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디자인진흥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디자인진흥원(KIDP)은 1970년 한국수출품포장센터로 발족하여, 디자인 산업 진흥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디자인 인력 양성 및 교육, 디자인 연구 및 정책 개발, 디자인 문화 확산 및 해외 시장 진출, 기업 지원 및 창업 육성, 서비스 디자인 및 제조 혁신 등의 주요 사업을 추진한다. 과거 한국디자인포장센터, 산업디자인포장개발원 등의 명칭을 거쳐 현재의 한국디자인진흥원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며,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 분야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 공공기관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는 도시가스 제조 및 공급, 천연가스 개발, 수송, 수출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 공기업이며, 1983년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공급망 구축,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수행하고, 1999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 2007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 1970년 설립 - FM 오사카
    FM 오사카는 1970년 간사이 지역 최초의 민영 FM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오사카부를 중심으로 85.1MHz 주파수로 방송되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JFN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FM OH!'라는 애칭을 사용하다 2020년 'FM오사카'로 변경, 음주운전 방지 캠페인 등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는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 1970년 설립 - 대한민국 병무청
    대한민국 병무청은 국민의 병역 의무 이행을 관리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병역 자원 관리, 징집 및 소집, 사회복무요원 제도 운영 등을 담당하며 여러 논란에도 직면해 왔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와 국민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2000년 설립된 준정부기관으로, 요양급여 비용 심사, 적정성 평가, 의약품 유통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COVID-19 대응에도 기여한다.
한국디자인진흥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디자인진흥원 배너
한국디자인진흥원 배너
현지어 이름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설립일1970년 5월
기관장윤주현
기관장 직함원장
상급 기관산업통상자원부
웹사이트한국디자인진흥원
소재지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양현로 322 (야탑동 344-1)
직원 수100~200명

2. 연혁


  • 1970년 한국포장기술협회(1965년 설립)와 한국공예디자인연구소(1966년 설립, 1969년 한국디자인센터로 개칭, 1970년 한국수출디자인센터로 개칭)가 한국수출품포장센터로 흡수 통합된 후 한국디자인포장센터(현 한국디자인진흥원, KIDP)로 개칭, 발족[1]
  • 1977년 디자인포장진흥법(현 산업디자인진흥법) 제정으로 각종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의 법적 근거 마련[2]
  • 1982년 88서울올림픽 상품디자인 개발 위원회 설치[3]
  • 1991년 산업디자인포장개발원으로 개편[4]
  • 1993년 디자인발전 원년의 해 선포, 디자인주간 선포[5]
  • 1994년 디자인의 날 선포[6]
  • 1996년 부설 국제산업디자인대학원(IDAS) 개교[7]
  • 1997년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으로 개편(산업디자인진흥법 개정)[8]
  • 2001년 한국디자인진흥원 출범(산업디자인진흥법 개정)[9][10]
  • 2001년 코리아디자인센터 완공 및 사옥 이전[11]
  • 2013년 KIDP China(중국 베이징) 설립[12]
  • 2015년 미래디자인융합센터(경상남도 양산시) 완공 및 입주[13]
  • 2015년 한국디자인이우센터(중국 이우) 설치[14][15]
  • 2018년 한-베 디자인센터(베트남 하노이) 개소[16]
  • 2019년 한국디자인 순더비즈센터(중국 광둥성 순더) 개소[17]
  • 2019년 DK웍스 가산, 강남 개소[18]

3. 주요 사업

wikitext

분야주요 사업
디자인 인력양성 및 교육우수 디자이너 및 대학원생 발굴·육성, 인적자원 개발·관리·활용 기준 마련[27][28]
디자인 연구 및 정책개발디자인산업 정책 수립, 디자인산업 통계 정보 제공, 지역 연계 디자인 연구개발[33][34][35]
디자인 문화 확산 및 해외시장 진출우수디자인 상품디자이너 선정, 국내 디자인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36][37][15][16]
기업지원 및 창업육성중소·중견기업 및 사회적 기업 디자인 역량 강화 지원, 디자인권리보호 활동, 우수디자인전문회사 육성[38][39][40][41][42][43][44][45]
서비스디자인 및 제조혁신국민디자인단 운영 등 국민 참여형 서비스 디자인 지원, 도시재생 사업 추진,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자격검정시험 운영[46][47][48]


3. 1. 디자인 인력 양성 및 교육


  • 디자인 인력 양성: 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29], 코리아디자인멤버십(KDM)[30], 차세대디자인리더[31] 등 우수 디자이너 및 대학원생을 발굴·육성한다.
  •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및 일학습병행제 등 교육훈련 사업 수행으로 인적자원 개발·관리·활용 기준을 마련한다.[32]

3. 2. 디자인 연구 및 정책 개발

3. 3. 디자인 문화 확산 및 해외시장 진출

우수디자인상품선정[36],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37], 한국청소년디자인전람회, 글로벌생활명품 등 우수한 기업·지자체·디자이너를 선정한다. 중국·베트남 디자인센터 구축 및 해외거점센터 확대를 통해 국내 디자인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15][16]

3. 4. 기업 지원 및 창업 육성


  • 중소·중견기업 및 사회적 기업의 디자인 역량 강화를 위한 디자인 개발 및 컨설팅을 지원한다.[38][39][40]
  • 디자인 공지증명제도, 분쟁조정위원회, 표준계약서, 디자인 용역 대가 기준 마련 등 디자인권리보호를 위한 활동을 한다.[41][42][43][44]
  • 우수디자인전문기업과 성장 유망한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육성한다.[45]

3. 5. 서비스 디자인 및 제조 혁신


  • 국민 참여형 서비스 디자인: 국민디자인단[46], 국민UX개선 사업 등을 통해 국민 중심의 정책이 기획·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도시재생 융합 사업 지역: 주민과 서비스 디자인 전문가가 함께 도시 재생을 위한 사업 아이템 발굴 및 사업을 추진한다.[47]
  • 서비스·경험 디자인 기사: 2019년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공포됨에 따라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자격검정시험을 운영한다.[48]

4. 명칭 변천

기간명칭
1970. 4. 17. ~ 1977. 5. 20.재단법인 한국디자인포장센터
1977. 5. 21. ~ 1991. 1. 29.재단법인 한국디자인진흥센터
1991. 1. 30. ~ 2001. 4. 30.재단법인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2001. 5. 1. ~ 현재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명칭 및 CI 변천사

5. KIDP 역대 원장

KIDP 역대 원장
순서성명사진재임기간주요 이력경영 방침
초대이낙선
127x127px
1970.05.19현재 우리나라의 디자인과 포장의 실정은 국제 수준에 크게 뒤떨어져 있다. 상품의 품질 자체는 외국 상품에 비해 손색이 없지만, 디자인과 포장이 나빠 제값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인들은 디자인과 포장이 판매 촉진, 해외 시장 개척, 수출 증대에 직결되며, 곧 기업 성장을 의미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1]
2대조태호
127x127px
1972.03.08대량 생산, 대량 판매라는 산업 메커니즘이 크게 회전하는 곳에서 공해 문제와 소비자 보호 운동이 더욱 관심을 끌고, 인간 회복을 위한 움직임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특히 수출 상품은 외국인이 사용해야 수출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문제가 더욱 뚜렷하다. 따라서 상품과 포장의 기능, 구조, 색채, 합리성, 간편성, 처리성, 경제성 문제 등을 해결하고 기업 생명의 근원을 찾고자 한다.
3대장성환
127x127px
1973.01.01한국디자인포장센터 ICSID 정회원 가입[2]
4대김희덕
127x127px
1976.07.01디자인과 포장의 중요성은 경제가 대량 소비 시대를 맞이하며 점점 높아지고 있다. 기술 혁신은 생산성 향상과 상품 균질화를 초래하여 상품 자체의 우열 차이를 약화시키고 판매 기술이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제품의 독창성이 결여되고 디자인이나 포장이 미숙하면, 내용이 충실해도 국제 시장에서 우리 상품이 저질, 싸구려로 낙인찍힐 우려가 있다. 당 센터는 수출 상품 고급화와 창조적 상품 개발을 위해 국제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사명감이 더욱 무겁다는 것을 느낀다.[3]
5대이광노
127x127px
1984.01.01한국무역협회의 1983년 6월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상품 디자인이 타국보다 우수하여 구매한다는 응답은 2.4%에 불과했다. 이는 디자인보다는 다른 요인에 의한 구매가 절대적임을 의미한다. 낙후된 상품 디자인 수준은 과거와 달리 고급품 수출에 큰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디자인 진흥 정책의 일환으로 GD마크제를 실시하게 되었다.[4]
6~7대조진희
127x127px
1988.06.15한국디자인포장센터에서 산업디자인포장개발원(KIDP)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센터 설립 당시인 1970년과 비교하면 현재는 산업, 경제적 환경과 국제적 위상에 큰 변화가 있다. 1970년 당시 1000만달러이던 수출액은 7억달러에 달하며, 산업 구조도 고부가가치 산업 위주로 발전했다. 과거 모방, 주문 생산 형태에서 이제는 중소기업도 디자인, 포장 전담 부서를 두고 독자적 상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과거 센터가 디자인, 포장 산업의 개척기와 성장기를 주도했다면, 앞으로 개발원의 과제는 이를 성숙시키고 도약시키는 것이다.[5]
8대유호민
127x127px
1993.04.17산업디자인 원년 및 디자인 주간을 선포했다.[6] 상공자원부산업디자인 발전 원년 선포에 맞춰 KIDP는 1000개 중소기업의 산업 디자인 지도 개발로 수요를 촉진하고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한다. 또한 국제 비교 전시회 개최, 외국 유명 디자이너 초청 세미나, 교육, 기업 지도 등을 통해 디자인 국제화와 디자이너 해외 파견을 추진한다. 디자인 조기 영재 발굴을 위해 연간 1만 명의 초중고등학생을 무료 교육하고, 학생 전람회를 신설한다. 지방의 디자인 활성화와 균형 발전을 위해 지방 전시 및 연수를 확대하고, 기업 전문가 파견 교육을 실시한다.
9대노장우
127x127px
1996.12.17산업디자인포장개발원은 포장 부문에서 상당한 노하우와 실적을 쌓았다. 이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포장 업무가 정관에서 없어졌다고 해서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니다. 관계 부처와 협의하여 타 기관에 포장 관련 노하우를 이관할 때까지는 포장 업무 공백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특히 서울에서 개최될 APF 대회와 서울팩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할 것이다. KIDP의 기능은 한국 산업 디자인을 선도하는 것이다. 산업 디자인 발전 지표를 제시하고, 최선의 방법과 정보, 교육 등을 제공하며, 목표에 도달하도록 이끄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경제의 성숙도와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KIDP 사업을 단순히 성패로만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7]
10대정경원
127x127px
2000.02.2520년 전 대학원에서 한국 산업 디자인 정책을 연구하면서부터 디자인 정책과 진흥은 내 관심 분야였다. 공모 절차를 거쳐 당선되어 기쁘면서도 부담스럽다. 중요한 시기에 소임을 맡아 책임감을 느낀다. 모든 일은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 정부 개혁 논리도 마찬가지다. 백화점식으로 진흥원이 모든 것을 다 할 필요는 없다. 정부 끌기-민간 밀기가 20세기 아날로그식 정책이었다면, 21세기 디지털 시대 디자인 패러다임은 민간 끌기-정부 밀기로 바뀌어야 한다. 디자이너 출신 원장 선출 이유도 이러한 사고 전환이 필요했기 때문일 것이다.[8]
11대김철호
127x127px
2003.05.17산업자원부 주최, 한국디자인진흥원 주관의 본 전시는 2000년 세계그래픽디자인대회와 2001년 세계산업디자인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자신감과 세계 디자인계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추진되었다. 2003 서울 세계베스트디자인전은 세계적 수준의 디자인 제품을 한자리에서 비교, 전시하여 우리 기업의 디자인 수준을 높이고, 기업 간 비즈니스 및 마케팅을 지원하며, 소비자 안목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9]
12대이일규
127x127px
2006.05.16디자인은 기업 경영 전략, 국가 이미지 쇄신 전략으로 활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통하는 만국 공통어이자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되는 요소이다. 훌륭한 품질과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라도 소비자의 문화적 욕구와 감성을 충족하는 디자인을 고려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외면당한다. 국민 소득 20000USD가 넘으면 삶의 질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공공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다. 우리나라도 새 정부가 창의적 디자인 강국 구현을 국정 지표로 삼아 디자인 발전에 나서고 있으며, 유럽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디자인을 내걸고 국가 이미지 향상과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이제 디자인과 연계되지 않은 경영 전략은 불가능할 만큼 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하다.[10]
13대김현태
127x127px
2009.01.01.21세기 감성 경제 시대에 기업 가치 창출 및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서 디자인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설문조사 결과, 국내 기업 CEO의 51.7%가 디자인이 기업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응답(2006. 6)하는 등, 기술 수준 평준화로 인해 제품 차별화 및 브랜드 제고를 위한 가치 창출 수단으로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제4차 산업디자인진흥종합계획(2008-2012) 중 2010년 우선 추진 과제를 중심으로 기업 육성, 인력 양성, 기반 조성, 제도 개선 등 디자인 산업 진흥을 위한 실행 방안에 대해 집중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11]
14대이태용
127x127px
2012.03.27한국 디자인 발전을 위해 디자인이 제대로 가치를 인정받도록 불공정 거래 근절 및 디자인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 우리 디자인 발전에 큰 업적을 세운 명사들을 발굴하는 "디자인 명예의 전당" 제도를 신설할 것이다. KIDP는 현재 디자인 기획부터 사업화까지 전체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디자인 융합형 R&D 프로세스" 개발과 디자인 전문 회사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디자인 컨설팅으로 고도화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 중이다. 또한 중소기업을 위한 디자인 기초 연구 및 트렌드 리서치를 수행할 디자인 연구소를 설립하고, 융합형 디자인 대학 교육, 차세대 디자인 리더 사업을 통한 글로벌 스타 디자이너 양성 등 디자인 인재 육성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다.[12]
15대정용빈
127x127px
2015.06.01디자인은 감성 산업과 기술을 융합하는 촉매 코드로 기업과 국가 경쟁력을 견인할 것이다. 디자인을 창조 산업, 품격 산업으로 재정립하는 디자인 경영 전략가의 임무를 다할 것이다. 해외 디자인 진출 지원 등 글로벌 비즈니스 사업 강화에 나서 수출 회복을 이끌고, 우수 디자인 해외 진출 사업을 14억 규모로 추진한다. 프랑스 메종&오브제, 중국 캔톤 페어와 이우시 국제소상품박람회 같은 비즈니스 전시 참가 지원, 알리바바 온라인 마켓(Design More) 등과 제휴해 국내 디자인 기업 수출을 돕고, 코트라 등 유관 기관과 협력해 생활 산업 분야 디자인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 2017년까지 100개의 소비재 발굴을 목표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및 수요 변화에 부합하고 세계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이 높은 글로벌 생활 명품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16대윤주현
150x150px
2018.04.27임기 내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은 내부적으로 디자인 주도 조직 혁신, 외부적으로 디자인계 권리 보호, 디자인 주도 산업 육성, K-디자인 아카이빙, 사회적 가치 실현이다.[13]


6. 사건 사고

2017년, 회장 딸의 채용 비리 사실이 적발되었다.[49] 같은 해, 직원 간 공모전 수상 비리도 드러났다.[50]

2019년에는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여 비판을 받았다.[51]

2020년에는 회사 설비를 몰래 고물상에 팔아넘긴 사실이 밝혀졌고,[52] 공공기관 경영정보 불성실 공시 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동반성장 등급 최하위를 기록했다.[53]

참조

[1] 웹인용 재단법인한국수출품포장센터정관개정및임원개선승인 https://www.archives[...] 2020-11-26
[2] 웹인용 법률 제3070호 https://www.law.go.k[...] 2020-11-26
[3] 웹인용 DP센터 올림픽商品(상품) 디자인開發委(개발위) 설치 https://newslibrary.[...] 2020-12-08
[4] 웹인용 법률 제4321호 https://www.law.go.k[...] 2020-11-26
[5] 웹인용 디자인 주간 우리나라서 첫 실시 https://newslibrary.[...] 2020-12-08
[6] 웹인용 산업디자인 세계화 계기로 https://newslibrary.[...] 2020-12-08
[7] 웹인용 <焦點> 대학설립신청 특징과 내용 https://news.naver.c[...] 2020-12-14
[8] 웹인용 법률 제5214호 https://www.law.go.k[...] 2020-11-26
[9] 웹인용 법률 제6415호 https://www.law.go.k[...] 2020-11-26
[10] 웹인용 한국 디자인진흥원 출범 https://news.naver.c[...] 2020-11-26
[11] 웹인용 디자인진흥원 사옥 이전 https://news.naver.c[...] 2020-12-08
[12] 웹인용 중국에 K-디자인 심는다 https://news.naver.c[...] 2020-11-26
[13] 웹인용 미래디자인융합센터 개관식 https://www.yna.co.k[...] 2020-11-26
[14] 웹인용 한국디자인진흥원, 중국 이우시와 양해각서 체결 https://www.mk.co.kr[...] 2020-11-26
[15] 웹인용 디자인진흥원, 中 '이우한국생활디자인센터' 개소 http://view.asiae.co[...] 2020-11-26
[16] 웹인용 디자인진흥원, 베트남에 '한-베 디자인센터' 개소 https://www.sedaily.[...] 2020-11-26
[17] 웹인용 디자인진흥원, 중국 광동성 순더에 '한국디자인순더비즈센터' 개관 https://v.daum.net/v[...] 2023-07-11
[18] 웹인용 한국디자인진흥원, 가산디지털단지에 ‘DK웍스’ 개소 https://www.etnews.c[...] 2020-11-27
[19] 웹인용 86 우수디자인 접수 8부문 61품목 선정 https://newslibrary.[...] 2020-11-27
[20] 웹인용 한국우수포장대전 개막 https://newslibrary.[...] 2020-11-27
[21] 웹인용 디자인 포장 기술개발 주역 https://newslibrary.[...] 2020-11-27
[22] 웹인용 한일 국공립 연구기관 공동체제 곧 구축키로 https://newslibrary.[...] 2020-05-29
[23] 웹인용 대상 공예부문 박미정씨의 <티 테이블> https://newslibrary.[...] 2020-11-27
[24] 웹인용 집중조명 산업디자인Ⅰ 국내 육성정책 https://newslibrary.[...] 2020-11-27
[25] 웹인용 산뜻·세련…구매욕구 자극 중기 디자인지도 우수상품전 https://newslibrary.[...] 2020-11-27
[26] 웹인용 국내 산업디자인 육성 총본산 https://newslibrary.[...] 2020-11-27
[27]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16128호 제8조(전문인력의 양성 등) https://www.law.go.k[...] 2020-11-30
[28]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9677호 제22조(산학협동의 촉진) https://www.law.go.k[...] 2020-11-30
[29] 웹인용 산업부, 연세대 등 3곳 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설립 지원대상 선정 http://news.heraldco[...] 2020-11-30
[30] 웹인용 디자인진흥원 “KDM 우수 성과물, 크라우드펀딩 5일 만에 273% 달성” https://www.fnnews.c[...] 2020-11-30
[31] 웹인용 ‘차세대 디자인리더’ 글로벌 중소 이끈다 https://mk.co.kr/new[...] 2020-11-30
[32] 웹인용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운영규정 제4조(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구성·운영) https://www.law.go.k[...] 2020-11-30
[33]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제16128호 제3조(산업디자인진흥종합계획의 수립 등) https://www.law.go.k[...] 2020-11-30
[34]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제16128호 제10조의2(산업디자인통계의 조사) https://www.law.go.k[...] 2020-11-30
[35]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제16128호 제11조의2(지역디자인센터의 설치 등) https://www.law.go.k[...] 2020-11-30
[36]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제16128호 제6조(우수산업디자인상품의 선정 등) https://www.law.go.k[...] 2020-11-30
[37]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9677호 제8조(산업디자인전람회의 개최) https://www.law.go.k[...] 2020-11-30
[38] 웹인용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1176호 제39조(지도실시기관의 지정) https://www.law.go.k[...] 2020-11-30
[39] 웹인용 장애인기업활동 촉진법 법률 제16171호 제10조2(디자인 개발 지원) https://www.law.go.k[...] 2020-11-30
[40] 웹인용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556호 제12조(디자인 개발 지원) https://www.law.go.k[...] 2020-11-30
[41]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9677호 제20조의2(디자인모방방지시스템의 개발ㆍ운영) https://www.law.go.k[...] 2020-11-30
[42]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제16128호 제10조의3(분쟁조정위원회의 설치) https://www.law.go.k[...] 2020-11-30
[43]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제16128호 제5조의2(표준계약서의 제정ㆍ보급_ https://www.law.go.k[...] 2020-11-30
[44] 웹인용 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제16128호 제9조의2(산업디자인 개발의 대가기준 등) https://www.law.go.k[...] 2020-11-30
[45] 웹인용 산업디자인법 법률 제16128호 제9조(산업디자인전문회사에 대한 지원) https://www.law.go.k[...] 2020-11-30
[46] 웹인용 국민디자인단 운영지침 행정안정부예규 제1호 제3조(추진체계), 제8조(교육 및 홍보) https://www.law.go.k[...] 2020-11-30
[47] 웹인용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1176호 제13조(도시재생지원기구의 지정 등) https://www.law.go.k[...] 2020-11-30
[48] 웹인용 '서비스·경험 디자인 기사' 필기시험 원서접수 https://www.fnnews.c[...] 2020-11-30
[49] 웹인용 '인사 채용 비리 사실로', 한국디자인진흥원 모럴헤저드 심각 https://www.metroseo[...] 2020-11-25
[50] 웹인용 디자인진흥원(KIDP), 공모전 열어 직원들끼리 상 나눠먹기식 행태 반복 https://www.sedaily.[...] 2020-11-25
[51] 웹인용 대통령 경고에도 계속 '일본해'…정신없는 15곳은? https://imnews.imbc.[...] 2020-11-25
[52] 웹인용 "[단독] 회사 설비 야금야금 고물상에…직원들의 간 큰 '뒷거래'" https://imnews.imbc.[...] 2020-11-25
[53] 웹인용 KISAㆍ한국디자인진흥원 등 공공기관 9곳 동반성장 등급 '최하위' https://www.etoday.c[...] 2020-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