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17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성-17형은 북한이 개발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2020년 10월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2021년 무기 박람회에서 공식 명칭이 공개되었으며, 2022년 3월과 11월, 2023년 3월에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 화성-17형은 2단 액체연료 추진 방식에 22륜 이동식 발사대에 탑재되며, 다탄두 재진입체 탑재 가능성이 거론된다. 사거리는 15,000km 이상으로 추정되며, 미국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2022년 3월 24일 발사된 미사일의 종류를 두고 대한민국과 미국이 서로 다른 분석을 내놓아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화성-15형
화성-15형은 2017년 북한이 시험 발사한 2단 액체연료 ICBM으로,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사거리를 가졌다는 평가가 있지만, 페이로드와 재진입 기술에 대한 논란 및 다탄두 장착 가능성 또한 제기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대포동 2호
대포동 2호는 북한이 개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대포동 1호 시험 발사를 통해 습득한 다단계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하고 모델에 따라 사거리와 탑재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성-17형 | |
---|---|
개요 | |
![]() | |
종류 |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
사용 | 조선인민군 전략군 |
생산 | 2020년 - 현재 |
제원 | |
길이 | 24–26 m |
지름 | 2.4–2.9 m |
중량 | 80,000–150,000 kg |
탄두 중량 | 2,000–3,500 kg |
탄두 | 핵무기(MIRV 가능성 있음) |
추진제 | 액체 연료 |
성능 | |
사거리 | 15,000 km |
엔진 | |
엔진 종류 | RD-250 액체 연료 로켓 엔진 (1단) x 2 |
추진제 | 사산화 이질소/UDMH(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 |
발사 플랫폼 | |
발사대 | 22륜 이동식 발사대(TEL)(11축 TEL) |
2. 역사
2019년 12월, 북한은 평북 동창리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신형 ICBM용 엔진 연소 시험을 2차례 진행했다.[44]
2020년 9월 16일, 북한 정보통신 전문 사이트 노스코리아테크 마틴 윌리엄스 대표는 북한 전문매체 38노스에 게재한 보고서에서 최근 위성사진 분석 결과 미림비행장 내 대형 보관시설을 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는 두 시설이 길이 35m 규모로, 북한이 2017년 시험발사에 성공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 15호(22m)보다 상당히 크다고 전했다.
2020년 9월 22일, 38노스는 위성사진을 공개하면서 평양 미림비행장 열병식 연습장에서 북한의 신형 ICBM 발사 차량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포착됐다고 보도했다.
2020년 10월 3일, 한국 정부 관계자는 "한·미 연합 감시 자산이 지난달 30일 평성 자동차 공장 부근에서 북한이 2017년 11월 시험발사한 화성-15형(길이 22m)보다 큰 신형 ICBM과 TEL을 식별했다"며 "오는 10일 노동당 창당 75주년 열병식 때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 정보당국은 화성 15호의 이동식 발사차량(TEL)의 바퀴 축이 9개였는데, 이번에는 바퀴 수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군 전문가는 "새 ICBM은 화성-15형과 길이는 동일하되, 직경은 커졌을 수 있다"고 관측했다.[44]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이 창건 기념식에서 공개할 신형 무기가 화성-14형, 화성-15형용 액체연료 엔진(백두산 엔진)을 개량하고 몸집을 키운 초대형 액체연료 ICBM일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실었다.
2020년 10월 10일, 북한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화성-17형이 최초로 공개되었다. 2021년 10월 11일, 북한의 무기박람회 '자위-2021'에서 이 미사일의 제식명칭이 《화성포-17》형임이 공개되었다.[21]
화성-17형의 시험 발사는 2022년 2월 26일에 처음 이루어졌고, 3월 4일에 다시 실시되었다. 북한은 이 발사 소식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인도-태평양 사령부(INDOPACOM)가 나중에 이를 공개했다. 미국은 이 시험이 ICBM의 사거리를 시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초기 단계의 [능력 평가]를 위한 것이라고 판단했다.[22] 북한은 정찰 위성의 [구성 요소]를 [운용 고도]에서 시험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 미사일 전문가 제프리 루이스는 이 발사가 화성-17형의 2단계 [재돌입체] 발사일 가능성도 제기했다.[23] 2022년 3월 16일 미사일 발사가 시도되었으나 실패했다. 이는 화성-17형 시험으로 추정되지만, 발사 실패로 인해 북한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24]
조선인민군 창설 75주년을 기념하는 2023년 2월 8일 열병식에서 이동식 발사대에 탑재된 12기의 화성-17형이 전시되었다.
2. 1. 개발 배경
2019년 12월, 북한은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신형 ICBM용 엔진 연소 시험을 두 차례 진행했다.[44] 12월 7일 첫 번째 시험에 대해 북한 국방과학원 대변인은 "대단히 중대한 시험"이었다고 발표했으며, 이 시험 결과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략적 지위를 또 한 번 변화시키는 데서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12월 13일에는 400초 이상, 거의 7분 동안 엔진이 연소하는 두 번째 시험이 진행되었다.[45] 이는 2016년 9월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성공한 추력 80톤 백두엔진 지상 연소실험(연소시간 200초)보다 진전된 결과였다.[45]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의 조너선 맥도웰 박사는 첫번째 연소시험이 액체연료 로켓이 확실하다고 말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7분간(420초) 시험을 했다고 하는데 엔진 풀스케일(전사정) 연소시험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군과 정보 당국은 7분이라는 시간이 ICBM 2단 엔진 연소 시간과 유사하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2020년 9월, 미국 대북전문매체 38노스는 평양 미림비행장 열병식 연습장에서 북한의 신형 ICBM 발사 차량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포착됐다고 보도했다.[44] 2020년 10월 3일, 한국 정부 관계자는 한미 연합 감시 자산이 평성 자동차 공장 부근에서 화성-15형보다 큰 신형 ICBM과 TEL을 식별했다고 밝혔다. 한국 정보당국은 화성-15형의 이동식 발사차량(TEL)의 바퀴 축이 9개였는데, 이번에는 바퀴의 수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44] 군 전문가는 새 ICBM이 화성-15형과 길이는 동일하되, 직경은 커졌을 수 있다고 관측했다.[44]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이 공개할 신형 ICBM이 화성-14형, 화성-15형용 백두산 엔진을 개량하고 몸집을 키운 초대형 액체연료 ICBM일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실었다.[44]
2. 2. 최초 공개 (2020년)
2020년 10월 10일, 북한의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화성-17형이 최초로 공개되었다.[44] 화성 15호보다 더 큰 크기로, 이동식 발사차량(TEL)의 바퀴 축이 9개에서 더 늘어난 것으로 관측되었다. 군사 전문가들은 화성-15형과 길이가 동일하되 직경이 커졌을 가능성을 제기했다.[44]국정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이 미사일이 "속임수가 아닌 진품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외형은 러시아의 SS-19와 매우 유사하며, 이는 6 Mt 수소폭탄을 미국 동부 워싱턴 DC까지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시사한다.
2. 3. 제식명칭 공개 (2021년)
2021년 10월 11일, 북한의 무기박람회 '자위-2021'에서 이 미사일의 제식명칭이 《화성포-17》형임이 공개되었다.[21]2. 4. 시험 발사 (2022년 ~ 현재)
화성-17형의 시험 발사는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22년 3월 24일,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순안국제공항 일대에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추정되는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이 미사일은 비행 거리 1,080㎞, 정점 고도 6,200㎞ 이상으로 1시간 12분간 비행했다.[58] 조선중앙통신은 이 미사일이 화성-15형보다 신형인 '화성-17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국 군 당국은 이 미사일이 화성-17형이 아닐 가능성을 제기했다.[58] 미사일 분석가들은 발사 영상이 조작되었을 수 있다고 지적하며, 3월 24일에 발사된 미사일이 화성-17형인지 확인하지 못했다.[26] 대한민국 정보 당국은 개량 및 수정된 화성-15형일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NK News는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27]
2022년 11월 18일, 북한은 평양국제비행장에서 화성-17형을 발사했다. 정점고도 6040km, 비행거리 999km, 비행시간은 69분이었다.[31] 한미일 군 당국은 이 발사를 화성-17형의 최초 시험발사 성공으로 평가했다. 노동신문은 이 미사일이 동해 공해상의 예정 수역에 정확히 탄착됐다고 보도했다.[31]
2023년 3월 15일, 북한은 평양 국제공항에서 화성-17형의 세 번째 시험 발사를 실시했다. 김정은이 부인 및 딸과 함께 발사를 참관했으며,[32] 미사일은 고각 궤도로 비행하여 1000.2km의 거리를 비행하고 최대 고도 약 6045km에 도달했다. 총 비행 시간은 4151 초였다.[33]
시도 | 날짜 | 장소 | 발사 전 발표 | 결과 | 추가 정보 |
---|---|---|---|---|---|
1 | 2022년 3월 24일 | 평양 국제공항 근처의 실리 미사일 기지.[30] | 미국은 ICBM 또는 위성 발사 징후를 탐지했다고 주장했다.[30] | 성공 | 화성-17형의 첫 번째 공개 시험 발사. 김정은이 발사를 참관.[18] |
2 | 2022년 11월 18일 | 평양 국제공항 | 없음 | 성공 | 북한 관영 매체가 공개적으로 인정한 화성-17형의 두 번째 시험 발사. 김정은이 부인 및 딸과 함께 발사를 참관.[31] |
3 | 2023년 3월 15일 | 평양 국제공항 | 없음 | 성공 | 북한 관영 매체가 공개적으로 인정한 화성-17형의 세 번째 시험 발사. 김정은이 부인 및 딸과 함께 발사를 참관했다.[32] |
화성-17형은 이동식 발사대(TEL)에 탑재되는 2단계 액체 추진 로켓으로 추정된다. 미사일 자체는 이미지상 26m 길이에 2.7m 직경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9]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이 미사일이 "속임수가 아닌 진품"이라고 평가했다.
3. 설계 및 제원
화성-17형의 정확한 성능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이 추정한다.
전문가들은 화성-17형의 크기가 러시아의 SS-19와 유사하다고 평가하며, 탄두 중량과 관련하여 LGM-118 피스키퍼와 비교하기도 한다.
비교 | 화성-17형 | 화성-15형 | SS-17 | SS-19 | LGM-118 피스키퍼 | RS-28 사르마트 |
---|---|---|---|---|---|---|
무게 | 100톤 | 72톤 | 72톤 | 100톤 | 88.45톤 | 200톤 |
탄두중량 | 1.5톤 추정 | 600 kg 추정 | 2.55톤 | 4.35톤 | 3.6톤 | 5톤 |
MIRV | 3-4발 추정 | 1발 추정 | 550 kt 4발 | 750 kt 6발 | 350 kt 12발 | 500 kt 15발 |
일본 방위상 하마다 야스카즈는 화성-17형의 작전 반경을 충분히 가벼운 탄두를 장착할 경우 15,000 km 이상으로 추정했다.[8][13] 카네기 국제평화 기금의 앙키트 판다는 2022년 11월 미사일 시험이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다고 보았다.[14] 마이클 엘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미국사무소 선임연구원은 ‘화성-17형’이 미국 전역에 2~3t의 핵탄두를 투하할 수 있을 것이라 추정했다.[49]
김정은은 2016년에 10메가톤급 수소폭탄과 ICBM 개발을 지시했는데, 이는 LGM-25C 타이탄 II ICBM 개발을 지시한 것으로 보인다.
3. 1. 기술적 특징
화성-17형은 22륜 이동식 발사대(TEL) 차량에 탑재되는 2단계 액체 추진 로켓으로 추정된다. 미사일 자체는 이미지상 26m 길이에 2.7m의 직경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9]일본 방위상 하마다 야스카즈는 화성-17형의 작전 반경을 충분히 가벼운 탄두를 장착할 경우 15,000km 이상으로 추정했다.[8][13] 카네기 국제평화 기금의 앙키트 판다는 2022년 11월 미사일 시험이 공중으로 발사된 대신 미국으로 발사되었다면, 미국의 모든 곳에 쉽게 도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동의했다.[14]
화성-15형이 이미 미국 본토의 대부분을 타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더욱 대형 미사일의 개발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다탄두 개별 유도 미사일(MIRV) 또는 다탄두 재진입체(MRV) 페이로드를 추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화성-17형은 3~4개의 탄두 또는 잠재적으로 미끼와 실제 탄두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몇 발의 미사일만 발사해도 미국의 방어를 압도하기에 충분할 것이다.[16][12]
미사일과 TEL의 결합된 무게는 북한의 제한적인 포장 도로망으로 이동을 제한하며, 비포장 도로에서는 짧은 거리를, 견고한 지반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소형 액체 추진 탄도 미사일과 달리, 안전한 장소에서 연료를 보급한 다음 미리 조사된 장소로 운전하여 세우는 것은 발사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렇게 큰 미사일의 이동 중 진동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고 휘발성 연료가 누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연료 보급을 발사 현장에 도착한 후에만 제한하며, 완료하는 데 몇 시간이 걸리고 미사일이 노출되어 발사 전 공격에 취약하게 된다.[4]
2021년 8월, 미국 북부 사령부 사령관 글렌 D. 밴허크는 "KN-28 미사일은 훨씬 더 큰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미사일의 전체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는 화성-17형이 KN-27이 아닌 KN-28로 지정되었음을 시사한다.[17]
화성-17형은 이전 대포동 2호/은하 3호 부스터보다 더 강력한 로켓 엔진과 더 강력한 액체 추진제를 가지고 있어, 이전보다 두 배 더 무거운 위성을 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다. 미사일의 첫 번째 발사는 정찰 위성용 요소 테스트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되었다.[2] 화성-17형은 천리마-1 위성 발사체(SLV)의 1단계 역할을 하며, 2023년 5월 31일 2단계 부스터의 점화 실패로 위성 발사에 실패했다.[20]
3. 2. 크기 및 무게
화성-17형은 길이 24~26m, 직경 2.5~2.9m, 중량 80~110t으로 추정된다. 미사일 전문가들은 화성-17형이 기존의 화성-15형보다 길이 4~4.5m, 직경 0.5m 더 클 것으로 분석했다.[46] 동아일보는 화성-17형의 직경이 3m에 이를 것으로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화성-17형의 크기가 러시아의 SS-19와 유사하다고 평가한다.비교 | 화성-17형 | 화성-15형 | SS-17 | SS-19 | LGM-118 피스키퍼 | RS-28 사르마트 |
---|---|---|---|---|---|---|
무게 | 100톤 | 72톤 | 72톤 | 100톤 | 88.45톤 | 200톤 |
탄두중량 | 1.5톤 추정 | 600 kg 추정 | 2.55톤 | 4.35톤 | 3.6톤 | 5톤 |
MIRV | 3-4발 추정 | 1발 추정 | 550 kt 4발 | 750 kt 6발 | 350 kt 12발 | 500 kt 15발 |
화성-17형은 22륜 이동식 발사대(TEL) 차량에 탑재되는 2단계 액체 추진 로켓으로 추정된다. 미사일 자체는 이미지상 26m 길이에 2.7m 직경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9]
3. 3. 엔진
화성-17형의 1단 엔진은 추력 80톤의 백두엔진 4개를 묶은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서 1단 엔진에 백두엔진 노즐 4개가 선명하게 확인되며, 총 추력은 320톤으로 보인다.[9] 이는 SS-18 초기형과 SS-19의 1단 추력과 비슷한 수준이다.북한은 2019년 12월 7일과 13일에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신형 ICBM용 엔진 연소 시험을 두 차례 진행했다.[45] 13일 시험에서는 엔진이 400초 이상 연소되었는데, 이는 백두엔진의 기존 연소 시간(200초)보다 두 배 이상 길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은 이를 엔진 풀스케일(전사정) 연소시험으로 보았다.
3. 4. 탄두
화성-17형은 다탄두 재진입체(MIRV) 탑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회피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9][3][10] 탄두 중량은 2.5~3t으로 추정되는데,[46] 이는 기존 화성 15형의 1.5t보다 크게 늘어난 것이다.마이클 엘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미국사무소 선임연구원은 ‘화성-17형’이 미국 전역에 2~3t의 핵탄두를 투하할 수 있을 것이라 추정했다.[49]
하나의 ICBM에 2개의 탄두를 장착하고 발사했을 때 두 탄두의 타격지점 간 최대거리는 평균 1,000 km이다. 워싱턴 D.C.와 뉴욕 간 거리는 약 400 km로 북한의 신형 ICBM이 충분히 동시 타격 가능한 거리다.[50]
비교 | 화성 16호 | 화성 15호 | SS-17 | SS-19 | LGM-118 피스키퍼 | RS-28 사르마트 |
무게 | 100톤 | 72톤 | 72톤 | 100톤 | 88.45톤 | 200톤 |
---|---|---|---|---|---|---|
탄두중량 | 1.5톤 추정 | 600 kg 추정 | 2.55톤 | 4.35톤 | 3.6톤 | 5톤 |
MIRV | 3-4발 추정 | 1발 추정 | 550 kt 4발 | 750 kt 6발 | 350 kt 12발 | 500 kt 15발 |
크기 자체는 MIRV를 탑재하는 것이 확실한 듯한 크기인데, 북한이 MIRV를 공개하면서 자랑한 적이 없어 실제 탑재 여부는 불확실하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미사일 다탄두 기술 보유를 아직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북한이 다탄두 기능에서 핵심적인 'PBV' 기술을 보유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PBV는 'Post Boost Vehicle'의 약자로 탄두를 운반시키는 운반체, 소형 로켓을 가리킨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PBV 기술이 검증됐다고 하려면) 위성을 정상적으로 궤도 진입시킨 사례가 있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북한이 그런 사례가 없다"고 밝혔다.
이언 윌리엄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미사일 방어프로젝트 부국장도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PBV 기술은 미국이나 러시아가 보유하고 있는데, 북한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51]
그러나 북한과 이란의 군사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주로 북한이 이란에 핵·미사일 기술을 팔아 외화를 획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다탄두미사일(MIRV)의 경우 북한이 이란으로부터 협력을 구하는 등 상호보완형태도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52]
2017년 9월 22일, 이란은 코람샤흐르 미사일 발사 장면을 촬영한 영상을 공개했다. 코람샤흐르는 각개 목표 재돌입 미사일 다탄두(MIRV) 탑재가 가능하다고 알려졌다.
2020년 10월 10일, 북한이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한 화성 16호는, 탄두중량 4.35톤 러시아 SS-19와 매우 닮았다. LGM-118 피스키퍼의 탄두중량이 3.6톤으로, 북한이 '''북한판 피스키퍼'''를 최초로 공개한 것이다.
한국 정보당국은 화성 16호의 탄두중량이 1.5톤으로, 1톤 LGM-30 미니트맨과 거의 같다고 보고 있다.[56] 군당국은 화성 15호는 탄두중량 600 kg, 핵탄두 1개, 화성 16호는 탄두중량 1.5톤, 핵탄두 3개로 분석하고 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탄두 중량을 1톤으로 한다면 (화성-17형의) 최대사거리는 1만5000㎞ 이상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탄두부 형태가 뭉툭했던 화성-15형과 달리 화성-17형은 핵탄두 2∼3개가 들어가는 다탄두 탑재 형상으로 개발됐다.
2016년 10월 26일, 러시아가 RS-28 사르마트 ICBM을 처음 공개했다. 탄두중량 10톤인 사르맛은 최대 16개의 핵탄두 탑재가 가능해 프랑스나 미국 텍사스 정도는 날려버릴 정도의 파괴력을 가졌다고 평가된다.
- 프랑스 면적: 543,940km2
- 텍사스주 면적: 695,662km2
- 대한민국 면적: 100,210km2
- 일본 면적: 377,975km2
러시아는 탄두중량 10톤인 사르맛이 텍사스주 면적 695,662km2을 초토화 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렇다면, 단순계산으로, 화성-17형은 탄두중량 3톤이므로 201,806km2면적을 초토화 한다. 즉, 화성-17형 단 한발로 대한민국을 초토화 한다는 의미이다. 일본은 단 두발로 초토화된다.
화성-17형은 이동식 발사대(TEL) 차량에 탑재되는 2단계, 액체 추진 로켓으로 추정된다.
화성-17형은 MIRV 페이로드를 추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0년 현재, 지상 기반 요격 미사일 방어 시스템은 44기의 요격 미사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소 4발을 발사하여 11개의 탄두를 최대 방어할 수 있다. 화성-17형은 3~4개의 탄두 또는 잠재적으로 미끼와 실제 탄두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몇 발의 미사일만 발사해도 미국의 방어를 압도하기에 충분할 것이다.[16][12]
3. 5. 이동식 발사대 (TEL)
화성-17형은 22륜(11축) 이동식 발사대(TEL) 차량에 탑재된다.[9] 11축 TEL의 크기와 구성은 북한이 이러한 차량을 자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음을 보여준다.[11][12] 이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11][12]과거 화성-15형 발사 때는 TEL을 사용하여 미사일을 운반했지만, 운반 후에는 미사일을 차량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지지대 위에서 발사했다. 하지만 화성-17형은 TEL로 미사일 동체를 기립하고, 화염유도장치를 부착하여 TEL의 손상을 막았다. 또한 TEL 하단을 4개의 지지대로 고정하여 발사 시 진동에도 안정화되도록 했다.[9]
그러나 미사일과 TEL의 결합된 무게는 북한의 제한적인 도로망으로 인해 이동에 제약을 받는다. 비포장 도로에서는 짧은 거리만 이동 가능하며, 견고한 지반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추진 탄도 미사일은 안전한 장소에서 연료를 보급한 후 발사 장소로 이동하여 발사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없다. 이는 미사일 이동 중 진동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고 휘발성 연료가 누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료 보급은 발사 현장에 도착한 후에만 가능하며, 완료하는 데 몇 시간이 걸려 미사일이 발사 전 공격에 취약해진다.[4]
4. 성능 및 전략적 함의
화성-17형은 직경 2.4~2.5m, 길이 24~25m, 중량 80~110t에 이르는 대형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다. 탄두 중량은 화성-15형의 1.5t보다 크게 늘어난 2.5~3t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46][47] 미사일 전문가 밴 디펀과 마이클 엘러먼은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에서 화성-17형이 기존의 화성-15형보다 길이 4~4.5m, 직경 0.5m 더 크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화성-17형의 크기가 대략 SS-19에 근접하다고 평가한다. 앤킷 판다 카네기 국제 평화 기금 선임연구원은 화성-15형이 핵탄두를 1개만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했지만, 화성-17형은 최대 4개까지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48] 반면, 한국군은 화성-15형은 탄두 중량 600kg, 핵탄두 1개, 화성-17형은 탄두 중량 1.5톤, 핵탄두 3개를 탑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마이클 엘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 미국 사무소 선임연구원은 화성-17형이 미국 전역에 2~3톤의 핵탄두를 투하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과거 소련의 R-16(SS-7)이나 R-26(SS-8)보다 성능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했다.[49] 제프리 루이스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비확산센터 소장은 미사일 직경이 2.5m라면 화성-15형 재진입체 3개, 최대 3m라면 재진입체 5개까지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나의 ICBM에 2개의 탄두를 장착하고 발사했을 때 두 탄두의 타격 지점 간 최대 거리는 평균 1,000km이다. 워싱턴 D.C.와 뉴욕 간 거리는 약 400km로, 화성-17형이 충분히 동시 타격할 수 있는 거리이다.[50]
비교 | 화성-17형 | 화성-15형 | SS-17 | SS-19 | LGM-118 피스키퍼 | RS-28 사르마트 |
---|---|---|---|---|---|---|
무게 | 100톤 | 72톤 | 72톤 | 100톤 | 88.45톤 | 200톤 |
탄두 중량 | 1.5톤 추정 | 600kg 추정 | 2.55톤 | 4.35톤 | 3.6톤 | 5톤 |
MIRV | 3-4발 추정 | 1발 추정 | 550kt 4발 | 750kt 6발 | 350kt 12발 | 500kt 15발 |
화성-17형은 MIRV 탑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북한은 아직 해당 기술을 공개적으로 자랑한 적이 없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다탄두 기능의 핵심인 'PBV'(Post Boost Vehicle, 탄두 운반체) 기술을 보유했는지 확인하지 못해, 미사일 다탄두 기술 보유를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북한의 PBV 기술이 기술 검증 전 시제품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이언 윌리엄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미사일 방어프로젝트 부국장도 북한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평가했다.[51]
그러나 북한은 이란과의 군사 협력을 통해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52] 이란은 2017년 사거리 2000km의 코람샤흐르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으며, 이 미사일은 다탄두(MIRV) 탑재가 가능하다. 또한, 화성-17형의 1단 엔진인 백두엔진은 이미 이란이 획득했다.[53]
2021년 8월, 미국 북부 사령부 사령관 글렌 D. 밴허크는 "KN-28 미사일은 훨씬 더 큰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미사일의 전체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하여, 화성-17형이 KN-27이 아닌 KN-28로 지정되었음을 시사했다.[17]
화성-17형은 위성 발사체(SLV)로도 활용될 수 있다. 북한은 고각 발사 궤도로 장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해 왔는데, 이는 육상 기반 센서만으로는 추적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화성-17형은 이전 대포동 2호/은하 3호 부스터보다 강력한 로켓 엔진과 추진제를 가지고 있어, 더 무거운 위성을 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다. 이는 미래 ICBM 비행과 페이로드 재진입을 우주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위성 발사를 가능하게 하여, 보다 현실적인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5] 화성-17형은 천리마-1 SLV의 1단계 역할을 하며, 2023년 5월 31일 2단계 부스터 점화 실패로 위성 발사에 실패했다.[20]
4. 1. 사거리 및 타격 능력
일본 방위상 하마다 야스카즈는 화성-17형이 충분히 가벼운 탄두를 장착할 경우 15,000km 이상의 사거리를 가질 수 있다고 추정했다.[8][13] 카네기 국제평화 기금의 앙키트 판다는 2022년 11월 미사일 시험이 성공하여, 만약 미국을 향해 발사되었다면 미국 본토 어디든 쉽게 도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14]화성-17형은 다탄두 재진입체(MRV)를 탑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3][10] 이는 단일 탄두 탑재량을 가진 ICBM 여러 기를 배치하는 것보다 비용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화성-15형이 이미 미국 본토 대부분을 타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더 큰 화성-17형의 개발은 북한이 다탄두 재진입체(MRV) 또는 MIRV 탑재를 추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0년 기준으로, 지상 기반 요격 미사일 방어 시스템은 44기의 요격 미사일로 구성되어, 최소 4발을 발사하여 11개의 탄두를 방어할 수 있다. 화성-17형은 3~4개의 탄두 또는 미끼와 실제 탄두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어, 몇 발의 미사일만으로도 미국의 방어를 압도할 수 있다.[16][12]
하지만 2022년 11월 현재, 대형(예: MRV) 탄두가 화성-17형의 사거리를 얼마나 줄이는지, 그리고 북한 ICBM 기술이 대기권 재진입에서 살아남는 탄두를 전달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15]
4. 2. 파괴력
형은 탄두 중량이 화성-15형의 1.5t보다 크게 늘어난 2.5~3t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어, 단 한 발로도 대한민국 전체를 초토화할 수 있는 파괴력을 지닌 것으로 추정된다.[46][47] 마이클 엘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미국사무소 선임연구원은 ‘화성-17형’이 미국 전역에 2~3t의 핵탄두를 투하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했는데,[49] 이는 옛 소련의 R-16(SS-7)이나 R-26(SS-8)보다 우수한 성능이다.러시아의 RS-28 사르마트 ICBM은 한 발로 프랑스나 미국 텍사스주 만한 크기의 면적을 초토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55] 형은 무게가 100톤으로, RS-28 사르마트의 절반 정도이다. 텍사스주(695,662km²)는 대한민국(100,210km²)보다 6.94배 넓다. 따라서 화성-17형은 탄두중량 3톤이므로 201,806km2면적을 초토화하여, 단 한발로 대한민국을 초토화 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일본은 단 두발로 초토화된다.
형은 MIRV 탑재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는 미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압도할 수 있는 위협으로 간주된다.[16][12] 2020년 현재, 지상 기반 요격 미사일 방어 시스템은 44기의 요격 미사일로 구성되어, 최대 11개의 탄두를 방어할 수 있다. 형은 3~4개의 탄두 또는 미끼와 실제 탄두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어, 몇 발의 미사일만으로도 미국의 방어를 무력화할 수 있다.
카네기 국제평화 기금(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의 앙키트 판다는 형이 성공적인 시험 발사를 통해 미국의 모든 곳에 쉽게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14]
4. 3. 전략적 함의
화성-17형은 미국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회피하고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다. 특히, 다탄두 재진입체(MRV) 혹은 MIRV 탑재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미국의 미사일 방어 체계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16][12]지상 기반 요격 미사일 방어 시스템은 현재 44기의 요격 미사일로 구성되어 최대 11개의 탄두를 방어할 수 있다. 그러나 화성-17형이 3~4개의 탄두, 혹은 미끼와 실제 탄두를 혼합하여 발사할 경우, 미국의 방어 체계는 쉽게 무력화될 수 있다.[16][12]
하지만, 화성-17형은 그 크기로 인해 이동 및 발사에 제약이 따른다. 북한의 열악한 도로 사정으로 인해 이동이 제한적이며, 발사 전 연료 주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선제공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4] 또한, 다탄두 능력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으며, 복잡한 유도 및 탄두 방출 메커니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시험 발사가 필요하다.[4]
이언 윌리엄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미사일 방어프로젝트 부국장은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PBV 기술은 미국이나 러시아가 보유하고 있는데, 북한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51]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PBV 기술이 검증됐다고 하려면) 위성을 정상적으로 궤도 진입시킨 사례가 있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북한이 그런 사례가 없다"며 "때문에 북한의 PBV 기술은 기술 검증 전 시제품 수준이라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이란과의 군사 협력을 통해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52] 특히, 이란의 코람샤흐르 미사일은 다탄두(MIRV) 탑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성-16형의 1단 엔진인 백두엔진은 이미 이란이 획득한 상황이다.[53]
2022년 3월 시험 비행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김정은은 화성-17형 개발을 "주체적 국력의 상징이자 자력갱생의 결실로, 전략군의 핵심 타격 수단이자 믿음직한 핵전쟁 억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18]
하마다 야스카즈 일본 방위상은 화성-17형의 작전 반경을 충분히 가벼운 탄두를 장착할 경우 15,000 km 이상으로 추정했다.[8][13] 카네기 국제평화 기금(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의 앙키트 판다는 11월 미사일 시험이 성공하여 미국으로 발사되었다면, 미국의 모든 곳에 쉽게 도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동의했다.[14]
5. 국제 사회의 반응 및 평가
화성-17형 개발에 대한 국제 사회의 반응은 크게 기술적 평가와 전략적 우려로 나뉜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다탄두 미사일(MIRV) 기술, 특히 탄두 운반체(PBV) 기술을 보유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북한의 PBV 기술이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고, 이언 윌리엄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미사일 방어프로젝트 부국장도 북한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평가했다.[51]
그러나 북한과 이란의 군사 협력 강화는 주목할 만하다. 북한이 이란에 핵·미사일 기술을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다탄두 미사일 기술의 경우 북한이 이란으로부터 협력을 구하는 등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52] 2017년 이란은 다탄두 탑재가 가능한 코람샤흐르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한 바 있다. 2020년에는 이스라엘의 베사센터가 북한과 이란 간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등 핵심 부품 이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54]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 정부와 군 당국은 북한의 화성-17형 개발을 지속적으로 분석해 왔다. 특히 2022년 3월 24일 발사된 미사일에 대해서는 한미 당국 간 분석 결과에 이견이 있어 논란이 일기도 했다.2022년 3월 11일, 국방부는 북한이 2월 27일과 3월 5일에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2020년 10월 10일 노동당 창건일 열병식에서 공개된 신형 ICBM 체계와 관련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22] 이들 미사일은 각각 고도 약 620km, 비행거리 약 300km, 고도 약 560km, 비행거리 약 270km로 탐지되었다.
2022년 3월 24일,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평양 순안국제공항 일대에서 ICBM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합참은 미사일 비행 거리가 1,080km, 정점 고도가 6,200km 이상이며, 1시간 12분간 비행했다고 밝혔다.
다음 날인 3월 25일, 조선중앙통신은 24일 발사한 ICBM이 화성-15형보다 신형인 '화성-17형'이라고 보도했다. 북한은 화성-17형이 최대 정점 고도 6,248.5km까지 상승했고, 1,090km를 4,052초(1시간 7분 32초)간 비행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국 군 당국은 24일 북한이 발사한 ICBM이 화성-17형이 아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58] 한미 군 당국은 화성-15형 발사였고, 화성-17형 동영상은 짜깁기한 가짜라고 잠정 결론내렸다.[59] 발사 당일 평양은 흐렸지만 북한이 공개한 사진과 영상에는 맑은 날 촬영된 것이 포함되어 있었고, 발사 직전 화성-15형을 뒷받침하는 신호 정보가 잡혔으며, 1단 추진체 엔진 노즐이 화성-15형과 같은 2개였다는 점 등이 근거로 제시되었다. (화성-17형의 1단 추진체 엔진 노즐은 4개이다.)
반면, 국가정보원은 북한의 발표 이전부터 화성-17형으로 추정했으며, 현재까지 이러한 분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 밴 디펜 전 미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수석부차관보도 미국의소리(VOA) 인터뷰에서 한국과 일본이 발표한 정보를 바탕으로 궤적이 화성-17형과 더 일치한다고 언급하며, 화성-17형일 확률이 높다고 추정했다.[26]
5. 2. 미국
미국의 미사일 전문가 밴 디펀과 마이클 엘러먼은 북한 전문사이트 38노스에 화성-17형에 대해 "대략 길이 25~26m, 지름 2.5~2.9m로, 기존의 화성-15형보다 길이는 4~4.5m, 지름은 0.5m 더 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화성-15형(탄두 무게 1t)보다 훨씬 무거운 2~3.5t 무게의 탄두를 미국 전역에 날려 보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47]
마이클 엘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 미국 사무소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신형 ICBM은 미국 전역에 2~3톤의 핵탄두를 투하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과거 소련이 개발했던 R-16(나토 코드 SS-7)이나 R-26(SS-8)보다 더 성능이 우수할 것으로 내다봤다.[49]
제프리 루이스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비확산센터 소장은 해당 미사일 직경이 2.5m라면 화성-15형 미사일 재진입체 3개를 탑재할 수 있고, 직경을 최대 3m로 잡는다면 재진입체를 5개까지 실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나의 ICBM에 2개의 탄두를 장착하고 발사했을 때 두 탄두의 타격지점 간 최대거리는 평균 1,000km다. 워싱턴 DC와 뉴욕 간 거리는 약 400km로 북한의 신형 ICBM이 충분히 동시 타격 가능한 거리다.[50]
반 밴 디펜 전 미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미국의소리(VOA)와 인터뷰(26일 보도)에서 “한국과 일본이 발표한 정보에 따르면 궤적이 화성-15형보다는 화성-17형과 더 일치한다”며 “화성-17형이라고 보는 게 맞을 확률이 높은 추측”이라고 말했다.
카네기 국제 평화 기금의 안킷 판다는 11월의 미사일 실험 성공이 상공이 아닌 미국을 향해 발사되었다면 미국 본토 어디든 쉽게 도달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6. 논란
2022년 3월 24일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한 후, 대한민국과 미국은 이 미사일의 종류에 대해 서로 다른 분석을 내놓았다.[58] 대한민국 군 당국은 이 미사일이 화성-15형을 개량한 것이라고 발표했지만,[59] 미국은 화성-17형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대한민국 군 당국은 발사 당일 평양의 날씨가 흐렸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공개한 사진과 영상에는 맑은 날 촬영된 장면이 포함되어 있어 '짜깁기'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또한, 발사 직전 화성-15형을 뒷받침하는 신호 정보가 포착되었고, 정찰 위성의 열영상에 포착된 미사일 1단 추진체의 엔진 노즐(배기구)이 화성-15형과 같은 2개였다고 밝혔다. 화성-17형의 1단 추진체 엔진 노즐은 4개이다.
반면, 국가정보원은 북한의 발표 이전부터 해당 미사일을 화성-17형으로 추정했으며, 이러한 분석을 유지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반 밴 디펜 전 미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수석부차관보도 미국의소리(VOA)와의 인터뷰에서 "한국과 일본이 발표한 정보에 따르면 궤적이 화성-15형보다는 화성-17형과 더 일치한다"며 화성-17형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urying the Lead: North Korea Conceals That “Spy Satellite” Tests Are First Launches of New Large ICBM
https://www.38north.[...]
2022-03-16
[2]
웹사이트
North Korea’s March 24 ICBM Launch: What if It Was the Hwasong-17?
https://www.38north.[...]
2022-04-07
[3]
웹사이트
North Korea Unveils Two New Strategic Missiles in October 10 Parade {{!}} 38 North: Informed Analysis of North Korea
https://www.38north.[...]
2020-10-11
[4]
웹사이트
Does Size Matter? North Korea’s Newest ICBM
https://www.38north.[...]
2020-10-21
[5]
웹사이트
24 March 2022 DPRK ICBM Test
https://opennuclear.[...]
2022-03-25
[6]
뉴스
North Korea unveils 'monster' new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at parade
https://www.reuters.[...]
2020-10-12
[7]
뉴스
North Korea: What missiles does it have?
https://www.bbc.com/[...]
2022-10-07
[8]
뉴스
Factbox: North Korea's new Hwasong-17 'monster missile'
https://www.reuters.[...]
2022-11-25
[9]
웹사이트
North Korea's Military Parade: Hwasong-16 Has Arrived?
https://www.19fortyf[...]
2020-10-12
[10]
웹사이트
North Korea displays unseen ICBMs in military parade
https://www.army-tec[...]
2020-10-12
[11]
웹사이트
North Korea Parades New Missile
https://www.armscont[...]
2020-11-01
[12]
웹사이트
NORTH KOREA’S TWO NEW STRATEGIC MISSILES: WHAT DO WE KNOW AND WHAT DO THEY MEAN FOR US DETERRENCE?
https://mwi.usma.edu[...]
2020-10-15
[13]
뉴스
North Korea test-fires ICBM with range to strike entire US
https://abcnews.go.c[...]
2022-11-25
[14]
뉴스
What do we know about North Korea's 'monster missile'?
https://www.dw.com/e[...]
2022-11-25
[15]
뉴스
Experts: North Korea Testing 'Monster' ICBM Designed to Attack US
https://www.voanews.[...]
2022-11-25
[16]
웹사이트
North Korea Threw a Nuke Parade to Flaunt These Frightening New Weapons
https://www.popularm[...]
2020-10-12
[17]
뉴스
Russia is Top Military Threat to U.S. Homeland, Air Force General Says
https://news.usni.or[...]
2021-12-12
[18]
웹사이트
KCNA {{!}} Article {{!}} Striking Demonstration of Great Military Muscle of Juche Korea
http://kcna.kp/en/ar[...]
2022-03-25
[19]
웹사이트
Reentry of North Korea’s Hwasong-15 Missile
https://allthingsnuc[...]
2017-12-07
[20]
웹사이트
First Flight of North Korea’s “Chollima-1” SLV Fails, but More Launches and More New SLVs Are Likely
https://www.38north.[...]
2023-06-07
[21]
웹사이트
Brief on the Defence Development Exhibi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oneearthfutu[...]
2021-10-20
[22]
웹사이트
North Korea Has Tested New ICBM System, Pentagon Reveals
https://www.airforce[...]
2022-03-11
[23]
웹사이트
Tweet
https://twitter.com/[...]
2022-03-25
[24]
웹사이트
Revisiting the Hwasong-17/15 Controversy: What if North Korea Had Launched a Hwasong-15?
https://www.38north.[...]
2022-04-27
[25]
웹사이트
North Korea confirms missile testing and says Kim Jong-un oversaw launch
https://www.theguard[...]
2022-03-25
[26]
웹사이트
Analysis of HS-17 ICBM launches
https://www.b14643.d[...]
2022-03-25
[27]
웹사이트
Imagery casts doubt over North Korea's Hwasong-17 ICBM claims
https://www.nknews.o[...]
2022-03-25
[28]
웹사이트
North Korea displays enough ICBMs to overwhelm U.S. defense system against them
https://www.politico[...]
2023-02-08
[29]
웹사이트
North Korea’s Feb. 8 Parade Highlights ICBMs and Tactical Nukes
https://www.38north.[...]
2023-02-15
[30]
웹사이트
North Korea test-launched new 'Hwasong-17' ICBM for first time, state media says
https://www.nknews.o[...]
2022-03-25
[31]
웹사이트
Hwasong-17 test fired on November 18th
http://rodong.rep.kp[...]
Workers Party Of Korea
2022-11-22
[32]
뉴스
North Korea confirms fired ICBM, says it was Hwasong-17
https://www.aljazeer[...]
2023-04-05
[33]
웹사이트
Joseph Dempsey on Twitter: "North Korea conducted another lofted trajectory ICBM launch. ▶️1000km 🔼6000km 🕖07:09-08:19 Local (Thu)/22:09-23:09 GMT (Wed)" / Twitter
https://twitter.com/[...]
2023-03-19
[34]
웹사이트
Burying the Lead: North Korea Conceals That “Spy Satellite” Tests Are First Launches of New Large ICBM
https://www.38north.[...]
2022-03-16
[35]
웹사이트
North Korea’s March 24 ICBM Launch: What if It Was the Hwasong-17?
https://www.38north.[...]
2022-04-07
[36]
웹사이트
North Korea Unveils Two New Strategic Missiles in October 10 Parade {{!}} 38 North: Informed Analysis of North Korea
https://www.38north.[...]
2020-10-10
[37]
간행물
Does Size Matter? North Korea’s Newest ICBM
https://www.38north.[...]
38ノース
2020-10-21
[38]
간행물
24 March 2022 DPRK ICBM Test
https://opennuclear.[...]
Open Nuclear Network
2022-03-25
[39]
뉴스
North Korea: What missiles does it have?
https://www.bbc.com/[...]
2022-10-06
[40]
뉴스
Factbox: North Korea's new Hwasong-17 'monster missile'
https://www.reuters.[...]
2022-11-19
[41]
웹사이트
軍事パレードに新型ミサイルや「火星17」10基 北朝鮮紙
https://news.tv-asah[...]
テレビ朝日ニュース
2023-02-09
[42]
웹사이트
北朝鮮「新型ICBM 火星17型の発射訓練を16日に行った」発表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23-03-17
[43]
웹사이트
北朝鮮軍事パレードに「火星18」…金正恩氏が中露の要人と観閲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3-07-28
[44]
뉴스
한미, 北 열병식서 신형ICBM 공개 추정…정밀 분석 중
매일경제
2020-10-10
[45]
뉴스
北 매체 “신형 위성로켓 엔진시험 대성공”…장거리 미사일 도발 나서나
서울신문
2016-09-20
[46]
뉴스
北, 열병식서 신형 ICBM 공개…사거리·탄두 중량 대폭 확장
동아일보
2020-10-10
[47]
뉴스
파괴력 강화된 세계 최대 ICBM… 워싱턴·뉴욕 동시타격 가능
서울신문
2020-10-12
[48]
뉴스
北 신형 ICBM에 핵탄두 최대 4개 장착
파이낸셜뉴스
2020-10-13
[49]
뉴스
중국? 러시아? …북한 신형 ICBM·SLBM 어디 것 베꼈나
뉴데일리
2020-10-11
[50]
뉴스
규모·성능 향상된 北 ICBM, 美 워싱턴DC·뉴욕 동시타격 가능
서울경제
2020-10-12
[51]
뉴스
"[심층분석] 다탄두 ICBM의 핵심기술 'MIRV', 북한 정말 보유했나"
뉴스핌
2020-10-15
[52]
뉴스
또 불거진 ‘北·이란 커넥션’…“양국 미사일 프로젝트 협력 재개”
헤럴드경제
2020-09-21
[53]
뉴스
美 전문가 "북한·이란 군사협력 전방위 확대…ICBM·핵 커넥션 고도화"
뉴스핌
2020-09-22
[54]
뉴스
“북, 이란과 무기∙금융 분야 협력”
뉴스타운
2020-11-05
[55]
뉴스
러, MD 뚫는 신형 핵미사일 실험…프랑스 크기 초토화
뉴스1
2016-05-11
[56]
뉴스
화성-15보다 핵탄두 3배 탑재… 신형ICBM 시험발사 강행 가능성
동아일보
2020-10-12
[57]
뉴스
핵협상 3년… 北, 괴물 ICBM 만들었다
동아일보
2020-10-12
[58]
뉴스
"'화성-17형' 발사 조작 논란..군 화성-15형 개량에 무게"
https://news.v.daum.[...]
[59]
뉴스
북 "화성-17형 쐈다"는데 군 "화성-15형으로 본다" 논란
중앙일보
2022-03-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핵탄두 기념품·무료 제트스키…278만원 ‘북한 원산 여행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