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경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경련 베네딕타는 한양의 역관 집안 출신으로,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여 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성인이다. 삯바느질로 생계를 유지하며 교리를 가르치고 신자들을 돌보는 등 헌신적인 활동을 펼쳤으며, 체포 후 혹독한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신앙을 지켰다. 1839년 참수형으로 순교했으며, 1925년 복자,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4년 출생 - 윌리엄 휴얼
영국의 박식한 학자이자 사상가인 윌리엄 휴얼은 수학, 과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과학자"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귀납 추론 분석과 "통합" 개념으로 과학철학에 영향을 주었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개혁과 건축에도 기여했다. - 1794년 출생 - 이이 나오아키
이이 나오아키는 히코네 번의 15대 번주로, 다이로에 임명되었으나 이에나리파 숙청 사건으로 사임 후 개명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서양식 군대 연성에 힘썼으며, 가악 연주와 악기 수집에도 조예가 깊었다. - 연주 현씨 - 현진건
현진건은 일제강점기의 사실주의 소설가로, 대표작으로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언론 탄압을 받기도 했다. - 연주 현씨 - 현오석
현오석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으로 경제기획원, 재정경제부, 세계은행, 대통령비서실, 한국개발연구원, 기획재정부 등 주요 기관을 거치며 대한민국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한 경제관료이자 학자이며, 녹조근정훈장을 수훈받았으나 개인정보 유출 관련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1839년 사망 - 김효주 (종교인)
김효주 아녜스는 1816년 밤섬에서 태어나 언니 김효임 콜룸바와 함께 신앙 생활을 하다가 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순교자이며,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839년 사망 - 페르난도 소르
페르난도 소르는 스페인 출신의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양식을 결합한 기타 음악과 교육용 연습곡집으로 유명하며 후대 기타리스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현경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현경련 베네딕타 |
출생일 | 1794년 |
사망일 | 1839년 12월 29일 |
축일 | 9월 20일 |
교파 | 로마 가톨릭교회 |
출생지 | 서울 |
사망지 | 서울 서소문 |
직업 | 순교자 |
시복일 | 1925년 7월 5일 |
시복인 | 교황 비오 11세 |
시성일 | 1984년 5월 6일 |
시성인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2. 생애
현경련은 한양의 역관 집안에서 태어나 어릴 때 주문모 신부에게 세례를 받았다. 1811년 순교자 최창현 요한의 아들과 결혼했으나, 3년 후 남편이 세상을 떠났다. 자식이 없어 친정 어머니에게 돌아간 후, 삯바느질로 생계를 이으며 사람들의 성화, 문맹인 예비 신자 교육, 냉담교우 격려, 병자 간호 등 여러 활동을 했다. 선교사들이 방문했을 때, 자신의 집에 사람들을 불러들여 성사를 보도록 해주었다.
2. 1. 기해박해와 순교
현경련은 한양의 한 역관 집안에서 태어났고, 어릴 때 주문모 신부에게 세례를 받았다. 1811년에 순교자 최창현 요한의 아들과 결혼했지만, 남편은 3년 후에 세상을 떠났다.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친정 어머니에게 돌아왔다. 삯바느질로 생계를 이으며 평온한 삶에 대해 하느님께 감사하며 살았다. 사람들의 성화와 문맹의 예비 신자를 가르치기, 냉담교우를 격려하기, 슬퍼하는 사람들을 위로하기, 병자들을 돌보기, 죽을 위험에 처한 이교도 자녀들에게 세례를 베푸는 등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선교사들이 방문했을 때, 자신의 집에 사람들을 불러들여 성사를 보도록 해주었다.[1]1839년 기해년의 박해 초기에, 교리 선생이 된 현경련은 박해를 피해 숨었지만, 6~7월 경에 체포되었다. 관리들은 현경련이 선교사들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던 현석문의 누나인 것을 알고 있었으므로, 그가 숨은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더 가혹하게 고문했다. 여덟 차례 심문과 두 차례의 주뢰형, 300여 대의 장형을 받았다. 형리들은 선교사들을 체포해서 포상을 받고 싶어했기 때문에, 선교사들에 대한 정보를 캐내기 위해 더 혹독하게 고문했다. 그러나 현경련의 강한 의지로 인해, 그들의 노력은 허사로 돌아갔다. 형조로 압송된 후, 다리를 거의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매질을 당했다. 온몸에 상처가 깊어서 피와 고름이 끊임없이 흘러나왔다. 감옥에서 콜레라에 걸려 앓기도 했다.[1]
현경련은 동생 현석문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 편지는 현재 전해지지 않지만, 많은 천주교인들이 그 편지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처형 전 수 시간을 단잠에 빠져 있었다. 1839년 12월 29일 서소문 밖의 사형장으로 끌려나가게 되어 행복해 했으며, 거기서 여섯 명의 교우와 참수를 받아 생을 마감했다. 순교하던 때의 나이는 46세였다.[1]
3. 시복 및 시성
현경련 베네딕타는 1925년 7월 5일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2] 시복식을 통해 복자 품에 올랐고,[3] 1984년 5월 6일 서울특별시 여의도에서 한국 천주교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집전한 미사 중에 이뤄진 103위 시성식을 통해 성인 품에 올랐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newsaints.fai[...]
[2]
백과사전
103위 성인 (百三位聖人)
http://preview.brita[...]
2014-11-30
[3]
뉴스
교황, 화해와 평화..8월의 크리스마스되길
https://web.archive.[...]
평화방송
2014-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