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우어는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순다술라웨시어에 속하는 언어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미크로네시아에서 차모로어와 함께 오세아니아어 하위 분파에 속하지 않는 토착 언어이다. 팔라우어는 10개의 자음과 6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스페인어, 독일어, 일본어, 영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로부터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팔라우어 문법은 대명사, 명사 및 동사의 굴절, 그리고 동사-목적어-주어 (VOS) 어순을 특징으로 한다. 팔라우어는 1970년대에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을 도입했으며, 2007년에는 정서법을 교육 기관에서 인정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라우의 언어 - 일본어
일본어는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는 일본어족 언어로, 자음+모음의 개음절 구조, 주어-목적어-서술어 어순의 교착어, 복잡한 경어 체계, 한자·히라가나·가타카나 병용 표기, 고저 악센트 사용, 야마토고토바·한자어·외래어 어휘, 다양한 방언 존재, 그리고 류큐어와의 관련성이 특징이다. - 팔라우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마두라어
마두라어는 인도네시아 마두라섬에서 사용되며 여러 방언과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SVO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발리어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복잡한 경어 표현과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발리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팔라우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팔라우어 |
사용 국가 | 팔라우, 괌, 북마리아나 제도 |
화자 수 | 약 16,550명 (2008년) |
언어 가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문자 | 라틴 문자 (이전에는 가타카나) |
언어 관리 기관 | 팔라우 언어 위원회 |
ISO 639-1 | 없음 |
ISO 639-2 | pau |
ISO 639-3 | pau |
Glotto 코드 | pala1344 |
Glotto 코드 이름 | Palauan |
Linguasphere 코드 | 31-PAA-aa |
음성 기호 | IPA |
2. 분류
차모로어와 같은 분류인 서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순다술라웨시어에 속한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미크로네시아에서 해당 어족의 오세아니아어 하위 분파에 속하지 않는 두 개의 토착 언어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차모로어이다.[3]
팔라우어의 음소 목록은 10개의 자음과 6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4] 국제 음성 기호 (IPA)에 따른 모음 및 자음 음소의 음성학 차트는 다음과 같다.
로저 블렌치는 어류 이름에 대한 증거를 바탕으로 팔라우어가 오세아니아어와 직접 또는 야프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초기 접촉을 했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바다뱀, 황새치(''Thunnus albacares''), 왼눈넙치(''Bothus mancus''), 트리거피쉬, 돛새치, 바라쿠다(''Sphyraena barracuda''), 자리돔(''Abudefduf'' sp.), 청줄돔(''Holocentrus'' spp.), 뿔돔(''Naso'' spp.), 전갱이, 육지 게(''Cardisoma rotundus''), 놀래기에 대한 어류 이름이 포함된다. 이는 오세아니아어 사용자들이 팔라우의 어업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꽤 오랫동안 팔라우 인근에서 어업과 교역을 해왔다는 것을 시사한다. 블렌치는 또한 팔라우어가 중앙 필리핀어군과 사말어군의 영향을 받았다고 제안한다.
3. 음운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파열음 colspan="2" | colspan="2" | 마찰음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설측음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탄음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3. 1. 자음
팔라우어의 음소에는 10개의 자음이 있다고 여겨진다[4][11]. 국제 음성 기호(IPA)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양순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 | width="20px"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 | width="20px"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
파열음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 | width="20px"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 | width="20px" style="border-left: 0;" | |
마찰음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
설측음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
탄음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팔라우어의 음소는 비교적 적지만, 많은 음소가 앞뒤 음성 환경에 따라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변이음을 포함한 완전한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
양순음 | 치간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 | m | colspan="2" | |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 | width="20px"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 | width="20px"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
파열음 | style="border-right: 0;"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width="20px" style="border-left: 0;" | | ||||
마찰음 | colspan="2" | |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 | width="20px"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width="20px" style="border-right: 0;" | | width="20px"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
colspan="2"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탄음 | colspan="2"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3. 2. 모음
팔라우어의 음소 목록은 10개의 자음과 6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4] 모음 음소의 음성학 차트는 다음과 같으며, 국제 음성 기호 (IPA)를 사용한다.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
중모음 | |||
저모음 |
팔라우어의 음소에는 6개의 모음이 있다고 여겨진다.[11]
3. 3. 이음 및 이중모음
팔라우어의 음소는 10개의 자음과 6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4] 팔라우어에는 여러 이중 모음(단일 음절 내의 모음 시퀀스)이 있다. 이중 모음 목록과 예시는 다음과 같다.IPA | 예시 | 한국어 번역 |
---|---|---|
/iɛ/ | babier|바비어pau | 종이 (독일어 차용) |
/iu/ | chiukl|치우클pau | (노래) 목소리 |
/io/ | kikiongel|키키옹엘pau | 더러운 |
/ia/ | diall|디알pau | 배 |
/ɛi/ | mei|메이pau | 오다 |
/ɛu/ | teu|테우pau | 너비 |
/ɛo/ | Oreor|오레오르pau | 코로르 (팔라우의 이전 수도) |
/ɛa/ | beached|베아체드pau | 주석 |
/ui/ | tuich|투이치pau | 횃불 |
/uɛ/ | sueleb|수에렙pau | 오후 |
/uo/ | uos|우오스pau | 말 (영어 차용) |
/ua/ | tuangel|투앙엘pau | 문 |
/oi/ | tekoi|테코이pau | 단어 |
/oɛ/ | beroel|베로엘pau | 창 |
/ou/ | merous|메로우스pau | 분배하다 |
/oa/ | omoachel|오모아첼pau | 강 |
/ai/ | chais|차이스pau | 뉴스 |
/aɛ/ | baeb|바엡pau | 파이프 (영어 차용) |
/au/ | mesaul|메사울pau | 피곤한 |
/ao/ | taod|타오드pau | 포크 |
각 모음 시퀀스를 이중 모음으로 특징짓는 것이 얼마나 정확한지는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i/와 같은 위의 여러 시퀀스는 스트레스 이동 및 모음 감소와 같은 팔라우어 음운론의 다른 측면과의 상호 작용을 고려할 때 분명히 이중 모음으로 작용한다. 다른 것들은 단음절 이중 모음처럼 명확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4. 문자 체계
이중 모음에 나열된 20개의 모음 시퀀스 역시 정서법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된다.[5]
4. 1. 문자
1970년대 초, 팔라우어 정서법 위원회는 하와이 대학교의 언어학자들과 협력하여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을 고안했다.[5] 그 결과 정서법은 "하나의 음소/하나의 기호"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12개의 고유 자음, 차용어에 사용되는 6개의 자음, 그리고 10개의 모음을 만들어냈다.필기체 팔라우어의 대부분의 문자/문자소는 국제 음성 기호에서 해당 세그먼트로 표현될 수 있는 음소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팔라우어 ''b''는 음소 이다. 세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가 있는데, ''ch''는 항상 성문 파열음 으로 발음된다. ''ch'' 이중자는 독일 점령 기간 동안 개발된 초기 문자 시스템의 잔재로, 당시에는 성문 파열음이 마찰음 으로 발음되었다. 현대 팔라우어에서는 소리가 으로 완전히 대체되었지만, ''ch'' 철자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e''는 완전 모음 또는 무강세 음절에만 국한되는 슈와 를 나타내며, 조건은 영어 모음 축약과 유사하다. 이중자 ''ng''는 (음소적) 연구개 비음 이지만 또는 으로 발음하도록 동화될 수 있다. 팔라우어에는 음소 이 없다.
2007년 5월 10일, 팔라우 상원은 팔라우어 정서법을 교육 기관에서 인정하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또한 언어가 발전함에 따라 언어를 유지하고 현재의 공식 정서법에 대한 추가 또는 수정을 감독하고 규제하는 정서법 위원회를 설립했다.
팔라우어 문자소 | IPA | 예시 단어 | ||||||||||||||||||||||||||||||||||||||||||||||||||||||||||||||||||||||||||||||||||||||||||||||||||||||||||||||||||||||||||||||||||||||||||||||||||||||||||||||||||||||||||||||||||||||||||||||||||||||||||||||||||||||||||||||||||||||||||||||||||||||||||||||||||||||||||||||||||||||||||||||||||||||||||||||||||||||||||||||||||||||||||||||||||||||||||||||||||||||||||||||||||||||||||||||||||||||||||||||||||||||||||||||||||||||||||||||||||||||||||||||||||||||||||||||||||||||||||||||||||||||||||||||||||||||||||||||||||||||||||||||||||||||||||||||||||||||||||||||||||||||||||||||||||||||||||||||||||||||||||||||||||||||||||||
---|---|---|---|---|---|---|---|---|---|---|---|---|---|---|---|---|---|---|---|---|---|---|---|---|---|---|---|---|---|---|---|---|---|---|---|---|---|---|---|---|---|---|---|---|---|---|---|---|---|---|---|---|---|---|---|---|---|---|---|---|---|---|---|---|---|---|---|---|---|---|---|---|---|---|---|---|---|---|---|---|---|---|---|---|---|---|---|---|---|---|---|---|---|---|---|---|---|---|---|---|---|---|---|---|---|---|---|---|---|---|---|---|---|---|---|---|---|---|---|---|---|---|---|---|---|---|---|---|---|---|---|---|---|---|---|---|---|---|---|---|---|---|---|---|---|---|---|---|---|---|---|---|---|---|---|---|---|---|---|---|---|---|---|---|---|---|---|---|---|---|---|---|---|---|---|---|---|---|---|---|---|---|---|---|---|---|---|---|---|---|---|---|---|---|---|---|---|---|---|---|---|---|---|---|---|---|---|---|---|---|---|---|---|---|---|---|---|---|---|---|---|---|---|---|---|---|---|---|---|---|---|---|---|---|---|---|---|---|---|---|---|---|---|---|---|---|---|---|---|---|---|---|---|---|---|---|---|---|---|---|---|---|---|---|---|---|---|---|---|---|---|---|---|---|---|---|---|---|---|---|---|---|---|---|---|---|---|---|---|---|---|---|---|---|---|---|---|---|---|---|---|---|---|---|---|---|---|---|---|---|---|---|---|---|---|---|---|---|---|---|---|---|---|---|---|---|---|---|---|---|---|---|---|---|---|---|---|---|---|---|---|---|---|---|---|---|---|---|---|---|---|---|---|---|---|---|---|---|---|---|---|---|---|---|---|---|---|---|---|---|---|---|---|---|---|---|---|---|---|---|---|---|---|---|---|---|---|---|---|---|---|---|---|---|---|---|---|---|---|---|---|---|---|---|---|---|---|---|---|---|---|---|---|---|---|---|---|---|---|---|---|---|---|---|---|---|---|---|---|---|---|---|---|---|---|---|---|---|---|---|---|---|---|---|---|---|---|---|---|---|---|---|---|---|---|---|---|---|---|---|---|---|---|---|---|---|---|---|---|---|---|---|---|---|---|---|---|---|---|---|---|---|---|---|---|---|---|---|---|---|---|---|---|---|---|---|---|---|---|---|---|---|---|---|---|---|---|---|---|---|---|---|---|---|---|---|---|---|---|---|---|---|---|---|---|---|---|---|---|---|---|---|---|---|---|---|---|---|---|---|---|---|---|---|---|---|---|---|---|---|---|---|---|---|---|---|---|---|---|---|---|---|---|---|---|---|---|---|---|---|---|---|---|---|---|---|---|---|---|---|---|---|---|---|---|---|---|---|---|---|---|---|---|---|---|---|---|---|---|---|---|---|---|---|---|---|---|---|---|---|---|---|---|---|---|---|---|---|---|---|---|---|
b | , , , | bai|공동체 가옥pau | ||||||||||||||||||||||||||||||||||||||||||||||||||||||||||||||||||||||||||||||||||||||||||||||||||||||||||||||||||||||||||||||||||||||||||||||||||||||||||||||||||||||||||||||||||||||||||||||||||||||||||||||||||||||||||||||||||||||||||||||||||||||||||||||||||||||||||||||||||||||||||||||||||||||||||||||||||||||||||||||||||||||||||||||||||||||||||||||||||||||||||||||||||||||||||||||||||||||||||||||||||||||||||||||||||||||||||||||||||||||||||||||||||||||||||||||||||||||||||||||||||||||||||||||||||||||||||||||||||||||||||||||||||||||||||||||||||||||||||||||||||||||||||||||||||||||||||||||||||||||||||||||||||||||||||||
ch | charm|동물pau | |||||||||||||||||||||||||||||||||||||||||||||||||||||||||||||||||||||||||||||||||||||||||||||||||||||||||||||||||||||||||||||||||||||||||||||||||||||||||||||||||||||||||||||||||||||||||||||||||||||||||||||||||||||||||||||||||||||||||||||||||||||||||||||||||||||||||||||||||||||||||||||||||||||||||||||||||||||||||||||||||||||||||||||||||||||||||||||||||||||||||||||||||||||||||||||||||||||||||||||||||||||||||||||||||||||||||||||||||||||||||||||||||||||||||||||||||||||||||||||||||||||||||||||||||||||||||||||||||||||||||||||||||||||||||||||||||||||||||||||||||||||||||||||||||||||||||||||||||||||||||||||||||||||||||||||
d | , , , | diall|선박pau | ||||||||||||||||||||||||||||||||||||||||||||||||||||||||||||||||||||||||||||||||||||||||||||||||||||||||||||||||||||||||||||||||||||||||||||||||||||||||||||||||||||||||||||||||||||||||||||||||||||||||||||||||||||||||||||||||||||||||||||||||||||||||||||||||||||||||||||||||||||||||||||||||||||||||||||||||||||||||||||||||||||||||||||||||||||||||||||||||||||||||||||||||||||||||||||||||||||||||||||||||||||||||||||||||||||||||||||||||||||||||||||||||||||||||||||||||||||||||||||||||||||||||||||||||||||||||||||||||||||||||||||||||||||||||||||||||||||||||||||||||||||||||||||||||||||||||||||||||||||||||||||||||||||||||||||
k | , , , | ker|질문pau | ||||||||||||||||||||||||||||||||||||||||||||||||||||||||||||||||||||||||||||||||||||||||||||||||||||||||||||||||||||||||||||||||||||||||||||||||||||||||||||||||||||||||||||||||||||||||||||||||||||||||||||||||||||||||||||||||||||||||||||||||||||||||||||||||||||||||||||||||||||||||||||||||||||||||||||||||||||||||||||||||||||||||||||||||||||||||||||||||||||||||||||||||||||||||||||||||||||||||||||||||||||||||||||||||||||||||||||||||||||||||||||||||||||||||||||||||||||||||||||||||||||||||||||||||||||||||||||||||||||||||||||||||||||||||||||||||||||||||||||||||||||||||||||||||||||||||||||||||||||||||||||||||||||||||||||
l | lius|코코넛pau | |||||||||||||||||||||||||||||||||||||||||||||||||||||||||||||||||||||||||||||||||||||||||||||||||||||||||||||||||||||||||||||||||||||||||||||||||||||||||||||||||||||||||||||||||||||||||||||||||||||||||||||||||||||||||||||||||||||||||||||||||||||||||||||||||||||||||||||||||||||||||||||||||||||||||||||||||||||||||||||||||||||||||||||||||||||||||||||||||||||||||||||||||||||||||||||||||||||||||||||||||||||||||||||||||||||||||||||||||||||||||||||||||||||||||||||||||||||||||||||||||||||||||||||||||||||||||||||||||||||||||||||||||||||||||||||||||||||||||||||||||||||||||||||||||||||||||||||||||||||||||||||||||||||||||||||
ll | llel|잎pau | |||||||||||||||||||||||||||||||||||||||||||||||||||||||||||||||||||||||||||||||||||||||||||||||||||||||||||||||||||||||||||||||||||||||||||||||||||||||||||||||||||||||||||||||||||||||||||||||||||||||||||||||||||||||||||||||||||||||||||||||||||||||||||||||||||||||||||||||||||||||||||||||||||||||||||||||||||||||||||||||||||||||||||||||||||||||||||||||||||||||||||||||||||||||||||||||||||||||||||||||||||||||||||||||||||||||||||||||||||||||||||||||||||||||||||||||||||||||||||||||||||||||||||||||||||||||||||||||||||||||||||||||||||||||||||||||||||||||||||||||||||||||||||||||||||||||||||||||||||||||||||||||||||||||||||||
m | martiliong|망치pau (스페인어 {{lang|es|Martillo|} | })
팔라우어 문자소 | IPA | 예시 단어 | |||||||||||||||||||||||||||||||||||||||||||||||||||||||||||||||||||||||||||||||||||||||||||||||||||||||||||||||||||||||||||||||||||||||||||||||||||||||||||||||||||||||||||||||||||||||||||||||||||||||||||||||||||||||||||||||||||||||||||||||||||||||||||||||||||||||||||||||||||||||||||||||||||||||||||||||||||||||||||||||||||||||||||||||||||||||||||||||||||||||||||||||||||||||||||||||||||||||||||||||||||||||||||||||||||||||||||||||||||||||||||||||||||||||||||||||||||||||||||||||||||||||||||||||||||||||||||||||||||||||||||||||||||||||||||||||||||||||||||||||||||||||||||||||||||||||||||||||||||||||||||||||||||
---|---|---|---|---|---|---|---|---|---|---|---|---|---|---|---|---|---|---|---|---|---|---|---|---|---|---|---|---|---|---|---|---|---|---|---|---|---|---|---|---|---|---|---|---|---|---|---|---|---|---|---|---|---|---|---|---|---|---|---|---|---|---|---|---|---|---|---|---|---|---|---|---|---|---|---|---|---|---|---|---|---|---|---|---|---|---|---|---|---|---|---|---|---|---|---|---|---|---|---|---|---|---|---|---|---|---|---|---|---|---|---|---|---|---|---|---|---|---|---|---|---|---|---|---|---|---|---|---|---|---|---|---|---|---|---|---|---|---|---|---|---|---|---|---|---|---|---|---|---|---|---|---|---|---|---|---|---|---|---|---|---|---|---|---|---|---|---|---|---|---|---|---|---|---|---|---|---|---|---|---|---|---|---|---|---|---|---|---|---|---|---|---|---|---|---|---|---|---|---|---|---|---|---|---|---|---|---|---|---|---|---|---|---|---|---|---|---|---|---|---|---|---|---|---|---|---|---|---|---|---|---|---|---|---|---|---|---|---|---|---|---|---|---|---|---|---|---|---|---|---|---|---|---|---|---|---|---|---|---|---|---|---|---|---|---|---|---|---|---|---|---|---|---|---|---|---|---|---|---|---|---|---|---|---|---|---|---|---|---|---|---|---|---|---|---|---|---|---|---|---|---|---|---|---|---|---|---|---|---|---|---|---|---|---|---|---|---|---|---|---|---|---|---|---|---|---|---|---|---|---|---|---|---|---|---|---|---|---|---|---|---|---|---|---|---|---|---|---|---|---|---|---|---|---|---|---|---|---|---|---|---|---|---|---|---|---|---|---|---|---|---|---|---|---|---|---|---|---|---|---|---|---|---|---|---|---|---|---|---|---|---|---|---|---|---|---|---|---|---|---|---|---|---|---|---|---|---|---|---|---|---|---|---|---|---|---|---|---|---|---|---|---|---|---|---|---|---|---|---|---|---|---|---|---|---|---|---|---|---|---|---|---|---|---|---|---|---|---|---|---|---|---|---|---|---|---|---|---|---|---|---|---|---|---|---|---|---|---|---|---|---|---|---|---|---|---|---|---|---|---|---|---|---|---|---|---|---|---|---|---|---|---|---|---|---|---|---|---|---|---|---|---|---|---|---|---|---|---|---|---|---|---|---|---|---|---|---|---|---|---|---|---|---|---|---|---|---|---|---|---|---|---|---|---|---|---|---|---|---|---|---|---|---|---|---|---|---|---|---|---|---|---|---|---|---|---|---|---|---|---|---|---|---|---|---|---|---|---|---|---|---|---|---|---|---|---|---|---|---|---|---|---|---|---|---|---|---|---|---|---|---|---|---|---|---|---|---|---|---|---|---|---|---|---|---|---|---|---|---|---|---|---|---|
f | fenda|펜더pau (영어) | ||||||||||||||||||||||||||||||||||||||||||||||||||||||||||||||||||||||||||||||||||||||||||||||||||||||||||||||||||||||||||||||||||||||||||||||||||||||||||||||||||||||||||||||||||||||||||||||||||||||||||||||||||||||||||||||||||||||||||||||||||||||||||||||||||||||||||||||||||||||||||||||||||||||||||||||||||||||||||||||||||||||||||||||||||||||||||||||||||||||||||||||||||||||||||||||||||||||||||||||||||||||||||||||||||||||||||||||||||||||||||||||||||||||||||||||||||||||||||||||||||||||||||||||||||||||||||||||||||||||||||||||||||||||||||||||||||||||||||||||||||||||||||||||||||||||||||||||||||||||||||||||||||||
h | haibio|결핵pau (일본어 {{lang|ja-latn|haibyoo|} | } 肺病|일본어)
팔라우어 문자소 | IPA | 예시 단어 |
---|---|---|
a | chad|사람pau | |
e | sers|정원pau | |
e | ngalek|아이pau | |
ee | kmeed|가까운pau | |
i | sils|해pau | |
ii | iis|코pau | |
o | ngor|입pau | |
oo | sekool|장난기 있는pau | |
u | bung|꽃pau | |
uu | ngduul|맹그로브 조개pau |
5. 문법
팔라우어의 문법은 대명사, 명사 및 동사의 굴절, 어순 등 여러 특징을 보인다.
(하위 섹션 '''대명사''', '''명사 및 동사 굴절''', '''어순'''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여기서는 각 특징에 대한 간략한 언급만 제시함)
- 팔라우어는 다양한 종류의 대명사를 가지며, 격, 수, 인칭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
- 명사는 인간/비인간, 단수/복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며, 소유격은 접미사를 통해 표현된다.
- 동사는 복잡한 형태론적 특징을 가지며, 접두사, 접미사, 내포사 등을 통해 시제, 상, 태 등을 나타낸다.
- 팔라우어의 기본 어순은 VOS(동사-목적어-주어)로 여겨지지만, 주어의 위치에 따라 SVO(주어-동사-목적어)로 분석될 여지도 있다.[7]
5. 1. 대명사
다음은 팔라우어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집합이다.자유형 | NOM I | NOM II | OBJ | 소유격 | |
---|---|---|---|---|---|
1인칭 단수 | ngak|응악pau | ak|악pau | k-|ㅋ-pau | -ak|-악pau | -k|-ㅋpau |
2인칭 단수 | kau|카우pau | kə|커pau | chom-|촘-pau | -au|-아우pau | -m|-ㅁpau |
3인칭 단수 | ngii|응이pau | ng|응pau | l-|ㄹ-pau | -ii|-이pau | -l|-ㄹpau |
1인칭 복수 포함 | kid|킫pau | kədə|커더pau | d-|ㄷ-pau | -id|-읻pau | -d|-ㄷpau |
1인칭 복수 배타 | kəmam|커맘pau | aki|앜이pau | -kim|-킴pau | -əmam|-어맘pau | -(m)am|-(ㅁ)암pau |
2인칭 복수 | kəmiu|커미우pau | kom|콤pau | chom-|촘-pau | -əmiu|-어미우pau | -(m)iu|-(ㅁ)이우pau |
3인칭 복수 | tir|팉pau | tə|터pau | -l|-ㄹpau | -tərir|-터릳pau | -rir|-릳pau |
5. 2. 명사 및 동사 굴절
팔라우어의 명사는 복수 접두사 re-|팔라우어pau를 통해 인간성 및 수에 기반하여 굴절되며, 이는 복수 인간 명사에 부착된다.[6] 예를 들어, chad|사람pau는 단수형 인간 명사이고, rechad|사람들pau는 복수형 인간 명사이다. 비인간 명사는 이러한 구별을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돌'을 의미하는 단어 bad|돌pau는 단수 '돌' 또는 복수 '돌들'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6]팔라우어의 일부 소유 명사는 소유자의 인칭, 수, 인간성에 따라 굴절된다. 예를 들어, 비소유 명사 tebel|테이블pau은 단순히 '테이블'을 의미하지만, 소유된 형태 중 하나인 tebelek|테이블렉pau은 '나의 테이블'을 의미한다. 소유자 일치는 항상 명사에 접미사를 추가하여 등록되며(또한 접미사로 강세 이동을 유발), 소유자 일치 접미사에는 특정 명사에만 부착되고 명사별로 암기해야 하는 다양한 불규칙 형식이 있다. 아래는 "기본" E-세트 접미사이다.
rowspan="2" colspan="2" | | 단수 | 복수 | ||
---|---|---|---|---|
포함 | 배타 | |||
1인칭 | -ek|-엑pau | -ed|-에드pau | -am|-암pau | |
2인칭 | -em|-엠pau | -iu|-이우pau | ||
3인칭 | 인간 | -el|-엘pau | -ir|-이르pau | |
비인간 | -el|-엘pau | |||
rowspan="2" colspan="2" | | 단수 | 복수 | ||
---|---|---|---|---|
포함 | 배타 | |||
1인칭 | -Vk|-V크pau | -Vd|-V드pau | -(e)mam|-(에)맘pau | |
2인칭 | -Vm|-Vㅁpau | -(e)miu|-(에)미우pau | ||
3인칭 | 인간 | -Vl|-Vㄹpau | -(e)rir|-(에)리르pau | |
비인간 | -Vl|-Vㄹpau | |||
참고로 -V-는 모음 -u-, -i-, 또는 -a-를 나타낸다. |
다음과 같은 예측할 수 없는 몇 가지 형태음운론적 변화가 있다.
- 단일 모음은 로 축소되어 e|에pau로 표기된다(bad|바드pau → b'''e'''d·uk|베두크pau '나의 돌'). 또는 완전히 생략되기도 한다(ngikel|응이켈pau → ngkel·el|응켈엘pau '나의 물고기'). 모음을 줄이지 않는 명사도 거의 없다(chim|침pau → ch'''i'''m·ak|치마크pau '나의 손').
- 이중 모음은 단일 모음으로 축소된다(deel|데엘pau → del·ek|델레크pau '나의 손톱'). 때로는 로 더 축소되기도 하고(diil|디일pau → d'''e'''l·ek|델레크pau) 심지어 생략되기도 한다.
- 생략으로 인해 수많은 복잡한 자음군이 생성되며, 그 중 일부는 팔라우어에서 단순화된다(relm|렐름pau → lm·ek|ㄹ멕pau '나의 물', tut|툿pau → t·uk|툭pau '나의 가슴').
팔라우어 동사 형태론은 매우 복잡하다. 예를 들어, menga(ng)|멩아(응)pau '먹다'는 동사 접두사 me-|메-pau + 불완료 -ng-|-응-pau + kal|칼pau로 분석할 수 있으며, 여기서 -kal|-칼pau은 kall|칼pau '음식'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비교하고 형태음운론적 패턴을 고려할 때만 나타나는 아키모르페임이다.
예시:
- Ng milenga a ngikel a bilis|응 밀렝아 아 응이켈 아 빌리스pau '개는 물고기를 먹고 있었다' (직역: 그것-동사 접두사-m 먹다-과거 내포사-il- 정관사 물고기 정관사 개)
- Ng kma a ngikel a bilis|응 크마 아 응이켈 아 빌리스pau '개는 물고기를 다 먹었다' (직역: 그것-먹다-완료 내포사-m- 물고기 정관사 개)
동사 체계는 필리핀어와 관련된 화석화된 형태를 가리킨다.
5. 3. 어순
팔라우어의 단어 순서는 일반적으로 동사-목적어-주어(VOS)로 여겨지지만, 이는 언어학 문헌에서 어느 정도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7] 팔라우어의 VOS 분석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팔라우어를 전치사 전 주어 일치 형태소가 있는 대명사 생략 언어로 간주하며, 최종적인 대명사 주어는 삭제(또는 영형태소)된다.예시 1: Ak milenga er a ringo|아크 밀렝아 에르 아 링오pau (의미: '나는 사과를 먹고 있었다.')
위 예에서 추상적인 영대명사는 주어 '나'이며, 구절 시작 부분의 ak|아크pau는 1인칭 단수 주어 일치 형태소이다.
반면에, 팔라우어를 SVO로 분석한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대명사 생략 분석을 거부하고, 대신 주어 일치 형태소를 주어 대명사로 분석한다. 앞의 예에서 SVO 지지자들은 ''pro''가 없고 형태소 ak|아크pau는 단순히 '나'를 의미하는 명시적인 주어 대명사라고 가정한다. 이 분석의 잠재적인 문제점은 공지시된 3인칭 "주어 대명사"가 있을 때 명시적인 (3인칭) 주어가 절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 주어 대명사를 일치 형태소로 취급하면 이러한 약점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 예를 살펴보자.
예시 2: Ng milenga er a ringngo a Satsuko|응 밀렝아 에르 아 링오 아 사츠코pau (의미: '사츠코는 사과를 먹고 있었다.')
SVO 분석 지지자들은 주어 a Satsuko|아 사츠코pau '사츠코'가 절 시작 부분에서 절 마지막 위치로 이동한다고 가정해야 하며, 이는 언어 간에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동 연산이지만, 이에 대한 논의는 생략한다.
6. 어휘
팔라우어는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스페인, 독일, 일본, 미국에 의해 통치되었기 때문에 팔라우어 단어에는 수많은 외래어가 있다.
스페인어로부터는 주로 기독교 관련 어휘가 정착되었다.
팔라우어 | 의미 | 원어가 된 스페인어 |
---|---|---|
Baskua | 부활절 | Pascua |
Changhel | 천사 | Angel |
Ikerasia | 교회 | Iglesia |
Kusarang | 수저 | Cuchara |
Mais | 옥수수 | Maíz |
Papa | 교황 | Papa |
Rosario | 묵주 | Rosario |
Soldau | 군인 | Soldado |
독일어로부터는 일용품 어휘의 차용이 많다.
팔라우어 | 의미 | 독일어 | 비고 |
---|---|---|---|
Babier | 종이 | Papier | |
Benster | 창문 | Fenster | 일본어에서 유래된 mado도 사용되고 있다. |
chasbering | 아스피린 | Aspirin | 아세틸살리실산, 일본어 경유. |
Chausbengdik | 외우다 | Auswendig (-lernen) | |
Hall! | 멈춰라! | Halt! | 현재는 영어에서 유래된 Stob(Stop)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
Rrat | 자전거 | Rad | |
Slibs | 넥타이 | Schlips | |
Taber | 칠판 | Tafel | 일본어에서 유래된 Kokubang도 사용된다. |
역사적 경위로 인해 팔라우어에는 일본어에서 온 차용어가 매우 많으며, 정치 용어, 학술 용어부터 일상 표현까지 폭넓게 사용된다. 단어뿐만 아니라 구문으로도 일본어가 정착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성가대 연습 중에 "''Ichirets ni narande!'' (일렬로 늘어서!)", "''Genki dasite!'' (기운 내 = 더 기운차게!)"라고 서로 말하는 경우가 있다.[13] 일본어 교육을 받지 않은 젊은 세대나 아이들도 이러한 표현을 일본어에서 유래한 것임을 의식하지 않고 사용하며, 이는 일본어 차용어의 정착으로 이어지고 있다.[14] "타로", "쿠니오", "요시코" 외에도 "진자(신사)", "쿠루마(자동차)" 등 일본에서는 인명으로 사용하지 않는 단어를 인명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은 팔라우어 단어와 그 어원이 된 일본어 단어의 예시이다.[15]
팔라우어 | 의미 | 원어 일본어 및 비고 |
---|---|---|
Basio | 장소 | |
Bengngos | 변호사 | |
Bento | 도시락 | |
Bungsu | 분수 | |
Chambang | 앙빵 | |
Chabulabang | 앙도넛 | 「기름」「빵」 |
Chabunai | 위험하다 | |
Chaikodetsiu | "아이코데쇼" | |
Chameiu | 차가운 엿물 | |
Chanzeng | 안전 | |
Chazi daiziob | 맛있다 | 「맛」「괜찮다」 |
Chazinomoto | 미원 | |
Daitorio | 대통령 | |
Daiziob | 괜찮다 | |
Dengki | 전기 | |
Dengkibasira | 전신주 | 「전기 기둥」 |
Denwa | 전화 | |
Dosei | 어차피 | |
Emonkake | 옷걸이 | 「의문걸이」 |
Haibio | 결핵 | 「폐병」 |
Iakiu | 야구 | |
Iorosku | 잘 부탁해 | |
Katsudo | 영화 | 「활동사진」 |
Keizai | 경제 | |
Kets | 구두쇠 | |
Kigatsku | 알아채다 | |
Kigatskani | 알아채지 못하다 | |
Kimots | 기분 | |
Komeng | 죄송합니다, 미안합니다 | 「미안」 |
Mahobing | 보온병 | |
Mame | 콩 | |
Manaita | 도마 | |
Mangnga | 만화 | |
Mazui | 맛없다, 못하다 | |
Mihong | 견본 | |
Mongk | 불평 | |
Motsio | 맹장 | |
Musiba | 충치 | |
Namari | 납 | |
Nappa | 잎채소 | |
Nas | 가지 | |
Nengi | 파 | |
Nezimauas | 드라이버 | |
Nimots | 짐 | |
Ninzin | 당근 | |
Sapporo Ichibang | 인스턴트 라면 | 「삿포로 이치방」. 상표의 보통 명칭화。 |
Sarumata | 팬티 | 「고쟁이」 |
Seizi | 정치 | |
Sempuki | 선풍기 | |
Senkyo/Senkio | 선거 | |
Sensei | 선생 | |
Simpai | 걱정 | |
Siotots | 건배 (구호) | 「충돌」。전전 일본어 속어。 |
Sirangkao | 시치미를 떼다 | |
Skoki | 비행기 | |
Skozio | 공항 | 「(수상 비행정) 비행장」 [16] |
Sodang | 상담 | |
Songngai | 손해 | |
Tabi | 고무 신발 | 「족백」 |
Taiheio | 태평양 | |
Tobo | 도망가다 | 「도망」 |
Tokuni | 특히 | |
Tongang | 호박 | 「동과」。같은 박과 식물에서 전용。 |
Toseng | 나룻배 | Uatasibune(나룻배)라고도 한다. |
Tsitsibando | 브래지어 | 「젖꼭지 밴드」 |
Tsios | 컨디션 | |
Tskarenaos | 맥주를 마시다 | 「피로」「낫다」 |
Zeitak/Seitak | 사치 | |
Ziangkempo | 쟨켄폰 | |
Zibiki/Ziteng | 사전 | 「자서」, 「사전」 |
영어 단어는 전후에 들어온 단어도 있지만, 일본 통치 시대에 일본어를 거쳐 들어온 단어나 일본식 영어도 있다.
팔라우어 | 일본어 | 영어 | 비고 |
---|---|---|---|
Boi | 소년 | Boy | |
Bor | 공 | Ball | |
Chaiskeeki | 아이스 캔디 | Ice cake | 일본어 경유 (일본식 영어). |
Chaiskurim | 아이스크림 | Ice cream | |
Chambelangs | 구급차 | Ambulance | |
Chasuart | 아스팔트 | Asphalt | |
Dainamo | 발전기 | Dynamo | |
Homrang | 홈런 | Home run | |
Kab | 곡선 | Curve | |
Kare | 카레 | Curry | 일본어 경유. 밥에 걸었을 경우에는 Raiskare (라이스 카레). |
Kasorin | 휘발유 | Gasoline | 일본어 경유. 현재는 미국 영어에서 유래한 Kas (Gas)가 더 자주 사용된다. |
Keik | 케이크 | Cake | |
Kurob | 장갑 | glove | |
Mahura | 머플러 | Muffler | 목도리, 소음기 |
Masku | 마스크 | Mask | |
Miuzium | 박물관 | Museum | |
Ranningngu | 런닝셔츠 | Running (-shirt) | 일본어 경유 (일본식 영어) |
Razio | 라디오 | Radio | 일본어 경유 |
Sabis | 서비스 | Service | |
Tenis | 테니스 | Tennis | |
Tibi | 텔레비전 | Television | Television의 약어 (TV)에서 유래. |
Tsuingam | 껌 | Chewing gum | |
6. 1. 기초 회화
팔라우어 | 한국어 | 발음 |
---|---|---|
Alii! | 여보세요, 안녕하세요! | 알리 |
Ungil tutau. | 안녕하세요(아침). | 웅길 투타우 |
Ungil sueleb. | 안녕하세요(낮). | 웅길 쑤엘르브 |
Ungil kebesengei. | 안녕하세요(저녁). | 웅길 께베셍게이 |
A ngklek a ___. | 저의 이름은___입니다. | |
Ng techa ngklem? | 당신의 이름은요? | |
Ke ua ngerang? | 어떻게 지내세요? | |
Ak mesisiich. | 잘 지내요. | |
Ak chad er a ___. | 저는___에서 왔어요. | |
Belau | 팔라우 | |
Merikel | 미국 | |
Ingklis | 잉글랜드 | |
Siabal | 일본 | |
Sina | 중국 | |
Ke chad er ker el beluu? | 어디서 오셨어요? | |
Ke mlechell er ker el beluu? | 어디서 태어나셨어요? | |
Ak mlechell er a ___. | 저는 ___에서 태어났어요. | |
Ng tela rekim? | 몇 살이에요? | |
Ng ___ a rekik. | 저는 ___살(세)입니다. | |
Ng tela a dengua er kau? | 당신의 전화번호는요? | |
A dengua er ngak a ___. | 저의 전화번호는 ___입니다. | |
Ke kiei er ker? | 어디서 사세요? | |
Ak kiei er a ___. | 저는 ___에서 살아요. | |
Chochoi. | 예. | 초이, 오오이 |
Ng diak. | 아니요. | 응 디악 |
Sulang. | 감사합니다. | 메술랑 |
Ke mo er ker? | 어디에 가세요? | |
Mechikung. |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계세요 <작별인사> | 메치쿵 |
다음은 팔라우어의 흔하고 유용한 단어와 구문입니다.[8]
6. 2. 수사
tang|탕pau, erung|에룽pau, edei|에데이pau, euang|에우앙pau, eim|에임pau, elolm|엘올름pau, euid|에우이드pau, eai|에아이pau, etiu|에티우pau, tacher|타체르pau는 팔라우어에서 1부터 10까지를 나타내는 수사이다.팔라우인들은 서로 다른 사물에 대해 다른 숫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람을 셀 때는 tang|탕pau, terung|테룽pau, tedei|테데이pau, teuang|테우앙pau, teim|테임pau, telolem|텔올렘pau, teuid|테우이드pau, teai|테아이pau, tetiu|테티우pau, teruich|테루이치pau를 사용한다. 전통적으로 사람, 물건, 세기, 서수, 바나나 묶음, 시간 단위, 긴 물체, 뗏목 등 서로 다른 개수를 세는 방식이 있었지만, 이 중 일부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9]
팔라우어는 세는 대상에 따라 다른 수사 세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인원을 셀 때는 탕(1명), 체룽(2명), 체데이(3명)……, 바나나 묶음은 텔리우드(1묶음), 에레이우드(2묶음), 에데이우드(3묶음)……, 길이가 있는 물건은 텔루오(1개), 에루오(2개), 에데우오(3개)…… 와 같이 표현한다. "어떤 사물의 수량인지"를 나타내는 점은 일본어 등에서의 조수사와 같지만, 접미사가 아닌 단어 자체가 독립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탕 | 체룽 | 체데이 | 체왕 | 체임 | 첼롬 | 체우이드 | 체아이 | 체티우 | 마초드 |
7. 한국과의 관계
팔라우는 대한민국과 1995년 7월에 수교하였고, 현재 주 피지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겸임하고 있다.[1] 북한과는 아직 수교하지 않았다.
참조
[1]
간행물
Ethnologue
[2]
서적
[3]
논문
Early Oceanic contact with Palau: the evidence of fish names
https://www.academia[...]
Blench, Roger
2015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Palauan Language Online
http://tekinged.com/[...]
[10]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 PAU
http://www.ethnologu[...]
[11]
서적
[12]
웹사이트
Japanese and Other Loanwords in Palauan(ラナイ本願寺のホームページ 英語)
http://faroutliers.w[...]
[13]
서적
パラオにおける戦前日本語教育とその影響」第3章「戦前日本語教育の影響」
立命館大学法学部
2006
[14]
문서
森岡、同
[15]
웹사이트
http://nihongo.hum.t[...]
[16]
뉴스
「しもきた」とLCAC 統合運用で自衛隊パラオ訪問 日本海軍の“スベリ”に上陸
軍事研究 (雑誌)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