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헝가리 이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헝가리 이름은 헝가리에서 사용되는 이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헝가리어는 18~19세기에 비해 철자법이 단순해졌지만, 과거 표기 방식을 따르는 경우도 있다. 헝가리인들은 성-이름 순서로 이름을 사용하며, 성은 조상의 직업이나 인종에서 유래된 경우가 많다. 헝가리 이름은 헝가리의 역사와 종교에 기반하여 성인, 왕족 등의 이름이 헝가리어로 번역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헝가리어 고유의 이름도 존재한다. 결혼 후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성씨를 활용하며, 법률에 따라 이름과 성을 짓는 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헝가리 외 다른 언어에서는 서양식 작명법으로 인식되며, 비헝가리어 이름은 헝가리어로 번역되거나 원어 발음에 맞춰 사용된다.

2. 철자법

헝가리어 문자는 18세기와 19세기에 비해 단순해졌지만, 많은 헝가리인들은 여전히 과거의 표기 방식대로 이름을 짓는다. 예를 들어, 문자 ''c''는 종종 ''cz''로 쓰인다. 또한, 헝가리어가 아닌 언어에서 유래한 단어에 주로 쓰이는 ''q'', ''w'', ''x'', ''y'' 같은 문자들도 중세 귀족 가문의 성씨를 포함한 옛 헝가리어 이름 표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출신 장소를 나타내며 ''-i'' 접미사로 끝나는 성씨는 두 가지 방식으로 표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 접미사 또는 ''-y'' 접미사를 사용할 수 있는데, 두 접미사 모두 '어떤 지역 출신' 또는 '어떤 지역의'라는 의미를 가지며 발음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세게드 출신 가문이 성씨를 지을 경우, '세게드 출신'을 의미하는 "세게디(Szegedi, Szegedyhu)"로 표기할 수 있다. ''-y'' 접미사가 귀족 가문을 나타낸다는 인식이 있지만, 이는 잘못된 믿음이다. ''-y''가 더 오래된 표기 방식이고, 과거의 기록들이 주로 높은 신분을 가진 인물들을 다루었기 때문에 생긴 오해로 추정된다.

3. 헝가리인들의 성씨

헝가리인들은 일반적으로 '성-이름 순서'로 이름을 짓고 이름을 언급할 때 성을 먼저 언급한다.[17][2]

헝가리의 성씨 중 일부는 조상의 직업에서 유래했다. 예를 들어 '서보(Szabóhu)'는 재단사를, '코바치(Kovácshu)'는 대장장이장인을, '헐라스(Halászhu)'는 어부를 의미한다. 다른 성씨들은 민족적 기원을 나타내기도 한다. 흔한 예로는 독일인을 뜻하는 '네메트(Némethhu)', 크로아트인을 뜻하는 '호르바트(Horváthhu)', 슬로바크인을 뜻하는 '토트(Tóthhu)', 폴인을 뜻하는 '렌젤(Lengyelhu)',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올라흐(Oláhhu)', 그리고 세르브인을 뜻하는 '라츠(Rác, Rácz, Rátzhu)' 등이 있다.

19세기와 20세기 초반, 헝가리 왕국 내에 거주하던 유대인, 독일계, 슬라브계 등 비헝가리계 민족들은 헝가리어식 성씨를 채택하도록 강제되거나 권장되었다.[3] 독일어 이름이나 성을 가지고 있던 일부 사람들은 이를 헝가리어로 직접 번역하여 사용했다.[4] 그러나 많은 독일계 헝가리인들은 '호른(Hornhu)', '데우치치(Deutschhu)', '슈털레르(Stallerhu)', '켈레르(Kellerhu)', '로츠켄버우에르(Rockenbauerhu)', '호프먼(Hoffmannhu)' 등 원래의 독일어 성씨를 그대로 유지하기도 했다.[5]

헝가리에서 가장 흔한 세 개의 성씨는 Nagy, Kovács, Tóth이다.[6]

헝가리인이 국외에서 활동하는 경우에는 다른 서구 국가들처럼 "이름-성" 순서로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예: 이슈트반 케르테스, 페렌츠 프리차이, 커털린 커리코[15]).

또한 역사적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등에는 헝가리어 성명과 독일어 성명을 함께 가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헝가리어 성명을 독일어나 독일어식으로 번역한 뒤 "이름-성" 순서로 표기하기도 했다.


  • 필리프 레나르트: 헝가리명 레나르드 퓔뢰프 에데 안탈(Lénárd Fülöp Ede Antalhu), 독일명 필리프 에두아르트 안톤 폰 레나르트(Philipp Eduard Anton von Lenardde)
  • 존 폰 노이만: 헝가리명 너이먼 야노시 라요시(Neumann János Lajoshu), 독일명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노이만(Johannes Ludwig von Neumannde)

4. 헝가리인들의 이름

헝가리인의 이름은 주로 종교(특히 기독교)와 헝가리의 역사에서 유래한다. 많은 성인이나 왕족, 귀족의 이름이 헝가리어로 번역되어 사용되면서 헝가리 이름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했다.

헝가리 이름의 기원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슷하게 성경, 그리스어, 라틴어, 게르만어, 켈트어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고유한 헝가리어 이름이나 다른 유럽 언어 이름을 헝가리어식으로 번역한 이름도 많이 사용된다. 헝가리에는 수호 성인 축일(헝가리어: névnaphun)을 기념하는 문화가 있으며, 관련 달력도 존재한다.

4. 1. 여성 이름

헝가리 여성 이름은 주로 기독교 성인이나 헝가리 왕족, 귀족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이 이름들이 헝가리어로 번역되어 정착된 경우가 많다.

  • 안나: 성 안나에서 유래했다.
  • 보글라르카: 미나리아재비 꽃 이름에서 유래했다.
  • 치야: '별'을 뜻하는 헝가리어 단어 ''csillag''에서 파생되었다.
  • 에니쾨: 19세기 시인 미하이 보뢰스마르티가 '암사슴'을 뜻하는 ''eneh''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었다.
  • 에르제베트: 헝가리의 성 엘리자베스 공주 이후 널리 쓰이게 되었다.
  • 에스테르: 구약성경의 인물 에스더에서 유래했다.
  • 에바: 성경이브에서 유래했다.
  • 일디코: 게르만 기원의 이름으로, 힐다와 연관된다.
  • 일로나: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인 성 헬레나에서 유래했다.
  • 커털린: 15세기에 숭배가 확산된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에서 유래했다.
  • 머그돌너: 성경의 마리아 막달레나에서 유래했다.
  • 머르기트: 헝가리의 성 마가렛에서 유래했다.
  • 머리아: 성모 마리아에서 유래했다.
  • 마르타: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에서 유래했다.
  • 멜린다: 극작가 요제프 카토나가 1815년 발표한 역사 비극 ''반크 반''에서 사용하며 대중화되었다.
  • 오르숄러: '작은 곰'을 뜻하는 라틴어 이름 우르술라의 헝가리 형태이다.
  • 피로슈커: 이교 기원의 이름으로, 헝가리의 라슬로 1세 왕의 딸이자 비잔티움 제국 황후가 된 성 피로슈커(개명 후 이름은 이레네) 이후 인기를 얻었다.
  • 라헬: 성경의 인물 라헬에서 유래했다.
  • 레커: 훈족의 왕 아틸라의 아내 이름에서 유래했다.
  • 튄데: 19세기 시인 미하이 보뢰스마르티가 자신의 작품 ''충고르 에스 튄데''에서 '요정'을 뜻하는 단어 ''tündér''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 주피어: 그리스어 이름 소피아의 헝가리 형태이다.
  • 주저너: 그리스어 이름 수산나의 헝가리 형태이다.

4. 2. 남성 이름


  • 아담: 성경의 아담에서 유래했다.
  • 언드라스: 헝가리의 언드라스 1세 이후 인기를 얻었으며, 세 명의 군주와 여러 왕자들이 사용한 이름이다.
  • 안탈: 파도바의 성 안토니우스에서 유래했다.
  • 아틸라: 훈족의 왕 아틸라에서 유래했다. 헝가리 군주들이 스스로를 아틸라의 직계 후손으로 여겨 이 이름이 대중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 베일러: 이교도 기원의 이름으로, 중세 헝가리 왕 4명이 사용했으며 현재까지 널리 쓰인다.
  • 차바: 훈족의 왕 아틸라의 아들 중 한 명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 게저: 이교도 기원의 이름으로, 중세 헝가리 왕 2명과 많은 왕자들이 사용했으며 여전히 인기가 있다.
  • 죄르지: 헝가리의 성 이슈트반 1세가 성 게오르기우스를 기리기 위해 지은 이름이다. 성 게오르기우스는 헝가리 초기부터 가장 중요한 성인 중 한 명이었다. (투르의 성 마르틴을 기리기도 했다.)
  • 페렌츠: 러코치 페렌츠 2세에서 유래했다. 그는 전쟁 중 헝가리의 통치 공작이자 트란실바니아의 공작이었다.
  • 이슈트반: 헝가리의 첫 번째 왕인 헝가리의 성 이슈트반 1세에서 유래했다.
  • 임레: 헝가리 왕 이슈트반 1세의 아들인 헝가리의 성 임레에서 유래했다.
  • 야노스: 세례자 요한에서 유래했다.
  • 요제프: 성 요셉에서 유래했다.
  • 카로이: 프랑스 출신 헝가리 왕 헝가리의 카로이 1세에서 유래했다.
  • 러요시: 프랑스 출신 헝가리 왕 헝가리의 러요시 1세에서 유래했다.
  • 러슬로: 헝가리의 성 라슬로 1세에 의해 대중화된 이름이다.
  • 뢰린츠: 로마의 성 로렌스에서 유래했다.
  • 마르크: 복음사가 성 마르코에서 유래했다.
  • 마르톤: 투르의 성 마르틴에서 유래했다. 그는 오늘날 헝가리 영토에서 초기 중세 시대에 태어났다.
  • 머티어시: 기독교 성인의 이름으로, 헝가리의 마차시 1세(1458–1490)의 통치 이후 더욱 인기를 얻었다.
  • 미하이: 대천사 미카엘에서 유래했다.
  • 페테르: 사도 베드로에서 유래했다.
  • 산도르: 알렉산드로스 대왕에서 유래했다. 그의 역사가 중세 헝가리어로 번역되어 14세기 동안 매우 인기를 얻었다.
  • 터마시: 성경 인물 성 토마스에서 유래했다.
  • 빌모시: '빌헬름'의 헝가리 형태이다.
  • 졸탄: 이교도 기원의 이름으로, 10세기 초 부족장이었던 헝가리의 졸탄 이후 근대에 매우 흔해졌다.
  • 지그몬드: 헝가리의 지그몬드에서 유래했다. 그는 룩셈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말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헝가리어 고유의 남성 이름이나 헝가리와 연관된 이름으로는 Álmos, Árpád, Csongor, Levente, Szabolcs 등이 있다.

외국어 이름을 헝가리어로 번역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4. 3. 두 번째 이름과 종교적 이름

헝가리인들이 두 번째 이름을 갖는 경우가 점점 흔해지고 있지만, 여러 이름 중에서 주로 사용하고 싶은 이름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세례를 받을 때, 아이는 추가적인 이름인 세례명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아이의 이름에 해당하는 성인이 없는 경우, 수호 성인과 관련된 이름을 받기도 한다. 견진성사를 거치면서 아이들은 또 다른 이름을 받지만, 이 이름은 일상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세례명과 견진성사 이름은 모두 종교적인 의미만 가지며, 공식적인 이름으로 취급되지 않고 어떠한 공식 기록에도 기재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이러한 이름들이 출생 이름 뒤에 붙어 서구의 미들 네임처럼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법적인 지위가 없으며 실제로 사용하는 일도 거의 없어졌다.

5. 결혼 후 성씨

헝가리인들은 결혼 이후 자신들의 성씨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한다. 18세기까지 귀부인들은 결혼 후에도 자신의 성씨를 유지했고 자녀들은 아버지의 이름을 물려받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요제프 2세 치세에 의무화되었다. 헝가리가 합스부르크가의 통치를 받으면서 서양식 전통이 도입되자, 여성들은 결혼 후 남편의 이름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센드레이 율리어는 페퇴피 샨도르와 결혼한 후 '페퇴피 샨도르네(Petőfi Sándornéhu)'가 되었는데, -néhu 접미사는 "~의 아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서양식 작명법은 헝가리 법에 명시되어 1950년대까지 법적, 관습적으로 사용되었다.

1949년 헝가리 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인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여성들은 결혼 후 자신의 원래 성씨를 유지하거나 남편의 성씨를 따르는 등 다양한 방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법이 남성과 여성에게 다른 이름 선택 기준을 적용하여 성차별적이라는 이유로 위헌 판결을 받으면서, 2004년에는 남성에게도 결혼 후 이름 선택권이 추가된 개정안이 적용되었다.[18] 이 개정안을 통해 남편과 아내의 성을 붙임표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 등도 가능해졌다.

신랑과 신부는 결혼식에서 자신들이 어떤 성을 사용할 것인지, 그리고 자녀들이 어떤 성을 사용할 것인지 밝혀야 한다. 자녀의 성씨 결정은 첫 번째 자녀가 태어나기 전까지 변경할 수 있으며, 자녀들은 부모 중 한쪽의 성을 따르거나 붙임표를 사용한 성을 받을 수 있지만, 모든 자녀는 반드시 동일한 성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헝가리 아이들은 아버지의 성을 받지만, 붙임표를 사용한 성을 사용하는 경우도 점차 늘고 있다.

동성결혼은 헝가리에서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므로, 동성 커플은 개명 증서를 통해 성씨를 개명하지 않는 이상 법적으로 서로의 성씨를 사용할 수 없다.[19]

5. 1. 결혼 후 이름 선택 방식 (여성)

헝가리 여성들은 결혼 후 자신의 성씨를 사용하는 방식이 다양하다. 18세기까지 귀부인들은 결혼 후에도 자신의 성씨를 유지했으나, 합스부르크가의 통치를 받으며 서양식 전통이 들어오면서 남편의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센드레이 율리어는 페퇴피 샨도르와 결혼한 후 '페퇴피 샨도르네(Petőfi Sándornéhu)'가 되었는데, 이때 붙는 '-né' 접미사는 헝가리어에서 "~의 아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은 1950년대까지 법적, 관습적으로 이어졌다.

1949년 헝가리 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여성들은 결혼 후 자신의 원래 성씨를 유지하거나 남편의 성씨를 따르는 것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헝가리 여성이 결혼 후 자신의 이름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센드레이 율리어와 페퇴피 샨도르 부부의 예를 들면):

  • 자신의 결혼 전 이름 '센드레이 율리어(Szendrey Júliahu)'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특히 고학력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 자신의 성과 이름을 버리고 남편의 전체 이름 '페퇴피 샨도르'에 '-né' 접미사를 붙인 '페퇴피 샨도르네(Petőfi Sándornéhu)'를 사용할 수 있다.
  • 남편의 성씨에 '-né' 접미사를 붙이고 자신의 전체 이름을 뒤에 붙인 '페퇴피네 센드레이 율리어(Petőfiné Szendrey Júliahu)'를 사용할 수 있다.
  • 남편의 전체 이름에 '-né' 접미사를 붙이고 남편의 전체 이름과 자신의 전체 이름을 합친 '페퇴피 샨도르네 센드레이 율리어(Petőfi Sándorné Szendrey Júliahu)'를 사용할 수 있다. (이름이 너무 길어 오늘날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 남편의 성씨와 자신의 이름을 결합한 '페퇴피 율리어(Petőfi Júliahu)'를 사용할 수 있다.

5. 2. 결혼 후 이름 선택 방식 (남성)

기존에는 남성과 여성의 결혼 후 이름 선택 기준이 달라 성차별적이라는 비판이 있었고, 결국 위헌 판결을 받았다. 이에 따라 2004년부터 남성에게도 결혼 후 이름 선택권이 부여된 개정안이 시행되었다.[18] 이 개정안에 따라 남편이 선택할 수 있는 이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 결혼 전 자신의 이름(예: 페퇴피 샨도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선택)
  • 아내의 성과 자신의 이름을 합쳐 새로운 이름(예: Szendrey Sándor|센드레이 샨도르hu)을 사용할 수 있다.
  • 남편과 아내의 성을 붙임표(-)를 이용해 연결하여 새로운 성(예: Petőfi-Szendrey|페퇴피-센드레이hu 또는 Szendrey-Petőfi|센드레이-페퇴피hu)을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부부 중 한 명만 새로운 성을 사용하고 다른 한 명은 원래 성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붙임표를 사용하여 성을 연결할 때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다. 예를 들어, 남편은 '센드레이-페퇴피 샨도르'로, 아내는 '페퇴피-센드레이 율리어'처럼 서로 반대 순서로 성을 연결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센드레이 샨도르'와 '페퇴피 율리어'처럼 부부가 서로의 성을 교환하는 방식도 불가능하다. 헝가리인은 최대 2개의 성(붙임표로 연결된 성 포함)만 가질 수 있으며, 만약 결혼 상대가 이미 2개의 성을 가지고 있다면 어떤 성을 사용할지 서로 상의해야 한다.

5. 3. 헝가리 여성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이름

'페퇴피 샨도르네(Petőfi Sándornéhu)'처럼 헝가리인 여성이 남편의 이름을 자신의 새로운 이름으로 받아들일 경우, 그녀가 이전까지 사용하던 이름은 법적 효력을 상실하고 공식 석상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결혼 이후에도 사적인 자리에서는 이전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라디오 방송 등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이러한 여성들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혼란을 줄이기 위해 '코바치 야노슈네, 율리 아주머니(Kovács Jánosné, Juli nénihu)'와 같은 방식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헝가리어에서는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어른들을 정중하게 부르거나 아이들이 어른들을 지칭할 때 '아주머니'를 의미하는 "네니(Nénihu)"와 '아저씨'를 의미하는 "바치(Bácsihu)" 같은 친족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 중립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한편, '-né' 접미사가 붙은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일부 여성들은 자신을 소개할 때 혼란을 피하기 위해 '코바치 야노슈네(Kovács Jánosnéhu)' 대신 '코바치 율리어(Kovács Júliahu)' 또는 '코바치네 율리어(Kovácsné Júliahu)'처럼 남편의 성씨와 자신의 원래 이름을 결합하여 소개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여성이 남편의 전체 이름을 자신의 새로운 이름으로 받아들인 경우, 이들 부부는 문서 등에서 '페퇴피 샨도르와 부인(Petőfi Sándor és neje|페퇴피 샨도르 에시 네예hu)'과 같은 방식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영어의 '존 스미스씨와 부인(Mr. and Mrs. John Smith영어)' 방식과 유사하며, 헝가리의 공동 묘지에 있는 오래된 묘비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6. 이름 작명에 대한 헝가리 법률 지침

헝가리 시민권을 가진 아이는 법적으로 최대 두 개의 (붙임표로 연결 가능)과 최대 두 개의 이름을 가질 수 있다. 대부분은 하나의 성과 한두 개의 이름을 사용하며, 세례명이나 견신례명은 공식적인 이름 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름은 부모가 직접 짓거나,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언어학 연구소에서 관리하는 공식 이름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다.[9][10][20] 이 목록에는 수천 개의 이름이 성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만약 공식 목록에 없는 이름을 사용하려면, 부모는 언어학 연구소에 승인을 신청해야 한다.[21][11] 연구소는 이름이 부정적이거나 비하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지, 지나치게 축약되었는지, 쓰고 발음하기 어려운지, 이름만으로 성별 구분이 모호한지 등을 기준으로 심사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승인된 이름은 공식 목록에 추가된다.

헝가리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이름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헝가리어 철자와 발음에 맞게 표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영어 이름 'Jennifer|제니퍼영어'는 'Dzsenifer|제니페르hu'로, 'Joe|조영어'는 'Dzsó|조hu'로 표기된다.

공식적으로 인정된 헝가리의 소수 민족에 속하는 사람들은 헝가리 법률 외에 자신들의 문화적 전통에 따라 자녀의 이름을 지을 수 있다. 다만, 각 소수 민족 정부(또는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이름 등록부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자녀의 부모 중 한 명 또는 모두가 외국 시민일 경우, 해당 부모 국가의 법률에 따라 이름을 지을 수도 있다.[12]

7. 다른 언어들에서 다루는 헝가리 이름

헝가리 이름들은 헝가리가 아닌 다른 나라들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럽의 다른 언어들처럼 '이름-성 순서'를 따르는 "서양식 작명법"으로 인식된다.[17] 예를 들어, 푸슈카시 페렌츠는 '페렌츠 푸스카스'라는 스페인어식 표기로도 알려져 있다. 헝가리인이 국외에서 활동하는 경우에는 다른 서구 국가처럼 "이름-성" 순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예: 이슈트반 케르테스, 페렌츠 프리차이, 커털린 커리코[15]).

영어 등 헝가리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학술 출판물에서는 각자의 스타일 가이드에 따라 헝가리 이름을 다루는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시카고 매뉴얼 오브 스타일 제16판(2010년)은 헝가리 이름에 대해 "헝가리에서는 성이 이름보다 먼저 오지만(Molnár Ferenc, Kodály Zoltán), 영어권에서는 일반적으로 순서를 바꿔 이름을 먼저 표기한다(Ferenc Molnár, Zoltán Kodály)"고 설명하며, "서양식 작명법"을 사용하되 헝가리어의 분음 부호는 유지하도록 권장한다.[22]

다만, 이름을 색인할 때는 영어 이름과 마찬가지로 헝가리 이름도 성이 먼저 오는 "동양식 작명법"(성-이름 순서)대로 다시 배열하여 색인한다.[22][23][13][14]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제목 선택하기 지침에 따라 헝가리인의 문서 제목을 설정할 때 "서양식 작명법"이 아닌 "동양식 작명법"(성-이름 순서)을 사용하며, `<헝가리어 이름>` 틀을 통해 헝가리 이름에 관한 보충 설명을 제공한다.

8. 비헝가리어 이름들의 헝가리 내 표기 방식

헝가리에서는 20세기 이전에는 외국의 이름을 일반적으로 헝가리어로 번역하고 헝가리어식으로 발음했다. 예를 들어, 쥘 베른(Jules Verne)은 '베르네 줄러(Verne Gyulahu)'로 표기되었다.

오늘날에는 헝가리인이나 한국인처럼 성-이름 순서("동양식 작명법")를 사용하는 문화권 출신이 아닌 인물의 이름에는 헝가리식 이름 순서를 적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국의 정치인 토니 블레어(Tony Blair)의 이름은 헝가리어 문서에서도 그대로 "Tony Blair"로 사용된다.

그러나 헝가리의 역사와 관련 있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의 이름은 헝가리어식으로 번역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장 칼뱅(John Calvin)은 '칼빈 야노시(Kálvin Jánoshu)'로 표기된다.

또한,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그리스어로마자를 사용하지 않는 언어권의 이름은 원어 발음에 가깝게 헝가리어로 음차하여 표기한다.

국가 원수의 경우, 군주나 왕족의 이름은 헝가리어로 번역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II. 에르제베트(II. Erzsébethu)'로,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XVI. 베네데크 파퍼(XVI. Benedek pápahu)'로 표기된다. 하지만 피델 카스트로(Fidel Castro)나 조 바이든(Joe Biden)과 같이 군주가 아닌 국가 원수의 이름은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Basque 1997
[2]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literature Merriam-Webster, Inc 1995
[3] 서적 Reconsidering Michael Polanyi's Philosophy 2002
[4] 서적 Constructing nationalities in East Central Europe 2005
[5] 간행물 Surnames of Foreign Origin in a Language Contact Situation. The Reasons and Ways of Their Chang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Surname Stock in Hungary. York University 2009
[6] 문서 A Surname Typology Project: The Lessons Learnt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Most Frequent Hungarian Surnames https://edit.elte.hu[...]
[7] 웹사이트 1952. évi IV. törvény a házasságról, a családról és a gyámságról http://www.complex.h[...] 2010-08-30
[8] 웹사이트 Névviselés https://ugyintezes.m[...] 2010-08-30
[9] 웹사이트 current list of approved male Hungarian given names http://www.nytud.hu/[...]
[10] 웹사이트 current list of approved female Hungarian given names http://www.nytud.hu/[...]
[11] 웹사이트 basic principles guiding the approval of new given names http://www.nytud.hu/[...] 2011-01-19
[12] 웹사이트 1982. évi 17. törvényerejű rendelet az anyakönyvekről, a házasságkötési eljárásról és a névviselésről http://www.complex.h[...] 2010-08-30
[13] 서적 The Chicago Manual of Style, 16th Edition University of Chicago 2010
[14] 웹사이트 Indexes: A Chapter from The Chicago Manual of Style https://press.uchica[...] Chicago Manual of Style 2014-12-23
[15] 웹사이트 コロナで変わる世界:テディベアに全財産しのばせ東欧から出国 ワクチン開発立役者 https://mainichi.jp/[...] 2022-04-30
[16] 서적 The history of Basque https://www.routledg[...] 라우틀리지 1997
[17] 웹인용 Hungarian First Names https://www.familyed[...] 2024-07-29
[18] 웹인용 1952. évi IV. törvény a házasságról, a családról és a gyámságról https://net.jogtar.h[...] 2024-07-29
[19] 웹인용 PTK Negyedik könyv: Családjog / IV. cím: A házastársak személyi viszonyai /IV. fejezet: A házastársak névviselése https://birosag.hu/s[...] 2024-07-29
[20] 웹인용 Anyakönyvi bejegyzésre alkalmasnak minősített utónevek jegyzéke https://nytud.hu/old[...] 2024-07-29
[21] 웹인용 Névadási tanácsadás https://nytud.hu/szo[...] 2024-07-29
[22] 웹인용 16.78: Indexing Hungarian names https://www.chicagom[...] 2024-07-29
[23] 웹인용 Indexes: A Chapter from The Chicago Manual of Style https://press.uchica[...] 2024-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