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스터 (비디오 게임 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켓몬스터 (비디오 게임 시리즈)는 가상의 생명체인 포켓몬을 수집, 훈련, 배틀하며 '포켓몬 챔피언'을 목표로 하는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이다. 1996년 게임보이로 시작되어, 본편 시리즈와 다양한 외전 작품으로 확장되었으며, 각 세대별로 새로운 포켓몬, 지역, 게임 시스템을 도입하며 발전했다. 플레이어는 포켓몬 도감을 완성하고, 시나리오를 진행하며, 다른 플레이어와의 교환과 대전을 통해 게임을 즐긴다. 이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사회 문화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고, 2022년에는 9세대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시작한 비디오 게임 시리즈 - 크래쉬 밴디쿳
크래쉬 밴디쿳은 1996년 첫 출시 후 다양한 플랫폼과 개발사를 거치며 발전해 온 비디오 게임 시리즈로, 플레이스테이션 독점작으로 시작해 여러 개발사를 거쳐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었고, 2016년 시리즈 복귀 발표 이후 리메이크 및 신작들이 출시되고 있다. - 1996년 시작한 비디오 게임 시리즈 - 목장이야기
목장이야기는 버려진 농장을 물려받아 작물 재배, 동물 사육, 마을 주민과의 교류, 가정 형성 등을 통해 농장을 발전시켜 나가는 농장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시리즈이다. - 닌텐도의 비디오 게임 시리즈 - 포켓몬스터
포켓몬스터는 1996년 비디오 게임을 시작으로 애니메이션, 카드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전개된 프랜차이즈이며, 곤충 채집 경험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개발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 닌텐도의 비디오 게임 시리즈 - 스플래툰
스플래툰은 닌텐도에서 개발한 3인칭 슈팅 게임 시리즈로, 잉클링 또는 옥토링 캐릭터를 조작하여 잉크를 발사해 영역을 넓히고 전투를 진행하며, 독특한 게임플레이와 개성적인 캐릭터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았다. - 영화화된 비디오 게임 - 파 크라이
파 크라이는 2004년 크라이텍에서 개발하고 유비소프트에서 배급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남태평양의 가상 섬을 배경으로 오픈 월드 요소와 높은 수준의 인공지능을 갖춘 적들과의 잠입 및 전략적 전투를 특징으로 한다. - 영화화된 비디오 게임 - 철권
철권은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에서 개발한 3D 대전 격투 게임 시리즈로, 고유의 버튼 배치 시스템과 미시마 가문의 갈등을 중심으로 한 스토리가 특징이며, 아케이드 게임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장되었고 한국의 e스포츠 리그와 세계적인 팬덤을 보유하고 있다.
포켓몬스터 (비디오 게임 시리즈)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시리즈 정보 | |
제목 | 포켓몬스터 |
원제목 | ポケットモンスター (Poketto Monsutā) |
![]() | |
장르 | 롤플레잉 |
개발사 | 게임 프리크 ILCA 나이언틱 |
배급사 | 닌텐도 포켓몬 컴퍼니 |
제작 | 타지리 사토시 |
아티스트 | 스기모리 겐 |
작곡가 | 마스다 준이치 |
첫 번째 게임 | 포켓몬스터 레드·그린 |
첫 번째 발매일 | 1996년 2월 27일 |
최신 게임 | Pokémon LEGENDS Z-A |
최신 발매일 | 2025년 예정 |
플랫폼 | 게임보이 게임보이 컬러 게임보이 어드밴스 닌텐도 DS 닌텐도 3DS 닌텐도 스위치 |
창작자 | 타지리 사토시 |
프로듀서 | 이시하라 츠네카즈, 오오모리 시게루 |
스핀오프 작품 | 포켓몬 스타디움 시리즈 포켓몬 콜로세움 포켓몬XD 어둠의 선풍 다크 루기아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 Pokémon GO 자세한 내용은 포켓몬스터의 스핀오프 게임을 참조 |
개발 정보 | |
개발자 | 게임 프리크, ILCA |
퍼블리셔 | 닌텐도, The Pokémon Company |
아티스트 | 스기모리 겐 |
작곡가 | 마스다 준이치 |
출시 정보 | |
첫 번째 출시 버전 (일본) | '포켓몬스터 적' 및 '녹' |
첫 번째 출시일 | 1996년 2월 27일 |
최신 출시 버전 | '포켓몬스터 스칼렛' 및 '바이올렛' |
최신 출시일 | 2022년 11월 18일 |
기타 정보 | |
총 판매량 | 4억 8천만 장 (2023년 3월 기준) |
관련 게임 소프트 세계 누계 출하량 | 3억 본 돌파 (2017년 11월 24일) |
공식 웹사이트 | 게임 포켓몬스터 시리즈 공식 웹사이트 |
2. 게임플레이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는 포켓몬(줄여서 '포켓몬')이라 불리는 가상의 생명체들이 살고 있는 세상을 배경으로 한다. 플레이어는 '포켓몬 트레이너'가 되어 모험을 떠나 포켓몬을 모으고 성장시키며, 최고의 포켓몬 트레이너인 '포켓몬 챔피언'이 되는 것을 목표로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의 주된 목표는 다른 포켓몬 트레이너들과의 대결에서 승리하고, '포켓몬 리그'에 도전하여 사천왕과 챔피언을 물리치고 최강의 트레이너가 되는 것이다. 또 다른 목표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포켓몬을 만나 '포켓몬 도감'을 완성하는 것이다.
게임 중간에는 악당 조직들이 등장하여 플레이어의 목표 달성을 방해하기도 한다.
포켓몬 세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들이 존재한다.
시설 | 설명 |
---|---|
포켓몬센터 | 포켓몬을 무료로 치료해주고, PC를 통해 포켓몬 컬렉션을 정리하거나 아이템을 보관하고 꺼낼 수 있다. |
포켓마트 | 배틀에서 얻은 돈으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상점이다. 특정 도시에는 약국이나 백화점과 같은 전문 상점도 존재한다. |
포켓몬 체육관 | 관장이라 불리는 강력한 트레이너가 있는 곳으로, 보스와 같은 역할을 한다. 관장에게 승리하면 체육관 배지를 얻을 수 있으며, 8개의 배지를 모두 모으면 해당 지역의 사천왕과 챔피언에게 도전할 수 있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에서는 사천왕이 챔피언 컵으로 대체되며, 챔피언에게 도전할 자격을 결정하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가 열린다.) 썬, 문, 울트라 썬, 울트라 문에서는 체육관 대신 시련이 존재한다. |
배틀 시설 | 게임을 클리어한 후에는 배틀 프런티어, 배틀 타워, 배틀 메종과 같이 배틀 전용 시설이 열리기도 한다. |
2. 1. 시작과 목표

ポケットモンスター일본어 게임 시리즈는 포켓몬(줄여서 '포켓몬')이라 불리는 가상의 생명체들이 살고 있는 세상을 바탕으로 한다. 플레이어는 주인공이 되어 이 포켓몬들을 포획하고 성장시키며 다른 포켓몬과 대결시킨다. 포켓몬을 자신의 친구삼아 키우고 포켓몬끼리 대결을 시키는 사람을 '포켓몬 트레이너'라고 하며, 플레이어는 한 명의 포켓몬 트레이너가 되어 모험을 떠나고 점점 포켓몬을 모으고 성장시키면서 마침내는 최고의 포켓몬 트레이너인 '포켓몬 챔피언'이 되는 것을 목표로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하지만 곳곳에 있는 악당 조직들이 목표를 방해하기도 한다. 포켓몬 챔피언이 되어도 다른 유저들과의 실제 대결로 국내 최강, 세계 최강 등 더 큰 목표를 이룰 수 있다.[9]
포켓몬 트레이너는 포켓몬을 키우고 싸우게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플레이어는 포켓몬 트레이너가 되어, 작중 세계에 서식하는 "포켓몬"이라고 불리는 신비한 생물을 포획하여 키우거나, 포켓몬끼리 싸우게 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와 교환하여 포켓몬 도감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게임을 진행한다. 포켓몬은 야생 포켓몬이나 포켓몬 트레이너가 내보내는 포켓몬과 싸우는 것으로 성장해 나간다.
작품에 따라 이유는 달라지는 경우가 있지만,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주인공은 포켓몬 도감 완성을 목적으로 여행을 떠나게 된다. 여행 도중에는 라이벌 캐릭터나, 체육관 관장이라고 불리는 특정 타입의 포켓몬을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트레이너와 싸우며, 포켓몬과 함께 성장해 나간다. 체육관 관장에게 승리하여 얻는 배지 8개를 모으고, 포켓몬 리그에서 사천왕과 챔피언에게 승리하면 엔딩을 맞이한다.
2. 2. 포켓몬 배틀
포켓몬 게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포켓몬 사이의 대결이다. 이것을 '포켓몬 배틀'이라고 하며, 포켓몬 배틀을 통해서 포켓몬이 더 강해지고 게임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12]포켓몬 배틀은 턴제로 진행된다. 플레이어가 야생 포켓몬과 조우하거나 다른 트레이너와 대결을 펼치게 되면, 화면이 전환되어 전투 장면이 나타난다. 각 트레이너는 여섯 마리까지 포켓몬을 데리고 다닐 수 있으며, 전투에 참여시킬 수 있다. 전투가 시작되면 첫 번째 포켓몬이 대결에 나서게 되며 1:1 대결을 연달아 진행한다. 포켓몬의 체력(HP)이 0이 되면 기절 상태가 되어 전투 참여가 불가능해지고, 상대방이 가진 모든 포켓몬을 기절 상태로 만들면 포켓몬 배틀에서 승리한다. 플레이어가 포켓몬 배틀에서 패배하면 소지하고 있는 돈이 줄어들며 마지막에 방문한 포켓몬센터(포켓몬의 체력을 회복해주는 곳)로 되돌아간다.[14]
전투 중 플레이어의 포켓몬이 상대방 포켓몬을 쓰러트리면 돈과 경험치를 받게 되며, 이 경험치가 쌓이면 포켓몬의 레벨이 오르고 능력이 강해진다. (기절한 포켓몬은 회복할 때까지 경험치를 받을 수 없다.)[14]
모든 포켓몬과 포켓몬의 기술은 종류별로 타입이라는 속성을 띠고 있으며, 여러 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그리고 각각의 타입 사이에는 서로 물고 물리는 상성 관계가 존재한다. 포켓몬 배틀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사용하는 타입의 기술에 유리한 타입 포켓몬을 내보내거나, 상대 포켓몬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타입의 기술을 사용하는 등 타입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모두 18개의 타입이 있다. (노말, 불꽃, 물, 풀, 전기, 얼음, 격투, 독, 땅, 비행, 에스퍼, 벌레, 바위, 고스트, 드래곤, 악, 강철, 페어리)[15]
포켓몬 배틀은 포켓몬 트레이너(포켓몬을 다루는 사람. 본 시리즈의 주인공도 포켓몬 트레이너이며, '트레이너'로 줄여 부른다)가 포켓몬에게 지시를 내려 진행한다. 트레이너는 도구를 사용해 포켓몬을 지원할 수 있지만, 이는 보조적인 역할이며 트레이너 자신이 직접 포켓몬을 공격하거나, 포켓몬을 사용해 트레이너를 직접 공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포켓몬끼리의 싸움만 허용된다.
배틀에는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과, 포켓몬 트레이너끼리의 배틀이 있다.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은 걷다가 갑자기 야생 포켓몬이 출현(엔카운트)하여 발생한다. 야생 포켓몬은 풀숲, 동굴, 바다 등 자연지에만 출현하며, 마을 안에서는 출현하지 않는다. 포켓몬 트레이너끼리의 배틀은, 각지에 있는 포켓몬 트레이너에게 싸움을 걸거나, 싸움을 받음으로써 발생한다.
트레이너는 6마리까지의 포켓몬을 "소지 포켓몬"으로 소지할 수 있지만, 배틀 시에는 원칙적으로 1마리씩의 포켓몬을 내보낸다(싱글 배틀). 배틀이 시작되면 트레이너는 턴마다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한다.
1. "기술"을 하나 선택
2. 전투시킬 포켓몬을 교체
3. 도구를 사용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에서는 4. 도망간다(배틀 시설이나 통신 대전 시에는 항복)를 선택할 수 있다. 통신 대전에서는 도구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5세대에서는 설정을 활성화하여 미라클 슈터라는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다.
맵 상에 등장하는 트레이너(NPC)의 소지 포켓몬 수는 플레이어와 스토리 진행도에 따라 결정되며(최대 6마리, 2명 이상인 경우 팀 전원 합계 6마리까지), 챔피언 등의 최종 보스는 반드시 6마리를 소지한다.
서로의 포켓몬은 기술을 사용하며 싸우고, 어느 한쪽의 모든 포켓몬이 "기절" 상태가 되면 배틀이 종료된다. "기절"은 HP가 0이 된 상태를 의미하며, 전투 불능이 된다. 야생 포켓몬은 "기절"시키는 것 외에 포획할 수도 있지만, 이는 포획에서 설명한다.
"기절" 상태가 된 포켓몬은 강제로 몬스터볼로 돌아가고, "기절" 상태가 아닌 소지 포켓몬이 아직 존재할 경우 새로운 포켓몬을 내보내야 한다. 트레이너끼리의 배틀에서 진 트레이너는 소지금의 일부를 상금으로 지불하고, 마지막으로 이용한 포켓몬 센터로 돌아가게 된다.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에서는 도망갈 수 있지만, 트레이너끼리의 배틀에서는 한 번 싸움을 시작하면 도망갈 수 없다. 패배 시 페널티는 있지만, 배틀에서 짐으로써 스토리 자체가 중단되지 않기 때문에 게임 오버의 개념은 매우 모호하다.
GBA 버전 이후에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배틀 형식이 추가되었다. 통신 대전에서는 싱글 배틀 또는 이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로테이션 배틀이 진행된 적이 없다.
- 더블 배틀: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부터 추가. 1명의 트레이너가 동시에 2마리의 포켓몬을 내보내 대전한다. 2마리 포켓몬의 조합이 중요하며, 싱글 배틀보다 깊은 수 싸움이 특징이다.
- 멀티 배틀: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부터 추가. 2명이 포켓몬을 1마리씩 내보내고, 2대2로 대전한다.
- 트리플 배틀: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에서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까지 등장. 1명의 트레이너가 동시에 3마리의 포켓몬을 내보내 대전한다. 반대편 포켓몬에게는 기술이 맞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비행 기술이나 파동 기술 제외).
- 로테이션 배틀: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에서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까지 등장. 싱글 배틀 형식으로 3마리의 포켓몬을 턴마다 위치를 바꿔가며 대전한다. 회전은 1턴으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상대의 교체를 읽으면서 공격하는 수 싸움이 특징이다.
- 무리 배틀: 『포켓몬스터 X・Y』에서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까지 등장. 『포켓몬스터 X・Y』에서는 1명의 트레이너가 여러 야생 포켓몬에 대해 1마리의 포켓몬을 내보내 대전한다.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는 스토리의 일부분에서 악의 조직 5명에 대해 1마리의 포켓몬으로 동시에 대전한다.
- 스카이 배틀: 『포켓몬스터 X・Y』에만 등장. 비행 타입 또는 특성 "부유"를 가진 포켓몬에 의한 공중전. 단, 팬텀이나 루차불처럼 그래픽에서 지면에 발을 붙이고 있는 포켓몬은 참가할 수 없다. 배틀 중 메가진화로 인해 비행 타입이 아니게 되어도 문제는 없다. "지진" 등의 일부 기술은 사용할 수 없다.
- 반전 배틀: 『포켓몬스터 X・Y』 이후부터 추가. 타입 상성이 역전된 상태로 대전한다. 이 배틀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 같다……"는 존재하지 않는다.
- 난입 배틀: 『포켓몬스터 썬・문』,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에 등장. 야생 포켓몬이 다른 포켓몬을 불러내 대전한다. 이쪽 포켓몬은 한 마리인 채로 대전하게 된다.
- 배틀로열: 『포켓몬스터 썬・문』,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에 등장. 4명의 트레이너가 포켓몬을 1마리씩 내보내, 1대1대1대1 대전을 한다. 1명 이상의 소지 포켓몬이 모두 쓰러진 턴에 경기 종료되며, 쓰러뜨린 포켓몬 수와 남은 소지 포켓몬 수로 승패가 결정된다. 다른 사람이 노리고 있는 상대를 먼저 쓰러뜨림으로써 Z기술도 실패시킬 수 있다.
- 맥스 레이드 배틀: 『포켓몬스터 소드・실드』에 등장. 다이맥스한 야생 포켓몬을 상대로 4명의 트레이너가 포켓몬을 1마리씩 내보내, 4대1 대전을 한다. 야생 다이맥스 포켓몬은 기술을 연속으로 사용하거나, 데미지 외 무효 및 데미지 경감 효과가 있는 배리어를 치거나, 스테이터스 변화를 지울 수 있다. 10턴 제한 시간이 있으며, 4번 기절하면 강제 패배한다.
- 테라 레이드 배틀: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 등장. HP가 대폭 증가한 야생 테라스타 포켓몬을 상대로 4명이 싸운다. 맥스 레이드 배틀과 달리 제한 시간이 있지만 턴 제한이 없는 실시간 배틀이다. 전체 공격은 아군에게 맞지 않고, 포켓몬이 쓰러지면 남은 시간이 줄어든다. 난이도가 올라가면 배리어와 스테이터스 리셋 등도 등장한다.
2. 3. 포켓몬 포획 및 진화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에서 포켓몬을 포획하고 진화시키는 것은 게임의 핵심 요소이다.야생 포켓몬과 배틀을 할 때, 플레이어는 몬스터볼을 던져서 포획을 시도할 수 있다. 포획에 성공하면 해당 포켓몬의 정보가 포켓몬 도감에 기록되며, 플레이어는 그 포켓몬을 데리고 다니거나 '박스'에 보관할 수 있다.[18]

포켓몬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진화'하여 모습과 능력이 변한다.[19] 진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 레벨 업: 경험치를 쌓아 특정 레벨에 도달하면 진화한다.
- 친밀도: 포켓몬과 친밀도를 쌓아 레벨 업하면 진화한다.
- 아이템 사용: '불꽃의 돌'과 같은 특정 아이템을 사용하면 진화한다.
- 교환: 다른 플레이어와 포켓몬을 교환하면 진화하는 경우도 있다. (특정 도구를 지니게 하고 교환하면 진화하기도 한다.)
베루키, 이브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는 포켓몬도 존재한다.
진화 도중 B버튼을 누르면 진화를 취소할 수 있는데, 이를 '진화캔슬'이라고 한다.
포켓몬을 진화시키는 것 또한 포켓몬 도감 완성을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2. 4. 주요 시설
포켓몬 세계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존재한다.시설 | 설명 |
---|---|
포켓몬센터 | 포켓몬을 무료로 치료해주고, PC를 통해 포켓몬 컬렉션을 정리하거나 아이템을 보관하고 꺼낼 수 있다. |
포켓마트 | 배틀에서 얻은 돈으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상점이다. 특정 도시에는 약국이나 백화점과 같은 전문 상점도 존재한다. |
포켓몬 체육관 | 관장이라 불리는 강력한 트레이너가 있는 곳으로, 보스와 같은 역할을 한다. 관장에게 승리하면 체육관 배지를 얻을 수 있으며, 8개의 배지를 모두 모으면 해당 지역의 사천왕과 챔피언에게 도전할 수 있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에서는 사천왕이 챔피언 컵으로 대체되며, 챔피언에게 도전할 자격을 결정하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가 열린다.) 썬, 문, 울트라 썬, 울트라 문에서는 체육관 대신 시련이 존재한다. |
배틀 시설 | 게임을 클리어한 후에는 배틀 프런티어, 배틀 타워, 배틀 메종과 같이 배틀 전용 시설이 열리기도 한다. |
는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등 모든 관련 상품이 크게 세대별로 구분된다. 이는 공식적인 구분은 아니지만, 수용자들이 편의를 위해 사용한다.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는 크게 본편 시리즈와 외전 시리즈로 나뉜다.
3. 세대 구분
수년마다 새로운 지방, 포켓몬, 등장인물 등이 도입된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의 정식 후속작이 발매되면, 이는 포켓몬스터 사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세대의 시작점으로 받아들여진다. 본편 게임뿐만 아니라 외전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트레이딩 카드 게임 등에도 새로운 내용이 추가된다. 각 세대는 본편 게임 시리즈 후속작의 발매 시기에 따라 구분되며, 현재는 9세대까지 진행되었다.
각 세대의 시작점이 되는 게임들은 다음과 같다.세대 게임 제목 발매 연도 (일본) 발매 연도 (대한민국) 제1세대 포켓몬스터 적·녹 1996년 해당 없음 제2세대 포켓몬스터 금·은 1999년 2002년 제3세대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 2002년 해당 없음 제4세대 포켓몬스터 다이아몬드·펄 2006년 2008년 제5세대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2010년 2011년 제6세대 포켓몬스터 X·Y 2013년 2013년 제7세대 포켓몬스터 썬·문 2016년 2016년 제8세대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2019년 2019년 제9세대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2022년 2022년
4. 포켓몬스터 게임 목록
본편 시리즈는 게임보이로 처음 출시된 포켓몬스터 적·녹·청을 시작으로, 새로운 포켓몬과 지역이 추가되며 발전해왔다. 각 세대별 주요 게임은 다음과 같다.
각 본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인 '=== 본편 목록 ==='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외전 시리즈는 본편과는 다른 게임 시스템과 스토리를 가진 게임들이다. 주요 외전 게임은 다음과 같다.
각 외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인 '=== 외전격 게임 목록 ==='에 정리되어 있다.
4. 1. 본편 목록
제목 | 대응 기종 | 발매일 | 비고 |
---|---|---|---|
포켓몬스터 적·녹·청 포켓몬스터 피카츄 | 게임보이 | 1996년 2월 27일 (적·녹) 1996년 10월 15일 (청) 1998년 9월 12일 (피카츄) |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첫 작품. 청은 적·녹의 마이너 체인지판이며 한정 판매 후 일반 판매되었다. 피카츄는 적·녹의 마이너 체인지판으로, 첫 파트너가 피카츄로 고정되었다. |
포켓몬스터 금·은 포켓몬스터 크리스탈 | 게임보이, 게임보이 컬러 | 1999년 11월 21일 (금·은) 2000년 12월 14일 (크리스탈) | 시리즈 최초로 게임보이 컬러 대응. 전작과 통신 교환이 가능하며, 게임보이에서도 플레이 가능하다. 크리스탈은 금·은의 마이너 체인지판이며, 게임보이 컬러 전용이다. |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 포켓몬스터 에메랄드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게임보이 어드밴스 | 2002년 11월 21일 (루비·사파이어) 2004년 9월 16일 (에메랄드) 2004년 1월 29일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파이어레드·리프그린은 적·녹의 리메이크판이다. 에메랄드는 루비·사파이어의 마이너 체인지판이다. |
포켓몬스터 DP 디아루가·펄기아 포켓몬스터 Pt 기라티나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닌텐도 DS | 2006년 9월 28일 (DP 디아루가·펄기아) 2008년 9월 13일 (Pt 기라티나) 2009년 9월 12일 (하트골드·소울실버) | 시리즈 최초로 인터넷 통신에 대응한다. Pt 기라티나는 DP 디아루가·펄기아의 마이너 체인지판이다. 하트골드·소울실버는 금·은의 리메이크판이다.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닌텐도 DS | 2010년 9월 18일 (블랙·화이트) 2012년 6월 23일 (블랙 2·화이트 2) | 블랙 2·화이트 2는 시리즈 최초의 넘버링을 딴 속편이다. |
포켓몬스터 X·Y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닌텐도 3DS | 2013년 10월 12일 (X·Y) 2014년 11월 21일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는 루비·사파이어의 리메이크판이다. |
포켓몬스터 썬·문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 | 닌텐도 3DS, 닌텐도 스위치 | 2016년 11월 18일 (썬·문) 2017년 11월 17일 (울트라썬·울트라문) 2018년 11월 16일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 | 울트라썬·울트라문은 썬·문의 마이너 체인지판이다.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는 피카츄의 리메이크판이며, 본편 시리즈 최초로 거치형 게임기 작품이다. |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 | 닌텐도 스위치 | 2019년 11월 15일 (소드·실드) 2021년 11월 19일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2022년 1월 28일 (LEGENDS 아르세우스) |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은 DP 디아루가·펄기아의 리메이크판이며, ILCA에서 제작했다. LEGENDS 아르세우스는 본편 시리즈 최초의 액션 RPG이다.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닌텐도 스위치, 닌텐도 스위치 OLED | 2022년 11월 18일 | 시리즈 최초의 오픈 월드이다. |
4. 2. 외전격 게임 목록
- '''제1세대''' (닌텐도 64)
- * 포켓몬 스타디움
- * 포켓몬 스타디움 2
- * 포켓몬 스냅
- '''제2세대''' (닌텐도 64)
- * 포켓몬 스타디움 금·은
- '''제3세대''' (게임큐브)
- * 포켓몬 콜로세움
- * 포켓몬 박스 루비&사파이어
- * 포켓몬 XD 어둠의 선풍 다크 루기아
- '''제4세대''' (Wii)
- *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
- * 포켓파크
- * 모두의 포켓몬 목장
5. 개발 및 발매 후의 반향
포켓몬 컴퍼니](The Pokémon Company)]가 관리하는 모든 ''포켓몬스터'' 관련 상품들은 대략적으로 세대별로 나뉜다. 이러한 세대는 대략적인 출시
5. 1. 개발 배경
타지리 사토시가 소년 시절 도쿄도마치다시에서 열중했던 곤충 채집과 친구들과의 곤충 교환·상撲 등을 바탕으로 본 시리즈가 고안되었다.[146] 1996년 2월 포켓몬스터 적·녹의 발매를 시작으로, "포켓몬스터"(통칭 "'''포켓몬'''")가 서식하는 세계를 무대로 한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가 되었다.게임의 구조는 울트라 세븐에 등장하는 캡슐 괴수에서 유래했으며, 초기 기획 명칭은 "캡슐 몬스터"였다. 포켓몬을 볼에서 꺼낼 때의 "가라", "부탁한다", 되돌릴 때의 "돌아와"라는 구호도 이를 반영한다. 일부 포켓몬은 울트라 괴수를 의식한 모습을 하고 있다.
초대 포켓몬은 초기에는 부진했으나, 아이들 사이에서 입소문으로 퍼져 1년도 채 되지 않아 널리 알려졌다. 이후 애니메이션 시리즈와 더불어, 마츠모토 리카의 목표는 포켓몬스터 마스터, 이마쿠니?의 포켓몬 말할 수 있을까? 등 노래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의 포켓몬 대전 기획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방영되면서 인기가 폭발하여 일본 전국에서 유저가 급증했다.
모바일 단말기 여명기에 게임보이의 통신 기능이 거의 활용되지 않았던 당시, 포켓몬의 수집·육성과 통신을 통한 교환·대전 요소는 획기적이었다.[147] 이로 인해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여겨졌던 게임보이가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다. 또한, 2개 이상의 버전을 동시 출시하여 각 버전에서만 얻을 수 있는 포켓몬이나 출현율이 다른 포켓몬을 만들어 유저 간 교환을 촉진하는 등, 게임적, 상품적으로 새로운 시도를 통해 화제를 모았다.
본작 발매 이후 게임 업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수집·통신 요소를 탑재한 게임이 등장했다. 또한, 게임 외 미디어로 전개된 작품들도 연이어 히트하며 전 연령층으로 유저를 확대하고 세계 시장 점유율도 획득, 2019년에는 세계 1위 수익을 올리는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가 되었다.[148][149]
포켓몬의 진화는 대개 정해진 레벨에 도달하면 일어난다('레벨 진화'). 레벨 업으로 진화하는 경우, 진화 중에 B 버튼을 누르면 진화를 취소할 수 있다(레벨 업 이외의 진화는 취소 불가). 포켓몬스터 금·은 이후에는 '변함없는 돌'을 지니게 하여 진화를 막을 수 있다. 야생 포켓몬이나 일부 트레이너의 포켓몬 중에는 본래 진화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서 진화한 경우도 있다. 레벨을 낮추는 방법은 현재 없으므로, 7세대까지는 레벨 100이 되면 레벨 업 진화가 불가능했다. 그러나 8세대 이후에는 레벨 100 포켓몬에게 '이상한 사탕(레벨을 1 올리는 아이템)'을 사용해 진화가 가능해졌다. 레벨 업 외 진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조건부 레벨 업
: 특정 조건을 만족하고 레벨을 올리면 진화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조건만 갖춰지면 레벨 수치는 관계없다(최단 레벨 2 진화도 가능). 시간대 관련 조건은 2, 3세대의 시계 전지가 떨어진 ROM이나, 3세대의 시계 시스템이 없는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에서는 진화 불가.
:; 2세대부터 채용
::* 친밀도: 포켓몬이 일정 이상 친밀해지면 진화. 피츄→피카츄, 골뱃→크로뱃 등. 친밀도를 높이려면 데리고 다니며 걷기, 레벨 업, 마사지, 아이템 사용 등이 필요. '친밀 리본'을 지니면 친밀도 상승이 빨라진다. 에브이, 블래키처럼 친밀도와 시간대가 함께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 3세대부터 채용
::* 아름다움: 포켓몬 푸드나 포핀(콘테스트 관련 컨디션을 올리는 먹이)으로 아름다움이 일정 이상이 된 후 레벨 업. 빈티나→밀로틱이 해당. 콘테스트가 없는 5세대 이후에는 '아름다운 비늘'을 지니고 통신 교환하는 방식으로 변경.
:; 4세대부터 채용
::* 파티 내 특정 포켓몬: 특정 포켓몬이 파티에 있을 때 레벨 업. 총어가 파티에 있을 때 만타인 레벨 업 시 만타인으로 진화.
::* 특정 도구: 포푸니가 '예리한 손톱'을 지닌 채 밤에 레벨 업 시 포푸니라로 진화.
::* 특정 기술: '원시의 힘'을 배운 왕눈해→메가자리, '이판사판태클'을 배운 에이팜→겟핸보숭. 9세대의 과거 포켓몬 진화형은 이 패턴이 많다.
::* 특정 장소: 이브이를 특정 장소에서 레벨 업 시 리피아, 글레이시아로 진화(8세대 이후 진화의 돌로 변경).
:; 6세대부터 채용
::* 본체 상태: 마기라스가 레벨 30 이상에서 레벨 업 시, 3DS/Switch 본체가 거꾸로 된 상태(본체를 뒤집은 상태 유지)면 칼라마네로로 진화.
::* 포켓파를레 친밀도: 포켓파를레의 '친밀함(친밀도와 다름)'이 일정 이상일 때. 이브이의 '친밀함'을 일정 이상으로 하고 페어리 타입 기술을 익혀 레벨 업 시 님피아 진화(8세대부터 친밀도 진화).
::* 필드 날씨: 누메일이 Lv.50 이상에서 레벨 업 시, 배틀 종료 후 필드가 비 상태면 누메로로 진화.
:; 8세대부터 채용
::* 공격 성공: 파오리 (가라르의 모습)가 1번의 전투 중 공격 급소에 3번 성공 시 파이어리 진화.
::* 입은 데미지: 데스마스 (가라르의 모습)가 49 이상 데미지를 입은 상태에서 특정 장소 방문 시 절벼게 진화. 배쓰나이 (흰 물결의 모습)는 공격 반동 데미지 합계 294 이상(전투 불능 시 리셋, 회복 필요) 시 대도각참 진화.
::* 특정 도구+캐릭터 회전: 마휘핑에게 '솜사탕' 도구(총 6종류) 중 하나를 지니게 하고 주인공 회전 시 마휘핑 진화. 솜사탕 종류, 회전 시간/방향, 시간대에 따라 63종류 폼 중 하나로 진화(취소 가능).
::* 이벤트 진화: 다르마시탄을 악(또는 물)의 탑 최상층에 데려가 족자 관람 후 진화(취소 불가). 9세대에서는 족자가 진화 아이템(소중한 것)으로 변경.
::* 특정 기술+횟수: 오도도가 '배리어러쉬'를 속공으로 20번 사용 시 노고치, 장침바루 (히스이의 모습)가 '독침천본'을 필살기로 20번 사용 시 포트데스 진화.
::* 시간대+날씨+아이템: 링곰에게 '피트블록' 사용 시 글레이시아 진화. "보름달 밤" 조건 필요.
:; 9세대부터 채용
::* 함께 걷기: 안농을 볼에서 꺼낸 상태로 1000보 이상 함께 걷고 레벨 업 시 콜로솔트 진화.
::* 파티 대기 상태 레벨 업: 바우첼은 파티 대기(전투 미참여) 상태에서 경험치 분배로 레벨 25 이상 시 빌드체인지 진화(취소 불가). 이 경우 진화 연출이 없고, 바우첼 상태로 100 도달 시 '이상한 사탕' 사용 불가.
::* 무선 통신+다른 플레이어: 라프라스는 포켓포탈 통신 기능 ON, 다른 플레이어의 유니온 서클 참가(또는 자신의 서클에 다른 플레이어 참가) 상태에서 레벨 38 이상 시 고래왕 진화.
::* 특정 개체/아이템 소지/쓰러뜨린 횟수: 자신의 킬가르도 공격으로 '"두목의 증표"를 가진 다른 킬가르도'를 3번 쓰러뜨리면(마무리) 대도각참 진화.
::* 특정 아이템 소지+레벨 업: '콜렉터의 코인' 999개 소지 상태에서 콜렉터 레벨 업 시 서포트 진화. 코인은 진화 시 모두 소모.
; '진화의 돌'
: '불꽃의 돌', '물의 돌' 등 특수 돌 사용. 피카츄→라이츄는 '천둥의 돌' 필요. 『피카츄』 버전 주인공 피카츄는 애니메이션 사토시의 피카츄 설정을 반영해 진화 거부. 돌을 지니면 레벨 관계없이 진화 가능하나, 레벨로 기술을 거의 익힐 수 없게 됨.
; 통신 진화
: 포켓몬 통신 교환 시점에 진화. 윤겔라→후딘 등.
:* 특정 도구+교환: 폴리곤은 '업그레이드' 지닌 채 교환 시 폴리곤2 진화.
:* 특정 포켓몬끼리 교환: 깜눈크와 깝질부기 교환 시, 깜눈크는 거대해머, 깝질부기는 헤라크로스로 진화.
; 분기 진화
: 한 종류의 포켓몬이 다른 조건으로 여러 포켓몬으로 진화. 이브이는 '천둥의 돌'로 썬더, '물의 돌'로 샤미드 등 8가지. 레벨/통신 진화를 함께 가지거나, 능력치/성별에 따라 진화 형태가 다른 경우도 존재.
: 진화 선택은 대부분 자유로우나, 케무소는 카라사리스와 실쿤 중 랜덤으로 진화하며, 진화 전까지 알 수 없음.
; 분열
: 토중몬만의 특수 진화. 토중몬→껍질몬 진화 시 파티 빈자리+몬스터볼 최소 1개 조건에서 빈자리에 텅구리 1마리 추가. 3세대는 몬스터볼 없이 파티 빈자리만 있으면 되고, 진화 전 토중몬과 같은 볼에 들어간 텅구리 입수. 4세대 이후 텅구리는 몬스터볼에 들어감. 꼬리선, 모노두처럼 진화 시 머리가 늘어나는 것과는 다름.
; 메가진화
: 『X·Y』부터 등장. 배틀 중에만 진화, 배틀 종료 후 원래 모습으로 복귀(폼 체인지에 가까움). 『X·Y』에서는 칼로스 지방에서만 가능하다고 여겨지나, 포켓몬스터 THE ORIGIN에서는 관동 지방 내 메가진화 묘사, 『Let's Go! 피카츄·Let's Go! 이브이』에서도 채용.
: '메가스톤'(포켓몬 지님)+반응하는 '키스톤'(트레이너 장비) 필요. 『Let’s Go! 피카츄·Let’s Go! 이브이』는 포켓몬 지님 불가, 메가스톤 소지 불필요. 메가스톤 종류별로 특정 포켓몬 1마리와 세트. '루카리오나이트'는 루카리오 전용. 리자몽처럼 메가스톤 2종류 존재. 레쿠쟈는 메가스톤 없이 '화룡점정' 기술 습득으로 메가진화. 유사 시스템으로 그란돈·가이오가 전용 '원시회귀' 존재.
진화와 다른 "폼체인지"는 형질이 요인에 의해 변화, 요인 제거 시 원래 모습 복귀/새 요인 추가 시 다른 모습 변화(일시적, 가역적). 데오키시스는 운석 힘으로 4종류 모습 변화. 유사 시스템으로 큐레무, 네크로즈마, 버드렉스의 "융합·합체", 지우의 개굴닌자 전용 특성 "유대변화"에 의한 "유대현상" 존재.
5. 2. 사회적 반향
포켓몬스터 시리즈는 1996년 2월 포켓몬스터 적·녹의 발매를 시작으로, 게임 개발자 타지리 사토시가 어린 시절 도쿄도 마치다시에서 열중했던 곤충 채집과 친구들과의 곤충 교환·곤충 스모 등을 바탕으로 고안되었다.[146]그 구조는 『울트라 세븐』에 등장하는 캡슐 괴수에서 유래했으며, 초기 기획 명칭은 '캡슐 몬스터'였다.
초기에는 판매량이 부진했지만, 아이들 사이에서 입소문으로 퍼져 1년도 채 되지 않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애니메이션 시리즈와 함께, 마츠모토 리카의 「목표는 포켓몬스터 마스터」, 이마쿠니?의 「포켓몬 말할 수 있을까?」등의 노래와 TV 프로그램 방영으로 인기가 급상승하여 일본 전역에서 사용자가 급증했다.
게임보이의 통신 기능을 활용한 포켓몬 수집, 육성, 교환, 대전 요소는 획기적이라고 평가받았으며, 2개 이상의 버전을 출시하여 각 버전에서만 얻을 수 있는 포켓몬을 만들어 사용자 간의 교환을 촉진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통해 화제를 모았다.[147]
이러한 성공으로 포켓몬스터는 게임 업계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들이 잇따라 히트하면서 전 연령층으로 사용자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인기를 얻어 2019년에는 세계 1위의 수익을 올리는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가 되었다.[148][149]
6. 게임의 무대
는 주인공(플레이어)이 모험을 하는 다양한 지역을 배경으로 하며, 이 지역들을 "'''지방'''"이라고 부른다. 각 지방은 현실 세계의 특정 지역을 모델로 하여 지리, 등장인물 설정 등이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첫 번째 게임의 배경인 관동 지방은 일본의 간토 지방을 모델로 했다.[24]
포켓몬스터DP부터는 배경 요소에 3D 컴퓨터 그래픽이 도입되었지만, 포켓몬스터 X·Y에 이르러서야 완전한 3D 그래픽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43]
각 지방에는 다양한 종류의 포켓몬이 서식하며, 새로운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새로운 포켓몬들이 추가된다. 예를 들어, 포켓몬스터 썬·문에서는 알로라 지방을 배경으로 88종의 새로운 포켓몬이 등장했다.[50]
6. 1. 지방 목록
게임 시리즈 | 포켓몬의 지방 | 모델이 된 지역 |
---|---|---|
적·녹, 청, 피카츄, 파이어레드·리프그린, Lets Go! 피카츄·Lets Go! 이브이 | 관동 지방 | 간토 지방, 주부 지방 일부, 일본 |
금·은, 크리스탈, 하트골드·소울실버 | 성도 지방 | 긴키 지방, 주부 지방 일부, 시코쿠 지방 일부, 일본 |
루비·사파이어, 에메랄드,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호연 지방 | 규슈·오키나와 지방, 일본 |
디아루가·펄기아, 기라티나,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 신오 지방 | 홋카이도, 일본, 사할린주 (가라후토, 사할린), 러시아 |
블랙·화이트, 블랙2·화이트2 | 하나 지방 | 뉴욕주 뉴욕 시, 뉴저지주 일부 (맨해튼섬 주변), 미국 |
X·Y | 칼로스 지방 | 프랑스 |
썬·문, 울트라썬·울트라문 | 알로라 지방 | 하와이주, 미국 |
소드·실드 | 가라르 지방 | 잉글랜드, 웨일스, 영국 |
스칼렛·바이올렛 | 팔데아 지방 | 스페인, 포르투갈 (이베리아 반도) |
7. 게임 시스템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는 '포켓몬'이라 불리는 가상의 생명체들이 사는 세상을 배경으로 한다. 플레이어는 포켓몬 트레이너가 되어 포켓몬을 포획하고 훈련시켜, 다른 트레이너와의 대결에서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게임의 주요 목표는 포켓몬 도감을 완성하고, 최고의 트레이너인 '포켓몬 챔피언'이 되는 것이다.
게임의 기본적인 시스템은 포켓몬을 포획, 육성하고 포켓몬 배틀을 통해 다른 포켓몬과 대결하는 것이다. 포켓몬 배틀은 턴제로 진행되며, 각 포켓몬은 최대 4개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포켓몬과 기술은 각각 '타입'이라는 속성을 가지며, 타입 간의 상성에 따라 배틀의 결과가 달라진다.
포켓몬은 포켓몬 배틀을 통해 경험치를 얻고 레벨을 올리며 성장한다. 레벨이 오르면 능력치가 상승하고 새로운 기술을 배우기도 한다. 또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진화'를 통해 다른 종류의 포켓몬으로 변하기도 한다.
게임의 또 다른 주요 목표는 포켓몬 도감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플레이어는 다양한 지역을 탐험하며 야생 포켓몬을 포획해야 한다. 포켓몬을 포획하기 위해서는 몬스터볼이라는 도구를 사용하며, 포획한 포켓몬은 자신의 동료로 삼거나 포켓몬 배틀에 활용할 수 있다.
각 지방에는 8개의 '포켓몬 체육관'이 존재하며, 체육관 관장에게 승리하면 배지를 획득할 수 있다. 8개의 배지를 모두 모으면 포켓몬 리그에 도전할 수 있으며, 포켓몬 리그에서 사천왕과 챔피언을 이기면 전당등록을 할 수 있게 된다.
게임 진행 중에는 로켓단, 마그마단, 아쿠아단 등 악당 조직과 맞서 싸우기도 하며, 다양한 사건과 수수께끼를 해결해야 한다.
7. 1. 육성 시스템
포켓몬은 기본적으로 '''경험치'''(경험치)를 쌓아 레벨을 올리는 방식으로 성장한다. 이는 대부분의 RPG와 동일한 시스템이다.레벨의 최대치는 모든 포켓몬 시리즈에서 100이다. 레벨이 오르면 능력치도 함께 상승한다. 포켓몬마다 성장 속도는 다르며, 레벨 100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경험치의 양은 60만, 80만, 100만, 106만 (1,059,860), 125만, 164만의 6가지 타입이 있다. n의 세제곱에서 따오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레벨이 높을수록 다음 레벨까지 필요한 경험치가 많아진다. 최다는 68116이다. 164만 타입만 레벨 업에 필요한 경험치가 많아지거나 적어진다.
각 능력치에는 몇 가지 숨겨진 매개변수가 설정되어 있다. 게임 내는 물론 공략본에서도 기본적으로 공개되지 않지만, 공식적으로는 "포켓몬마다 개성이 있다", "같은 포켓몬이라도 미묘한 능력의 차이가 있다" 등 그 영향을 암시하고 있으며, 팬들 사이에서는 "종족값", "개체값", "노력값"[199]이라고 불린다. 이 속칭은 2017년 게임 관련 서적에도 게재되었다[200]。이러한 매개변수들이 겉보기에는 단순한 성장 시스템에 깊이를 더한다. 또한, 2세대까지와 3세대 이후에서는 시스템이 크게 다르다.
『포켓몬스터 금・은』의 시작 부분에서 "지금까지 포켓몬이 어디에서 태어나는지 수수께끼였지만, '포켓몬의 알'이 드디어 발견되었다"라는 이야기가 나오지만, 바로 전작과의 사이에서도 모순이 보인다. 예를 들어 『포켓몬스터 적・녹』의 포켓몬 도감 내에서, 다른 포켓몬의 알을 먹거나 산란을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포켓몬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포유류 계열이나 무기물 계열 등, 알에서 태어나는 것에 위화감이 있는 포켓몬도 있다. 공식 가이드북 등에 따르면 "'알'은 반드시 '알'이 아니라, 보육기와 같은 것"이라는 설정이 존재한다.
설정상 포켓몬이 알을 낳는 순간은 일절 목격되지 않았다고 하며, "낳았다"는 증거가 없는 이상, 알은 어디선가 언제부터인가 가지고 오는 것으로 되어 있다. 게임 내나 (『포켓몬스터 금・은』 이후의) 관련 서적에서도 결코 "낳는다"라는 표기는 사용되지 않지만, "부모", "자식" 등의 표현은 사용되고 있다. 『포켓몬스터 X・Y』의 히요쿠 시티에 있는 아저씨는 정확히는 포켓몬의 요람이라고 말하고 있다.
7. 2. 포켓몬의 진화
포켓몬의 진화는 포켓몬이 갑작스럽게 변화하여 다른 종류의 포켓몬으로 변하면서 모습과 능력이 바뀌는 현상이다. 한 종류의 포켓몬은 보통 두 번 정도 진화할 수 있다. 베루키나 이브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는 포켓몬도 있다.[19]포켓몬의 진화 경로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19]
- 레벨 업: 경험치를 쌓거나 아이템을 사용하여 특정 레벨에 도달하면 진화한다. 특정 기술을 배운 상태에서 레벨업을 하거나, 특정 날씨에서 레벨업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친밀도: 포켓몬과 함께 걷거나 게임 내에서 친밀도를 높이는 행동을 통해 친밀도를 쌓아 레벨업시키면 진화한다.
- 진화의 돌: '~의 돌'을 사용하여 진화한다. 너무 이른 레벨에 돌로 진화시키면 진화 전에 스스로 배울 수 있는 기술을 배우지 못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 경우 기술머신 등으로 기술을 가르쳐야 한다.
- 통신 교환: 다른 유저나 게임 내 NPC와 포켓몬을 교환하면 진화한다. 특정 도구를 지니게 하고 교환하면 진화하는 경우도 있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진화 요인이 있으며, 포켓몬의 종류마다 고유한 상황에서 진화가 일어난다. 진화가 일어나면 고유한 애니메이션이 나타나며, B버튼을 눌러 진화를 취소할 수도 있다. 이를 '진화캔슬'이라고 한다.[19]
포켓몬을 진화시키는 것은 포켓몬 도감 완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이다.[19]
예를 들어 아차모는 진화하면 영치코가 되고, 더 진화하면 번치코가 된다. 진화하면 다른 포켓몬이 되므로 능력이 바뀐다. 대부분의 경우 능력이 상승하지만, 스라크에서 핫삼으로 진화하는 것처럼 일부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망나뇽에서 망나뇽으로 진화하면 타입이 추가되거나 바뀌고, 게을로에서 게을킹으로 진화하면 특성이 변하기도 한다. 또한, 진화 전 포켓몬만의 방어력을 대폭 상승시키는 아이템 "진화의 휘석"도 있어, "진화한 쪽이 강하다"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진화시키는 타이밍에 따라 최종 능력치에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다.[199]
레벨 업으로 진화하면 레벨 업으로 배우는 기술을 배우는 레벨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영치코는 "에어컷터"를 레벨 50에 배울 수 있지만, 번치코로 진화하면 레벨 59가 되어야 배울 수 있다. 또한, 일부 배울 수 있는 기술이 바뀌거나, 추가되거나 없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차모가 배울 수 있는 "불꽃의 소용돌이"는 영치코 이상으로 진화하면 "벌크업"으로 대체된다. 8세대 및 일부 포켓몬을 제외하고 "진화의 돌"을 사용하여 진화시키는 경우에는 기술을 레벨 업으로 거의 배우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단, 통신 교환에 의해 진화하는 포켓몬의 경우에는 그러한 현상은 별로 없다.[199]
7. 3. 기술 시스템
포켓몬스터 게임의 대부분은 포켓몬 간의 대결, 즉 '포켓몬 배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포켓몬을 강화하고 게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포켓몬 배틀은 턴제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어는 최대 여섯 마리의 포켓몬을 데리고 다닐 수 있으며, 전투 시에는 1:1 대결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포켓몬의 체력(HP)이 0이 되면 기절 상태가 되어 전투에 참여할 수 없게 된다. 상대방의 모든 포켓몬을 기절시키면 배틀에서 승리한다.
전투에서 이기면 돈과 경험치를 얻고, 경험치가 쌓이면 포켓몬의 레벨이 올라 능력이 강해진다. 모든 포켓몬과 기술은 '타입'이라는 속성을 가지며, 총 18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노말, 불꽃, 물, 풀, 전기, 얼음, 격투, 독, 땅, 비행, 에스퍼, 벌레, 바위, 고스트, 드래곤, 악, 강철, 페어리)
각 타입은 서로 상성 관계를 가지며,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상대방 포켓몬의 타입에 유리한 타입의 포켓몬을 내보내거나,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타입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7. 4. 포켓몬의 타입
모든 포켓몬과 포켓몬의 기술은 종류별로 타입이라는 속성을 띠고 있으며, 여러 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그리고 각각의 타입 사이에는 서로 물고 물리는 상성 관계가 존재한다. 포켓몬 배틀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사용하는 타입의 기술에 유리한 타입 포켓몬을 내보내거나, 상대 포켓몬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타입의 기술을 사용하는 등 타입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모두 18개의 타입(노말, 불꽃, 물, 풀, 전기, 얼음, 격투, 독, 땅, 비행, 에스퍼, 벌레, 바위, 고스트, 드래곤, 악, 강철, 페어리)이 있다.포켓몬의 타입은 각 포켓몬과 기술의 강점과 약점을 결정하는 속성이다. 이러한 타입은 가위바위보 스타일의 관계를 맺는다. 포켓몬은 약한 타입의 공격 기술에 두 배의 피해를 입고, 저항하는 타입의 기술에는 절반의 피해를 입는다.[16] 일부 타입은 데미지 차트와 관련 없는 특별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타입은 특정 상태 이상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17]
7. 5. 포켓몬의 상태 이상
모든 포켓몬은 그 성질을 나타내는 '타입'을 가지며, 이는 다른 RPG의 속성에 해당한다. 각 타입에는 이미지 컬러가 설정되어 있다.타입은 총 18종류이며, 포켓몬은 종류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타입을 가진다. 예를 들어 피카츄는 전기 타입, 갸라도스는 물/비행 타입이다. 포켓몬이 배우는 기술에도 타입이 설정되어 있으며, 포켓몬은 자신의 타입과 같은 타입의 기술을 많이 배운다. 피카츄는 「전기자석파」, 「10만 볼트」, 「볼부비부비」 등 전기 타입 기술을 주로 배운다.
기술 타입과 포켓몬 타입 간에는 상성이 있어, 조합에 따라 효과가 커지거나 반대로 효과를 잃는다. 전기 타입 기술은 물/비행 타입 포켓몬에게 큰 효과를 주지만, 풀/전기 타입 포켓몬에게는 효과가 적고, 땅 타입 포켓몬에게는 통하지 않는다. 「미래예지」, 「엉뚱한힘」 등 일부 기술은 상대 타입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효과가 없거나 약한 타입에 대한 공격을 유효하게 하는 기술[211], 특성 「옹골참」, 아이템도 있다. 타입 변경/추가 기술(「텍스처」, 「변색」, 「물붓기」 등) 및 특성(「변신」, 「변환자재」)도 늘었다. 특정 타입 기술을 무력화/경감하는 특성(「부유」, 「두꺼운지방」)의 효과를 무시하는 특성(「깨어진갑옷」)도 있다.
각 타입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타입 | 이미지 컬러 | 설명 | Z 기술 | 다이맥스 기술 | 비고 |
---|---|---|---|---|---|
노말 | 흰색 | 기본 타입. 개, 고양이, 쥐 등 소형·중형 포유류가 많다. 다양한 타입의 기술을 배워 초심자도 다루기 쉽다. 물리 공격(「몸통박치기」, 「전광석화」, 「젖어들기」, 「돌진」)과 음파/에너지체 기술(「트라이어택」, 「하이퍼보이스」, 「파괴광선」)이 있다. 약점은 격투 타입뿐, 고스트 타입과는 서로 무효. 전문 사천왕 없음. | 울트라대시어택 (맹렬한 돌진 후 짓밟기) | 다이 어택 (상대 전체 스피드 1단계 하락) | 최고 위력 기술은 「대폭발」(250, 사용 후 기절). 「울트라대시어택」 지정 시 위력 200 (기절 없음). |
불꽃 | 빨강 | 불꽃/열을 다루는 포켓몬. 여우, 원숭이, 도마뱀 등 육상 동물, 난색 체색, 화산 서식. 작열하는 불꽃 공격, 불꽃을 두른 타격 기술. 드래곤 타입도 불꽃 기술을 배운다. 「소멸」은 자신 불꽃 타입 제거 기술. 땅/격투 타입에 강하고, 강철 타입 다음으로 내성이 많다. | 다이내믹 풀 플레임 (거대 불덩이 폭발) | 다이 번 (날씨를 「햇살이 강하다」로) | 삼재해 특성 「맹화」, 최종 진화형 「블러스트번」, 전체 진화 계통 「불꽃의 맹세」. 「화상」 상태 없음. 얼음 타입에 강하나 「얼음」 상태는 가능. |
물 | 파랑 | 물(바다, 강, 연못, 늪, 호수) 서식 포켓몬. 담수/해수 서식. 해수: 고래, 물범, 상어, 가오리, 해마, 조개, 게, 불가사리, 해파리 등. 담수: 금붕어, 개구리, 가재, 메기 등. 수중전, 물 분출, 파도/급류 기술. | 슈퍼 아쿠아 토네이도 (물속으로 끌어들여 소용돌이) | 다이 스트림 (날씨를 「비」로) | 삼재해 특성 「급류」, 최종 진화형 「하이드로캐논」, 전체 진화 계통 「물의 맹세」. |
풀 | 녹색 | 수목/풀꽃 등 삼림/자연 관련 포켓몬. 녹색 체색. 식물, 동물 몸에서 풀/나무 성장. 숲, 초원, 습지대, 건조 지대 서식. 덩굴 채찍, 잎 칼/수리검, 씨앗 저격, 체력 흡수 기술. 약점 최다. 전문 사천왕 없음. | 블룸 샤인 엑스트라 (꽃밭에서 식물 에너지 방출, 꽃 개화) | 다이 소우겐 (그래스 필드 전개) | 삼재해 특성 「심록」, 최종 진화형 「하드플랜트」, 전체 진화 계통 「풀의 맹세」. 제6세대 이후 가루 기술, 「씨뿌리기」 무효, 특성 「포자」 무효. |
전기 | 노란색 | 번개 등 전기 조종 포켓몬. 피카츄 포함. 노란색 체색, 기계적 모습. 풀숲, 동굴, 시가지, 전력 시설 서식. 고압 전류 공격, 전기 두른 타격, 기술 강제 전기 타입화. 약점은 땅 타입뿐, 특성 「부유」/「전기자석부유」 조합 시 약점 없음. 전문 체육관 관장 많음, 전문 사천왕 없음. | 스파킹기가볼트 (고압 전류 다발, 번개 작렬) | 다이 선더 (일렉트릭 필드 전개) | 제6세대 이후 「마비」 없음. 제7세대 이후 전기 타입 외 「전기자석파」 명중률 감소. |
얼음 | 아쿠아 블루 | 냉기/얼음/눈 조종 포켓몬. 푸르스름한 체색, 폭설 지대 등 추운 곳 서식. 추위/눈/얼음 덮인 몸. 겨울에 사람 앞에 출현. 냉기로 얼리기, 눈/얼음 덩어리 공격. 내성은 얼음 타입뿐. 불꽃 타입과 함께 땅/격투 타입에 강하고, 약점은 풀/바위 타입 다음. | 레이징 지오 프리즈 (얼음 기둥 발판, 냉기 발사, 얼음 덩어리 분쇄) | 다이 아이스 (날씨를 「싸라기눈」으로) | 「싸라기눈」 피해 없음, 「얼음」 상태 없음. 제7세대 이후 「절대영도」 무효, 얼음 타입 외 「절대영도」 명중률 감소. |
격투 | 적갈색 | 사람/근육질 포켓몬. 프로레슬링, 복싱, 스모, 가라데, 유도 등 격투기. 싸움/투쟁 선호. 「공중날기」, 「날아차기」, 「바위깨기」 등 격투기 물리 공격. 기합/파동 에너지 기술. 특기 타입 최다. 노말 타입 유일 약점, 고스트 타입에 공격 무효, 벌레 타입과 서로 공격 효과 적음. 전문 체육관 관장/사천왕 등장. | 전력무쌍격렬권 (연속 타격, 마무리 일격, 암반 내리치기) | 다이 너클 (아군 전체 공격 1단계 상승, 위력 낮음) | |
독 | 자색 | 독물/유해 물질. 유독 생물, 유해 폐기물/유독 가스 출신 포켓몬. 독액/가스 발사, 독 바늘/촉수 공격. 제5세대까지 풀 타입에만 유효, 제6세대 이후 페어리 타입에도 유효. 초창기 벌레 타입에도 유효. 악 타입과 조합 시 약점 땅 타입뿐, 특성 「부유」 조합 시 약점 에스퍼 타입뿐. 악의 조직 사용. | 애시드 포이즌 딜리트 (독가스/오물, 오물 바다) | 다이 애시드 (아군 전체 특공 1단계 상승, 위력 낮음) | 「독」 상태 없음. 제6세대 이후 「독압정」 필중, 「구멍파기」/「공중날기」 중 명중. 「독압정」 소멸/무력화 가능. 독 관련 유리. |
땅 | 황토색 | 모래/흙/진흙 등 대지 관련 포켓몬. 황무지, 산악 지대, 사막 서식. 진흙 발사, 땅 흔들기. 전기 타입 공격/「전기자석파」 무효, 「젖어들기」, 「팔수」, 「용의숨결」, 「트라이어택」 추가 효과, 「저리가루」, 「헤롱헤롱」, 특성 「포자」, 땅 타입 없는 아군 「거다이충전」/「거다이번개」 마비, 특성 「정전기」 유효. 특기 타입 최다. | 라이징 랜드 오버 (지저 심원부, 지저 에너지 분출) | 다이 어스 (아군 전체 특방 1단계 상승) | 날씨 「모래바람」 피해 없음. |
비행 | 스카이 블루 | 새, 박쥐, 날개 달린 벌레/용 등. 공중전 특기. 날개/부리 타격, 강풍, 바람 압축 공격. 새 포켓몬 대부분 노말 타입 복합(제5세대 첫 비복합 등장). 땅 타입 공격 무효, 「날개쉬기」 사용/「유턴」 피격/「중력」 영향 시 땅 기술 유효. 유효/약점 타입 수 동일, 복합 타입에 따라 증감. 「모래뿌리기」, 「독압정」, 「끈적끈적네트」, 특성 「모래지옥」 무효, 「그래스 필드」 효과 없음. 특성 「부유」 포켓몬 동일 효과. | 파이널 다이브 크래시 (급강하, 충격으로 땅/상대 분쇄) | 다이 제트 (아군 전체 스피드 1단계 상승) | |
에스퍼 | 마젠타 | 초능력 사용 포켓몬. 생각 읽기/마음 조종 등 불가사의한 습성/특기. 염력/신통력 공격, 최면술/순간이동, 공간 왜곡, 능력 변화/특성 교체. 격투 타입처럼 사람 모습, 전문 체육관 관장/사천왕 등장. 제1세대 약점/유효 기술 적음, 제2세대 벌레/고스트 타입 강력 기술, 악/강철 타입 등장으로 약화. | 맥시멈 사이브레이커 (이차원 공간 염력, 벽 충돌, 공간/벽 분쇄) | 다이 사이코 (사이코 필드 전개) | |
벌레 | 연두색 | 벌레 계열 포켓몬. 나비, 사슴벌레, 사마귀, 잠자리, 반딧불이, 나방, 거미, 벌, 지네 등. 숲 서식, 독/비행 타입 복합. 「실뿜기」, 「벌레먹음」, 「벌레의저림」, 「반딧불이」 등 벌레 기술. 전갈/개미귀신 등 예외. 진화 속도 빠름(최소 레벨 10). 유효/약점 타입 수 동일. | 절대포식회전참 (실로 고치, 휘두르기, 공중, 베기) | 다이 웜 (상대 전체 특공 1단계 하락) | |
바위 | 회색 | 암석 모티프, 동굴/산악 지대 서식. 울퉁불퉁 외견, 강력 방어력, 비 오는 날 동굴. 화석 복원 고대 포켓몬, 보석 모습 등 광물 특징. 수목 의태. 암석 발사/낙하 기술. 불꽃/얼음 타입처럼 특기 타입 많음(격투/땅 타입 다음). 약점 최다. | 월즈 엔드 폴 (거대 바위 덩어리 낙하) | 다이 록 (날씨를 「모래바람」으로) | 날씨 「모래바람」 피해 없음. 제4세대 이후 「모래바람」 상태 특방 1.5배. |
고스트 | 자색 | 유령, 실체 없음, 투명, 기척 숨김, 벽 통과, 그림자, 영계 왕래, 정체불명 에너지 등 신출귀몰 포켓몬. 저주/원한 등 부정적 감정 에너지. 묘지, 동굴, 폐허, 야간 옥외 등 어둡고 쓸쓸한 곳 서식. 생사 관련 도시 전설. 영체, 봉제 인형/호박/양초 혼, 전생 인간. 그림자/도깨비불 조종, 죽은 동료 혼. 환각, 그림자 실체화 기술. 노말/격투 타입 공격 무효. 노말 타입 상대 시 서로 타입 기술 무효. 악 타입 복합 시 약점 페어리 타입뿐. 격투 타입처럼 사천왕 사용. 전용 기술 외 위력 100 이상 기술 제8세대 「갑옷의 외딴섬」까지 미등장. | 무한암야로의 권유 (황야, 그림자, 그림자 폭발) | 다이 홀로우 (상대 전체 방어 1단계 하락) | 「실뿜기」, 「길막」, 「검은눈빛」, 특성 「그림자밟기」 무효, 교대/도주 가능. |
드래곤 | 네이비 | 날개/손발 유무 상관없이 긴 꼬리 용. 험준한 산/동굴 등 서식, 사람 조우 어려움, 마음 통하기 어려움, 신성 생물 숭배. 현명함, 고귀함, 힘, 다양한 내면(화 잘 냄/음식 주면 따름, 화나면 위험/평소 상냥). 호쾌한 공격 기술. 비행 타입 복합. 진화 속도 느림(최대 레벨 64). 격투/고스트 타입처럼 사천왕/챔피언 사용. | 얼티미트 드래곤번 (에너지 용, 폭발) | 다이 드래군 (상대 전체 공격 1단계 하락) | 제1세대 「용의분노」뿐, 제2세대까지 포켓몬/기술 적음, 제3세대 이후 증가. 스테이터스 높음, 제4/5세대 패키지 전설 포켓몬 드래곤 타입. 제4세대 「용성군」 드래곤 타입 특수 기술 최고 위력, 친밀도 높은 드래곤 타입 습득 가능, 사용 후 특공 2단계 하락. 드래곤 타입 물리 기술 최고 위력 「분노」, 종료 후 혼란. 제5세대까지 약점 얼음/드래곤 타입뿐, 드래곤 타입 공격 반감 타입 강철 타입뿐. 제6세대 페어리 타입 등장, 드래곤 타입 공격 무효, 약점 증가. |
악 | 검정 | 『금·은』부터 등장. 어둠/파괴 관련, 난폭, 냉철, 사악, 야성적 포켓몬. 본능적 괴롭힘, 행동 방해 기술. 재앙/불행 초래 오해(미신), 성격 나쁘지 않은 포켓몬 존재. 사천왕 전문, 섬 킹(『썬·문』), 체육관 관장(『소드·실드』) 외 전문가 오랫동안 없음. 독 타입처럼 악의 조직 단원/보스 사용. 독 타입 복합 시 땅 타입뿐, 고스트 타입 복합 시 페어리 타입만 약점. 전용 기술 외 위력 100 이상 기술 없는 유일 타입. 에스퍼 타입 공격/특성 「짓궂은마음」 변화 기술 무효. | 블랙홀 이클립스 (암흑 에너지, 모든 것 흡수, 폭발) | 다이 아크 (상대 전체 특방 1단계 하락) | |
강철 | 은색 | 『금·은』부터 등장. 강철 등 기계/금속. 무겁고 튼튼한 바위 타입과 유사, 매끄러운 곡선/칼날 몸. 철 외 청동/듀랄루민, 금속 성분 불명. 금속 몸/몸 일부 경화, 부딪히기, 치기, 베기 등 물리 공격, 빛 발사 기술. 내성 최다, 제6세대 이후 고스트/악 타입 공격 내성 없음. | 초절나선연격 (드릴 회전, 대지, 들이받기, 짓누르기) | 다이 스틸 (아군 전체 방어 1단계 상승) | 독 타입 공격/「독」 상태 없음. 땅/바위 타입처럼 「모래바람」 피해 없음. 특성 「자력」 상대 시 교대/도주 불가. |
페어리 | 분홍 | 『X·Y』부터 등장. 요정/정령 모티프 판타지 타입, 전설 포켓몬 많음, 풀숲, 숲, 동굴, 시가지 등 흔한 곳 서식. 귀엽거나 아름다운 외견, 격투/악/드래곤 타입에 유효, 드래곤 타입 기술 무효. 독/강철 타입 약점. 신비적 빛/에너지 공격 기술, 대부분 특수 기술. 노말/풀/전기 타입처럼 전문 사천왕 없음. | 러블리스타 임팩트 (신비 공간, 접근, 키스 충격) | 다이 페어리 (미스트 필드 전개) | 제8세대 「갑옷의 외딴섬」 「미스트 버스트」 등장 전까지 전용 기술 외 위력 100 이상 기술/가르침 기술 없음. |
공격 기술의 경우, 기술 타입과 사용자 타입이 같으면 데미지는 1.5배. 특성 「적응력」 포켓몬은 2배(효과 굉장함, 무효 제외).
데미지 없는 기술(제4세대 이후 「변화기술」)은 타입 영향 없음. 고스트 타입 「이상한빛」은 노말/에스퍼 타입에 유효. 상태 이상 기술은 무효 타입에 효과 없음.[212]
체육관 관장/사천왕 소유 포켓몬은 특정 타입 편중. 일반 트레이너도 편중 타입 사용.[213]
상대 속성/상성 알면 공략 용이, 포켓몬 마스터 등용문. 이미지 주체, 순수 타입 특화 아닌 경우 존재. 작품상 속성 포켓몬 종류 적음. 제1세대 현저, 국화[214], 목호[215] 예시. 『다이아몬드·펄』 전진(전기 타입), 오엽(불꽃 타입) 전문, 전기/불꽃 타입 적음, 전진 대왕오징어(「차지빔」), 오엽 강철톤(「불꽃엄니」) 등 비전문 타입 포켓몬 사용. 『플라티나』 클리어 전 야생 출현 종류/도감 페이지 변경, 파티 타입 통일.
왼쪽 공격측, 위 방어측(각 포켓몬 특성/장 상황 등 효과 미고려).
{|style="font-size:small;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 style="font-weight:bold" | 타입 상성표
|-
|rowspan="2" colspan="2" style="background:#eee"|
!colspan="18" style="background:#aae;"|공격을 받는 포켓몬의 타입
|-
!style="width:1.5em"|노말
!style="width:1.5em"|불꽃
!style="width:1.5em"|물
!style="width:1.5em"|전기
!style="width:1.5em"|풀
!style="width:1.5em"|얼음
!style="width:1.5em"|에스퍼
!style="width:1.5em"|격투
!style="width:1.5em"|독
!style="width:1.5em"|땅
!style="width:1.5em"|비행
!style="width:1.5em"|벌레
!style="width:1.5em"|바위
!style="width:1.5em"|고스트
!style="width:
7. 6. 날씨
포켓몬이 기술로 공격했을 때 받는 피해량은 공격하는 쪽의 "레벨", "공격", "특수공격", 방어하는 쪽의 "방어", "특수방어", 그리고 타입 상성에 따라 달라진다.[26] 급소에 맞으면 평소보다 더 큰 피해를 준다.포켓몬 기술은 크게 "물리" 공격과 "특수" 공격으로 나뉜다. 물리 공격은 공격하는 포켓몬의 "공격"이 높을수록 피해량이 커지고, 방어하는 포켓몬의 "방어"가 높을수록 피해량이 작아진다. 특수 공격은 "특수공격"과 "특수방어" 능력치가 피해량에 영향을 준다.
어떤 기술이 물리 공격이고 특수 공격인지는 세대별로 기준이 다르다.
- 3세대까지는 기술 타입에 따라 결정되었다.
- 4세대부터는 각 기술별로 물리/특수 공격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불꽃 펀치" (불꽃), "아쿠아 브레이크" (물), "번개의 엄니" (전기) 등 직접 상대를 때리는 기술이나, "씨폭탄" (풀), "얼음 뭉치" (얼음)처럼 고체를 던져 공격하는 기술은 물리 기술이다. 반면 "오물웨이브" (독), "벌레의 외침" (벌레)처럼 액체, 기체, 소리 등을 이용하거나, "파괴광선" (노말), "기합구슬" (격투)처럼 에너지나 빛으로 공격하는 기술은 특수 기술이다.
7. 7. 필드
포켓몬스터 게임에서 배틀은 중요한 부분이며, 다양한 상태 이상이 배틀에 영향을 미친다. 상태 이상은 포켓몬이 특정 기술을 받거나 특정 상태에 놓였을 때 발생하며, 배틀 중이나 이동 중에도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상태혼란 헤롱헤롱 씨뿌리기 도망 못 쳐 등은 상태 이상은 아니지만 배틀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태는 포켓몬이 전투에서 벗어나면 회복된다.[217][218][219][220]
포켓러스포켓러스는 상태 이상은 아니지만, 포켓몬에게 유익한 바이러스와 같은 존재이다. 감염된 포켓몬은 배틀 후 기초 포인트 상승이 촉진된다.[216]
7. 8. 도구
포켓몬스터 게임의 '포켓몬 배틀'에서는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전략적인 전투를 펼칠 수 있다.
몬스터볼야생 포켓몬과의 배틀 중, 몬스터볼을 던져 포획을 시도할 수 있다.[18] 포획에 성공하면 해당 포켓몬의 정보가 포켓몬 도감에 기록되며, 플레이어는 포켓몬을 데리고 다니거나 '박스'에 보관할 수 있다.
7. 9. 포켓몬의 특성
포켓몬은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투와 게임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 3세대부터 추가된 특성은 포켓몬마다 1~3가지 종류가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2가지 특성 중 하나를 가지지만, 특정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포켓몬은 '숨겨진 특성'이라는 특별한 특성을 가지기도 한다.[13]특성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낸다.
- 공격력, 방어력, 스피드 등 능력치 변화
- 공격 시 상대에게 추가 효과 부여
- 타입 상성을 무시하고 공격
- 상대의 특정 기술이나 효과 무효화, 데미지 감소
- 날씨 변화
- 특정 조건에서 포켓몬의 모습이나 능력 변화
예를 들어, '일렉트릭메이커' 특성을 가진 포켓몬은 전투에 나오면 일렉트릭필드 상태를 만들어 전기 타입 기술의 위력을 높이고, '잠듦' 상태를 방지한다. '미스트메이커' 특성은 미스트필드를 발생시켜 상태 이상을 막고 드래곤 타입 기술의 위력을 낮춘다. 이처럼 특성은 전투의 전략을 다양하게 만들고, 포켓몬의 개성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8. 통신 시스템
통신 케이블이나 무선 어댑터, 닌텐도 DS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은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묘미 중 하나이다.
포켓몬스터 시리즈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며, 같은 그룹 내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통신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다른 그룹과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통신이 불가능하다.
통신 가능 그룹 |
---|
『포켓몬스터 적·녹·청·피카츄』, 『포켓몬스터 금·은·크리스탈』, 『포켓몬 스타디움』 시리즈 |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 『포켓몬스터 디아루가·펄기아·PT 기라티나』,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포켓몬스터 블랙2·화이트2』, 『포켓몬스터 X·Y』,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포켓몬스터 적·녹·청·피카츄 (VC판)』, 『포켓몬스터 썬·문·울트라썬·울트라문』, 『포켓몬스터 금·은·크리스탈 (VC판)』, 『포켓몬 박스』, 『포켓몬 콜로세움』, 『포켓몬 XD』,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 『포켓몬 목장』 |
트레이너가 배틀 중에 사용할 수 있는 도구에는 「몬스터볼」처럼 야생 포켓몬을 포획하는 것, 「상처약」, 「맛있는물」 등 HP를 회복시키는 것, 「해독약」, 「마비치료」 등 상태 이상을 치료하는 것, 「플러스파워」, 「스피드업」 등 일시적으로 능력치를 올리는 전투용 도구 등이 있다. 이들은 전투용 아이템을 제외하고, 통신 대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2세대 이후부터는 포켓몬에게 도구를 하나만 지니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RPG에서의 장비와 같은 것으로, 특정 타입 기술의 위력을 높이거나, 특정 특성과 같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열매를 지니게 함으로써 배틀 중에 특정 타이밍에 포켓몬이 그 열매를 먹어 자동적으로 HP 회복이나 능력 상승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보유한 특성이나 기술과의 연관성으로, 스스로 「화상」이나 「맹독」 등의 상태 이상을 걸기 위한 아이템을 장비함으로써 공격력이나 스피드 등을 높이는 경우도 있다.
8. 1. 통신 대전
통신 케이블이나 무선 어댑터, 닌텐도 DS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다른 플레이어와 포켓몬 배틀을 할 수 있다. 기본적인 게임 시스템은 본편과 같지만, 도구를 직접 사용할 수는 없다. 하지만 배틀 전에 포켓몬에게 도구를 지니게 하여 공격력이나 방어력을 높이거나, 상태 이상을 자동으로 회복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이러한 도구들은 배틀이 끝나면 원래대로 돌아온다.금·은 이후 버전부터는 배틀의 승패가 기록되지만, 스토리 진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트레이너 팬클럽의 인기도에는 영향을 줄 수 있다. 배틀에서 져도 페널티는 없다.
전국 챔피언을 결정하는 공식 대회가 통일된 규칙 아래 개최되기도 한다. 또한, 개인적인 오프라인 모임에서도 통신 대전은 인기가 많다.
포켓몬스터DP 이후 버전에서는 닌텐도 Wi-Fi 커넥션 등을 통해 인터넷 통신으로 대전을 즐길 수 있다.
- 지인 간의 대전: 서로 "친구 코드"를 "친구 수첩"에 등록하여 일반적인 통신 대전과 같은 방식으로 대전을 할 수 있다.
- 모르는 사람과의 대전:
- 배틀 타워 Wi-Fi 배틀 룸/배틀 서브웨이 Wi-Fi 트레인: 서버에 있는 트레이너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대전할 수 있다. 레벨별 방은 없으며, 등록 가능한 메시지의 자유도가 낮다.
- 랭크 매치: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이후 버전부터 등장. "친구 코드"를 등록한 플레이어뿐만 아니라, 무작위로 매칭된 상대와 실시간으로 대전할 수 있다. 비슷한 대전은 4세대에서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을 통해 가능했다.
8. 2. 통신 교환
통신 케이블이나 무선 어댑터, 닌텐도 DS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다른 플레이어와 포켓몬을 교환할 수 있다. 이는 포켓몬 도감을 완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24]같은 그룹 내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통신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다른 그룹과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통신이 불가능하다.
통신 가능 그룹 |
---|
『포켓몬스터 적·녹·청·피카츄』, 『포켓몬스터 금·은·크리스탈』, 『포켓몬 스타디움』 시리즈 |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 『포켓몬스터 디아루가·펄기아·PT 기라티나』,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포켓몬스터 블랙2·화이트2』, 『포켓몬스터 X·Y』,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포켓몬스터 적·녹·청·피카츄 (VC판)』, 『포켓몬스터 썬·문·울트라썬·울트라문』, 『포켓몬스터 금·은·크리스탈 (VC판)』, 『포켓몬 박스』, 『포켓몬 콜로세움』, 『포켓몬 XD』,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 『포켓몬 목장』 |
시리즈에서 처음 발매되는 한 쌍의 두 카트리지를 모두 갖추면, 적어도 그 지방에 존재하는 포켓몬을 모두 모을 수 있다. 『청(포켓몬스터)』이나 『에메랄드(포켓몬스터)』와 같은 마이너 체인지 버전은 처음 두 버전 모두 없으면 모든 포켓몬을 모을 수 없다.
다른 플레이어가 잡은 포켓몬은 경험치를 더 많이 얻지만, 체육관 배지를 모두 획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벨에 따라 플레이어의 지시를 듣지 않을 수 있다.
4세대 이후에는 플레이어가 사는 현실의 지명을 등록하여 교환 상대가 등록한 지명을 지구본 "지오넷"에 기록할 수 있다.
== 타임 캡슐 ==
특정 이벤트 발생 이후 『포켓몬스터 금·은·크리스탈』에서 전작인 『포켓몬스터 적·녹·청·피카츄』와 통신할 때 사용된다. 『포켓몬스터 적·녹·청·피카츄』에 존재하지 않는 포켓몬이나 기술을 익힌 포켓몬은 보낼 수 없다.
== 팔 파크 ==
닌텐도 DS의 듀얼 슬롯 기능을 이용하여 제3세대 소프트웨어의 포켓몬을 제4세대 소프트웨어로 전송할 때 사용한다. 제3세대 게임 내 「파크존」에 GBA판 포켓몬을 놓아두고 다시 잡는 방식으로 제4세대에 추가할 수 있지만, 제3세대로 되돌릴 수는 없다.
== 떨어진 플레이어와의 통신 ==
『포켓몬스터DP』 이후에는 닌텐도 Wi-Fi 커넥션 등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 지인 간의 교환·대전: 서로 "친구 코드"를 "친구 수첩"에 등록하여 이용한다.
- 모르는 사람과의 교환 (GTS, 글로벌 트레이드 스테이션): 원하는 포켓몬과 제공할 포켓몬을 제시하여 등록하면 조건에 맞는 사람과의 교환을 주선해 준다.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포켓몬스터 블랙2·화이트2』에서는 "GTS 네고시에이션"을 통해 서로 교환하고 싶은 포켓몬을 보여주며 교환할 수 있다.
- 『포켓몬스터 X·Y』,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는 원하는 포켓몬을 직접 입력할 수 있지만, 일부 특별한 포켓몬은 교환에 내놓을 수 없다.
- 모르는 사람과의 대전 (배틀 타워 Wi-Fi 배틀 룸/배틀 서브웨이 Wi-Fi 트레인): 서버에 있는 트레이너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싸울 수 있다.
- 모르는 사람과의 놀이 (Wi-Fi 광장): 『포켓몬스터 Pt 기라티나』,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에 등장하며, 같은 방에 최대 20명까지 들어가 미니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 랭크 매치: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이후에 등장하며, 매칭된 상대와 실시간으로 대전할 수 있다.
8. 3. 떨어진 플레이어와의 통신
통신 케이블이나 무선 어댑터, 닌텐도 DS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은 시리즈의 묘미 중 하나이다.[3] 인터넷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특수한 통신으로, 원거리의 플레이어끼리 포켓몬의 통신 교환이나 대전을 할 수 있다.[4]지인끼리 통신하는 경우 전화나 메일 등으로 연락을 주고받으면 되므로 특별한 의사 소통 수단은 필요하지 않지만, DS판의 닌텐도 Wi-Fi 커넥션에서는 서로 등록한 지인끼리의 통신에서 마이크를 사용하여 보이스챗을 이용할 수도 있다.[4]
한편, 처음 보는 사람과 교환·대전을 할 때 플레이어 간의 의사 소통은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크리스탈』에서는 32자까지 자유롭게 문자 입력이 가능한 아이템 「메일」을 포켓몬에게 지니게 하여 교환할 수 있었다.[4] 『크리스탈』에서는 모바일 어댑터 GB를 사용한 통신이 가능하다.[4]
- 지인 간의 교환 · 대전: 서로 휴대전화 번호를 등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통신 교환이나 대전과 같은 요령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전화 요금 대책인지, 1일당 10분까지라는 제한이 있다. 서버를 거치지 않으므로 서비스가 종료된 현재에도 이용 가능하다.[4]
- 모르는 사람과의 교환(포켓몬 커뮤니케이션 센터) (현재는 서비스 종료): 원하는 포켓몬과 제공할 포켓몬을 표시하여 등록하면, 조건에 맞는 사람과의 교환을 중개해준다. "발견한 포켓몬"으로 등록된 포켓몬만 요구할 수 있다. 제작사가 준비한 특별한 포켓몬의 데이터를 받을 수도 있었다.[4]
- 모르는 사람과의 대전(배틀 타워) (현재는 서비스 종료): 서버에 있는 트레이너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싸울 수 있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 트레이너는 이전에 이 서비스를 이용한 플레이어이며, 간접적으로 다른 플레이어와 배틀을 할 수 있다(조작은 컴퓨터). 어느 정도의 성적을 거두면 자신이 서버에 등록될 수도 있다. 레벨 상한이 10에서 100까지 10단계의 배틀 룸을 선택할 수 있었다.[4]
『포켓몬스터DP』 이후에는 닌텐도 Wi-Fi 커넥션 등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크리스탈』과 마찬가지로, 지인 간 및 모르는 사람과의 교환·대전을 할 수 있다.[4]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모르는 사람과의 교환 (GTS, 글로벌 트레이드 스테이션): 원하는 포켓몬과 제공할 포켓몬을 제시하여 등록하면, 조건에 맞는 사람과의 교환을 주선해 준다. "발견한 포켓몬"만 요구할 수 있지만, 포켓몬을 요구한 시점에서 그 포켓몬을 등록한 플레이어가 표시되며, 조건이 맞으면 즉시 교환할 수 있다.[4]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에서는 "GTS 네고시에이션"이 있어, 서로 교환하고 싶은 포켓몬을 보여주며 교환할 수도 있다.[4]
- 『포켓몬스터 X·Y』, 『포켓몬스터 오메가 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는 원하는 포켓몬을 직접 입력할 수 있지만, 일부 특별한 포켓몬은 교환에 내놓을 수 없게 되었다.[4]
- 모르는 사람과의 대전 (배틀 타워 Wi-Fi 배틀 룸/배틀 서브웨이 Wi-Fi 트레인): 서버에 있는 트레이너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싸울 수 있는 서비스. 『크리스탈』과 마찬가지지만 레벨별 방은 없어지고, 등록할 수 있는 메시지의 자유도도 대폭 감소했다.[4]
- 모르는 사람과의 놀이 (Wi-Fi 광장): 『포켓몬스터 Pt 기라티나』,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에 등장. 같은 방에 최대 20명까지 들어가 미니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4]
- 랭크 매치: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이후에 등장. "친구 코드"를 등록한 플레이어끼리의 통신 (대전만)뿐만 아니라, 랜덤으로 매칭된 상대와 실시간으로 대전할 수 있다. 4세대에서는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을 사용함으로써, 비슷한 대전이 가능했다.[4]
8. 4. 그 외의 통신
통신 케이블이나 무선 어댑터, 닌텐도 DS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은 시리즈의 묘미 중 하나이다.[11] 작품별로 존재하는 특수한 통신 플레이는 다음과 같다.- '''이상한 선물'''
- * 『금·은·크리스탈』』에서는 게임보이 컬러의 적외선 포트를 이용한 통신으로, 서로 무작위로 아이템을 얻을 수 있었다. 포켓몬 피카츄 컬러와의 통신도 가능했다.
- * 『파이어레드·리프그린』이나 『에메랄드』에서는 조이스폿에서의 캠페인에 사용되었다. 플레이어끼리의 통신은 불가능하며, 프렌들리 숍의 앙케이트에 암호를 입력해야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무선 어댑터 미접속 시에는 표시되지 않았다.
- * 4세대 이후에는 게임 외 이벤트에서 사용되는 것 외에, 『배틀 레볼루션』과의 통신에도 사용되었다. 『다이아몬드·펄·플라티나』에서 이 모드를 나오게 하려면 "암호"를 입력하거나, 무선 배포가 진행되는 장소에서 게임을 시작해야 했다. 『하트골드·소울실버』 이후에는 구매 시 초기 시점부터 표준 장비였다.
- '''모바일/모바일 스타디움'''
- * 『크리스탈』에 등장. 주변 기기 "모바일 어댑터 GB"를 이용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업로드·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했다. 모바일 어댑터 GB를 연결하기 전까지는 이 항목이 표시되지 않았다.
- * 최신 포켓몬 정보나 플레이어 랭킹이 표시되거나, 특수한 도구를 입수할 수 있는 뉴스가 월간으로 배포되었다.
- * 공식 대회 입상자의 사용 포켓몬과 실제 배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포켓몬 스타디움 금·은』 상에서 도전이나 관전이 가능했다.
- '''이상한 이벤트'''
- *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에 등장. 캠페인으로 배포되는 특수한 데이터나, 카드e+에서 읽어들인 새로운 트레이너나 아이템을 추가할 수 있었다(에메랄드에서는 이 방법으로 카드 e+ 통신은 불가).
- '''이상한 받기'''
- * 『파이어레드·리프그린』과 『에메랄드』에 등장. 카드 e+에서 읽어들인 새로운 트레이너나 맵을 추가할 수 있었다. 나오게 하려면 "이상한 선물"과 동일한 절차가 필요하며, 무선 어댑터 접속 시에는 표시되지 않았다.
- '''레코드 섞기'''
- *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와 4세대에 등장. 서로의 모험 기록 일부를 공유한다. 통신 상대의 무용담이나 실패담이 게임 내 TV에서 이야기되기도 한다. 전작에서는 더 나아가 미리 만들어 둔 "비밀기지"가 통신 상대의 맵 상에 나오기도 한다.
- '''과자 만들기'''
- *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다이아몬드·펄·플라티나』에 등장. 서로의 "열매"를 가져와 "포록"이나 "포핀"을 만들 수 있었다.
- '''포켓몬 콘테스트'''
- *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다이아몬드·펄·플라티나』에 등장. 포켓몬의 매력을 겨루는 콘테스트. 포록이나 포핀으로 높인 컨디션을 선보이거나, 기술을 사용하여 공격이 아닌 연기를 어필했다.
- * 『다이아몬드·펄·플라티나』에서는 모은 액세서리로 치장하거나, 리듬에 맞춰 버튼을 누르는 댄스 심사도 추가된 "슈퍼 콘테스트"가 되었다.
- '''미니 게임'''
- * 『파이어레드·리프그린』, 『에메랄드』, 『플라티나』에 등장. 액션 게임인 "두트리오의 열매 나무", "미니 포켓몬으로 점프", "열매 크래시"가 있었다.
- '''유니언 룸'''
- * 『파이어레드·리프그린』, 『에메랄드』 이후, 5세대까지의 작품에 등장. 이 모드로 플레이하고 있는 플레이어가 근처에 있으면 그들이 화면 내에 표시되어, 간이 대전이나 교환을 신청하거나 채팅을 할 수 있었다. 무선 통신을 활용한 통신이라고 할 수 있다.
- * 4세대에서는 통신 교환이나 레코드 섞기는 기본적으로 모두 유니언 룸 내에서 했다. 터치펜으로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하나의 캔버스에 "그림 그리기"도 가능해졌다.
- '''빙글빙글 교환'''
- * 『플라티나』 이후의 작품에 등장. 서로 유니언 룸에 포켓몬의 알을 가져와, 미니 게임으로 무작위 교환할 수 있었다.
- '''지하통로'''
- * 『다이아몬드·펄·플라티나』에 등장. 기본적으로 혼자서 즐기는 미니 게임으로, 포켓몬의 화석이나 보석을 발굴하거나, 그것들과 교환한 굿즈를 이용하여 비밀 기지를 꾸밀 수 있었다. 하지만, 유니언 룸처럼 이 모드로 플레이하고 있는 플레이어가 근처에 있으면, 같은 지하 통로에 그것이 비밀 기지째 나와, 화석 발굴을 협력하거나, 도구를 교환하거나, 혹은 비밀 기지의 깃발을 빼앗거나 할 수 있었다.
- '''엇갈림 통신'''
- * 『블랙·화이트』부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까지에 등장. 근처에 있는 플레이어와 통신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었다.
- *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는 위의 "레코드 섞기"의 역할이 이것으로 옮겨졌다.
8. 5. 타 언어판과의 통신
통신 케이블이나 무선 어댑터, 닌텐도 DS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은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묘미 중 하나이다.[222]포켓몬스터 시리즈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며, 같은 그룹 내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통신 플레이가 가능하다. 하지만, 다른 그룹과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통신이 불가능하다.
포켓몬스터 비즈니스는 국제적으로 전개되어 게임도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다만 현재는 일본어 외에는 한글판 『금·은』 및 4세대 이후의 본편 소프트웨어를 제외하면 서양 언어의 것만 출시되어 있다. 따라서 중국어판 등은 다수의 해적판이 존재한다.
- '''『금·은』 이전''': 다른 언어판끼리의 통신은 문자 코드 문제 등으로 불가능하다. 억지로 시도할 경우 데이터에 이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고 하여, 공식 사이트에서도 하지 않도록 주의했다.
- '''『루비·사파이어』 이후의 GBA판끼리''': 일부 제한이 있지만 통신이 가능하며, 설명서 등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반공인으로 되어 있다.[222]
- 대전·교환·포켓몬 샐러드·콘테스트·미니 게임은 전면적으로 가능
- GBA판에서 일본어판과 그 외의 레코드 섞기는 『에메랄드』끼리만 가능
- GBA판 유니온 룸에서의 통신·카드 e의 융통·다른 기종(닌텐도 게임큐브 등)판과의 통신은 전면적으로 불가
- 파크・포켓 시프터는 언어가 같지 않으면 할 수 없지만, 같은 세대라면 포켓몬 교환은 가능
- '''『다이아몬드·펄』 이후''': Wi-Fi 커넥션을 포함하여 다른 언어끼리의 통신이 전면적으로 가능하다. 다른 국가판의 플레이어가 잡은 포켓몬은 같은 언어판에서 교환한 포켓몬보다 더 많은 경험치를 얻을 수 있는 등, 적극적인 국제 교환을 장려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블랙·화이트』, 『블랙 2·화이트 2』에서는 일본어판에서 한글 표시도 가능해졌고, No.493 이전의 포켓몬(『다이아몬드·펄』 이전에 발견됨)에 대응하는, 출시된 모든 언어판의 도감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다.
- '''『X·Y』''': 전 세계 동시 발매를 목적으로 게임이 제작되었기 때문에, 어느 지역에서 소프트웨어를 구매해도 언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든 포켓몬의 모든 원어판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게 되었다(모든 원어판의 데이터를 소유하는 것이 조건이다).
- '''『썬·문』''': 중국어가 추가되어, 번체자와 간체자 쌍방의 한자 표기에도 대응하고 있다.
9. 일본 국외판 게임 소프트웨어
일본 국외판 게임 소프트웨어는 일본 외 국가에서 판매되는 포켓몬스터 게임 소프트웨어로, 여러 가지 특징이 있다.
닌텐도 DS의 듀얼 슬롯 기능을 사용하면, 3세대 소프트웨어에 있는 포켓몬을 4세대 소프트웨어로 보낼 수 있다. 3세대 게임 속 '파크존'에 GBA판 포켓몬을 두고 다시 잡으면 4세대 소프트웨어에 추가된다. 다만, 3세대로 다시 되돌릴 수는 없다.[223]
9. 1. 현지화 요소
영문판에서는 포켓몬, 지명, 등장인물 이름 등이 현지 사정에 맞춰 영어로 번역되었다. 민가의 불단은 "디그다의 조각상"으로, 만주, 센베이 같은 도구는 "캔디 바", "쿠키"로 바뀌었다. 통화 단위인 "엔"은 "포케달러"로 바뀌는 등 일본 문화 요소가 일부 변경되었다.[223] 영문판을 기반으로 다른 국가에서도 발매되었는데, 대체로 영문명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일본판 『포켓몬스터 적·녹』은 해외에서 성조기 색깔을 딴 『포켓몬스터 적·청』으로 출시되었다. 다만, 여기서 『청』은 일본판 『녹』과 내용이 같다.
게임 내용은 큰 변화가 없지만, 예외는 있다. 『포켓몬스터 금·은』에서는 일부 포켓몬 출현 종류가 달랐고, 『포켓몬 콜로세움』에서는 보너스 디스크로 얻는 포켓몬이 교체되었다.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에서는 주인공의 집이나 타마무시 백화점에 있는 게임기 그래픽이 달랐다. 닌텐도 DS판에서는 게임 코너 내용이 변경되기도 했다.
GB용 『포켓몬스터 금·은』까지는 이름 글자 수 제한 때문에 해외판과 통신이 원활하지 않았다. 그러나 GBA로 넘어오면서 데이터 형식이 바뀐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부터는 해외판과 통신이 가능해졌다.[223] 일부 통신에서 일시적인 문자 깨짐이 있었지만 문제는 없었다.
닌텐도 DS판 이후, 다른 언어 소프트웨어에서 얻은 포켓몬을 통신 교환하면 포켓몬 도감에 해당 언어 해설이 추가된다. (해외 GBA판 포켓몬도 가능하며,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에서는 일부 포켓몬 한정). 닌텐도 Wi-Fi 커넥션, 닌텐도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 규모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 게임 내에서 언급되기도 했다.
10. 게임 데이터 배포와 관련 상품과의 연동
시리즈 첫 작품인 적·녹의 뮤에서 시작된 게임 데이터 배포는 시리즈를 통해 계속되고 있다.
배포 이벤트는 다양한 매체나 점포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무료 배포의 경우도 있지만, 영화 예매권, 관람권, 잡지 등의 구매 특전으로 배포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배포되는 포켓몬이 몇 종류 중 무작위이거나, 알 상태(부화할 때까지 어떤 포켓몬인지 불분명한 경우도 많다)로 배포되는 경우도 있다. 서양에서는 유료 배포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본체 외의 금전을 지불하지 않아도 일본판과 동일한 데이터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 '''적·녹·청·피카츄''' (1996 - 1999)
:* 환상의 포켓몬 "뮤"는 게임 내에서는 입수할 수 없고 도감 완성에도 영향을 주지 않지만, 당시 큰 화제를 모았다. 기본적으로 추첨을 통해 당첨된 사람에게만 배포되었으며, 버그 기술 등을 제외하면 입수 방법은 없었다.
- '''금·은·크리스탈''' (1999 - 2002)
:* 새로운 환상의 포켓몬 "세레비"가 등장. 전작의 뮤와 마찬가지로 배포가 이루어졌으며, 크리스탈에서는 모바일 시스템 GB의 이벤트로 세레비를 입수할 수도 있었다. 뮤에 관해서는 배포 이벤트가 없었고, 전작에서 배포된 것을 "타임 캡슐"로 데려올 필요가 있었다.
-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 파이어레드·리프그린 (2002 - 2006)
:* 이 세대부터 영화와의 연동이 시작되어, 예매권에 특정 포켓몬 또는 도구의 교환권이 붙게 되었다.
- '''다이아몬드·펄·플라티나''', 하트골드·소울실버 (2006 - 2010)
:* 영화와의 연동 외에도, 닌텐도 Wi-Fi 커넥션을 이용한 서비스도 시작되어, 집의 무선 LAN이나 DS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를 받을 수 있었다.
- '''블랙·화이트''', 블랙 2·화이트 2 (2010 - 2013)
:* 계속해서 영화와의 연동이나, Wi-Fi 커넥션을 통한 데이터 배포 등이 이루어졌다.
:* 또한, 시리즈 최초로 웹사이트와의 연동 서비스 "포켓몬 글로벌 링크"가 시작되어, 숨겨진 특성을 가진 포켓몬이나 환상의 포켓몬 등을 입수할 수 있었다. 그 외에도 관련 상품에 동봉된 시리얼 넘버나 암호를 입력하여 입수할 수 있는 것도 있었다.
- '''X·Y''',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2013 - 2016)
- '''썬·문''', 울트라썬·울트라문''' (2016 - 2019)
- '''Let's Go! 피카츄·Let's Go! 이브이''' (2018·2019)
- '''소드·실드''' (2016 - 2019)
-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2019‐2022)
- '''스칼렛·바이올렛'''(2022‐)
:* Wi-Fi 커넥션을 대신하여 닌텐도 네트워크에 의한 배포가 되었다.
:* 영화 예매권에서의 특전은 티켓에 시리얼 넘버가 부여되게 되었고, 매장에서의 수령은 광륜의 초마신 후파의 나타나는 포켓몬을 제외하고 폐지되었다.
11. 사운드트랙
제목 | 발매일 | 게임 |
---|---|---|
게임보이 『포켓몬』의 사운드가 통째로 들어가, 즐길 수 있는 CD | 1997년 11월 1일 | 포켓몬스터 적·녹 |
GBA 포켓몬 루비&사파이어 뮤직 슈퍼 컴플리트 | 2003년 4월 26일 |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 |
GBA 포켓몬 파이어레드·리프그린 뮤직 슈퍼 컴플리트 | 2004년 5월 26일 |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닌텐도 DS 포켓몬 다이아몬드&펄 슈퍼 뮤직 컬렉션 | 2006년 12월 22일 | 포켓몬스터 다이아몬드·펄 |
닌텐도 DS 포켓몬 하트골드&소울실버 뮤직 슈퍼 컴플리트 | 2009년 10월 28일 |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닌텐도 DS 포켓몬 블랙&화이트 슈퍼 뮤직 컬렉션 | 2010년 10월 20일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닌텐도 DS 포켓몬 블랙2·화이트2 슈퍼 뮤직 컴플리트 | 2012년 7월 25일 | 포켓몬스터 블랙2·화이트2 |
닌텐도 3DS 포켓몬 X·Y 슈퍼 뮤직 컬렉션 | 2013년 11월 13일 | 포켓몬스터 X·Y |
닌텐도 3DS 포켓몬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슈퍼 뮤직 컴플리트 | 2014년 12월 3일 |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포켓몬 적·녹 슈퍼 뮤직 컬렉션 | 2016년 4월 27일 | 포켓몬스터 적·녹 |
닌텐도 3DS 포켓몬 썬·문 슈퍼 뮤직 컴플리트 | 2016년 11월 30일 | 포켓몬스터 썬·문 |
12. 세계 대회
포켓몬 월드 챔피언십스(포켓몬 WCS)는 2009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포켓몬 게임의 공식 세계 대회로, 상금(장학금)이 걸려 있다.[1]
12. 1. 한일 교류전
2008년, 포켓몬 월드 챔피언십의 전신인 포켓몬 게임 일미 교류전 2008이 개최되었다.12. 2. 포켓몬 월드 챔피언십
포켓몬 WCS는 2009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포켓몬 게임 공식 세계 대회이다. 대회에는 상금(장학금)이 걸려 있으며, 그 전신은 미·일 교류전이었다.참조
[1]
웹사이트
Iwata Asks
https://iwataasks.ni[...]
2018-06-25
[2]
웹사이트
Inside the Minds behind Pokémon! {{!}} News {{!}} Pokemon.com
https://web.archive.[...]
2013-10-04
[3]
웹사이트
Pokemon's Master Speaks
http://www.ign.com/a[...]
2011-02-16
[4]
웹사이트
Pokémon Companies - Serebii.net
https://www.serebii.[...]
2022-12-25
[5]
웹사이트
Who Owns The Pokémon Franchise
https://screenrant.c[...]
2021-02-03
[6]
웹사이트
Who Actually Owns Pokemon?
https://www.gamerbra[...]
2022-06-09
[7]
뉴스
Pokémon Go spurred an amazing era that continues with Sword and Shield
https://www.theverge[...]
2019-02-28
[8]
웹사이트
『ポケットモンスター』 関連ゲームソフトの世界累計出荷本数が3億本を突破!
https://www.famitsu.[...]
2017-11-24
[9]
웹사이트
Pokémon Ruby/Sapphire
http://uk.gba.gamesp[...]
GameSpy
null
[10]
웹사이트
Pokemon Rivals Are Always Better When They're Assholes
https://web.archive.[...]
null
[11]
웹사이트
Why Pokemon's evil teams rarely take over the whole story
https://www.destruct[...]
2018-02-18
[12]
서적
Millennial Monsters: Japanese Toys and the Global Imagin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05
[13]
문서
Official Pokémon Scenario Guide Diamond and Pearl version
[14]
웹사이트
Pokemon Scarlet and Violet: The Fastest Ways to Farm Exp. Points
https://www.cnet.com[...]
null
[15]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type strength and weakness chart
https://www.polygon.[...]
2019-11-16
[16]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type strength and weakness chart
https://www.polygon.[...]
2019-11-16
[17]
웹사이트
Pokem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Paralysis (Status Condition)
https://gamerant.com[...]
2021-09-22
[18]
웹사이트
Pokémon Violet and Scarlet Might Return to Traditional Catching Mechanics
https://www.ign.com/[...]
2022-03-05
[19]
웹사이트
Why Eevee Is the Most Realistic Pokémon Ever
https://www.denofgee[...]
2021-09-01
[20]
웹사이트
Pokemon Sword and Shield online trading {{!}} Can you trade for specific Pokemon on the GTS?
https://www.gamerevo[...]
2019-11-16
[21]
웹사이트
Trading Pokémon in Pokémon Go guide: How it works, who you can trade and more
https://www.polygon.[...]
2018-07-02
[22]
웹사이트
Pokémon Legends Arceus guide: How to trade Pokémon
https://www.polygon.[...]
2022-02-02
[23]
뉴스
One Man's Five-Year Quest To Find A Shiny Pokémon
https://kotaku.com/o[...]
2016-02-02
[24]
웹사이트
Pokemon Green Version
https://www.ign.com/[...]
News Corporation
null
[25]
간행물
Super Smash Bros.
Nintendo
[26]
Youtube
"Super Smash Bros. Melee Unlockable character guide Nintendo.com"
https://web.archive.[...]
[27]
간행물
Pokemon In 2005 - IGN
https://www.ign.com/[...]
2004-12-30
[28]
웹사이트
Pokémon ships 100 million worldwide
https://www.gamespot[...]
[29]
웹사이트
New Pokémon to Make Diamond-and-Pearl-Studded Debut
http://www.gamespot.[...]
2007-02-07
[30]
잡지
Pokémon Platinum review
2009-04
[31]
웹사이트
Pokemon Platinum revealed, set for fall release in Japan – Joystiq
http://www.joystiq.c[...]
[32]
웹사이트
Running the Gamut of Famitsu RPG Reviews
https://web.archive.[...]
2008-09-03
[33]
웹사이트
Pokémon Platinum Version
http://www.pokemon.c[...]
[34]
웹사이트
Pokémon Platinum Version
http://www.pokemonpl[...]
Nintendo
[35]
웹사이트
Pokemon Platinum hits Australia this May
http://gonintendo.co[...]
GoNintendo
2009-03-24
[36]
간행물
News: Pokemon Platinum Release Date Confirmed
http://www.officialn[...]
2009-12-02
[37]
웹사이트
New Pokemon Games Confirmed
http://ds.ign.com/ar[...]
2009-05-07
[38]
웹사이트
Nintendo unveils its video game lineup for early 2010
http://www.nintendo.[...]
Nintendo Canada
2009-12-14
[39]
웹사이트
Pokémon HeartGold Version and ''Pokémon SoulSilver'' Version release date announced!
https://www.nintendo[...]
Nintendo of Australia
2010-01-22
[40]
간행물
News: ''Pokémon HeartGold''/''SoulSilver'' UK release date revealed
http://www.officialn[...]
2010-01-12
[41]
웹사이트
Cubed3 Pokémon Battle Revolution Confirmed for Wii
http://www.cubed3.co[...]
Cubed3.com
2006-06-07
[42]
웹사이트
E3 2013: Pokemon X & Y Release Date Announced
http://au.ign.com/ar[...]
2013-06-11
[43]
웹사이트
Pokémon X and Pokémon Y announcement on Nintendo Direct
https://www.nintendo[...]
[44]
웹사이트
Pokémon X & Y Versions Revie
http://www.usgamer.n[...]
US Gamer
2013-10-04
[45]
간행물
CoroCoro Comic
Shogakukan
2013-03
[46]
웹사이트
Meet Sylveon, Pokémon X And Pokémon Y{{'}}s Eighth Eeevee Evolution
http://www.siliconer[...]
Siliconera
2013-02-14
[47]
웹사이트
Pokemon Ruby & Sapphire remakes coming to 3DS
http://www.computera[...]
2014-05-07
[48]
웹사이트
Pokkén Tournament, A Pokémon Fighting Game, Announced For Arcades
http://www.siliconer[...]
2014-08-26
[49]
웹사이트
Pokémon Go is now rolling out for iOS and Android
https://www.theverge[...]
2016-07-05
[50]
웹사이트
Pokémon Sun and Moon officially unveiled, out later this year
http://www.polygon.c[...]
Vox Media
2016-02-26
[51]
웹사이트
Pokémon Ultra Sun and Pokémon Ultra Moon {{!}} Pokémon Video Games
http://www.pokemon.c[...]
[52]
뉴스
A proper Pokémon game is coming to the Nintendo Switch
https://www.theverge[...]
2017-06-13
[53]
웹사이트
Pokémon on Nintendo Switch is Due '2018 or Later', But That's No Surprise
http://www.nintendol[...]
2017-07-26
[54]
웹사이트
Nintendo Still Lists Pokemon Switch Release Date as "2018 or Later"
http://comicbook.com[...]
2018-04-26
[55]
웹사이트
Official Nintendo Magazine Confirms Pokémon On Switch Will Be 'Generation Eight'
http://www.nintendol[...]
2018-04-16
[56]
뉴스
Another Pokémon game is still coming in 2019
https://www.theverge[...]
2018-05-29
[57]
웹사이트
Core Pokemon RPG Coming to Nintendo Switch 2019
http://www.ign.com/a[...]
2018-05-29
[58]
웹사이트
Pokèmon 2019 won't be influenced by Pokémon GO.
https://aminoapps.co[...]
2018-05-31
[59]
웹사이트
Core RPG Pokemon Switch 2019 Game 'Will NOT Be Influenced by Pokemon Go'
https://gamingintel.[...]
2018-05-31
[60]
뉴스
Pokémon Sword and Shield are coming to the Switch this year
https://www.theverge[...]
2019-02-27
[61]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will launch on November 15th
https://www.theverge[...]
2019-06-05
[62]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are getting an expansion pass
https://www.engadget[...]
2020-01-09
[63]
트윗
Need one more thing to be thankful for today, Trainers? Our Pokémon 25th Anniversary celebration kicks off in 2021! Stay tuned for more details 😉 #Pokemon25
2020-11-26
[64]
웹사이트
Pokemon Scarlet and Pokemon Violet Announced for Late 2022
https://www.ign.com/[...]
2022-02-27
[65]
웹사이트
New ways to play and more exciting details announced for the Hidden Treasure of Area Zero Part 2: The Indigo Disk - News - Nintendo Official Site
https://www.nintendo[...]
[66]
뉴스
Pokémon Scarlet & Violet: How To Start Mochi Madness Epilogue & Catch The New Mythical Pokémon
https://www.nintendo[...]
2024-01-15
[67]
웹사이트
New Pokémon Legends Announced for 2025 - Pokémon Presents 2024
https://www.ign.com/[...]
2024-02-27
[68]
웹사이트
Pokémon Legends: Z-A coming 2025, features return to Kalos and Mega Evolution
https://dotesports.c[...]
2024-02-27
[69]
서적
Top 10 of Everything 2017
https://books.google[...]
Hachette UK
2016-10-06
[70]
웹사이트
Pokemon Red Version for Game Boy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71]
웹사이트
Pokemon Blue Version for Game Boy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18
[72]
웹사이트
Pokemon Yellow Version: Special Pikachu Edition for Game Boy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18
[73]
웹사이트
約4年ぶり! ポケモン完全新作が2010年内発売へ|ライフ関連ニュース|オリコン顧客満足度ランキング
https://life.oricon.[...]
2021-12-15
[74]
웹사이트
Pokemon Gold Version for Game Boy Colour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75]
웹사이트
Pokemon Silver Version for Game Boy Colour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76]
웹사이트
Pokemon Crystal Version for Game Boy Colour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77]
웹사이트
Pokemon X & Y sell 4M copies in first weekend
http://www.gamasutra[...]
Think Services
2013-10-15
[78]
웹사이트
Pokemon Ruby Version for Game Boy Advance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79]
웹사이트
Pokemon Sapphire Version for Game Boy Advance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80]
웹사이트
Pokemon Ruby Version for Game Boy Advance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0
[81]
웹사이트
Pokemon FireRed Version for Game Boy Advance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82]
웹사이트
Pokemon LeafGreen Version for Game Boy Advance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83]
웹사이트
Pokemon FireRed Version for Game Boy Advance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0
[84]
웹사이트
Pokemon LeafGreen Version for Game Boy Advance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0
[85]
웹사이트
Million-Seller Titles of NINTENDO Products
https://www.nintendo[...]
2019-01-20
[86]
웹사이트
Pokemon Emerald Version for Game Boy Advance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87]
웹사이트
Pokemon Emerald Version for Game Boy Advance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0
[88]
웹사이트
Top Selling Software Sales Units - Nintendo DS Software
https://www.nintendo[...]
2020-05-09
[89]
웹사이트
Pokemon Diamond Version for 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90]
웹사이트
Pokemon Pearl Version for 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0
[91]
웹사이트
Pokemon Diamond Version for 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0
[92]
웹사이트
Pokemon Pearl Version for 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0
[93]
웹사이트
Financial Results Briefing for Fiscal Year Ended March 2010
https://www.nintendo[...]
Nintendo
2010-05-07
[94]
웹사이트
Pokemon Platinum Version for DS - GameRankings
http://www.gameranki[...]
2019-01-21
[95]
웹사이트
Pokemon Platinum Version for 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96]
웹사이트
Pokemon HeartGold Version for DS - GameRankings
http://www.gameranki[...]
2019-01-21
[97]
웹사이트
Pokemon SoulSilver Version for DS - GameRankings
http://www.gameranki[...]
2019-01-21
[98]
웹사이트
Pokemon HeartGold Version for 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99]
웹사이트
Pokemon SoulSilver Version for 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00]
웹사이트
Pokemon Black Version for 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01]
웹사이트
Pokemon White Version for 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02]
웹사이트
Pokemon Black Version for 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03]
웹사이트
Pokemon White Version for 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04]
웹사이트
Nintendo cuts Wii U sales forecast by 1.5 million, says console having "a negative impact on profits"
http://www.eurogamer[...]
2013-01-30
[105]
웹사이트
Pokemon Black Version 2 for 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06]
웹사이트
Pokemon White Version 2 for 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07]
웹사이트
Pokemon Black Version 2 for 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08]
웹사이트
Pokemon White Version 2 for 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09]
웹사이트
Top Selling Software Sales Units - Nintendo 3DS Software
https://www.nintendo[...]
2020-05-09
[110]
웹사이트
Pokemon X for 3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11]
웹사이트
Pokemon Y for 3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12]
웹사이트
Pokemon X for 3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13]
웹사이트
Pokemon Y for 3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14]
웹사이트
Pokemon Omega Ruby for 3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15]
웹사이트
Pokemon Alpha Sapphire for 3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16]
웹사이트
Pokemon Omega Ruby for 3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17]
웹사이트
Pokemon Sun for 3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18]
웹사이트
Pokemon Moon for 3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19]
웹사이트
Pokemon Sun for 3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20]
웹사이트
Pokemon Moon for 3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21]
웹사이트
Pokemon Ultra Sun for 3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22]
웹사이트
Pokemon Ultra Moon for 3DS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23]
웹사이트
Pokemon Ultra Sun for 3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24]
웹사이트
Pokemon Ultra Moon for 3DS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25]
웹사이트
Top Selling Software Sales Units - Nintendo Switch Software
https://www.nintendo[...]
2023-09-18
[126]
웹사이트
Pokemon Let's Go, Pikachu! for Nintendo Switch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27]
웹사이트
Pokemon Let's Go, Eevee! for Nintendo Switch - GameRankings
https://www.gamerank[...]
2019-01-21
[128]
웹사이트
Pokemon Let's Go, Pikachu! for Nintendo Switch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29]
웹사이트
Pokemon Let's Go, Eevee! for Nintendo Switch Reviews - Metacritic
https://www.metacrit[...]
2019-01-21
[130]
웹사이트
Video Game Reviews, Articles, Trailers and more - Metacritic
https://www.gamerank[...]
2019-11-28
[131]
웹사이트
Pokemon Sword for Switch Reviews
https://www.metacrit[...]
2019-11-19
[132]
웹사이트
Pokemon Shield for Switch Reviews
https://www.metacrit[...]
2019-11-19
[133]
웹사이트
Pokemon Brilliant Diamond for Switch Reviews
https://www.metacrit[...]
2023-02-07
[134]
웹사이트
Pokemon Legends: Arceus for Switch Reviews
https://www.metacrit[...]
2023-02-07
[135]
웹사이트
Pokemon Scarlet
https://www.metacrit[...]
2022-12-03
[136]
웹사이트
Pokemon Violet
https://www.metacrit[...]
2022-12-03
[137]
간행물
Pikachu out of pocket
Imagine Media
1996-07
[138]
간행물
Tidbits...
Ziff Davis
1997-12
[139]
웹사이트
The Total Sales for Pokémon Are Staggering
http://kotaku.com/th[...]
Kotaku
2016-04-14
[140]
웹사이트
The Pokémon Company Confirms Outstanding Lifetime Sales For The Franchise
http://www.nintendol[...]
2016-03-18
[141]
뉴스
Record Book Focused on the Gamers
https://archive.toda[...]
2008-10-18
[142]
웹사이트
Pokémon in Figures
https://corporate.po[...]
2023-05-26
[143]
서적
"Pokémon." Encyclopedia of Play in Today's Society
SAGE Publications
2009-01-01
[144]
웹사이트
The Top 25 Videogame Franchises
https://web.archive.[...]
2010-07-21
[145]
웹사이트
The Top 7... Nintendo games not made by Nintendo, ''Pokémon Black'' / White DS Features
http://www.gamesrada[...]
GamesRadar
2010-09-01
[146]
웹사이트
【話の肖像画】ゲームクリエーター・田尻智(2) 昆虫採集とインベーダーゲーム
https://www.sankei.c[...]
2021-03-14
[147]
웹사이트
ポケモン25周年 日本発の“怪物”コンテンツが世界を席巻するまでの軌跡
https://news.yahoo.c[...]
2023-11-09
[148]
웹사이트
1位はポケモン!キャラクター「メディアミックス」総収益の世界ランキングに日本の底力を見た|FINDERS
https://finders.me/a[...]
2021-03-14
[149]
문서
ポケットモンスターの作品群は、ディズニーやスター・ウォーズやマーベル・シネマティック・ユニバースすらも大幅に上回る総収益を誇る。
[150]
웹사이트
約4年ぶり! ポケモン完全新作が2010年内発売へ
https://life.oricon.[...]
2023-11-09
[151]
웹사이트
'Pokken Tournament' and Pokemon's $1.5 Billion Brand
https://www.huffpost[...]
2023-11-12
[152]
서적
Top 10 of Everything 2017
https://books.google[...]
Hachette UK
2017-04-25
[153]
웹사이트
ニンテンドウ オンライン マガジン 2000年6月号 No.22 / 5.ポケモンの記録
https://www.nintendo[...]
2023-11-09
[154]
웹사이트
ポケモンをもっと知りたい!ポケットモンスター 青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3-11-12
[155]
웹사이트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ピカチュウ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3-11-12
[156]
웹사이트
VC版『ポケットモンスター 金・銀』公式リリース到着、『赤・緑・青・ピカチュウ』との通信交換にも対応!
https://www.famitsu.[...]
2023-11-12
[157]
웹사이트
2002年テレビゲームソフト売り上げTOP300(週刊ファミ通調べ)
http://geimin.net/da[...]
2024-12-10
[158]
웹사이트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クリスタルバージョン(ニンテンドー3DS 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3-11-12
[159]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協会
[160]
웹사이트
2014年5月8日(木)決算説明会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3-11-12
[161]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協会
[162]
웹사이트
「ポケモン ルビー・サファイア」が「ポケモン X・Y」のシステムで生まれ変わった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オメガルビー・アルファサファイア
https://www.4gamer.n[...]
2023-11-12
[163]
웹사이트
『ポケモン 金・銀』、『ポケモン ルビー・サファイア』さらに『ポケモン オメガルビー・アルファサファイア』が発売された日。シリーズファンにっては特別な1日!?【今日は何の日?】
https://www.famitsu.[...]
2023-11-12
[164]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協会
[165]
뉴스
Pokemon X/Y sells 4 million in two days
https://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7-04-25
[166]
웹사이트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ファイアレッド・リーフグリーン
https://www.pokemon.[...]
株式会社ポケモン
2023-11-12
[167]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協会
[168]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協会
[169]
웹사이트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エメラルド
https://www.pokemon.[...]
株式会社ポケモン
2023-11-12
[170]
웹사이트
株主・投資家向け情報:販売データ - 主要ソフト販売実績 DS専用ソフト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4-12-10
[171]
웹사이트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ダイヤモンド・パール』がニンテンドーDSで発売された日。Wi-Fiを利用して交換やバトルがグッと楽になった【今日は何の日?】
https://www.famitsu.[...]
2023-11-12
[172]
웹사이트
いまガチで遊ぶ『ポケモン プラチナ』。『ポケットモンスター』シリーズ屈指の難度を誇るバトルファクトリーの“ネジキ”に挑戦!
https://www.famitsu.[...]
2023-11-12
[173]
웹사이트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ハートゴールド・ソウルシルバー』が発売された日。『ポケモン 金・銀』が10年の時を経てフルリメイク。“ポケウォーカー”でポケモンを連れたお出かけも【今日は何の日?】
https://www.famitsu.[...]
2023-11-12
[174]
웹사이트
DS『ポケットモンスター ブラック2・ホワイト2』が発売10周年。シリーズで初めて続編として発売され、ナンバリングが冠されたタイトル。Nの過去も明らかに【今日は何の日?】
https://www.famitsu.[...]
2023-11-12
[175]
웹사이트
株主・投資家向け情報:業績・財務情報 - 主要タイトル販売実績 ニンテンドー3DS専用ソフト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4-12-10
[176]
웹사이트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ウルトラサン・ウルトラムーン』の公式リリースが到着! 謎に包まれたポケモンたちの正体は…!?
https://www.famitsu.[...]
2017-06-07
[177]
웹사이트
任天堂株式会社 2019年3月期 決算参考資料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19-04-25
[178]
웹사이트
任天堂株式会社 2020年3月期 決算参考資料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0-05-07
[179]
웹사이트
任天堂株式会社 2021年3月期 決算参考資料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1-05-06
[180]
웹사이트
任天堂株式会社 2022年3月期 決算参考資料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2-05-10
[181]
웹사이트
株主・投資家向け情報:業績・財務情報 - 主要タイトル販売実績 Nintendo Switch専用ソフト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4-12-10
[182]
웹사이트
ニンテンドースイッチ『ポケットモンスター Let’s GO! ピカチュウ・Let’s GO! イーブイ』の詳細情報を公開!【ポケモン新作発表会】
https://www.famitsu.[...]
Gzbrain
2018-05-30
[183]
웹사이트
株主・投資家向け情報:業績・財務情報 - 主要タイトル販売実績 Nintendo Switch専用ソフト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4-11-05
[184]
웹사이트
任天堂株式会社 2022年3月期 決算説明資料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2-05-10
[185]
웹사이트
株主・投資家向け情報:業績・財務情報 - 主要タイトル販売実績 Nintendo Switch専用ソフト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2-09-30
[186]
웹사이트
【ダイパリメイク】いまから始める『ポケモン ブリリアントダイヤモンド・シャイニングパール』。最大限楽しむためのお役立ち情報を総まとめ
https://www.famitsu.[...]
2021-12-25
[187]
웹사이트
株式会社ポケモン 発表に関して(2月27日)
https://www.ilca.co.[...]
株式会社イルカ(ILCA)
2021-03-03
[188]
웹사이트
任天堂株式会社 2023年3月期 決算参考資料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23-05-09
[189]
웹사이트
『ポケモンレジェンズ アルセウス』が発売1周年。シリーズで初となるアクションRPGでバトル、捕獲、探索などのすべてが新しいプレイフィールで楽しめた【今日は何の日?】
https://www.famitsu.[...]
2023-01-28
[190]
웹사이트
『ポケモン スカーレット・バイオレット』、日本で一番売れた「ポケモン」に
https://automaton-me[...]
2024-11-18
[191]
웹사이트
進化した『ポケットモンスター』の世界へ
https://www.pokemon.[...]
株式会社ポケモン
2023-11-12
[192]
웹사이트
ポケモンコロシアム
https://www.pokemon.[...]
株式会社ポケモン
2023-11-12
[193]
웹사이트
ポケモンXD 闇の旋風ダーク・ルギア ストーリー&キャラクター
https://www.nintendo[...]
2023-11-12
[194]
문서
[195]
문서
[196]
문서
[197]
문서
[198]
문서
[199]
문서
[200]
서적
懐かしゲームボーイパーフェクトガイド
M.B.MOOK
[201]
문서
[202]
문서
[203]
문서
[204]
웹사이트
進化を超える進化!メガシンカが登場!
https://www.pokemon.[...]
株式会社ポケモン
2018-10-30
[205]
문서
[206]
문서
[207]
문서
[208]
문서
[209]
문서
[210]
문서
[211]
문서
「みやぶる」や「かぎわける」、みずタイプに対して「フリーズドライ」など
[212]
문서
でんきタイプの「でんじは」がじめんタイプに、どくタイプの「どくどく」がはがねタイプに効かないなど
[213]
문서
「つりびと」はみずタイプ、「からておう」はかくとうタイプ、「サイキッカー」はエスパータイプなど
[214]
문서
ゴーストタイプの技「あやしいひかり」などを覚えるゴルバットだけでなく、アーボックも使用する
[215]
문서
ドラゴンタイプのポケモンがミニリュウとその進化系のみであり、ギャラドスやプテラも使用し、第二世代の『金・銀・クリスタル』で再登場した時に至っては手持ち全てがひこうタイプだった
[216]
문서
『Pokémon LEGENDS アルセウス』では、既に何らかの状態異常になっている場合でも、新たに別の状態異常への上書きが可能。「ひんし」以外はターン経過や戦闘終了・離脱でも治癒可能だが、戦闘中に上書きされると残りターン数も初期化される。一部、呼称や症状がこれまでと異なるものもある
[217]
문서
数ターンの間混乱し、ランダムで自分を威力40で物理攻撃し技を封じられる。特性「マイペース」を持つポケモンはこの状態にならない
[218]
문서
異性のポケモンが相手だと一定の確率で技を封じられてしまう。自分か相手が交代するまで持続。性別不明や、特性「どんかん」を持つポケモンはこの状態にならない
[219]
문서
「やどりぎのタネ」を受けるとターンごとにHPを奪われる。くさタイプはこの状態にならない。「やどりぎのタネ」を仕掛けてきた相手が交代しても持続し、交代した別の相手にも引き続きHPを奪われる。自分が交代する以外に、「こうそくスピン」など特定の技を使って自力で解除することもできる
[220]
문서
野生ポケモンとのバトルで「にげる」を選択しても失敗する場合がある。逃げる自分の「すばやさ」が相手より低い場合に起こりやすい。野生ポケモンが相手の逃走・交代を防ぐ技(「クモのす」「くろいまなざし」「まきつく」など)や特性(「かげふみ」「ありじごく」「じりょく」など)の効果を受けた場合は完全に逃走不可能
[221]
문서
第八世代の場合は天気に関与せず、ミストフィールドが展開される
[222]
웹사이트
増田部長のめざめるパワー 第5回
https://www.gamefrea[...]
2004-08-06
[223]
문서
増田部長のめざめるパワー
http://www.gamefreak[...]
2004-08-06
[224]
웹인용
Iwata Asks
https://iwataasks.ni[...]
2018-06-25
[225]
웹인용
Inside the Minds behind Pokémon! {{!}} News {{!}} Pokemon.com
https://web.archive.[...]
2013-10-04
[226]
웹인용
Pokemon's Master Speaks
http://www.ign.com/a[...]
2011-02-16
[227]
웹인용
POKEMON IS THE LARGEST MEDIA FRANCHISE IN THE WORLD
https://nintendosoup[...]
2018-08-28
[228]
웹인용
Pokémon Is Now The Highest Grossing Media Franchise
https://screenrant.c[...]
2018-08-28
[229]
웹인용
Pokémon Is Crowned World's Biggest Media Franchise
https://innotechtoda[...]
2018-09-11
[230]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ww.famitsu.[...]
[231]
웹인용
Pokémon in Figures
https://corporate.po[...]
2020-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