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함외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함 외교는 제한적인 해군력 사용을 통해 국제 분쟁을 해결하거나 자국의 이익을 확보하려는 외교 전략이다. 제임스 케이블이 4가지 영역(결정적, 목적적, 촉매적, 표현적 무력)으로 분류했으며, 군함뿐 아니라 육상 병력, 군사 훈련 등도 포함한다. 19세기부터 21세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사례가 있으며, 특히 미국이 이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현재는 패권의 한 형태로 여겨지며, 남중국해 분쟁, 2022년 타이완 주변 중국 군사 훈련 등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나나 전쟁 - 미국의 베라크루스 점령
  • 바나나 전쟁 -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는 1899년 설립된 미국의 과일 회사로, 바나나 무역을 장악하며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후 유나이티드 브랜드 컴퍼니와 치키타 브랜드 인터내셔널로 사명을 변경했다.
  • 제국주의 - 대영 제국
    대영 제국은 1583년부터 1997년까지 존속하며 전 세계에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던 역사상 가장 큰 식민 제국 중 하나였으나, 탈식민화 운동과 강대국들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1997년 홍콩 반환을 기점으로 역사의 막을 내렸다.
  • 제국주의 - 나의 투쟁
    《나의 투쟁》은 아돌프 히틀러가 집필한 자서전이자 나치즘의 핵심 이념을 담은 책으로, 히틀러의 유년 시절, 나치당 창당 과정,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등의 정치적 신념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 외교 - 제휴
    제휴는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둘 이상의 주체가 협력하는 현상으로, 정치, 경제, 시민 사회, 군사, 국제 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참여 주체의 이해관계와 목표에 따라 형태와 역할이 달라진다.
  • 외교 - 외국
    외국은 특정인의 자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를 지칭하는 상대적 개념으로, 법적 주권, 지리적 위치, 정치·경제·문화적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의되며, 각국의 법률과 국제법, 역사적 배경에 따라 인식과 정의가 다를 수 있다.
포함외교

2. 이론

포함 외교의 핵심은 제한적인 해군력을 활용하여 전쟁까지 확전시키지는 않으나, 자국에게 유리하게 상황을 전개시키는 것이다. 영국의 학자 제임스 케이블은 포함 외교 이론을 고안했으며, 다음과 같은 4가지 주요 영역을 통해 설명한다.[24][25]

영역내용
최고의 무력(Definitive force)사실을 만들어내거나 제거하기 위한 포함외교
의도적 무력(Purposeful force)목표 정부 또는 집단의 정책이나 성격을 바꾸기 위한 해군력 적용
작용적 무력(Catalytic force)숨 쉴 틈을 마련하거나 정책 결정자에게 더 넓은 범위의 선택지를 제시하기 위해 고안된 메커니즘
표현적 무력(Expressive force)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해군의 사용



제임스 케이블은 1971년부터 1993년 사이에 출판된 일련의 저서를 통해 포함외교의 본질을 "전쟁 행위가 아닌 제한된 해군력의 사용 또는 위협으로, 국제 분쟁을 해결하거나 자국의 영토 또는 관할권 내의 외국 국적자에 대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이점을 확보하는 것"으로 정의했다.[4]

포함 외교에서 포함은 단순히 군함에 제한되지 않고, 육군력을 바탕으로 한 기동전, 군사훈련을 확장적인 의미에서 포함한다.

2. 1. 결정적 무력 (Definitive force)

제임스 케이블은 포함 외교를 네 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했다.[24][25] 그중 결정적 무력은 사실을 만들어내거나 제거하기 위한 포함외교의 활용을 의미한다.[4]

2. 2. 목적적 무력 (Purposeful force)

제임스 케이블이 정의한 포함외교의 네 가지 주요 영역 중 하나로, 목표 정부 또는 집단의 정책이나 성격을 바꾸기 위해 해군력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4]

2. 3. 촉매적 무력 (Catalytic force)

제임스 케이블이 제시한 포함외교의 네 가지 주요 영역 중 하나로, 숨 쉴 틈을 마련하거나 정책 결정자에게 더 넓은 범위의 선택지를 제시하기 위해 고안된 메커니즘이다.[4]

2. 4. 표현적 무력 (Expressive force)

제임스 케이블은 포함외교의 표현적 무력을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해군의 사용으로 설명했지만, 중요성에 대해서는 과소평가하고 거의 무시했다.[4] "군함"이라는 용어는 해군력 투사를 암시하지만, 육상 기반의 군사력 행사도 포함외교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군사 동원(1914년 북반구 여름의 유럽), 국제 국경 근처에 위협적인 병력 집결(독일 제국이 1940년대 중부 유럽에서 실행),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위치에서 실시되는 군사 기동(훈련) 등이 있다.[24][25]

포함 외교는 군사력의 위협적인 행사를 배경으로 압력을 가하면서도 외교 교섭으로 합법적으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강제 외교의 일종이다. 해상 전력(군함)은 치외 법권, 각종 외교 특권 등에서 발생하는 국제 정치에서의 상징성, 지휘 통제 시스템과 해양 이동 능력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기동성, 군함 자체가 물자 집적소로 기능하고 해상 보급 등을 수행하면 매우 장기간 정박을 지속할 수 있는 지구력을 갖추고 있어 포함 외교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2. 5. 방위 외교와의 차이점

방위 외교는 국방 분야의 자원을 평화적으로 활용하여 양자다자 관계 발전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군사 외교는 방위 외교의 하위 집합으로, 군사 외교관의 역할과 관련 활동만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다. 방위 외교는 군사 작전을 포함하지 않지만, 국제 인력 교류, 선박 및 항공기 방문, 고위급 교류 (예: 장관 및 고위 국방 인력), 훈련 및 연습, 안보 부문 개혁,[6] 및 양자 간 군사 회담과 같은 다른 국방 활동을 포함한다.[7]

3. 역사

윌리엄 앨런 로저스의 1904년 만화는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무력 외교를 걸리버 여행기의 한 장면으로 재현했다.


1896년 8월 27일 영국 해군 순양함군함의 포격 후 잔지바르 술탄 궁전 단지의 피해. 영국-잔지바르 전쟁은 45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


"무력 외교"라는 용어는 19세기 제국주의 시대에서 유래되었으며,[2] 당시 서방 열강인 유럽과 미국은 서방의 우수한 군사력, 일반적으로 해군력을 과시하여 다른, 덜 강력한 세력을 위협하여 양보를 얻어냈다. 서방 열강과 협상하는 해안 국가들은 자국 해안에 군함 또는 함대가 나타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무력의 존재만으로도 거의 항상 상당한 효과를 발휘했으며, 화력 시위와 같은 다른 조치를 사용할 필요는 거의 없었다.

무력 외교의 주목할 만한 예로, 1850년의 퍼시피코 사건이 있었는데, 이 사건에서 영국 외무장관 팜스턴 경은 아테네에서 영국 시민 데이비드 퍼시피코가 폭행당하고, 오토 국왕의 그리스 정부가 지브롤터 출생(따라서 영국 시민)인 퍼시피코에게 보상하지 못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왕립 해군 함대를 피레아스 항구 봉쇄를 위해 파견했다.

이처럼 국가의 무력 투사 능력을 간단하게 과시하는 것만으로도 해군력과 제해권을 가진 국가들은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 (예: 디에고 가르시아, 1940년대 이후[3]) 전 세계에 경제적으로 유리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군사 정복 외에도, 무력 외교는 새로운 무역 관계, 식민지, 그리고 제국 확립의 지배적인 방식이었다.

서방 제국에 있는 자원이나 기술 혁신이 부족한 사람들은 이러한 압력에 직면하여 평화로운 관계가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발견했고, 따라서 원자재 또는 해외 시장에 접근하기 위해 제국주의 국가에 의존하게 되었다.

매슈 페리 제독은 1853년 미국 동인도 함대 군함을 이끌고 우라가에 입항하여 일본개국을 요구했고, 이듬해인 1854년에는 함대를 에도 만에 진입시켜 미일 화친 조약을 체결하여 외교 관계를 맺었다. 일본이 행한 포함 외교로는 강화도 조약 등이 있다. 페리는 미국 의회로부터 교전 허가를 받지 못했지만, 강경한 자세로 일본을 개국시켰다.

현대에는 원자력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한 기동 부대가 포함 외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 1. 19세기

"무력 외교"라는 용어는 19세기 제국주의 시대에서 유래되었으며,[2] 당시 서방 열강인 유럽과 미국은 서방의 우수한 군사력, 일반적으로 해군력을 과시하여 다른, 덜 강력한 세력을 위협하여 양보를 얻어냈다. 서방 열강과 협상하는 해안 국가들은 자국 해안에 군함 또는 함대가 나타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무력의 존재만으로도 거의 항상 상당한 효과를 발휘했으며, 화력 시위와 같은 다른 조치를 사용할 필요는 거의 없었다.

1850년의 퍼시피코 사건은 무력 외교의 주목할 만한 예인데, 이 사건에서 영국 외무장관 팜스턴 경은 아테네에서 영국 시민 데이비드 퍼시피코가 폭행당하고, 오토 국왕의 그리스 정부가 지브롤터 출생(따라서 영국 시민)인 퍼시피코에게 보상하지 못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왕립 해군 함대를 피레아스 항구 봉쇄를 위해 파견했다.

이처럼 국가의 무력 투사 능력을 간단하게 과시하는 것만으로도 해군력과 제해권을 가진 국가들은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 (예: 디에고 가르시아, 1940년대 이후[3]) 전 세계에 경제적으로 유리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군사 정복 외에도, 무력 외교는 새로운 무역 관계, 식민지, 그리고 제국 확립의 지배적인 방식이었다.

서방 제국에 있는 자원이나 기술 혁신이 부족한 사람들은 이러한 압력에 직면하여 평화로운 관계가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발견했고, 따라서 원자재 또는 해외 시장에 접근하기 위해 제국주의 국가에 의존하게 되었다.

19세기의 포함외교 사례는 다음과 같다.

사건내용
조지 앤슨, 제1대 앤슨 남작의 광둥 방문 (1741년)[15]
제2차 바르바리 전쟁(1815)
아이티 배상금 논쟁(1825)
과자 전쟁(1838–39)
아편 전쟁(1840, 1856)
포울렛 사건(1843)
퍼시피코 사건(1850)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1852)
일본 개항: 미국 해군 준장(Commodore) 매튜 C. 페리와 그의 흑선(1853–54)미국동인도 함대 사령관 매슈 페리 제독은 1853년 군함을 이끌고 내항하여 우라가에 입항하여 일본개국을 요구했다. 이듬해 54년에는 함대를 에도 만에 진입시켜 미일 화친 조약을 체결하여 외교 관계를 맺었다. 페리는 미국 의회로부터 교전 허가를 받지 못했지만, 강경한 자세로 일본을 개국시켰다.
파라과이 원정(1858–9)
시모노세키 전쟁(1863–1864)
크리스티 사건(1861–1865)
신미양요(1871)
강화도 조약(1875)일본이 행한 포함 외교
통킹 함대(1883)
독일령 동아프리카(1885)
사모아 위기(1887-1889)
몰 생니콜라 사건(1889–1891)
1890년 영국 최후통첩
볼티모어 사건(1891)
하와이 왕국 전복(1893)
1893년 프랑스-샴 위기
영국-잔지바르 전쟁(1896)
루더스 사건(1897)
양쯔강 순찰(1850년대–1930년대)


3. 2. 20세기



"무력 외교"라는 용어는 19세기 제국주의 시대에서 유래되었으며,[2] 당시 서방 열강인 유럽과 미국은 서방의 우수한 군사력, 일반적으로 해군력을 과시하여 다른, 덜 강력한 세력을 위협하여 양보를 얻어냈다. 서방 열강과 협상하는 해안 국가들은 자국 해안에 군함 또는 함대가 나타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무력의 존재만으로도 거의 항상 상당한 효과를 발휘했으며, 화력 시위와 같은 다른 조치를 사용할 필요는 거의 없었다.

무력 외교의 주목할 만한 예로, 1850년의 퍼시피코 사건이 있었는데, 이 사건에서 영국 외무장관 팜스턴 경은 아테네에서 영국 시민 데이비드 퍼시피코가 폭행당하고, 오토 국왕의 그리스 정부가 지브롤터 출생(따라서 영국 시민)인 퍼시피코에게 보상하지 못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왕립 해군 함대를 피레아스 항구 봉쇄를 위해 파견했다.

이처럼 국가의 무력 투사 능력을 간단하게 과시하는 것만으로도 해군력과 제해권을 가진 국가들은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 (예: 디에고 가르시아, 1940년대 이후[3]) 전 세계에 경제적으로 유리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군사 정복 외에도, 무력 외교는 새로운 무역 관계, 식민지, 그리고 제국 확립의 지배적인 방식이었다.

서방 제국에 있는 자원이나 기술 혁신이 부족한 사람들은 이러한 압력에 직면하여 평화로운 관계가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발견했고, 따라서 원자재 또는 해외 시장에 접근하기 위해 제국주의 국가에 의존하게 되었다.

1903년 만화, ''"가, 이 꼬마야, 날 귀찮게 하지 마"'', 루즈벨트 대통령이 파나마 운하 지대를 획득하기 위해 콜롬비아를 위협하는 모습을 묘사함.


20세기의 포함외교 사례는 다음과 같다.

사건연도
1902–1903년 베네수엘라 위기1902년–1903년
콜롬비아로부터의 파나마 분리1903년
도거 뱅크 사건1904년
대백색함대1907년
아가디르 위기1911년
베라크루스 점령1914년
단치히 위기 (1932)1932년
제1차 타이완 해협 위기1954년–1955년
제2차 타이완 해협 위기1958년
Operation Vantage1961년
Operation Brother Sam1964년
동파키스탄 해방1971년
레바논 내전1983년-1984년
제3차 타이완 해협 위기1995년–1996년
Operation Paul Bunyan1976년


3. 3. 21세기

21세기 현대에는 원자력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한 기동 부대가 포함 외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대의 포함 외교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난사군도 분쟁
  • 2022년 타이완 주변 중국 군사 훈련

4. 현대적 맥락

현재 운용 중인 강력한 주력함니미츠급 항공모함


E-3 AWACS, 현대적 형태의 포함외교에 자주 사용되는 감시 및 레이더 항공기


포함외교는 패권의 한 형태로 여겨진다.[8] 미국이 20세기 초 군사 강국이 되면서 시어도어 루스벨트식 포함외교인 강압 외교는 달러 외교에 의해 부분적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몽둥이 대신 미국 민간 투자의 "달콤한 당근"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우드로 윌슨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에는 전통적인 포함외교가 발생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는 멕시코 혁명 기간인 1914년 미 육군의 베라크루스 점령이었다.[9]

냉전 이후 시대의 포함외교는 여전히 미국 해군의 압도적인 해상력으로 인해 해군력에 크게 의존한다. 미국 행정부는 외국의 수도에 대한 여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주요 해군 함대의 배치를 자주 변경해 왔다. 빌 클린턴 행정부는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토니 블레어 행정부와 동맹) 등에서 해상 발사 토마호크 미사일,[10] 및 보다 소극적인 군사력 과시를 위해 E-3 AWACS 공중 감시 항공기를 사용하여 더욱 긴급한 외교적 입장을 표명했다.[11][12][13] 헨리 키신저는 미국 국무장관 재임 기간 동안 이 개념을 "항공모함은 10만 톤의 외교다."라고 요약했다.[14]

참조

[1] 서적 Gunboat Diplomacy: Political Applications of Limited Naval Force Chatto and Windus for the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1971
[2]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3] 서적 Diego Garcia: Creation of the Indian Ocean Base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22-11-05
[4] 서적 Gunboat diplomacy, 1919–1991: political applications of limited naval force https://books.google[...] Macmillan/IISS 2016
[5] 간행물 Grotius' Place in the Development of Legal Ideas about War https://academic.oup[...] 2023-07-05
[6] 웹사이트 Link to security sector reform http://www2.parl.gc.[...] 2014-01-05
[7] 웹사이트 Link to UK Ministry of Defence paper that initiated larger dialogue http://www.mod.uk/NR[...] 2009-08-05
[8] 문서 "Decided Preponderance at Sea”: Naval Diplomacy in Strategic Thought http://digital-commo[...] 2012
[9] 문서 "Decided Preponderance at Sea”: Naval Diplomacy in Strategic Thought http://digital-commo[...] 2012
[10] 뉴스 Tomahawk Diplomacy http://edition.cnn.c[...] 1998-10-19
[11] 서적 Assignment Pentagon: Pentagon: A Guide to the Potomac Puzzle Palace Brassey's Publishing 2001
[12] 웹사이트 Air Occupation: Asking the Right Questions http://www.airpower.[...] 2008-05-08
[13] 웹사이트 Colombia, Gun Boat Diplomacy, The floating world http://www.mackenzie[...] 2008-05-13
[14] 웹사이트 The slow death of the carrier air wing https://foxtrotalpha[...] jalopnik.com 2017-07-19
[15] 웹사이트 Anson's Voyage Round the World http://www.gutenberg[...]
[16] 저널 The Effectiveness of Gunboat Diplomacy https://www.jstor.or[...] 1986
[17] 웹인용 "[일간기획] 1854년 일본 개항… 미국 무력에 굴복" https://www.1gan.co.[...] 2018-01-23
[18] 저널 "'미국 표류민 학대 문제' 와 맥도널드의 경험 -미일화친조약의 전야-" https://www.dbpia.co[...] 2012-01
[19] 저널 병인양요(丙寅洋擾)의 재조명(再照明) : 조선과 프랑스의 대격돌(大激突) :조선과 프랑스의 대격돌(大激突) https://www.dbpia.co[...] 2007-06
[20] 저널 제너럴 셔먼호 사건과 신미양요 https://www.dbpia.co[...] 1987-07
[21] 저널 1871년 미군의 강화도 침공과 전황 분석 https://www.dbpia.co[...] 2014-12
[22] 저널 『丙子擾錄』을 통해 본 조일수호조규 체결 https://www.dbpia.co[...] 2019-02
[23] 저널 조일수호조규는 포함외교의 산물이었는가? https://www.dbpia.co[...] 2016-02
[24] 서적 Gunboat Diplomacy 1919–1991: Political Applications of Limited Naval For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7-27
[25] 저널 Book Reviews : Gunboat Diplomacy 1919-1991 by James Cable. London: Macmillan for IISS, 1994. 246pp. £I7.50. Arms Control During the Pre-Nuclear Era by Robert Gordon Kaufma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289 pp. £13.95, $20.00 https://journals.sag[...] 1995-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