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우스트 (오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우스트는 16세기 독일을 배경으로 하는 샤를 구노의 오페라이다. 이 작품은 철학자 파우스트가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의 유혹에 빠져 젊음을 얻고 마르그리트라는 여인과의 비극적인 사랑을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1859년 파리에서 초연되었으며, 현재는 그랜드 오페라 형태로 공연된다. 마르그리트의 아리아 "보석의 노래" 등 아름다운 선율로 유명하며, 다양한 음반과 영상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9년 오페라 - Don Procopio
    돈 프로코피오는 조르주 비제가 작곡한 오페라 부파로, 카를로 캄비아지오의 작품을 참고하여 제작되었으며, 구두쇠 돈 안드로니코가 조카 베티나를 다른 구두쇠와 결혼시키려 하지만 베티나가 대령과 사랑에 빠져 이를 방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859년 오페라 - 가면 무도회 (오페라)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3막 오페라 《가면 무도회》는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3세의 암살 사건을 모티프로, 리카르도와 아멜리아의 비극적인 사랑과 암살 음모를 그린다.
  • 1859년 프랑스 - 솔페리노 전투
    1859년 솔페리노에서 벌어진 프랑스-사르데냐 연합군과 오스트리아군 간의 대규모 전투는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앙리 뒤낭에게 영향을 주어 국제 적십자 위원회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 1859년 프랑스 -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은 1859년 사르데냐 왕국이 프랑스 제2제정과 동맹하여 오스트리아 제국에 맞서 싸운 전쟁으로, 롬바르디아를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나 베네치아는 오스트리아 통치 하에 남게 되었다.
파우스트 (오페라)
기본 정보
파우스트, 3막, 1859년 라미 NGO2p134 삽화
초연 당시 마르게리트의 정원, 에두아르 데플레생의 무대 디자인
제목파우스트
작곡가샤를 구노
대본쥘 바르비에
미셸 카레
언어프랑스어
원작미셸 카레파우스트와 마르게리트
초연 장소리릭좌, 파리
다른 제목마르게테
그레첸
음악
장르그랜드 오페라
구성5막
등장인물
파우스트테너
메피스토펠레스베이스
마르게리트소프라노
발렌틴바리톤
시벨메조소프라노
마르트메조소프라노
바그너바리톤
관련 정보
관련 작품파우스트를 바탕으로 한 오페라

2. 작품 배경

작품 배경은 16세기 독일이다.

3. 등장인물

등장인물, 음역, 1859년 3월 19일 초연 출연진[7]
역할음역1859년 3월 19일 초연
(아돌프 들로프르 지휘)
파우스트, 철학자이자 형이상학자테너조제프-테오도르-데지레 바르보
메피스토펠레스, 지옥의 악마베이스-바리톤마티외-에밀 발랑케
마르그리트, 젊은 처녀소프라노캐롤라인 미올랑-카르발류
발렌틴, 군인이자 마르그리트의 오빠바리톤오스몽 레이날
바그너, 발렌틴의 친구바리톤M. 시보
지벨, 마르그리트를 짝사랑하는 청년메조소프라노
(바지 역할/트라베스티)
아멜리 페브르
마르테 슈베르라인, 마르그리트의 보호자메조소프라노 또는 알토뒤클로
어린 소녀, 노동자, 학생, 군인, 시민, 부인, 보이지 않는 악마,
교회 합창단, 마녀, 고대 여왕과 궁녀, 천상의 목소리



1864년 코벤트 가든에서 장-밥티스트 포르가 메피스토펠레스 역을, 조반니 마리오가 파우스트 역을 맡아 공연한 마르그리트의 환영

4. 줄거리

1막


늙은 학자 파우스트는 자신의 서재에서 평생을 바친 학문이 헛되었다고 한탄하며, 삶과 사랑을 놓친 것에 절망한다("Rien! En vain j'interroge"). 그는 독약으로 자살을 시도하지만, 밖에서 들려오는 즐거운 소녀들의 목가적인 합창 소리에 두 번이나 마음을 돌이킨다. 파우스트가 인생의 쾌락을 저주하자, 악마 메피스토펠레스가 나타나 이중창 "제가 여기 있습니다"(Me voici !)를 시작하며 파우스트가 원하는 것이 돈인지 명예인지 묻는다. 파우스트는 카발레타 "나에게 쾌락을!"(A moi les plaisirs !)을 노래하며 젊음을 원한다.

메피스토펠레스는 파우스트에게 젊음의 대가로 사후의 영혼을 요구한다. 파우스트가 망설이자, 메피스토펠레스는 물레 앞에 있는 아름다운 마르그리트의 환영을 보여준다. 이 장면에서 사용된 선율은 이후 정원 장면에서 불려지는 이중창의 선율과 같다. 환영에 매료된 파우스트는 계약서에 서명하고, 젊어지는 약을 마셔 한순간에 젊은이가 된다. 두 사람은 이중창으로 "나에게 쾌락을"을 처음보다 반음 높게 반복하며 막이 내려간다.

2막


라이프치히의 한 마을, 성문 앞의 넓은 뜰에서 학생, 군인, 마을 사람들이 음주가 ("Vin ou Bière")를 부른다. 친구 바그너와 함께 전쟁터로 떠나는 발렌틴은 어린 친구 시벨에게 여동생 마르그리트의 보살핌을 부탁한다("O sainte médaille ... Avant de quitter ces lieux"). 메피스토펠레스가 나타나 군중에게 술을 제공하고, 황금 송아지에 관한 흥겹고 불경스러운 노래를 부른다 ("Le veau d'or"). 메피스토펠레스는 바그너가 전쟁에서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고 예언하고 마르그리트를 비방하며, 발렌틴은 칼로 그를 치려 하지만 칼은 허공에서 산산이 부서진다. 발렌틴과 친구들은 이제 자신들이 알고 있는 것이 지옥의 힘임을 깨닫고 칼의 십자형 자루를 사용하여 이를 막아낸다(합창: "De l'enfer"). 메피스토펠레스는 파우스트와 마을 사람들과 함께 왈츠를 춘다("Ainsi que la brise légère"). 마르그리트가 나타나 파우스트는 그녀에 대한 감탄을 표하지만, 그녀는 수줍음 때문에 파우스트의 팔을 거절하고, 이러한 자질은 그가 그녀를 더욱 사랑하게 만든다.

시와 축제로 번화한 마을 광장에서, 마르그리트와 학생들, 병사들, 젊은 처녀들, 기혼 여성들이 활기차게 합창하고, 처음에는 개별적으로 불리지만, 이윽고 자코모 마이어베어풍으로 대위법으로 묶여 화려하게 마무리된다. 오늘은 마르그리트의 오빠 발렌틴이 출정하는 날, 그는 마르그리트에게 받은 작은 메달을 손에 들고 있다. 발렌틴은 여동생을 혼자 남겨두고 출정하는 고민을 담은 아리아 "출정을 앞두고"(Avant de quitter ces lieux)를 부르고, 지벨과 바그너 등에게 마르그리트를 부탁한다. 바그너가 "쥐의 노래"(Un rat plus poltron que brave)를 부르자, 메피스토펠레스가 나타나, 이 세상은 모두 돈이 제일이라고 "금 송아지 노래"(Le veau d'or est toujours debout!)를 부른다. 그 후, 메피스토펠레스는 바그너와 지벨의 손금을 보면서 불길한 말을 하여 악마임이 들통나 물러간다. 한편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에게 연정을 품고 사랑을 고백하지만, 마르그리트에게 조심스럽게 거절당한다. 비극의 여주인공의 등장은 평화로운 디베르티스망을 배경으로 한 짧고 소박한 것이지만, 그만큼 더욱 강한 인상을 남긴다.

페오도르 샬리아핀(Feodor Chaliapin)이 메피스토펠레스를 연기한 모습, 1915년


마르그리트의 정원에서, 상사병에 걸린 청년 시벨은 마르그리트를 위해 꽃다발을 두고 간다("내 마음을 전해주오").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를 위한 선물을 찾도록 메피스토펠레스를 보내고, 순수한 자연의 아이인 마르그리트를 이상화하는 카바티나 ("안녕, 순결하고 깨끗한 집")를 부른다. 메피스토펠레스는 정교한 보석과 손거울이 들어 있는 장식된 상자를 가져와 시벨의 꽃 옆 마르그리트의 문 앞에 놓는다.

마르그리트는 성문에서 파우스트와의 만남을 회상하며 등장하여, 슐레의 왕에 대한 우울한 발라드를 부른다("옛날 옛적 슐레의 왕"). 마르그리트의 이웃 마르테는 보석을 보고 숭배자에게서 온 것이 틀림없다고 말한다. 마르그리트는 보석을 착용해보고 자신의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모습에 매료되어, 유명한 아리아, 보석의 노래("오, 신이여! 이렇게 많은 보석들... 아! 나는 이 거울 속에서 내 모습이 아름다워 웃네")를 부른다.

메피스토펠레스와 파우스트는 정원에서 여성들과 합류하여 그들을 유혹한다. 마르그리트는 파우스트가 키스하는 것을 허락하지만("내 얼굴을 보게 해주오"), 그에게 가라고 말한다. 그녀는 그의 빠른 귀환을 위해 창가에서 노래하고, 그것을 들은 파우스트는 그녀에게 돌아온다. 메피스토펠레스의 감시와 악의적인 웃음 속에서 파우스트가 마르그리트를 유혹하는 데 성공할 것임이 분명해진다.

제3막의 마르그리트의 정원, 초연 당시의 석판화


마을 청년 지벨은 사랑하는 마르그리트에게 "꽃의 노래"(Faites-lui mes aveux)를 부르며 꽃을 주려 하지만, 메피스토펠레스의 계략으로 꽃은 금세 시들어 버린다.

파우스트는 그녀의 행복한 생활을 보고 감동하여 아리아 "이 깨끗한 저택"(Salut ! demeure chaste et pure)을 부른다.

마르그리트는 축제 날에 말을 건 파우스트를 잊지 못하고, 실을 잣으며 발라드 "툴레의 왕"(Il était un roi de Thulé)을 부른다. 마르그리트는 현관에 놓인 보석을 발견하고 놀라며, 그것을 몸에 걸치며 아리아 "보석의 노래"(Air des bijoux)를 동경과 함께 부른다.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가 등장하여 사중창 "잠시만이라도 제 팔을 잡아 주세요"(Prenez mon bras un moment)가 된다.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를, 메피스토펠레스는 마르트를 각각 유혹한다. 마르그리트는 완강하게 사랑 고백을 거부하지만, 최종적으로 파우스트의 사랑을 받아들인다.

4막


마르그리트가 대성당에서 기도하는 모습, 샤를-앙투안 캉봉의 무대 디자인


임신을 하고 파우스트에게 버려진 마르그리트는 아이를 낳고 사회적으로 매장된다.[8] 그녀는 물레에서 아리아("Il ne revient pas")를 부른다.[8] 시벨이 그녀 곁에 있다.[8] 장면은 마르그리트의 집 밖 광장으로 바뀐다.[8] 발랑탱의 부대가 군대 행진곡("Déposons les armes"와 "Gloire immortelle de nos aïeux", 잘 알려진 "병사들의 합창")과 함께 전쟁에서 돌아온다.[8] 시벨은 발랑탱에게 마르그리트를 용서해달라고 부탁한다.[8] 발랑탱은 그녀의 오두막으로 달려간다.[8] 그가 안에 있는 동안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가 나타나고, 마르그리트가 혼자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는 메피스토펠레스는 마르그리트의 창가에서 연인의 세레나데를 조롱하는 풍자곡("Vous qui faites l'endormie")을 부른다.[8] 발랑탱은 미끼를 물고 오두막에서 나와 파우스트가 그의 여동생을 유혹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8] 두 사람은 싸우지만 파우스트는 자신이 사랑하는 여자의 오빠를 다치게 하기를 꺼린다.[8] 메피스토펠레스는 발랑탱의 검을 막고 파우스트가 치명적인 일격을 가하도록 한다.[8] 발랑탱은 죽어가면서 그의 죽음에 대해 마르그리트를 탓하고 모인 마을 사람들 앞에서 그녀를 지옥으로 저주한다("Ecoute-moi bien Marguerite").[8]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 곁을 떠나고, 마르그리트는 실을 자으며 오지 않는 그를 기다린다.[8] 그녀는 파우스트에게 농락당해 그의 아이를 임신했지만, 그럼에도 파우스트를 잊지 못하고, 그는 돌아오지 않는다(Il ne revient pas)며 "물레 노래"를 부른다.[8] 마르그리트가 교회에서 기도하고 있을 때, 지벨이 찾아와 파우스트에게 복수를 계획한다. 그러나 마르그리트는 이를 거절한다. 악마들의 합창이 마르그리트를 감싼다. 광장에서는 병사들이 "우리 선조의 불멸의 영광"(Gloire immortelle)을 합창한다. 발렌틴이 군대에서 돌아와, 여동생 마르그리트가 속아 아버지가 없는 아이를 낳았다는 소식을 듣고, 여동생의 변해버린 모습을 보고 분노한다.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가 등장한다. 마르그리트의 집 앞에서 파우스트는 후회하며 고뇌하지만, 메피스토펠레스는 세레나데 "잠든 척하지 마오"(Vous qui faites l'endormie)를 부르며 섬뜩하게 웃는다. 발렌틴은 파우스트에게 결투를 신청한다. 그러나 악마의 힘을 빌린 파우스트에게 지고, 죽어가던 발렌틴은 마르그리트에게 "저주받아라!"라는 격렬한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둔다. 마르그리트는 교회로 가서 기도하려 하지만, 먼저 가학적인 메피스토펠레스에 의해, 그리고 악마들의 합창에 의해 방해받는다.[8] 그녀는 기도를 마치지만 메피스토펠레스에게 다시 저주를 받자 기절한다.[8]

발푸르기스의 밤의 하르츠 산맥과 동굴, 그리고 감옥 내부가 5막의 배경이다.[1]
파우스트 (김재우)가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깨닫는 모습, 2006년 뉴질랜드 오페라 제작
메피스토펠레스와 파우스트는 마녀들에게 둘러싸여 있고, 파우스트는 여왕과 매춘부의 동굴로 옮겨진다.[1] 메피스토펠레스는 파우스트에게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아름다운 여성들의 사랑을 약속하며, 광란의 발레가 펼쳐진다.[1] 그러나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를 잊지 못하고 그녀의 환영을 본다.[1]

파우스트가 마르그리트에게 돌아갔을 때, 그녀는 아이를 죽인 죄로 감옥에 갇혀 있었다.[1] 재회한 두 사람은 사랑의 이중창 "그래, 나야! 사랑해!" (Oui, c'est moi, je t'aime !프랑스어)를 부르지만, 마르그리트는 정신이 나가 있었다.[1]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는 마르그리트를 탈출시키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운명을 하나님과 천사들에게 맡기려 한다.[1] 마르그리트는 파우스트의 손에 묻은 피를 묻고 그를 밀쳐낸 후 쓰러진다.[1]

메피스토펠레스가 저주를 내뱉는 순간, 목소리가 "구원받았네!" (Sauvée!프랑스어)라고 노래한다.[1] 부활절 종소리가 울리고 천사들의 합창이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다!" (Christ est ressuscité!프랑스어)라고 노래한다.[1] 감옥 벽이 열리고 마르그리트의 영혼이 천국으로 올라가고, 절망한 파우스트는 무릎을 꿇고 기도한다.[1] 메피스토펠레스는 대천사의 빛나는 칼에 의해 쫓겨난다.[1]

5막의 발푸르기스의 밤 발레 시퀀스는 현대 무대 공연에서는 보통 생략되지만, 조지 발란신의 《발푸르기스의 밤 발레》와 같이 콘서트 작품이나 발레 프로그램의 일부로 자주 공연된다.

4. 1. 1막



늙은 학자 파우스트는 자신의 서재에서 평생을 바친 학문이 헛되었다고 한탄하며, 삶과 사랑을 놓친 것에 절망한다("Rien! En vain j'interroge"). 그는 독약으로 자살을 시도하지만, 밖에서 들려오는 즐거운 소녀들의 목가적인 합창 소리에 두 번이나 마음을 돌이킨다. 파우스트가 인생의 쾌락을 저주하자, 악마 메피스토펠레스가 나타나 이중창 "제가 여기 있습니다"(Me voici !)를 시작하며 파우스트가 원하는 것이 돈인지 명예인지 묻는다. 파우스트는 카발레타 "나에게 쾌락을!"(A moi les plaisirs !)을 노래하며 젊음을 원한다.

메피스토펠레스는 파우스트에게 젊음의 대가로 사후의 영혼을 요구한다. 파우스트가 망설이자, 메피스토펠레스는 물레 앞에 있는 아름다운 마르그리트의 환영을 보여준다. 이 장면에서 사용된 선율은 이후 정원 장면에서 불려지는 이중창의 선율과 같다. 환영에 매료된 파우스트는 계약서에 서명하고, 젊어지는 약을 마셔 한순간에 젊은이가 된다. 두 사람은 이중창으로 "나에게 쾌락을"을 처음보다 반음 높게 반복하며 막이 내려간다.

4. 2. 2막



라이프치히의 한 마을, 성문 앞의 넓은 뜰에서 학생, 군인, 마을 사람들이 음주가 ("Vin ou Bière")를 부른다. 친구 바그너와 함께 전쟁터로 떠나는 발렌틴은 어린 친구 시벨에게 여동생 마르그리트의 보살핌을 부탁한다("O sainte médaille ... Avant de quitter ces lieux"). 메피스토펠레스가 나타나 군중에게 술을 제공하고, 황금 송아지에 관한 흥겹고 불경스러운 노래를 부른다 ("Le veau d'or"). 메피스토펠레스는 바그너가 전쟁에서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고 예언하고 마르그리트를 비방하며, 발렌틴은 칼로 그를 치려 하지만 칼은 허공에서 산산이 부서진다. 발렌틴과 친구들은 이제 자신들이 알고 있는 것이 지옥의 힘임을 깨닫고 칼의 십자형 자루를 사용하여 이를 막아낸다(합창: "De l'enfer"). 메피스토펠레스는 파우스트와 마을 사람들과 함께 왈츠를 춘다("Ainsi que la brise légère"). 마르그리트가 나타나 파우스트는 그녀에 대한 감탄을 표하지만, 그녀는 수줍음 때문에 파우스트의 팔을 거절하고, 이러한 자질은 그가 그녀를 더욱 사랑하게 만든다.

시와 축제로 번화한 마을 광장에서, 마르그리트와 학생들, 병사들, 젊은 처녀들, 기혼 여성들이 활기차게 합창하고, 처음에는 개별적으로 불리지만, 이윽고 자코모 마이어베어풍으로 대위법으로 묶여 화려하게 마무리된다. 오늘은 마르그리트의 오빠 발렌틴이 출정하는 날, 그는 마르그리트에게 받은 작은 메달을 손에 들고 있다. 발렌틴은 여동생을 혼자 남겨두고 출정하는 고민을 담은 아리아 "출정을 앞두고"(Avant de quitter ces lieux)를 부르고, 지벨과 바그너 등에게 마르그리트를 부탁한다. 바그너가 "쥐의 노래"(Un rat plus poltron que brave)를 부르자, 메피스토펠레스가 나타나, 이 세상은 모두 돈이 제일이라고 "금 송아지 노래"(Le veau d'or est toujours debout!)를 부른다. 그 후, 메피스토펠레스는 바그너와 지벨의 손금을 보면서 불길한 말을 하여 악마임이 들통나 물러간다. 한편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에게 연정을 품고 사랑을 고백하지만, 마르그리트에게 조심스럽게 거절당한다. 비극의 여주인공의 등장은 평화로운 디베르티스망을 배경으로 한 짧고 소박한 것이지만, 그만큼 더욱 강한 인상을 남긴다.

4. 3. 3막

마르그리트의 정원

상사병에 걸린 청년 시벨은 마르그리트를 위해 꽃다발을 두고 간다("내 마음을 전해주오").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를 위한 선물을 찾도록 메피스토펠레스를 보내고, 순수한 자연의 아이인 마르그리트를 이상화하는 카바티나 ("안녕, 순결하고 깨끗한 집")를 부른다. 메피스토펠레스는 정교한 보석과 손거울이 들어 있는 장식된 상자를 가져와 시벨의 꽃 옆 마르그리트의 문 앞에 놓는다.

마르그리트는 성문에서 파우스트와의 만남을 회상하며 등장하여, 슐레의 왕에 대한 우울한 발라드를 부른다("옛날 옛적 슐레의 왕"). 마르그리트의 이웃 마르테는 보석을 보고 숭배자에게서 온 것이 틀림없다고 말한다. 마르그리트는 보석을 착용해보고 자신의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모습에 매료되어, 유명한 아리아, 보석의 노래("오, 신이여! 이렇게 많은 보석들... 아! 나는 이 거울 속에서 내 모습이 아름다워 웃네")를 부른다.

메피스토펠레스와 파우스트는 정원에서 여성들과 합류하여 그들을 유혹한다. 마르그리트는 파우스트가 키스하는 것을 허락하지만("내 얼굴을 보게 해주오"), 그에게 가라고 말한다. 그녀는 그의 빠른 귀환을 위해 창가에서 노래하고, 그것을 들은 파우스트는 그녀에게 돌아온다. 메피스토펠레스의 감시와 악의적인 웃음 속에서 파우스트가 마르그리트를 유혹하는 데 성공할 것임이 분명해진다.

마을 청년 지벨은 사랑하는 마르그리트에게 "꽃의 노래"(Faites-lui mes aveux)를 부르며 꽃을 주려 하지만, 메피스토펠레스의 계략으로 꽃은 금세 시들어 버린다.

파우스트는 그녀의 행복한 생활을 보고 감동하여 아리아 "이 깨끗한 저택"(Salut ! demeure chaste et pure)을 부른다.

마르그리트는 축제 날에 말을 건 파우스트를 잊지 못하고, 실을 잣으며 발라드 "툴레의 왕"(Il était un roi de Thulé)을 부른다. 마르그리트는 현관에 놓인 보석을 발견하고 놀라며, 그것을 몸에 걸치며 아리아 "보석의 노래"(Air des bijoux)를 동경과 함께 부른다.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가 등장하여 사중창 "잠시만이라도 제 팔을 잡아 주세요"(Prenez mon bras un moment)가 된다.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를, 메피스토펠레스는 마르트를 각각 유혹한다. 마르그리트는 완강하게 사랑 고백을 거부하지만, 최종적으로 파우스트의 사랑을 받아들인다.

4. 4. 4막



임신을 하고 파우스트에게 버려진 마르그리트는 아이를 낳고 사회적으로 매장된다.[8] 그녀는 물레에서 아리아("Il ne revient pas")를 부른다.[8] 시벨이 그녀 곁에 있다.[8] 장면은 마르그리트의 집 밖 광장으로 바뀐다.[8] 발랑탱의 부대가 군대 행진곡("Déposons les armes"와 "Gloire immortelle de nos aïeux", 잘 알려진 "병사들의 합창")과 함께 전쟁에서 돌아온다.[8] 시벨은 발랑탱에게 마르그리트를 용서해달라고 부탁한다.[8] 발랑탱은 그녀의 오두막으로 달려간다.[8] 그가 안에 있는 동안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가 나타나고, 마르그리트가 혼자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는 메피스토펠레스는 마르그리트의 창가에서 연인의 세레나데를 조롱하는 풍자곡("Vous qui faites l'endormie")을 부른다.[8] 발랑탱은 미끼를 물고 오두막에서 나와 파우스트가 그의 여동생을 유혹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8] 두 사람은 싸우지만 파우스트는 자신이 사랑하는 여자의 오빠를 다치게 하기를 꺼린다.[8] 메피스토펠레스는 발랑탱의 검을 막고 파우스트가 치명적인 일격을 가하도록 한다.[8] 발랑탱은 죽어가면서 그의 죽음에 대해 마르그리트를 탓하고 모인 마을 사람들 앞에서 그녀를 지옥으로 저주한다("Ecoute-moi bien Marguerite").[8]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 곁을 떠나고, 마르그리트는 실을 자으며 오지 않는 그를 기다린다.[8] 그녀는 파우스트에게 농락당해 그의 아이를 임신했지만, 그럼에도 파우스트를 잊지 못하고, 그는 돌아오지 않는다(Il ne revient pas)며 "물레 노래"를 부른다.[8] 마르그리트가 교회에서 기도하고 있을 때, 지벨이 찾아와 파우스트에게 복수를 계획한다. 그러나 마르그리트는 이를 거절한다. 악마들의 합창이 마르그리트를 감싼다. 광장에서는 병사들이 "우리 선조의 불멸의 영광"(Gloire immortelle)을 합창한다. 발렌틴이 군대에서 돌아와, 여동생 마르그리트가 속아 아버지가 없는 아이를 낳았다는 소식을 듣고, 여동생의 변해버린 모습을 보고 분노한다.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가 등장한다. 마르그리트의 집 앞에서 파우스트는 후회하며 고뇌하지만, 메피스토펠레스는 세레나데 "잠든 척하지 마오"(Vous qui faites l'endormie)를 부르며 섬뜩하게 웃는다. 발렌틴은 파우스트에게 결투를 신청한다. 그러나 악마의 힘을 빌린 파우스트에게 지고, 죽어가던 발렌틴은 마르그리트에게 "저주받아라!"라는 격렬한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둔다. 마르그리트는 교회로 가서 기도하려 하지만, 먼저 가학적인 메피스토펠레스에 의해, 그리고 악마들의 합창에 의해 방해받는다.[8] 그녀는 기도를 마치지만 메피스토펠레스에게 다시 저주를 받자 기절한다.[8]

4. 5. 5막

발푸르기스의 밤의 하르츠 산맥과 동굴, 그리고 감옥 내부가 5막의 배경이다.[1] 메피스토펠레스와 파우스트는 마녀들에게 둘러싸여 있고, 파우스트는 여왕과 매춘부의 동굴로 옮겨진다.[1] 메피스토펠레스는 파우스트에게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아름다운 여성들의 사랑을 약속하며, 광란의 발레가 펼쳐진다.[1] 그러나 파우스트는 마르그리트를 잊지 못하고 그녀의 환영을 본다.[1]

파우스트가 마르그리트에게 돌아갔을 때, 그녀는 아이를 죽인 죄로 감옥에 갇혀 있었다.[1] 재회한 두 사람은 사랑의 이중창 "그래, 나야! 사랑해!" (Oui, c'est moi, je t'aime !프랑스어)를 부르지만, 마르그리트는 정신이 나가 있었다.[1] 파우스트와 메피스토펠레스는 마르그리트를 탈출시키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운명을 하나님과 천사들에게 맡기려 한다.[1] 마르그리트는 파우스트의 손에 묻은 피를 묻고 그를 밀쳐낸 후 쓰러진다.[1]

메피스토펠레스가 저주를 내뱉는 순간, 목소리가 "구원받았네!" (Sauvée!프랑스어)라고 노래한다.[1] 부활절 종소리가 울리고 천사들의 합창이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다!" (Christ est ressuscité!프랑스어)라고 노래한다.[1] 감옥 벽이 열리고 마르그리트의 영혼이 천국으로 올라가고, 절망한 파우스트는 무릎을 꿇고 기도한다.[1] 메피스토펠레스는 대천사의 빛나는 칼에 의해 쫓겨난다.[1]

5막의 발푸르기스의 밤 발레 시퀀스는 현대 무대 공연에서는 보통 생략되지만, 조지 발란신의 《발푸르기스의 밤 발레》와 같이 콘서트 작품이나 발레 프로그램의 일부로 자주 공연된다.

5. 유명한 아리아


  • 마르게리트의 아리아
  • "아, 이렇게 아름다운 내 모습에 웃음이 나오네" (Ah, je ris de me voir si belle)
  • "보석의 노래" (Air des bijoux)

6. 구성

6. 1. 작곡 배경

1839년로마 대상을 수상한 구노는 로마 유학 중인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제라르 드 네르발에 의해 프랑스어로 번역된 괴테의 『파우스트』를 애독하면서 그 제1부를 오페라화하는 데 관심을 갖게 되었다.[11] 1849년경에는 이미 교회의 장면에서의 음악 작곡을 시도했지만, 이 시점에서는 아직 구상 단계였기 때문에 작곡은 중간에 중단되었다. 1850년그리스 여류 시인을 소재로 한 3막 오페라 『사포/Sapho (Gounod)영어』(''Sapho'')로 오페라 작곡가로 데뷔하였으나, 이후 오페라 작곡은 모두 실패로 끝났다.

오페라에서 실패가 잇따르던 중, 리릭 극장의 지배인 카르발로가 작곡을 권유한 것을 계기로 1852년경부터 작곡에 착수했다. 1855년에 대본 작가 쥘 바르비에/Jules Barbier프랑스어와 미셸 카레/Michel Carré (librettiste)프랑스어를 알게 되어, 구노는 두 사람과 공동으로 대본 제작에 착수했다.[12] 그러나 이 시기에 다른 작곡가가 같은 소재의 멜로드라마 (음악극)를 다른 극장에서 상연했기 때문에 제작은 어쩔 수 없이 일단 중단되었고, 구노는 그 대신 몰리에르의 원작에 의한 오페라 『억지로 의사 만들기/Le médecin malgré lui (opera)영어』 (''Le Médecin malgré lui'')를 1858년에 작곡하는 등[12] 완성되기까지 어려움을 겪었다. 먼저 상연된 멜로드라마가 실패로 끝난 직후, 다시 의욕을 불태운 구노는 작곡 작업으로 돌아가 1858년 가을 (1859년 초두라고도 함)에 전곡을 오페라 코미크형식으로 완성했다.

6. 2. 초연과 이후

미올란-카르발류의 마르그리트 (1860)


파우스트 의상 디자인


파우스트의 초판은 대사를 사용했으며, 이 형태로 레옹 카르발류에 의해 테아트르 리리크에서 처음 공연되었다.[1] 카르발류는 자신의 아내 캐롤라인 미올란-카르발류를 마르그리트로 캐스팅했으며, 여러 넘버를 삭제하고 축소하는 등 제작 과정에서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1] 초연 당시에는 호평을 받지 못하고 실패했지만, 상연될 때마다 인기를 높여갔다.[13]

원래 파우스트 역으로 테너 엑토르 그뤼에르가 캐스팅되었지만, 리허설 중에 부적절한 것으로 밝혀져, 공연 직전에 오페라 코미크의 주역인 조제프-테오도르-데지레 바보로 대체되었다.[1] 테아트르 리리크에서 성공적인 초연을 한 후, 저작권을 1만 프랑에 구매한 출판업자 앙투안 슈당은 이 작품을 독일, 벨기에, 이탈리아, 영국으로 순회 공연했으며, 캐롤라인 미올란-카르발류는 자신의 역할을 반복했다.[1]

이후 독일 공연이 이어졌으며, 1861년 드레스덴 젬퍼오퍼가 이 작품을 ''파우스트''가 아닌 ''마르그레테''로 처음 홍보했다.[1] 수년 동안 독일에서는 이 오페라를 ''그레첸''으로 무대에 올리는 것이 계속되었다.[1] 루이 슈포어의 ''파우스트''와 차별화하기 위해서였다는 주장도 있다.[2]

1862년 이탈리아의 라 스칼라에서,[1] 1863년 런던의 폐하 극장에서 이탈리아어로 처음 공연되었다.[1] 1864년, 같은 장소에서 영어로 오페라가 공연되었을 때, 구노는 발랑탱 역의 스타 바리톤 찰스 샌틀리를 위해 새로운 아리아 'Even bravest heart may swell' (가사는 헨리 촐리)를 작곡했다.[1] 이 넘버는 이후 "Avant de quitter ces lieux"로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오페라에서 가장 친숙한 곡 중 하나가 되었다.[1]

오페라 극장 상연 당시의 포스터


1869년 파리 오페라에서의 상연에 즈음하여, 구노는 대사를 낭창(레치타티보)으로 변경하고, 그랜드 오페라의 전통에 따라 발레 음악을 추가하는 등 개정을 거쳐 현재 상연되는 형태가 되었다.[11][3] 이 상연에서는 장바티스트 포르가 메피스토펠레스를, 크리스티나 닐손/Christina Nilsson영어가 마르그리트를 연기했다.[11]

영국 초연은 1863년 6월 11일 런던의 하 제스티 극장에서, 미국 초연은 1863년 11월 17일 필라델피아의 아카데미 오브 뮤직에서 열렸다.[15][16] 1883년 10월 22일에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개관 기념 공연으로 상연되었다.[16] 1894년 11월 24일 도쿄 음악학교 연주당에서 열린 적십자 자선 콘서트에서 제1막이 발췌 상연되었으며, 이것이 일본 최초의 오페라 공연으로 여겨져 11월 24일은 오페라의 날이 되었다.[17][18] 1965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장 루이 바롤의 새로운 연출로 상연되었을 때,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20]

현재 널리 알려진 발레 음악은 1869년 오페라 극장에서 상연될 때 당시 프랑스 오페라의 관례에 따라 제5막에 추가된 것이다. 7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곡은 끊임없이 연주된다.

  • 제1곡 누비아의 춤
  • 제2곡 클레오파트라와 황금 잔
  • 제3곡 누비아 노예의 춤
  • 제4곡 클레오파트라와 그녀의 노예들의 춤
  • 제5곡 트로이의 무희의 춤
  • 제6곡 거울의 춤
  • 제7곡 프뤼네의 춤

전곡의 연주 시간은 약 16분에서 약 20분이다.

6. 3. 리브레토

쥘 바르비에미셸 카레괴테의 파우스트 제1부를 제라르 드 네르발이 프랑스어로 번역한 것과 미셸 카레의 『포스트와 마르그리트』를 바탕으로 프랑스어 리브레토를 제작했다.[21] 『라루스 세계 음악 사전』에 따르면, 본 작품은 괴테의 『파우스트』에 짓눌린다는 비난을 받았으나, 대본 작가들은 괴테 작품의 일부를 선택하여 자유롭게 처리했으므로 원전과 경쟁하려 하지 않았다.[22] 이 대본은 몇 가지 기이한 솔직함을 포함하고 있지만, 등장인물들은 훌륭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구노는 이를 바탕으로 신선하고 끊임없는 선율, 생생한 앙상블, 독창적인 화성, 흥미로운 오케스트레이션을 가진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22]

미셸 카레

6. 4. 평가

구노의 대표작인 ''파우스트''는 역사상 유례없는 대중적인 작품이 되었다.[25] 프랑스 외 45개국에서 24개의 다른 언어로 상연되었다.[25] 괴테의 원작의 제1부 중 연애 부분에만 범위를 좁힌 것은 현명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5]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파우스트의 아리아 '순결한 그대의 거처'(Salut! demeure chaste et pure)와 제3막의 사랑의 이중창 결말을 칭찬했다.[25]

『신 그로브 오페라 사전』에서는 괴테의 희곡이 요구하는 형이상학적인 의미가 진부한 감상주의의 희생이 되었다고 여겨지는 한편, 음악 양식은 극적인 명암이 부족하고, 단순히 우아하고 때로는 감미롭다고 비판받아 왔다.[23] 그와 반대로, 많은 장면에 나타나는 뛰어난 무대 효과가 있다.[23] 교회의 장면에서는 고풍스러운 오르간 전주, 전례풍의 코랄 및 고딕 양식의 무대 장치와 같은 비인간적인 배경에서 마르그리트의 고립이 드러난다.[23] 메피스토펠레스의 낄낄거림과 함께, 앞서 약음으로 나타난 선율이 오케스트라에 의해 포르티시모로, 게다가 단편적으로 연주되는 제3막 막바지는 매우 인상적이어서, 폰키엘리나 치레아 등도 이 방법을 채택했다.[23] 마지막 승천 장면은 음악적 고양으로 이어지는 웅장한 클라이맥스로 효과적이다.[23]

사와다 하지메는 본 작품에서 "제3막에서의 보석과 꽃 점 노래, 제4막에서의 물레 노래, 제5막에서의 맑은 천사들의 노래 등은 섬세함 속에서 펼쳐지는 환희, 기대, 슬픔, 고결의 정서의 극치에 달한다. 여성의 사랑과 아름다움을 칭송하는 '여성 음악가'라는 의미에서 구노는 마스네와 쌍벽을 이루는 프랑스 오페라의 대표적인 작곡가라고 할 수 있다"[24]라고 평가했다.

6. 5. 관련 작품

괴테의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오페라로는 앙브루아즈 토마의 미뇽(원작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 시대』), 쥘 마스네베르테르(원작 『젊은 베르테르의 고뇌』), 아리고 보이토의 『메피스토펠레』, 페루초 부소니의 『파우스트 박사』 등이 있다. 『미뇽』은 1866년 초연, 자크 오펜바흐호프만의 이야기1881년 초연이며, 『베르테르』의 초연은 1892년이다. 프리드리히 폰 실러의 원작에 의한 조아키노 로시니의 프랑스어 오페라 『윌리엄 텔』도 1829년에 파리에서 초연되었다.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파우스트의 겁벌』(1846년 초연)도 종종 오페라 형식으로 상연된다.

7. 악기 편성

플루트 2, 피콜로, 오보에 2, 클라리넷 2, 잉글리시 호른 2, 바순 2, 호른 4, 트럼펫 2, 코르넷 2, 트롬본 3, 팀파니, 심벌즈, 트라이앵글, 작은 북, 큰 북, 탐탐, 현악 5부, 하프, 오르간이 사용된다. 「병사의 합창」 장면에서는 소프라노 색소폰, 코르넷 2, 트럼펫 2, 트롬본 3, 베이스 색소폰, 콘트라베이스 색소폰이 무대 위에 추가된다.

8. 연주 시간

전막의 연주 시간은 약 3시간 10분이다. 각 막별 연주 시간은 제1막 30분, 제2막 30분, 제3막 50분, 제4막 45분, 제5막 35분이다. 제5막은 발레 '발푸르기스의 밤'을 포함한다. 4막 1장 및 발레 '발푸르기스의 밤'을 생략하고 공연하는 경우도 많다.

9. 주요 음반 및 영상

샤를 구노의 《파우스트》는 다양한 음반과 영상 자료로 남아있다. 다음은 주요 음반 및 영상 목록의 일부이다.

연도배역
파우스트
마르그리트
메피스토펠레스
발렌틴
지휘자
관현악단
합창단
레이블
1930세자르 베차니
미레유 베르통
마르셀 주르네
루이 뮈지
앙리 뷔세
파리 오페라 관현악단
파리 오페라 합창단
CD: Malibran
(오리지널: 프랑스 HMV)
ASIN: B00000IFNE
1948조르주 노레
제오리 부에
로제 리코
로제 부르댕
토마스 비첨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로열 필하모닉 합창단
CD: Naxos Historical
(오리지널: HMV = EMI)
ASIN: B00005L9YU
1951유진 콘리
엘레노어 스티버
체자레 시에피
프랭크 과레라
파우스트 클레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관현악단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합창단
CD: Preiser Records
(오리지널: 미 컬럼비아)
ASIN: B000069KJN
1953니콜라이 게다
빅토리아 데 로스 안헬레스
보리스 크리스토프
장 보르테이유
앙드레 클뤼이탕스
파리 오페라 관현악단
파리 오페라 합창단
CD: Malibran
(오리지널: HMV = EMI)
ASIN: B00WZLSWFC
1958니콜라이 게다
빅토리아 데 로스 안헬레스
보리스 크리스토프
에르네스트 블랑
앙드레 클뤼이탕스
파리 오페라 관현악단
파리 오페라 합창단
CD: Warner Classics
ASIN: B007SAP7RG
1966프랑코 코렐리
조안 서덜랜드
니콜라이 갸우로프
로베르 마사르
리차드 보닝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앰브로시안 오페라 코러스
CD: DECCA
ASIN: B00006LJ96
1973알프레도 크라우스
레나타 스코토
니콜라이 갸우로프
로렌초 사코마니
폴 에튀앙
NHK 교향악단
일본 프로 합창단 연합
연출: 장 루이 바로 원 연출에 의해
안토넬로 마다우디아츠
DVD: 킹 레코드
ASIN: B0000V4N1G
제7회 NHK 이탈리아 오페라단 공연
1975니콜라이 게다
미렐라 프레니
로제 소이에
톰 클라우제
찰스 매케라스
파리 오페라 관현악단
파리 오페라 합창단
연출: 호르헤 라베를리
DVD: 니혼 모니터
드림 라이프
ASIN: B0002TY48S
1976자코모 아라갈
몽세라 카바예
폴 프리슈카
필립 퓌텐로허
알랭 롬바르
스트라스부르 필하모니 관현악단
라인 국립 오페라 합창단
CD: Erato
ASIN: B000005E7U
1977호세 카레라스
카티아 리치아렐리
로버트 로이드
베른트 바이크클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빈 국립 오페라 합창단
CD: DEUTSCHE GRAMMOPHON
ASIN: B00005Y2J
1979플라시도 도밍고
미렐라 프레니
니콜라이 갸우로프
토마스 앨런
조르주 프레트르
파리 오페라 관현악단
파리 오페라 합창단
CD: EMI
ASIN: B000026CYL
1986프란시스코 아라이사
키리 테 카나와
예프게니 네스테렌코
안드레아스 슈미트
콜린 데이비스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바이에른 방송 합창단
CD: DECCA
ASIN: B000GYHZ76
1989빈첸초 라 스콜라
로잘린드 플로라이트
사이먼 에스테스
후안 폰스
오자와 세이지
프랑스 국립 관현악단
프랑스 방송 합창단
CD: DEUTSCHE GRAMMOPHON
ASIN: B001GYJZ72
1992리처드 리치
셰릴 스투더
조제 반 담
토마스 햄프슨
미셸 플라송
툴루즈 카피톨 국립 관현악단
툴루즈 카피톨 극장 합창단
프랑스 육군 합창단
CD: EMI
ASIN: B002N4DZ1C
1993제리 해들리
체칠리아 가스디아
사무엘 레이미
알렉산드르 아가케
카를로 리치
웨일스 국립 오페라 관현악단
웨일스 국립 오페라 합창단
CD: Teldec
ASIN: B000000SJH
2009피요트르 베찰라
소일레 이소코스키
연광철
아드리안 에레로
베르트랑 드 빌리
빈 국립 오페라 극장 관현악단
빈 국립 오페라 극장 합창단
CD: Orfeo D'Or
ASIN: B003TOZ6LM
2009로베르토 아라냐
안젤라 게오르규
브린 터펠
사이먼 킨리사이드
안토니오 파파노
로열 오페라 하우스 관현악단
로열 오페라 하우스 합창단
연출: 데이비드 맥비카
안무: 안토니에타 알렉시에바
DVD: EMI
ASIN: B003Y58CKI
2011요나스 카우프만
마리나 포플라브스카야
르네 파페
러셀 브라운
야닉 네제-세갱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관현악단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합창단
연출: 데스 매카나프
DVD: DECCA
ASIN: B00DPMFE6U
2015찰스 카스트로노보
이리나 룽구
일다르 압드라자코프
바실리 라듀크
자난드레아 노세다
토리노 왕립 극장 관현악단
토리노 왕립 극장 합창단
연출, 장치, 의상, 조명: 스테파노 포다
DVD: 킹 인터내셔널
ASIN: B01B2W7SEU
2016피요트르 베찰라
마리아 아그레스타
일다르 압드라자코프
알렉세이 마르코프
알레호 페레스
빈 필하모니 관현악단
빈 필하모니아 합창단
연출 & 의상: 라인하르트 폰 데어 탄넨
안무: 조르지오 마디아
2016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의 공연
DVD: EuroArts
ASIN: B071ZSBC1V
2016아리야시 플라신
말유카 테포넨
카를로 콜롬바라
루치오 갈로
빌레 마토베예프
리에카 크로아티아 국립 극장 관현악단
동 합창단
1864년 런던판
CD: Naxos
ASIN: B071ZSBC1V
2018뱅자맹 베르네임
베로니크 장스
앤드루 포스터-윌리엄스
장-세바스티앙 부
크리스토프 루세
레 탈랑 리리크
플랑드르 방송 합창단
1859년 4막 오페라 코미크 판
CD: Bru Zane
ASIN: 8409126346
2019마이클 파비아노
이리나 룽구
에르빈 슈로트
스테판 데구
단 에팅거
로열 오페라 하우스 관현악단
로열 오페라 하우스 합창단
연출: 데이비드 맥비카
DVD: Opus Arte
ASIN: B08VBH5NXL


10. 한국에서의 파우스트

참조

[1] 서적 Huebner 1992
[2] 서적 Die Kasseler Opern Louis Spohrs, Musikdramaturgie im sozialen Kontext Kassel 2006
[3] 웹사이트 Faust https://www.britanni[...]
[4] 간행물 Repertory Report http://archives.meto[...] 2013-04-05
[5] 웹사이트 The Met database (archives) http://archives.meto[...] 2020-06
[6] 간행물 Faust, Gounod. Opera (British magazine) 2020-02
[7] 서적 Mille et un opéras Fayard 2003
[8] 서적 Walsh 1981
[9] 뉴스 New Works for Ballet Russe https://www.nytimes.[...] 2018-09-16
[10] 서적 歌劇大事典
[11] 서적 新グローヴ オペラ事典
[12] 문서
[13] 서적 オペラは手ごわい
[14] 문서
[15]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オペラ大事典
[16]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オペラ大事典
[17] 서적 増井 (2003)
[18] 웹사이트 11月24日は「オペラの日」、オペラってどんな劇? https://tenki.jp/sup[...] 日本気象協会 2019-05-22
[19] 서적 増井 (2003)
[20] 웹사이트 メトロポリタン歌劇場の上演記録 http://archives.meto[...]
[21] 서적 新グローヴ オペラ事典
[22] 서적 ラルース世界音楽事典
[23] 서적 新グローヴ オペラ事典
[24] 서적 フランス・オペラの魅惑
[25] 서적 オペラ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