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병대 제2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병대 제2사단 (대한민국)은 대한민국 해병대 예하 사단으로, 1965년 베트남 전쟁 참전을 위해 창설된 해병대 제2여단을 모체로 한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여러 작전 및 전투에 참여했으며, 짜빈동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베트남 전쟁 이후에는 서부전선에서 임무를 수행하다가 1981년 사단으로 증편되었다. 현재는 제1, 5, 8 해병여단과 포병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병대의 사단 - 해병대 제1사단 (대한민국)
    해병대 제1사단 (대한민국)은 1950년 창설되어 미국 제1해병사단에 배속되었으며, 현재 신속기동부대 등을 예하에 두고 있으며, 주요 사건으로 민간인 부대 무단 침입 사건 등이 있었다.
  • 김포시 소재의 관공서 - 김포소방서
    김포소방서는 1999년 부천소방서에서 분리되어 개서하여 김포시 전역을 관할하며, 소방행정과, 재난예방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개의 119안전센터와 구조대, 구급대를 산하에 두고 있다.
  • 김포시 소재의 관공서 - 김포경찰서
    김포경찰서는 1945년 개소하여 김포시의 치안을 담당하며, 4개의 지구대와 8개의 파출소를 관할한다.
  • 1965년 설립된 단체 -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은 1965년 미국군의 베트남 북부 폭격에 반대하며 결성된 일본의 시민 단체로, 반전 운동과 미일안보조약 반대 시위를 주도했으나 1974년 해산되었다.
  • 1965년 설립된 단체 -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
    1965년 이란에서 설립된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는 초기 이슬람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팔레비 정권에 대한 무장 반란을 목표로 했으나, 이후 이란 이슬람 공화국과의 갈등, 테러 단체 지정, 이라크와 알바니아로의 이전 등 논란 속에서 이란 정부 전복을 추구하고 있다.
해병대 제2사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대한민국 해병대 청룡부대 휘장
대한민국 해병대 제2사단 휘장
별칭청룡부대
표어Fight Tonight
군가청룡은 간다
마스코트청룡
부대 연혁
창설일1965년 9월 20일 (여단)
사단 승격일1981년 4월 16일
존속 기간1965년 9월 20일 ~ 현재 ()
규모 및 역할
종류보병 사단
역할상륙 작전, 김포시, 강화군 방위, 한강 하구 경계
규모사단
위치 및 지휘
주둔지경기도 김포시
현재 지휘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최영길 (해사 48기)
지휘관 명칭사단장
지휘 체계
부대 관리 및 교육 훈련 통제해병대사령부
작전 통제권수도군단
참전 및 수훈
주요 참전베트남 전쟁
상세 참전Operation Van Buren
Battle of Tra Binh Dong
Operation Hood River
Operation Dragon Fire
Operation Pipestone Canyon
Operation Imperial Lake
수훈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2. 역사

1965년 응우옌까오끼의 전투 전력 파견 요청으로, 대한민국은 베트남 전쟁에 1개 사단과 지원 부대를 파병하기로 결정하였다.[1] 8월 17일, 제1상륙사단 11해병연대에서 일부 부대를 차출하여 제2해병연대에 배속, 여단으로 증편하였다.[1] 경상북도 포항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 약 3개월 훈련 후, 9월 20일 출병식을 가졌다.[1] 10월 3일 부산 출항, 10월 9일 베트남 공화국 깜라인에 상륙하여 미 101공수사단과 임무를 교대하였다.[1]

제2해병여단은 대부분 자원병으로, 이건희, 온지원의, 정몽구 등 재벌과 지식인, 반공주의자들이 포함되었다.[1] 징집은 1967년 11월 4일부터 시작되었다.[1]

1972년 1월, 국방부는 청룡부대 귀국 즉시 해체 및 명칭 이전 방침을 밝혔다.[14] 청룡부대는 1972년 2월 24일 파리 평화협정에 따라 남베트남에서 철수했다.[14] 1973년 제3야전군 서부전선으로 이동, 1981년 4월 16일 사단으로 증편되어 현재의 대한민국 해병대 제2사단이 되었다.

2사단은 2010년 소속 대령의 운전병 성폭행 사건(대법원 무죄),[15][16] 2011년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으로 인한 가혹행위 및 기수 열외 문제,[17][18] 2007년 강화 총기 탈취 사건,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1968년 퐁니·퐁넛 학살 가담 혐의[8][9] 등 사건사고가 있었다.

2. 1. 창설 배경

1965년 6월 1일 응우옌까오끼 남베트남 총리가 대한민국에 전투 전력 파견을 요청하자, 대한민국 정부는 7월 20일 국무회의에서 1개 사단과 지원 부대를 베트남 전쟁에 파병하기로 결정하였다.[1] 8월 17일, 당초 1개 연대급으로 파병할 예정이었던 해병대 제1상륙사단 11해병연대에서 일부 부대를 차출하여 제2해병연대에 배속시키면서, 독자적인 작전 수행이 가능한 여단급으로 증편하였다.[1] 이는 현지 작전 환경을 고려한 조치였다.[1]

해병대 제2여단(청룡부대)은 경상북도 포항에 위치한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 6월 4일부터 약 3개월간 현지 적응 훈련을 받았다.[1] 1965년 9월 20일, 박정희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에서 창설식을 거행하였다.[1] 이후 부대는 10월 3일 부산에서 출항하여 6일간의 항해 끝에 10월 9일, 베트남 공화국깜라인에 상륙, 북방 4km 지점에서 미국 제101공수사단과 임무를 교대하였다.[1]

해병대 제2여단은 대부분 자원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이건희, 온지원의, 정몽구 등 한국 초창기 재벌과 지식인, 그리고 강력한 반공주의자들도 포함되었다.[1] 징집은 용의 불길 작전에서 막대한 사상자가 발생한 이후인 1967년 11월 4일부터 시작되었다.[1]

2. 2. 베트남 전쟁 참전 (1965년 ~ 1972년)

1965년 6월, 응우옌까오끼 남베트남 수상의 전투 병력 파병 요청에 따라 한국 정부는 1개 사단과 지원 부대를 파병하기로 결정했다.[1] 제1상륙사단에서 일부 부대를 차출하여 여단급으로 증편된 이 부대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있는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 약 3개월간 현지 적응 훈련을 받았다.[1] 이후 10월 3일 부산항을 출발하여 10월 9일 깜라인에 상륙, 제101공수사단과 임무를 교대했다.[1]

제2해병여단 (청룡부대)의 남베트남 도착 1주년 기념식에서 여단 기수 호위대


1968년 7월 10일, 호이안 인근 기지에서 제2해병여단 포병들이 105mm 곡사포 사격


청룡부대는 1965년 12월 투이호아로 이동하여 북베트남군 제95연대를 경계하는 임무를 수행했고,[1] 1966년 8월에는 추라이로 이동하여 III 해병 기동 부대(III MAF)의 작전 통제를 받았다.[2] 미 해병대와의 협정에 따라 공중 자산을 지원받았으며, 제1 ANGLICO 소속 1개 팀이 파견되어 공중 엄호 임무를 수행했다.[2]

초기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AK-47 소총으로 무장하여 M1 개런드M1 카빈 소총으로 무장한 한국군보다 소화기 화력에서 우위에 있었지만, 한국군은 압도적인 화력 지원과 공중 지원에 의존했다.[1] 이후 M16 소총 등 현대적인 무기를 지원받았다.[1]

1972년 1월, 국방부는 청룡부대가 귀국하는 즉시 해체하고 명칭만 다른 부대로 이전할 것이라고 밝혔다.[14] 청룡부대는 1972년 2월 24일 파리 평화협정에 따라 남베트남에서 완전히 철수했다.[14]

2. 2. 1. 주요 작전 및 전투


  • 라이트닝 작전: 1965년 11월 8일부터 14일까지 칸호아 성에서 실시[3]
  • 작전명 플라잉 타이거: 1966년 1월 초, 미군/베트남 공화국 육군(ARVN)과 합동 작전.[1]
  • 작전명 밴 뷰런: 1966년 1월 19일부터 2월 21일까지 푸옌 성에서 제101공수사단 및 ARVN과 함께 수행한 쌀 수확 안전 작전으로, 미군은 ROK군 45명과 미군 55명의 손실에 베트콩 346명 사살을 주장했다.
  • 롱스트리트 작전: 빈딘 성과 푸옌 성에서 실시한 공병 보안 작전[3]
  • 작전명 리: 1966년 10월 3일부터 10일까지 꽝응아이 성에서 ARVN 제4연대와 함께 실시[3]
  • 짜빈동 전투: 1967년 2월 15일, 청룡부대 제11중대가 꽝남 성 짜빈동 마을 근처에서 참호전을 벌이던 중, 중 박격포와 무반동총의 지원을 받는 3개 베트콩 대대의 공격을 받았다. 베트콩은 중대 중앙에 1개 대대를 투입하여 공격하기 전에 중대 양측에 2차 공격을 가했고, 방어선을 돌파하여 화염 방사기와 뱅갈로어 어뢰를 사용하여 중대의 벙커를 공격했다. 중대는 반격을 가했고, 이 위치에 헬기로 투입된 대한민국 해병대 신속 대응 중대의 도움을 받아 ROK군은 243명을 사살했다고 주장하며 베트콩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4]
  • 작전명 자이언트 드래곤: 2월 17일부터 22일까지 꽝응아이 성에서 실시되었으며, ROK군은 16명의 베트콩을 사살하고 61정의 무기를 노획했다고 주장했다.[4]
  • 드래곤 파이어 작전: 1967년 9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꽝응아이 성에서 실시되었으며, 541명의 베트콩을 사살했다고 주장했다.[5]
  • 다낭 테트 공세 중 호이안 탈환
  • 작전명 데어링 레벨: 1969년 5월 5일부터 20일까지 다낭 남쪽 24km 떨어진 빈딘 성 배리어 섬에서 ARVN 제2사단 및 미군과 함께 수행한 수색 및 파괴 작전으로, 4명의 베트콩을 사살했다고 주장했다.[6]
  • 작전명 빅토리 드래곤: 1968년 10월부터 1970년 12월까지 꽝남 성 고노이 섬에서 실시.
  • 작전명 파이프스톤 캐년: 1969년 5월 26일부터 11월 7일까지 꽝남 성 고노이 섬에서 실시.
  • 작전명 데피언트 스탠드: 1969년 9월 7일, 제1대대, 제26해병연대와 함께 실시한 상륙 작전. 대한민국 해병대가 수행한 최초의 상륙 작전이었다.[3]
  • 작전명 호앙 디에우 101: 1970년 12월 17일부터 1971년 1월 19일까지 꽝남 성에서 III MAF 및 ARVN 제51연대와 함께 실시, 사상자 불명.[3]
  • 작전명 골든 드래곤 II: 1971년 1월 4일부터 21일까지 꽝남 성에서 실시한 수색 및 정찰 작전[7]
  • 작전명 호앙 디에우 103: 1971년 2월 3일부터 3월 10일까지 꽝남 성에서 III MAF 및 ARVN 제51연대와 함께 실시[3]

2. 2. 2. 짜빈동 전투 (1967년 2월)

1967년 2월 14일, 북베트남 제2사단 소속 1연대 60대대와 21연대 40대대, 그리고 꽝응아이성 지방 게릴라 2,400명이 꽝응아이성 추라이 짜빈동에 주둔하고 있던 청룡부대 제3대대 11중대를 야간 기습하였다.[13] 제11중대는 앞서 파견된 제1대대 1중대 3소대와 함께 2일 동안 공세에 저항하여 15명이 전사하였으나, 성공적으로 방어하였다.[13] 전투 후, 장교를 제외한 제11중대원과 제1중대 3소대원은 모두 1계급 특별 진급하였고, 제11중대장 정경진 대위와 1소대장 신원배 소위는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13] 1968년 5월 28일, 중대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정희미국의 대통령 린든 B. 존슨으로부터 양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13]

짜빈동 전투에서 청룡부대 제11중대는 꽝남 성 짜빈동 마을 근처에서 중 박격포와 무반동총의 지원을 받는 3개 베트콩 대대의 공격을 막아냈다.[4] 베트콩은 중대 중앙에 1개 대대를 투입하여 공격하기 전에 중대 양측에 2차 공격을 가했고, 방어선을 돌파하여 화염 방사기와 뱅갈로어 어뢰로 중대의 벙커를 공격했다.[4] 중대는 반격을 가했고, 헬기로 투입된 대한민국 해병대 신속 대응 중대의 도움을 받아 북베트남군 243명을 사살했다고 주장하며 베트콩을 격퇴했다.[4]

2. 2. 3. 베트남 전쟁의 결과

청룡부대베트남 전쟁에서 짜빈동 전투를 통해 북베트남군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하며 대통령 박정희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으로부터 부대 표창을 받는 등 뛰어난 전과를 올렸다고 평가받는다.[13] 그러나 퐁니·퐁넛 학살과 같은 민간인 학살 의혹도 제기되었다.[8][9]

총 32만 명의 한국군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 중 약 4천 명이 전사했다.[1] 베트남 전쟁 참전은 한국군의 전투력 강화에 기여했지만, 민간인 피해와 같은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들의 헌신을 기억하는 한편, 전쟁 중 발생한 민간인 피해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2. 3. 베트남전 이후

1972년 파리 평화협정에 따라 베트남 전쟁에서 철수했으며, 1973년 제3야전군 서부전선으로 이동하여 임무를 교대하였다. 1981년 4월 16일, 여단에서 사단으로 증편되어 현재의 대한민국 해병대 제2사단이 되었다.

2. 4. 사건사고

2010년, 2사단 소속 대령이 운전병으로 근무하던 해병대원을 성폭행하여 자살을 기도하게 한 사건이 있었다. 가해 대령은 1심에서 징역 1년 9개월을 선고받았으나,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 판결을 받았다.[15][16]

2011년에는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하여 해병대 내 가혹행위 및 기수 열외 문화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다.[17][18] 이외에도 2007년 강화 총기 탈취 사건,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등이 있었다.

또한, 1968년에는 퐁니·퐁넛 학살에 가담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2023년 서울 법원은 피해자에게 24000USD의 배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8][9]

2. 4. 1. 주요 사건사고


  • 2010년, 2사단 소속 대령이 운전병으로 근무하던 해병대원을 네 차례 성폭행한 사건이 있었다. 이로 인해 충격을 받은 해병대원은 자살을 기도했고, 사건이 알려지면서 해당 대령은 국방부 군사고등법원에서 징역 1년 9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다.[15] 그러나 대법원은 “피해자의 진술에 신빙성을 의심할 만한 여러 사정이 쉽게 발견되는 등 범죄의 증명이 없다고 보고 무죄를 판결한 원심은 파기환송 판결의 취지에 따른 것으로 정당하다”며 최종적으로 무죄를 판결했다.[16]
  •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2011년 7월 4일 오전 11시 50분, 8연대 81대대 1중대 소속 김민찬 상병이 정준혁 이병과 공모하여 총격 사건을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4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기수 열외에 따른 반발이 동기로 밝혀졌다. 이 사건을 통해 대한민국 해병대의 복잡하고 다양한 내부적 문제점이 대외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7][18]
  • 2007년 강화 총기 탈취 사건
  •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 1968년 2월, 해병 제2사단은 퐁니·퐁넛 학살을 저지른 혐의를 받았다. 2023년 2월, 서울 법원은 피해자 응우옌 티 타잉에게 24000USD의 배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으며, 재판부는 응우옌의 친척들이 현장에서 살해당하고 원고가 심각한 부상을 입은 것은 명백히 불법이라고 판단했다.[8][9]

3. 편제

해병대 제2사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현재과거



과거 제2해병여단은 직할 중대, 제1, 2, 3, 5해병대대, 제2야전포병대대, 제628야전포병 A 부대(육군)로 구성되었다.[1]

3. 1. 현재


  • 사단 본부
  • 본부대대
  • 제1해병여단 (선봉)
  • * 제11대대
  • * 제12대대
  • * 제13대대
  • 제5해병여단 (상승)
  • * 제51대대
  • * 제52대대
  • * 제53대대
  • 제8해병여단 (백호)
  • * 제81대대
  • * 제82대대
  • * 제83대대
  • 포병여단
  • * 제1포병대대
  • * 제5포병대대
  • * 제8포병대대
  • * 제22포병대대
  • 정보통신대대
  • 화생방대대
  • 공병대대
  • 상륙돌격장갑차대대
  • 제2수색대대
  • 정보대대
  • 전차대대
  • 제2군수대대
  • 제1예비군관리대대
  • 제2예비군관리대대
  • 군사경찰대
  • 의무근무대
  • 김포파견대
  • 방공중대
  • 교동소대

3. 2. 과거 편제


  • 제1해병연대
  • 제5해병연대
  • 제8해병연대
  • 제2해병포병연대
  • 제1해병대대
  • 제2해병대대
  • 제3해병대대
  • 제5해병대대
  • 제2야전포병대대
  • 제628야전포병대대, 1포대 (육군)
  • 직접통제중대
  • 군사정보대
  • 근무중대
  • 치료중대
  • 공병소대
  • 수색소대
  • 군사경찰소대


'''제2해병여단'''[1]

  • 직할 중대
  • 제1해병대대
  • 제2해병대대
  • 제3해병대대
  • 제5해병대대
  • 제2야전포병대대
  • 제628야전포병 A 부대 (육군)

4. 역대 지휘관

해병대 제2여단장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참고
1준장이봉출1965년 9월 20일1966년 12월 21일베트남 전쟁
2준장김연상1966년 12월 20일1968년 8월 4일베트남 전쟁
3준장이동호1968년 8월 5일1970년 2월 11일베트남 전쟁
4준장이동용1970년 2월 12일1971년 8월 1일베트남 전쟁
5준장허홍1971년 8월 2일?베트남 전쟁



해병대 제2사단장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참고
19소장이상훈2010년 월 일2012년 11월 7일
20소장김시록2012년 11월 8일2014년 10월 16일
21소장전진구2014년 10월 17일2016년 10월 27일제34대 해병대 사령관
22소장이승도2016년 10월 27일2018년 1월 4일제35대 해병대 사령관
23소장서헌원2018년 1월 4일2019년 5월 13일
24소장백경순2019년 5월 13일2020년 7월 31일
25소장조강래2020년 8월 1일2021년 5월 27일
26소장정수용2021년 5월 28일2022년 6월 9일
27소장조영수2022년 6월 10일2023년 11월 6일
28소장정종범2023년 11월 7일2024년 11월 29일
29소장최영길2024년 12월 2일


5. 출신 인물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Allied Participation in Vietnam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2] 웹사이트 dcbsoftware.com http://www.dcbsoftwa[...] 2010-03-27
[3] 웹사이트 Vietnam Archive Operations Database https://www.vietnam.[...]
[4] 웹사이트 Review of the events of February 1967 http://www.vietnam.t[...] 2010-04-01
[5] 웹사이트 flyarmy.org http://www.flyarmy.o[...]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SS ''White River'' (LSMR-536) http://www.mrfa.org/[...] 2010-04-12
[7] 웹사이트 Marines in Vietnam: Vietnamization and Redeployment http://www.marines.m[...] 2010-07-31
[8] 뉴스 South Korea court rules in favour of Vietnam War massacre victim https://www.aljazeer[...]
[9] 뉴스 South Korea to pay US$24,000 to Vietnamese woman who survived military massacre https://www.scmp.com[...]
[10] 문서 부대 관리 및 교육 훈련 통제
[11] 문서 작전 통제권 보유
[12] 웹사이트 대한민국 해병대 공식 홈페이지 http://rokmc.mil.kr/[...] 2015-09-27
[13] 웹인용 짜빈동 전투 http://cafe3.ktdom.c[...] 월남전과 한국 2012-01-28
[14] 뉴스 主力(주력) 오늘凱旋(개선) 青龍(청룡),西部前線(서부전선)에 배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2-02-07
[15] 뉴스 해병대 오모대령 성추행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2-02-18
[16] 뉴스 해병대 오모대령 성추행 무죄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09-14
[17] 뉴스 김 상병 "구타, 왕따, 기수 열외 없어져야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11-07-05
[18] 뉴스 참사 원인 지목 '기수 열외', 해병대 특유의 왕따 http://news.sbs.co.k[...] SBS 뉴스 2011-07-06
[19] 문서 북한 이탈 주민 강화도 경유 월북 사건으로 인해 2020년 7월 31일에 해병대 제 2 사단장직에서 해임되었으며, 현재 해병대 부사령관 직책을 수행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