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준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준호는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를 한 기업인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전라남도 영암 출신으로, 호남 지역의 거부 집안에서 태어났다. 메이지 대학에서 공부하고 호남은행을 설립하여 전무취체역을 지냈으며, 동아일보 감사, 전남 평의원, 조선생명보험 감사 등을 역임했다. 또한, 전남육영회 조직,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설립, 광주의학전문학교 설립 등에 참여하여 교육 사업에도 기여했다. 1930년 중추원 참의가 되면서 친일 행보를 보였고, 조선공로자명감에 수록되었다. 중일 전쟁 이후 시국강연반 참여, 시국대책조사위원회 조사위원 임명, 흥아보국단 참여, 징병제 홍보 등 적극적인 친일 활동을 했다. 광복 후 반민특위에 체포되었으나 불기소 처분되었고, 한국 전쟁 중 인민군에게 피살되었다.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과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일제 부역자 - 친일파
    친일파는 일본 제국주의에 부역한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이며, 대한민국, 북한, 중국 등에서 친일파 규명 및 처벌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 한국의 일제 부역자 - 김용주 (1905년)
    김용주는 1905년에 태어나 1985년에 사망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행위를 하고 해방 후에는 기업가로 활동하며 전남방직 불하, 대한해운공사 사장,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영암군 출신 - 유선호 (정치인)
    유선호는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3선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사법고시 합격 후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며 주요 시국사건의 변호를 맡았고,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 경기도 정무부지사, 청와대 정무수석,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국토해양위원 등을 역임했다.
  • 영암군 출신 - 박준영 (1946년)
    박준영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전라남도지사를 4선 역임했으며, F1 경주대회 유치와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등을 추진했으나, 금품 수수 및 업무추진비 부당 사용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
  • 연주 현씨 - 현진건
    현진건은 일제강점기의 사실주의 소설가로, 대표작으로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언론 탄압을 받기도 했다.
  • 연주 현씨 - 현오석
    현오석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으로 경제기획원, 재정경제부, 세계은행, 대통령비서실, 한국개발연구원, 기획재정부 등 주요 기관을 거치며 대한민국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한 경제관료이자 학자이며, 녹조근정훈장을 수훈받았으나 개인정보 유출 관련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현준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현준호
출생일1889년 8월 29일
사망일1950년 9월 28일 (향년 61세)
사망 원인불명
국적불명
작위중추원 참의
가문연주 현씨
별칭호 무송(撫松)

2. 생애

현준호는 전라남도 영암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창평영학숙과 일본 메이지 대학에서 공부했다. 1917년 귀국 후, 호남은행 설립과 동아일보 감사직을 맡는 등 경제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1924년 전라남도 평의원에 선출되었고, 1925년에는 호남은행 대표가 되었다.

1921년 보성전문학교 감사, 1926년 전남육영회 조직,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설립 참여 등 교육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김성수, 송진우와 함께 조선민립대학기성회에 참여하는 등 민족주의적 계몽 운동에도 관심을 보였다.

1930년 중추원 참의가 된 이후 일제에 협력하는 행보를 보이며 민족주의 운동과 결별했다. 중일 전쟁 이후에는 시국강연반에 참여하여 전쟁 지원을 독려하고, 시국대책조사위원회 위원, 흥아보국단 상무위원,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 등으로 활동하며 친일 행적을 남겼다.

광복 후 반민특위에 체포되었으나 처벌받지 않았고, 한국 전쟁 중 조선인민군에게 피살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전라남도 영암에서 현기봉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현기봉은 중추원 참의를 지내는 등 일제에 적극 협력한 지역 유지였고, 그의 집안은 호남 지방에서 유명한 거부 가문이었다. 현준호의 집안은 2백여 명의 하인과 시녀들을 보유했다.[2]

담양의 창평영학숙(昌平英學塾)에서 수학하고 일본 메이지 대학에서 정치경제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2. 2. 경제 활동

1919년 7월 주식회사 호남은행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은행 창립에 힘썼다.[1] 1920년 8월 호남은행을 설립하고 전무취체역에 취임했으며, 주식회사 동아일보 감사도 맡았다. 1925년 호남은행 대표가 되었고, 1926년 5월에는 전라남도 도시제사(道是製絲) 주식회사 이사, 조선생명보험주식회사 감사를 역임했다.[1]

송정리와 담양 간 조철선(朝鐵線), 광주와 여수 간 남철선(南鐵線) 철도 유치에도 힘썼으며, 광주번영회장을 다년간 역임했다.

2. 3. 교육 사업

1921년 1월 재단법인 보성전문학교 감사가 되었다. 1925년 고원훈과 토의하여 1926년 전남육영회(全南育英會)를 조직하였다.[1] 1926년 유지들과 협력하여 여자고등보통학교 설립기성회를 조직하고 대표위원으로 추대되었으며, 1927년 5월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설립에 참여하였다. 전남의대의 전신인 ‘광주의학전문학교’ 설립에 거액을 기부하였다.[1]

2. 4. 일제 강점기 후반 친일 행적

1930년 중추원 참의가 되면서 일제와 밀착한 행보를 보이며 민족주의 운동과 결별하였다. 1935년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아버지 현기봉과 함께 수록되었다.[2][3]

중일 전쟁 발발 후 총독부가 조직한 시국강연반에 참여하여 전라남도 지역을 돌면서 전쟁 지원을 역설함으로써 본격적인 친일 활동을 시작했다. 1938년 조선총독부 산하에 설치된 시국대책조사위원회에도 조사위원으로 임명되어 참여했다.

1941년에는 윤치호흥아보국단에 준비위원회 상무위원으로 참가했고, 중추원 고문과 참의들이 결성한 시국강연반 소속으로 태평양 전쟁 말기까지 징병제 홍보와 학병 지원 권유 등에 가담했다. 조선임전보국단에도 발기인으로 참여했다.[4]

2. 5. 광복 이후

반민특위에 체포되었으나 불구속으로 수사를 받다가 반민특위가 해체되면서 처벌을 받지 않았다.[1][2][3][4] 한국 전쟁 때 조선인민군에게 피살되었다.

3. 평가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1] 그가 설립한 호남은행은 민족자본으로 설립되었으며 조선인만 채용하였고, 그 후 일제의 민족자본 말살정책으로 강제 합병되었다.[1] 호남의 대표 금융기업인으로 육영사업에 공로가 큰 점 등 공과가 있다.[1] 6.25 전쟁 중 인민군에 투옥되었고 9·28 서울 수복 때 퇴각하는 인민군에게 광주에서 피살되었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현기봉(玄基奉)
어머니곽순경(郭順卿)
아내신종림(申淙林)
장남현영익(玄永翊)국회 의사과장 역임, 한국전쟁 때 사망[5]
자부조윤숙
차남현영직(玄永稙)한국전쟁 때 국군 중위로 복무 중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자살
삼남현영원(玄永源)1927년 1월 10일 ~ 2006년 11월 24일, 현대상선 회장 역임
자부김문희용문학원 이사장
손녀현정은현대그룹 회장
외증손녀정지이1977년 12월 17일 ~, 현대 유엔아이 전무
사남현영국(玄永國)고우건업 대표
오남현영서(玄永瑞)
육남현영만(玄永晩)
장녀현영송(玄永淞)
차녀현영애(玄永愛)
삼녀현영민(玄永敏)
사돈김용주전남방직 설립자


5. 드라마

1982년 KBS 2TV 월화드라마 현대 입지전에서 현준호의 삶을 다룬 <무등신사 현준호>가 방영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http://lady.khan.co.[...]
[2] 뉴스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https://web.archive.[...] 일요시사 2008-04-16
[3] 뉴스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https://web.archive.[...] 일요시사 2008-04-16
[4] 서적 2007년도 조사보고서 II - 친일반민족행위결정이유서
[5] 판결 대법원 1991.11.26. 선고 91다11810 판결 http://glaw.scourt.g[...] 1991-11-26
[6] 뉴스 탤런트 林俊虎(임준호)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5-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