인들은 현재 모잠비크와 짐바브웨 지역의 아프리카 공동체와 혼혈되어 프라제이루스(Prazeros)와 루소-아프리카인(Luso-Africans)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포르투갈 왕실에 충성하며 남동아프리카에서 포르투갈의 이익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 시대의 유산으로는 쇼나어, 총가어 및 마콘데어에 들어온 수많은 포르투갈어 단어가 있다. 오늘날 남아프리카공화국, 나미비아, 짐바브웨 등 지역 전역에 혼혈 공동체가 존재한다. 식민 시대 잠비아에서는 "유라프리칸(Eurafrican)"이라는 용어가 종종 사용되었지만,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국가 차원에서도 더 이상 인정되지 않는다.[12] 오늘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컬러드(Coloureds)와 케이프 말레이는 서케이프 주의 대다수 인구와 북케이프 주의 다수 인구를 형성한다.

컬러드 인종 외에도 앙골라와 모잠비크에서는 혼혈 인종을 가리켜 "메스티소(mestiço)"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들은 포르투갈 시대에 특정한 특권을 누렸다.

4. 3. 스페인 식민지

1821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기념하는 과테말라의 크리오요들.


스페인의 옛 식민지 지역에서 스페인어 단어 ''크리오요''(토착 출생을 의미함)는 역사적으로 주로 유럽계, 특히 스페인계 혈통으로 식민지에서 태어난 사람들을 포함하는 식민지 카스타 제도의 계층을 나타냈다.[8] 대부분 유럽계 혈통을 가진 사람들은 백인으로 "통과"한다는 근거로 여겨졌다. 예를 들어, 많은 카스티소들은 그들의 특징이 유럽인과 비슷했기 때문에 크리오요로 인정받는 경우가 있었고, 많은 사람들이 주로 경제적인 이유로 그러한 정체성을 선택했다.

라틴 아메리카 정착 후기인 ''라 콜로니아'' 시대에 부르봉 스페인 왕실은 이전 합스부르크 시대의 식민지 관리 부실을 이유로 최고 군사, 행정 및 종교 직책에 크리오요보다 스페인 태생의 ''페닌술라레스''(이베리아 반도 출생)를 선호했다.[35]

16세기부터 스페인의 아메리카 식민지 시대에는 인종에 기반한 카스트 제도가 시행되었다. 19세기가 되자 이러한 차별과 미국 독립 전쟁의 사례 및 계몽 사상의 이상은 결국 스페인 아메리카 크리오요 엘리트가 스페인 통치에 반기를 들게 했다. 하층민의 지지를 얻어 그들은 스페인과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전쟁(1810~1826)을 벌였고, 그 결과 아메리카 대륙의 스페인 제국은 여러 독립 공화국으로 해체되었다.

필리핀 제도에서 순수 스페인계 혈통으로 태어난 사람들은 인술라레스(Insulares, "섬사람들")[36] 또는 크리오요스(Criollos)라고 불렸다.

4. 4. 카리브해

카리브해 남부 지역의 많은 곳에서 크리올인이라는 용어는 섬에서 태어난 유럽인과 아프리카인의 혼혈 후손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메리카 원주민, 아시아, 중동, 라틴 아메리카 거주민과의 혼인도 있었다. 그들은 결국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이 식민 지배한 국가에서 함께 생활한 경험을 바탕으로 공통 문화를 형성했다.

전형적인 카리브해 크리올인은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영국 또는 네덜란드 혈통에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민족이 혼합되어 있으며, 때로는 아메리카 원주민이 섞이기도 한다. 아시아에서 온 노동자들이 카리브해로 들어오면서 유색 크리올인들은 아랍인, 인도인, 중국인, 자바인, 필리핀인, 한국인, 몽족과 혼인했다. 후자의 조합은 특히 과들루프에서 흔했다. 음식과 문화는 이러한 영향이 섞인 결과이다.[3]

"크레욜"(Kreyòl) 또는 "크웨욜"(Kwéyòl) 또는 "파투아/파투와"(Patois/Patwa)는 카리브해의 프랑스계 어휘를 기반으로 한 크리올어를 가리키며, 여기에는 앤틸리안 프랑스 크리올어, 아이티 크리올어, 트리니다드 크리올어가 포함된다. 크리올어는 또한 바바도스 크리올어, 바하마 크리올어, 벨리즈 크리올어, 가이아나 크리올어, 자메이카 파투아, 토바고 크리올어, 트리니다드 크리올어 및 스라난 통고(수리남 크리올어) 등을 포함한다.

다음은 프랑스계 어휘를 기반으로 한 앤틸리안 크리올어를 사용하는 섬들이다.[37][38][39][40]


5. 대표적인 크리올 출신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CREOLE https://www.merriam-[...]
[2] 웹사이트 Creole | History, Culture & Languag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2-15
[3] 논문 Creolization and Cultural Globalization: The Soft Sounds of Fugitive Power 2007
[4] 서적 Creolization as Cultural Creativity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5] 웹사이트 Creolization https://www.scienced[...] 2022-06-23
[6] 서적 Creolization history, ethnography, theory. Walnut Creek, CA: Left Coast Press. Left Coast Press
[7] 웹사이트 creole | Origin and meaning of creole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19-04-29
[8] 웹사이트 Criollo, criolla |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https://dle.rae.es/c[...] 2022-06-14
[9] 웹사이트 Creole https://www.britanni[...] 2022-06-14
[10] 웹사이트 Creoles of Africa https://geography.na[...] 2022-06-14
[11] 서적 Creoliz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CRC press
[12] 논문 Afrikaans: Creole or Non-Creole? https://www.jstor.or[...] 1982
[13] 서적 Glimpses of Africa, West and Southwest coast A.M.E. Sunday School Union
[14] 서적 Whiteness in Africa: Americo-Liberians and the Transformative Geographies of Race https://uknowledge.u[...] Theses and Dissertations--History
[15] 서적 The Black Loyalists: The Search for a Promised Land in Nova Scotia and Sierra Leone, 1783–187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6] 서적 Creolisation as a Recipe for Conviviality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17] 웹사이트 Creoles in Alaska http://rocinak.saskt[...] 2010-07-30
[18] 웹사이트 Creoles of Alaska – Kreol explores their fascinating history | International Magazine Kreol https://kreolmagazin[...] 2016-02-17
[19] 웹사이트 Alutiiq Word of the Week Archive - People - Creole https://alutiiqmuseu[...] 2023-12
[20] 웹사이트 Featured Article: Creole Policy and Practice in Russian America – Center for the Study of the Pacific Northwest https://depts.washin[...]
[21] 논문 From Creole to African https://www.jstor.or[...] 1996-04-01
[22] 서적 First Generations: Women in Colonial America https://books.google[...] 1997-07
[23] 서적 White by Definition: Social Classification in Creole Louisiana Rutgers University Press
[24] 논문 Louisiana's 'Creoles of Color': Ethnicity, Marginality, and Identity
[25] 서적 A History of the Old South: The Emergence of a Reluctant Nation Macmillan
[26]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Usage Oxford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Two histories, one future: Louisiana sugar planters, their slaves, and the Anglo-Creole schism, 1815-1865 https://digitalcommo[...]
[28] 웹사이트 Attakapas Post Spanish Militia Rolls, 1792 http://www.mylhcv.co[...]
[29] 뉴스 Creoletown: Name, racial identity of community lost in Pascagoula's past http://blog.gulflive[...] 2012-04-09
[30] 서적 The War Before the War Fugitive Slaves and the Struggle for America's Soul from the Revolution to the Civil War Penguin Publishing Group
[31] 서적 Lone Star Rising Free Press
[32] 서적 Emily D. West and the "Yellow Rose of Texas" Myth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33] 서적 Los Adaes, the First Capital of Spanish Texas Texas A&M University Press
[34] 서적 Vaqueros, Cowboys, and Buckaroos University of Texas Press
[35] 논문 Vista de Sobre Mark A. Burkholder y D. S. Chandler, from impotence to authority. The Spanish crown and the American audiencias, 1687-1808 https://historiamexi[...] 1979-04
[36] 웹사이트 insular | Definición |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 RAE - ASALE https://dle.rae.es/i[...]
[37] 간행물 Ethnologue codes Guadeloupean French Creole and Saint Lucian Creole French distinctly
[38] 웹사이트 The Creole Language of Dominica http://www.avirtuald[...] 2014-03-31
[39] 서적 St. Lucian Kwéyòl on Saint Croix: A Study of Language Choice and Attitud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2-12-17
[40]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acf http://www.ethnologu[...] 2022-12-17
[41] 서적 La independencia de la América española Colegio de México, Fondo de Cultura Económica
[42] 웹사이트 크리오요 [Creole]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43]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44]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45]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46] 서적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 휴머니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