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남고속도로는 순천에서 논산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1970년 회덕 분기점 ~ 전주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어 1973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확장 공사를 통해 차로가 늘어났다. 주요 통과 지역은 순천, 곡성, 담양, 광주, 장성, 정읍, 김제, 완주, 전주, 익산, 논산 등이며, 총 연장은 194.22km이다. 2001년 호남고속도로지선이 분리되었고, 2023년 논산천안고속도로가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시의 도로 - 모악로
모악로는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전주시 완산구를 잇는 도로로, 순창군, 임실군, 완주군을 거쳐 연결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등과 연결된다. - 전주시의 도로 - 기린대로
기린대로는 전주시의 주요 도로로, 완산구와 덕진구를 지나 춘향로와 연결되며,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6호선, 백제대로 등과 교차하고 오목대, 라한호텔, 홈플러스 전주완산점, 전주종합경기장, 전주월드컵경기장 등의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완주군의 도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는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며, 익산 ~ 장수, 김천 ~ 포항 구간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과 분할을 거쳐 새만금 ~ 완주, 완주 ~ 장수, 대구 ~ 포항 구간으로 구성되어 4차로 또는 6차로로 운영된다. - 완주군의 도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익산 완주)
전라북도 익산시와 완주군을 잇는 총 연장 24.5km의 왕복 4차로 고속국도 제204호선인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익산 완주)은 2018년 익산포항고속도로에서 분할되어 지정되었으며, 터널과 교량을 포함하고 호남고속도로 및 순천완주고속도로와 연결된다. - 정읍시의 도로 - 정읍사로
정읍사로는 전라북도 정읍시 상교동과 내장상동을 잇는 도로로, 첨단로와 직결되어 김제시에서 첨단과학로와 만나 여러 교차로와 고개를 거쳐 내장상동으로 이어지며, 주변에 교육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정읍시의 도로 - 충정로 (정읍시)
충정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를 지나는 도로이며, 국도 제22호선에 속하고 내장산로에서 소성로까지 연결되며, 정읍시청, 정읍교육지원청, 정읍제일고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호남고속도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고속도로 번호 | 25 |
다른 이름 | 호남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Honam Gosok Doro |
한자 표기 | 湖南高速道路 |
개통일 | 1971년 |
총 길이 | 207.2 km |
방향 | 남북 |
남쪽 종점 | 순천시, 전라남도 |
북쪽 종점 | 논산시, 충청남도 |
노선 정보 | |
기점 | 순천시 |
종점 | 천안시 |
경유 도시 | 통과하는 자치단체 참고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25호 |
총 연장 | 276.3 km |
개통일 | 1970년 12월 30일 |
기타 | |
인터체인지 | 인터체인지 정보 참조 |
2. 역사
1970년 4월 15일, 회덕 분기점 ~ 전주 나들목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고, 같은 해 12월 30일에 79.1km 구간이 개통되었다.[3][4] 1973년 11월 14일에는 전주 나들목 ~ 순천 나들목 구간 181.6km가 개통되어 호남고속도로의 기본 노선이 완성되었다.[7] 1978년 6월 1일부터 유료화되었다.[9]
1981년 11월 7일, '''호남고속도로(호남선)'''으로 노선명이 변경되었다.[12]
1980년대부터 교통량 증가로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 1983년 4월 25일 서대전 나들목 ~ 논산 나들목 구간, 1983년 8월 4일 회덕 분기점 ~ 서대전 나들목 구간, 1984년 11월 3일 논산 나들목 ~ 서광주 나들목 구간의 왕복 4차로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순차적으로 개통되어 1996년 11월 8일 고서 분기점 ~ 순천 나들목 구간을 마지막으로 전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노선 변경 및 추가 개통이 이루어졌다. 2001년 8월 25일, 논산 분기점 ~ 회덕 분기점 구간이 호남고속도로지선으로 분리되었고, 논산천안고속도로와 함께 고속국도 제25호선으로 통합되었다.[61] 2002년 12월 23일 논산천안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논산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이후 내장산 나들목(2002년 9월 5일[65]), 동림 나들목(2004년 12월 29일[67]), 대덕 분기점, 장성 분기점(2006년 12월 7일), 산월 나들목(2007년 5월 15일[73]), 익산 분기점(2007년 12월 13일) 등이 개통되었다.
2009년 12월 17일 문흥 분기점 개통과 함께 동광주 나들목 순천방향 진입로와 논산방향 진출로가 폐쇄되었다.[79] 2012년에는 못재고개가 터널(장성 나들목 ~ 광주 요금소)로 개량되었다.[86] 2016년 1월 20일에는 북광산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020년에는 동광주 요금소와 광주 요금소에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고,[92] 광주 요금소에는 미디어아트 조형물 '''무등의 빛'''이 설치되었다.[93]
2023년 2월 10일, 국토교통부 고시로 논산천안고속도로와 통합되었다.[94]
2024년 10월 22일에는 북장성 나들목이, 11월 27일에는 여산휴게소가 익산미륵사지휴게소로 명칭이 변경될 예정이다.
2. 1. 건설 배경
경부고속도로 개통 직후 호남 지역에는 고속도로가 없었기에 계획된 노선이다. 착공 당시에는 국도 1·3호 서울전주선이었으나, 고속국도법 제정 이후 고속국도 3호 서울순천선이 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한국 최초의 임시 2차선 구간이었고, 평면교차도도 많이 설치되었으나, 1983년부터 1986년까지 광주광역시까지 구간이 4차선·입체교차로로 확장되었으며, 광주광역시에서 순천시까지 구간도 1992년에 사업이 완료되어 현재는 전 구간 왕복 4차선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개통 초기에는 지선으로 고서 분기점~담양 나들목 간의 호남고속도로 담양선이 있었으나, 대구 연장으로 88올림픽고속도로(현·광주대구고속도로)로 별도 노선이 되었다.
처음에는 철도 호남선의 전례를 따라 대전광역시를 기점(종점)으로 하는 노선이었으나, 이후 서울 방면과 중복되는 구간의 잠재적 정체 해소와 우회하는 선형 때문에 천안시~논산시 간에 공주시를 경유하는 새로운 고속도로 사업이 착수되었다. 2002년 해당 구간 개통으로 원래 본선이었던 논산 분기점~회덕 분기점 간은 지선이 되었다. 천안~논산 간은 고속국도 25호로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지만, '''논산천안고속도로'''로 지정되어 본 고속국도와는 번호만 공유하는 별도 노선이었으나, 2023년 노선 지정 변경으로 통합되었다. 단, 논산~천안 간 관리 및 통행료 징수는 2032년까지 천안논산고속도로㈜(민간 사업자)가 계속 담당한다.
2. 2. 초기 개통 (1970년대)
1970년 4월 15일 : 회덕 분기점 ~ 전주 나들목 구간 착공[3]1970년 12월 30일 : 회덕 분기점 ~ 전주 나들목 79.1km 구간 개통[4]
1972년 1월 10일 : 전주 나들목 ~ 순천 나들목 구간 착공
1973년 11월 14일 : 전주 나들목 ~ 순천 나들목 181.6km 구간 개통[7]
1975년 12월 26일 : 유성 나들목 개통[8]
1978년 6월 1일 : 고속도로 유료화[9]
1980년 4월 1일 : 이리 나들목 개통[11]
1981년 11월 7일 : '''호남고속도로(호남선)'''로 노선명 변경[12]
경부고속도로 개통 직후 호남 지역에는 고속도로가 없었기에 계획된 노선이다. 착공 당시에는 국도 1·3호 서울전주선이었으나, 고속국도법 제정 이후 고속국도 3호 서울순천선이 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한국 최초의 임시 2차선 구간이었고, 평면 교차도도 많이 설치되었으나, 1983년부터 1986년까지 광주광역시까지 구간이 4차선·입체교차로로 확장되었으며, 광주광역시에서 순천시까지 구간도 1992년에 사업이 완료되어 현재는 전 구간 왕복 4차선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
2. 3. 확장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호남고속도로는 교통량 증가에 따라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일자 | 내용 |
---|---|
1983년 4월 25일 | 서대전 나들목 ~ 논산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착공[13] |
1983년 8월 4일 | 회덕 분기점 ~ 서대전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착공[14] |
1984년 11월 3일 | 논산 나들목 ~ 서광주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15] |
1985년 9월 14일 | 회덕 분기점 ~ 서대전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15] |
1985년 12월 26일 | 서대전 나들목 ~ 논산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15] |
1986년 5월 1일 | 논산 나들목 ~ 전주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18] |
1986년 6월 25일 | 전주 나들목 ~ 서광주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착공[18] |
1986년 7월 9일 | 전주 나들목 ~ 서광주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18] |
1990년 9월 | 서광주 나들목 ~ 고서 분기점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21] |
1992년 11월 27일 | 고서 분기점 ~ 순천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27] |
1996년 11월 8일 | 고서 분기점 ~ 순천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43] |
2. 4. 노선 변경 및 추가 개통 (2000년대 이후)
2001년 8월 25일, 기존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 회덕 분기점 구간이 고속국도 제251호선 호남고속도로의지선으로 분할되었고, 기점과 종점이 각각 대전에서 순천, 순천에서 논산으로 변경되었다. 논산천안고속도로와 함께 노선번호가 '''제25호'''로 변경되었다.[61]2002년 9월 5일, 내장산 나들목이 개통되었다.[65] 2002년 12월 23일에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과 함께 논산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4년 12월 29일, 동림 나들목이 개통되었다.[67]
2005년 12월, 논산 분기점 ~ 삼례 나들목 구간 왕복 6 ~ 8차로 및 동광주 나들목 ~ 고서 분기점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공사가 착공되었다.
2006년 12월 7일, 대덕 분기점과 장성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7년 5월 15일, 산월 나들목이 개통되었다.[73] 2007년 12월 13일에는 익산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8년 6월 9일,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백계리 ~ 북일면 박산리 구간 선형개량이 완료되었다.[76]
2009년 12월 17일, 문흥 분기점 ~ 고서 분기점 구간이 왕복 6차로 및 8차로로 확장 개통되었고, 문흥 분기점이 개통되었으며, 동광주 나들목 순천방향 진입로와 논산방향 진출로가 폐쇄되었다.[79]
2010년 7월 20일, 동광주 나들목 ~ 문흥 분기점 4.27km 구간이 왕복 6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82] 2010년 10월 27일에는 논산 분기점 ~ 삼례 나들목 17.1km 구간이 왕복 6차로 및 8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83]
2012년, 못재고개에서 못재터널 (장성 나들목 ~ 광주 요금소)로 선형 개량이 개통되었다.[86]
2015년 12월 22일, 광주대구고속도로의 노선 변경으로 문흥 분기점 ~ 고서 분기점 구간이 중복되었다.[89]
2016년 1월 20일, 북광산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020년 1월 23일, 동광주 요금소와 광주 요금소에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92] 2020년 5월 8일, 광주 요금소에 미디어아트 조형물 '''무등의 빛'''이 설치되었다.[93]
2023년 2월 10일, 국토교통부 고시상으로 논산천안고속도로와 통합되었다.[94]
2024년 10월 22일, 북장성 나들목이 개통될 예정이다.[95]
2024년 11월 27일, 여산휴게소가 익산미륵사지휴게소로 명칭이 변경될 예정이다.
3. 구성
다음은 호남고속도로의 구성 정보이다.
'''24시간 교통량'''(단위: 대)[1]
구간 | 1977년 | 1980년 | 1985년 | 1990년 | 1995년 | 2000년 | 2005년 | 2010년 | 2015년 | 2020년 | 2022년 |
---|---|---|---|---|---|---|---|---|---|---|---|
서순천IC - 승주IC | rowspan="28" colspan="3"| | rowspan="18" colspan="2"| | 23,264 | 21,201 | 28,839 | 30,343 | 29,092 | 35,770 | |||
승주IC - 주암IC | 22,945 | 22,416 | 30,089 | 30,423 | 32,655 | 34,512 | |||||
주암IC - 석곡IC | 21,151 | 20,469 | 28,144 | 25,880 | 26,611 | 31,847 | |||||
석곡IC - 곡성IC | 22,314 | 21,666 | 28,530 | 26,501 | 27,871 | 32,885 | |||||
곡성IC - 옥과IC | 25,149 | 24,607 | 31,821 | 32,033 | 35,774 | 36,310 | |||||
옥과IC - 대덕분기점 | 28,967 | 28,753 | 34,883 | 35,875 | 38,564 | 41,045 | |||||
대덕분기점 - 창평IC | 28,199 | 26,648 | 26,761 | 29,336 | |||||||
창평IC - 고서분기점 | 29,311 | 27,888 | 29,378 | 30,746 | 31,195 | 31,515 | |||||
고서분기점 - 동광주TG | 39,874 | 36,024 | 40,181 | 41,191 | 46,327 | 48,816 | |||||
동광주TG - 문흥분기점 | rowspan="9"| | ||||||||||
문흥분기점 - 동광주IC | 39,404 | 51,165 | 57,574 | 52,900 | |||||||
동광주IC - 용봉IC | 66,991 | 71,846 | 93,199 | 88,993 | 94,950 | ||||||
용봉IC - 서광주IC | 59,646 | 70,084 | 115,882 | 110,568 | 120,389 | ||||||
서광주IC - 동림IC | 56,913 | 78,135 | 93,755 | 116,635 | 128,531 | ||||||
동림IC - 산월IC | 58,593 | 90,430 | 92,508 | 98,161 | |||||||
산월IC - 광산IC | 61,895 | 59,333 | 56,690 | 58,040 | |||||||
광산IC - 북광산IC | 36,564 | 36,703 | 39,409 | 40,743 | 43,272 | ||||||
북광산IC - 광주TG | 42,371 | 44,869 | |||||||||
광주TG - 장성IC | 18,122 | 33,912 | 37,466 | ||||||||
장성IC - 장성분기점 | 13,885 | 31,321 | 35,293 | 32,080 | 36,561 | 41,191 | 42,162 | 45,879 | |||
장성분기점 - 백양사IC | 33,639 | 36,779 | 36,200 | 40,343 | |||||||
백양사IC - 내장산IC | 13,610 | 31,106 | 34,785 | 28,471 | 34,448 | 33,796 | 34,608 | 39,388 | |||
내장산IC - 정읍IC | 31,372 | 32,704 | 35,504 | 35,673 | 38,751 | ||||||
정읍IC - 태인IC | 16,068 | 36,604 | 40,570 | 33,571 | 33,082 | 36,999 | 38,501 | 40,947 | |||
태인IC - 금산사IC | 16,786 | 37,781 | 41,892 | 31,241 | 31,561 | 39,990 | 40,663 | 43,167 | |||
금산사IC - 김제IC | 16,765 | 37,063 | 41,342 | 36,044 | 33,427 | 38,825 | 39,721 | 43,584 | |||
김제IC - 서전주IC | 14,592 | 34,437 | 38,207 | 31,964 | 36,341 | 35,067 | 42,254 | 44,397 | |||
서전주IC - 전주IC | 37,990 | 31,947 | 36,820 | 35,597 | 41,154 | 43,877 | |||||
전주IC - 삼례IC | 3,152 | 4,240 | 6,346 | 17,583 | 41,909 | 44,183 | 26,112 | 38,066 | 45,739 | 46,847 | 50,940 |
삼례IC - 익산분기점 | 17,626 | 42,173 | 44,536 | 36,122 | 39,552 | 48,769 | 51,642 | 52,852 | |||
익산분기점 - 익산IC | 45,849 | 70,776 | 81,247 | 77,386 | |||||||
익산IC - 논산분기점 | 4,992 | 7,819 | 22,888 | 51,560 | 54,827 | 43,860 | 53,836 | 75,976 | 77,350 | 80,320 | |
논산분기점 - 연무IC | colspan="6" rowspan="10"| | 21,064 | 25,290 | 33,832 | 38,799 | 38,951 | |||||
연무IC - 서논산IC | 20,002 | 25,834 | 35,205 | 41,552 | 43,787 | ||||||
서논산IC - 탄천IC | 20,555 | 29,761 | 37,161 | 43,017 | 45,109 | ||||||
탄천IC - 남공주IC | 20,906 | 28,026 | 37,270 | 43,272 | 45,065 | ||||||
남공주IC - 공주분기점 | 21,175 | 29,365 | 38,823 | 45,864 | 47,695 | ||||||
공주분기점 - 북공주분기점 | 32,947 | 39,762 | 51,987 | 53,911 | |||||||
북공주분기점 - 정안IC | 37,334 | 48,273 | 61,895 | 64,304 | |||||||
정안IC - 남풍세IC | 25,800 | 40,192 | 57,501 | 71,774 | 73,524 | ||||||
남풍세IC - 남천안IC | 62,189 | 64,348 | 67,367 | ||||||||
남천안IC - 천안분기점 | 34,601 | 51,282 | 71,503 | 69,719 | 72,898 | ||||||
3. 1. 차로수
- 삼례 나들목 ~ 동광주 나들목, 고서 분기점 ~ 서순천 나들목: 왕복 4차로
- 익산 분기점 ~ 삼례 나들목, 동광주 나들목 ~ 문흥 분기점, 동광주 요금소 ~ 고서 분기점: 왕복 6차로
- 논산 분기점 ~ 익산 분기점, 문흥 분기점 ~ 동광주 요금소: 왕복 8차로
3. 2. 총 연장
194.22km3. 3.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이다. 단, 논산 분기점 ~ 천안 분기점 구간은 최고 110km/h, 최저 50km/h이다.3. 4. 터널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m) | 준공 년도 | 비고 |
---|---|---|---|---|
순천2터널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월계리 | 861 | 1996년 | 천안 방면 |
881 | 순천 방면 | |||
순천1터널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두월리 | 430 | ||
석곡터널 |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능파리 | 391 | 천안 방면 | |
380 | 순천 방면 | |||
대덕터널 |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 운암리 | 408 | ||
못재터널 |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녹진리 | 1,014 | 2012년 | 천안 방면 |
1,022 | 순천 방면 | |||
원덕터널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원덕리 | 928 | 2005년 | 천안 방면 |
882 | 순천 방면 | |||
호남터널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원덕리 | 694 | 1973년 | 천안 방면 |
740 | 1986년 | 순천 방면 |
4. 나들목 · 분기점
지방도 제857호선 (승주로·선암사길)
국도 제22호선 (동주로)
국도 제27호선 (동주로·송광사길)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곡성로·곡순로)
국도 제15호선 (무옥로·오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무옥로·오산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무옥로·오산로·옥순로)
국도 제29호선 (동문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동문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동문대로)
제2순환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동문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동문대로)
각화대로
하서로
빛고을대로
국도 제13호선 (사암로·첨단과기로)
국도 제24호선 (하서대로·노사로)
(하서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방장로)
갈재로·백양로
국도 제29호선 (충정로)
벚꽃로
국도 제21호선 (정읍대로)
국도 제30호선
석지로
국도 제21호선 (선비로)
지방도 제712호선 (봉남로)
지방도 제735호선 (봉남로·초처로)
국도 제21호선 (선비로)
지방도 제714호선 (풍요로)
금백로
국도 제21호선 (쑥고개로·호남로)
국도 제27호선 (호남로)
지방도 제713호선 (이서남로)
지방도 제716호선 (콩쥐팥쥐로)
국도 제21호선 (동부대로·번영로)
국도 제26호선 (동부대로·번영로)
지방도 제799호선 (삼봉로)
삼례나들목로·삼례로
(27호선 순천완주고속도로)
지방도 제722호선 (무왕로)
지방도 제799호선 (무왕로·봉동로)
251호선 호남고속도로의지선
30번 이후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