틴하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틴하우역은 1985년 5월 31일 개통된 홍콩 지하철 항도선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구조의 복층 구조로, 코즈웨이 로드와 헤네시 로드 지하에 위치하며, 차이완 방면과 케네디타운 방면으로 운행된다. A1, A2, B 출구를 통해 킹스로드, 빅토리아 공원, 홍콩 중앙 도서관 등으로 연결되며, MTR 급행 교통과 시내 버스 간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즈웨이베이 - 홍콩 스타디움
홍콩 스타디움은 4만 석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으로, 해피밸리 화재 희생자 묘지 부지에 건설되어 1994년 재건축되었으며, 축구, 럭비 등 스포츠 행사 개최와 과거 콘서트장으로 활용되었으나 소음 문제로 사용이 제한되었고, 향후 카이탁 스포츠 공원 완공과 함께 수용 인원을 축소할 예정이다. - 코즈웨이베이 - 타임스 스퀘어 (홍콩)
타임스 스퀘어 (홍콩)는 홍콩 코즈웨이 베이에 위치한 복합 상업 시설로, 1974년 홍콩 트램웨이 부지에 건설되어 쇼핑몰과 오피스 타워로 구성되며, 코즈웨이 베이의 핵심 부동산으로 자리 잡았다. - 공도선 - 사우게이완역
사우게이완역은 홍콩 지하철 섬 라인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스크린도어 설치를 통해 안전을 강화했으며, 주변 대중교통 환승 및 문화 시설 접근성이 용이하다. - 공도선 - 감중역
감중역은 1980년 췬완선 개통과 함께 운영을 시작하여 현재 홍콩섬 북부와 중국 대륙을 잇는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하는, 지하 6층 규모의 환승역이다. - 홍콩섬의 지하철역 - 홍콩역
홍콩역은 홍콩 국제금융센터 지하에 위치하며 둥충선과 공항철도의 환승역으로, 1998년에 개통되어 주변 시설과 다양한 교통 수단과 연결된다. - 홍콩섬의 지하철역 - 사우게이완역
사우게이완역은 홍콩 지하철 섬 라인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스크린도어 설치를 통해 안전을 강화했으며, 주변 대중교통 환승 및 문화 시설 접근성이 용이하다.
틴하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 종류 | 지하역 |
주소 | 홍콩 섬 완차이 구 코즈웨이베이 킹스로와 코즈웨이로의 교차점 |
개업일 | 1985년 5월 31일 |
운영사 | MTR 공사 |
접근성 | https://www.mtr.com.hk/en/customer/services/free_search.php?query_type=search&station=29 사용 가능 |
이전 이름 | 코즈웨이베이 |
노선 정보 | |
노선 | 아일랜드 선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연결 노선 | 트램 버스, 미니버스 |
역 번호 | TIH |
인접역 | 왼쪽: 코즈웨이베이역 오른쪽: 포트리스 힐 역 |
언어별 명칭 | |
광둥어 병음 | Tin1 Hau6 |
로마자 표기 | Tin Hau |
일본어 | 天后駅 (ティンハウえき) |
한국어 | 틴하우역 |
기타 정보 | |
코드 | TIH |
2. 역사
틴하우역은 1967년 홍콩 정부의 대중교통 연구에서 설정된 지하철 노선 계획부터 등장하는 역이었다.[7][2] 그러나 실질적으로 홍콩 지하철의 첫 기틀을 마련한 '초기 변형철도망' (Modified Initial System)에서는 빠졌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홍콩섬 내 지하철역이 감중역과 차터역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틴하우역은 1981년 공도선 공사가 시작되고 나서야 비로소 1차 개통구간의 역으로 포함되었으며 1985년 5월 31일 공도선 개통과 함께 영업에 들어갔다.[7] 공사 과정에서 코즈웨이베이 치안판사 건물이 철거되고, 완자이 타워로 이전하였다.[8][3] 건설 계약은 Bachy Soletanche에, 역의 승강장과 대합실은 쿠마가이구미에 의해 건설되었다.[3]
틴하우역은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진 복층 구조의 역으로, 공도선이 지나가는 코즈웨이 로드와 헤네시 로드 지하 부지가 좁아 활용이 한정된 관계로 건설되었다.[10] 상층의 1번 승강장에서는 동쪽 방면(차이완 방면) 열차가 정차하며, 하층의 2번 승강장에서는 서쪽 방면(케네디타운 방면) 열차가 정차한다.[10] 승강장 양층 위로는 두 개의 지하층이 더 있는데, 여기에는 대합실, 개찰구, 가게, 그리고 A1, A2, B 출구로 이어지는 지하보도가 있다.[10]
2000년 항철공사는 30개 역에 승강장 스크린도어를 시범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는데 틴하우역도 그 중 하나였으며, 최종적으로 2006년에 설치가 마무리되었다.[9][4]
3. 역 구조
층 시설 G 지상층, 출구, 대중교통 환승 - 지하통로, MTR 샵, 출구 지하통로 L1 대합실, 고객센터 항셍은행, 자판기, ATM L3 상대식 승강장, 왼쪽문 열림 승강장 1 홍콩 지하철 항도선 차이완 방면 (포트리스 힐) L5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문 열림 승강장 2 홍콩 지하철 항도선 케네디타운 방면 (코즈웨이베이)
3. 1. 층별 구조
틴하우역은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진 복층 구조의 역으로, 공도선이 지나가는 코즈웨이로와 헤네시로 지하 부지가 좁아 활용이 한정된 관계로 건설되었다.[10] 상층의 1번 승강장에서는 동쪽 방면(차이완 방면) 열차가 정차하며, 하층의 2번 승강장에서는 서쪽 방면(케네디타운 방면) 열차가 정차한다.[10] 승강장 양층 위로는 두 개의 지하층이 더 있는데, 여기에는 대합실, 개찰구, 가게, 그리고 A1, A2, B 출구로 이어지는 지하보도가 있다.[10]
층 | 시설 |
---|---|
G | 지상층, 출구, 대중교통 환승 |
- | 지하통로, MTR 샵, 출구 지하통로 |
L1 | 대합실, 고객센터 |
항셍은행, 자판기, ATM | |
L3 | 상대식 승강장, 왼쪽문 열림 |
승강장 1 | 홍콩 지하철 항도선 차이완 방면 (포트리스 힐) |
L5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문 열림 |
승강장 2 | 홍콩 지하철 항도선 케네디타운 방면 (코즈웨이베이) |
3. 2. 출구
- A1 출구는 킹스로로 연결된다.[6][1] 버스 터미널, 홍콩 퉁뤄완 해경 호텔, 류셴제, 은막가로 이동할 수 있다. 지상에는 휠체어 리프트 및 시각 장애인 유도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 A2 출구는 빅토리아 공원, 코즈웨이베이 상가, 만국보통중심, 뎬치다오, 흥발가와 연결된다.[6][1] 지상에는 시각 장애인 유도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 B 출구는 홍콩 중앙도서관과 연결된다.[6][1] 잉황다오, 홍콩 퉁뤄완 웨이징 호텔, 바이징타이, 퍼리 호텔, 톈허우 사원 공원, 톈허우 사원다오로 이동할 수 있다.
4. 역 주변
틴하우역은 다른 모든 홍콩섬의 지하철 역과 마찬가지로 홍콩섬 북쪽 해안을 따라 위치해 있다. 인근의 틴하우 사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역은 실제로 코즈웨이베이 지역의 핵심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역의 존재로 인해 주변 지역은 구어체로 "틴하우"라고 불리게 되었다.[1]
이 역은 빅토리아 공원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에는 시티코프 센터가 있다. 홍콩 중앙 도서관과 린 파 쿵 가든은 역 남쪽에 있으며, 코즈웨이베이 스포츠 경기장도 이 근처에 있다.[1]
5. 교통
틴하우역은 MTR 급행 교통과 시내 버스 간의 환승역 역할을 한다.
- 트램
- 버스: , ,
- 전용 미니버스:
6. 인접역
퉁로완역 - '''틴하우역''' - 포타이산역
참조
[1]
간행물
[2]
서적
Hong Kong Mass Transport Study
1967
[3]
뉴스
MTR looks at dozens of proposals: $billions in bid for Island Line
1981-03-02
[4]
웹사이트
Retrofitting of PSDs at MTR stations to be completed by 2006
http://www.info.gov.[...]
[5]
간행물
[6]
간행물
[7]
서적
Hong Kong Mass Transport Study
1967
[8]
뉴스
MTR looks at dozens of proposals: $billions in bid for Island Line
1981-03-02
[9]
웹사이트
Retrofitting of PSDs at MTR stations to be completed by 2006
http://www.info.gov.[...]
[10]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