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환경 기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환경 기준은 인간 중심주의와 생태 중심주의의 상반된 이념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으며,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 보전을 목표로 설정된다. 초기에는 인간의 건강에 초점을 맞췄지만,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환경 보호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고, 현재는 인간의 환경에 대한 의무와 다른 인간에 대한 의무를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환경 기준은 특정 위험을 평가하고 사회적 균형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법률로 규정되어 위반 시 처벌을 받기도 한다. 대한민국은 환경부 주도로 다양한 환경 매체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하며, 국제기구와 유럽연합 등에서도 환경 기준 설정 및 이행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비정부기구(NGO)는 환경 문제에 대한 여론을 형성하고 정부 및 기업의 환경 정책에 영향을 미치며, 기업은 환경 기준 준수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경 - 환경주의
    환경주의는 자연 자원 보호를 위해 정치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운동이며,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를 목표로 한다.
  • 환경 - 환경과학
    환경과학은 대기과학, 생태학, 환경화학, 지구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하여 지구 환경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연구하는 학제간 학문으로, 20세기 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환경 재난을 계기로 발전하여 기후변화 모델링, 청정에너지 개발 등의 과학적 접근을 통해 문제 해결을 심화하고 파리협정과 같은 국제적 협약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을 본격화하고 있다.
환경 기준
환경 기준
주요 내용
정의사업체가 준수해야 하는 환경 모범 규범
목적환경 보호 및 지속 가능한 개발 촉진
적용 대상사업체, 산업 현장,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활동
포함 요소오염 방지 및 관리
자원 효율성 및 에너지 절약
생물 다양성 보존
폐기물 관리
화학물질 안전 관리
관리 기관국가 환경 기관
지방 자치 단체
국제 환경 기구
시행 방법법률 및 규정 제정
허가 및 면허 제도 운영
환경 영향 평가 실시
모니터링 및 감사
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
유형국가 환경 기준
국제 환경 기준
산업별 환경 기준
기대 효과환경 오염 감소
생태계 보호
자원 고갈 방지
공중 보건 향상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
국제 환경 기준
예시ISO 14000
EMAS
교토 의정서
파리 협정
특징국가 간 협력 및 조율 필요
전 지구적 환경 문제 해결 목표
다양한 이해 관계자 참여
국가 환경 기준
예시환경 정책 기본법 (대한민국)
특징각국의 고유한 환경 여건 반영
법적 강제력 확보
국가 환경 정책의 근간
산업별 환경 기준
예시대기 오염 배출 기준
수질 오염 배출 기준
소음 발생 기준
폐기물 처리 기준
특징특정 산업의 특성을 고려
기술 발전 및 변화 반영
산업 현장 오염 예방 목표
관련 법률 및 규정
대한민국환경 정책 기본법
대기환경보전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
참고 자료
서적Environmental Standards: Scientific Foundations and Rational Procedures of Radiological Risk Management
웹사이트Environment Guide

2. 환경 기준의 발전 과정

환경 기준은 인간 중심적인 관점과 생태 중심적인 관점 사이의 논쟁 속에서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인간의 건강과 복지에 초점을 맞춘 기준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다 포괄적인 환경 기준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환경 기준 개발은 생태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라는 두 가지 상반된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았다. 생태중심주의는 환경이 인간의 유용성과는 무관하게 고유한 가치를 지닌다고 보는 반면,[3] 인간중심주의는 환경이 인류의 생존에 도움이 될 때에만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상반된 시각은 기준 설정에 어려움을 초래했다.[4]

최근 수십 년 동안, 지구 온난화 위협이 심각해짐에 따라 환경주의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증가했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18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간 활동이 현재와 같은 속도로 지속될 경우 2030년에서 2052년 사이에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5~2°C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5] 이에 따라 환경 보호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과학 발전은 환경 기준 설정에 있어 기본적인 역할을 해왔다. 측정 및 기술 향상으로 과학자들은 인간이 초래한 환경 파괴가 인간의 건강과 자연 환경을 구성하는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7]

현대의 환경 기준은 인간이 환경에 대한 의무를 가지지만, 다른 인간에 대한 의무라는 측면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설정된다. 즉, 인간중심주의를 버리지 않고도 환경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로는 신중한 인간중심주의 또는 계몽된 인간중심주의라고도 불린다.[8]

환경 기준은 종종 바람직한 상태(예: 호수의 pH는 6.5~7.5 사이여야 함)를 특징짓거나 변화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시행 가능한 환경 기준의 특정 상태와 한계는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지역에 대한 처벌 및 기타 절차는 법률의 일부일 수 있다.[16][9][10]

환경기준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기준으로 정해지는 행정상의 정책 목표이다. 그 기본은 대기오염, 수질오염(지하수 포함), 토양오염, 소음에 관한 환경상의 조건으로서, 환경기본법 제16조[39]에 근거하여 정해져 있다. 환경기준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기준”으로서 개별 발생원을 대상으로 규제하는 “배출기준”과는 별개이며, “환경기준”으로 규제하지는 않는다. 한편, 허용 한도 또는 피해의 수인 한도(이 기준까지 환경 부하를 크게 해도 좋다는 한도)와 같은 소극적인 의미의 한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2. 1. 대한민국 환경 기준 발전사

대한민국의 환경 기준은 196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환경보전법 제정을 통해 본격적인 환경 기준 설정의 기틀이 마련되었으며,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오염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왔다. 1990년대 이후에는 대기, 수질, 토양 등 개별 환경 매체별로 구체적인 환경 기준이 마련되었으며, 유해화학물질, 미세먼지 등 새로운 오염원에 대한 기준도 추가되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는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미세먼지 농도 기준이 강화되고 관련 정책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주도하고,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는 등 환경 기준 강화에 적극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2. 2. 국제 환경 기준 발전 동향

UN은 193개 회원국을 가진 가장 큰 정부간 국제기구로, 유엔의 환경 정책은 국제 환경 기준에 큰 영향을 미친다. 1992년 리우 지구 정상회의에서 회원국들은 처음으로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인정했다. 이 회의와 이후 밀레니엄 선언을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한 최초의 개발 목표가 설정되었다.

이후 천연 자원 과다 사용과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극심한 기상 이변으로 인한 재앙의 위험이 증가했다. 2015년 파리 협정에서 유엔은 17개 목표를 설정했다. 지구촌 빈곤 퇴치 외에도 주요 목표는 지구 보존이다. 이러한 목표는 세계적 환경 운동의 기준을 설정하며, 물, 에너지, 해양, 생태계, 지속 가능한 생산, 소비자 행동 및 기후 보호 등의 환경 분야가 포함되었다. 각 목표에는 목표 달성에 필요한 수단에 대한 설명도 포함되어 있다.

이행 및 후속 조치는 구속력이 없는 자발적 국가 검토를 통해 관리되며, 주요 관리 방식은 '지표'라고 불리는 통계적 값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표는 목표 달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48][49][50][51][52][53]

3. 환경 기준 설정 기관 및 법적 근거

환경 기준은 다양한 기관에 의해 설정되며, 각 기관은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기준 설정 권한을 갖는다. 역사적으로 환경 기준은 생태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라는 두 가지 상반된 이념의 영향을 받았다. 생태중심주의는 환경의 고유한 가치를 강조하는 반면, 인간중심주의는 인류에게 유용할 때만 환경의 가치를 인정한다.[3][4] 이러한 대립적인 관점은 기준 설정에 어려움을 야기했지만, 최근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환경 보호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5][6]

현대의 환경 기준은 인간이 환경에 대한 의무를 가지면서도, 다른 인간에 대한 의무라는 측면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설정된다. 신중한 인간중심주의 또는 계몽된 인간중심주의라고도 불리는 이 관점은 인간중심주의를 버리지 않고도 환경의 가치를 인정한다.[8]

미국에서는 표준 개발이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민간 기관이다.[20]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환경부가 환경 기준 설정의 주무 부처이며, 환경정책기본법에 따라 대기, 수질, 토양, 소음·진동 등 다양한 환경 매체에 대한 환경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한다.[39] 또한,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소음·진동관리법 등 개별 법률을 통해 특정 오염원에 대한 배출 허용 기준 등을 규정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환경정책기본법 및 개별 환경 법률에 따라 지역 특성에 맞는 환경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환경기준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기준”으로서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40][41][42]

  • 개별 발생원을 대상으로 규제하는 “배출기준”과는 별개이며, “환경기준”으로 규제하지는 않는다.
  • 한편, 허용 한도 또는 피해의 수인 한도(이 기준까지 환경 부하를 크게 해도 좋다는 한도)와 같은 소극적인 의미의 한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사회에 공해를 가져오는 것이라도, 모두에 대해 환경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악취 등은 환경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그 경우에도 국가의 법률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의한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모든 것을 광범위하게 운용함으로써 해결이 모색된다.

환경 기준 종류세부 항목
대기오염이산화황, 일산화탄소, 부유입자상물질, 광화학옥시던트, 이산화질소,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메탄, 다이옥신류, (비메탄탄화수소[43]), 미세입자상물질
수질 (사람 건강 보호)카드뮴, 전시안, , 육가크롬, 비소, 총수은, 알킬수은, PCB,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틸렌,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3-디클로로프로펜, 티우람, 시마진, 티오벤카브, 벤젠, 셀레늄, 질산성질소 및 아질산성질소, 불소, 붕소, 1,4-다이옥산, 다이옥신류
수질 (하천, 생활환경 보전)수소이온농도 (pH), 생화학적산소요구량 (BOD), 부유물질량 (SS), 용존산소량 (DO), 대장균군수, 전아연
수질 (호소, 생활환경 보전)수소이온농도 (pH),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부유물질량 (SS), 용존산소량 (DO), 대장균군수, 전아연, 전질소, 전
수질 (해역, 생활환경 보전)수소이온농도 (pH),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용존산소량 (DO), 대장균군수, 전아연, 전질소, 전인, n-헥산추출물질(유분 등)
지하수의 수질오염카드뮴, 전시안, 납, 육가크롬, 비소, 총수은, 알킬수은, PCB,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염화비닐모노머,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3-디클로로프로펜, 티우람, 시마진, 티오벤카브, 벤젠, 셀레늄, 질산성질소 및 아질산성질소, 불소, 붕소, 1,4-다이옥산
토양의 오염카드뮴, 전시안, 유기인, , 육가크롬, 비소, 총수은, 알킬수은, PCB,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틸렌,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3-디클로로프로펜, 티우람, 시마진, 티오벤카브, 벤젠, 셀레늄, 불소, 붕소, 다이옥신류, 구리(농용지에 한함)
소음일반소음, 도로교통소음, 항공기소음, 신칸센철도소음
다이옥신류대기, 수질, 수저의 저질(저질의 환경기준), 토양


3. 2. 국제기구

193개 회원국을 보유한 UN은 가장 큰 정부간 국제기구이다. 유엔의 환경 정책은 국제 환경 기준 설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1992년 리우에서 열린 지구 정상회의에서 회원국들은 처음으로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인정했다. 이 회의와 그 이후의 밀레니엄 선언을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한 최초의 개발 목표가 설정되었다.

그 이후로 천연 자원의 과다 사용과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극심한 기상 이변으로 인한 재앙의 위험이 증가했다. 2015년 파리 협정에서 유엔은 17개 목표를 설정했다. 지구촌 빈곤 퇴치 외에도 주요 목표는 지구 보존이다. 이러한 목표는 세계적 환경 운동의 기준을 설정한다. 물, 에너지, 해양, 생태계, 지속 가능한 생산, 소비자 행동 및 기후 보호 등의 환경 분야가 목표에 포함되었다. 이 목표에는 목표 달성에 필요한 수단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이행 및 후속 조치는 구속력이 없는 자발적 국가 검토를 통해 관리된다. 주요 관리 방식은 '지표'라고 불리는 통계적 값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표는 목표 달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48][49][50][51][52][53]

국제표준화기구(ISO)는 다수의 자발적 표준을 개발한다. 163개 회원국을 보유한 국제표준화기구는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ISO가 설정한 표준은 종종 여러 국가에서 국가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약 36만 개의 기업과 기관이 조직의 환경 성과와 법적 측면을 개선하고 환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환경경영 표준인 ISO 14001 인증을 받았다. 대부분의 국가 및 국제 환경경영 표준에는 ISO 14000 시리즈가 포함된다.[62][63][64]

4. 주요 환경 기준

환경기준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기준으로 정해지는 행정상의 정책 목표이다. 환경기본법 제16조[39]에 근거하여 대기오염, 수질오염(지하수 포함), 토양오염, 소음 등에 관한 환경상의 조건이 정해져 있다. 다이옥신류 대책 특별조치법에 따라 다이옥신류의 환경 중 농도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환경기준은 환경기본법에 근거한다.

환경기준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기준”으로서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 개별 발생원을 대상으로 규제하는 “배출기준”과는 별개이며, “환경기준”으로 규제하지 않는다.
  • 허용 한도 또는 피해의 수인 한도(이 기준까지 환경 부하를 크게 해도 좋다는 한도)와 같은 소극적인 의미의 한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사회에 공해를 가져오는 모든 것에 대해 환경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악취 등은 환경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국가의 법률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의한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모든 것을 광범위하게 운용함으로써 해결이 모색된다.[40][41][42]

4. 1. 대기 환경 기준

대한민국의 「환경정책기본법」 및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설정되는 대기 환경 기준은 국민 건강과 환경 보호를 위해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규제한다. 주요 규제 대상 물질은 다음과 같다.[43]

오염물질설명
미세먼지(PM10, PM2.5)입자 크기가 매우 작아 폐 깊숙이 침투하여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특히 PM2.5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
이산화황(SO2)주로 화석연료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며, 산성비의 원인 물질 중 하나이다.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산화질소(NO2)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오존 생성에 관여하고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일산화탄소(CO)연료의 불완전 연소 시 발생하며,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저하시켜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오존(O3)대기 중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과 질소산화물이 햇빛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이다. 눈과 호흡기에 자극을 주고, 식물 생장에 피해를 준다.
벤젠산업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로, 백혈병 등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다이옥신주로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물질로, 잔류성이 강하고 인체에 축적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미세먼지는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정부는 미세먼지 농도 기준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비상 저감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4. 2. 수질 환경 기준

수질의 사람 건강 보호에 관한 환경 기준[44]에는 카드뮴, 전시안, , 육가크롬, 비소, 총수은, 알킬수은, PCB,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틸렌,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3-디클로로프로펜, 티우람, 시마진, 티오벤카브, 벤젠, 셀레늄, 질산성질소 및 아질산성질소, 불소, 붕소, 1,4-다이옥산, 다이옥신류가 있다.

하천의 생활환경 보전에 관한 환경 기준에는 수소이온농도 (pH), 생화학적산소요구량 (BOD), 부유물질량 (SS), 용존산소량 (DO), 대장균군수, 전아연이 있다.

호소의 생활환경 보전에 관한 환경 기준에는 수소이온농도 (pH),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부유물질량 (SS), 용존산소량 (DO), 대장균군수, 전아연, 전질소, 전이 있다.

해역의 생활환경 보전에 관한 환경 기준에는 수소이온농도 (pH),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용존산소량 (DO), 대장균군수, 전아연, 전질소, 전, n-헥산추출물질(유분 등)이 있다.

지하수의 수질오염에 관한 환경 기준에는 카드뮴, 전시안, 납, 육가크롬, 비소, 총수은, 알킬수은, PCB,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염화비닐모노머,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3-디클로로프로펜, 티우람, 시마진, 티오벤카브, 벤젠, 셀레늄, 질산성질소 및 아질산성질소, 불소, 붕소, 1,4-다이옥산이 있다.

4. 3. 토양 환경 기준

환경정책기본법 및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토양 오염에 관한 환경기준은 다음과 같다.[39]

오염 물질
카드뮴, 전시안, 유기인, , 육가크롬, 비소, 총수은, 알킬수은, PCB,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틸렌,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3-디클로로프로펜, 티우람, 시마진, 티오벤카브, 벤젠, 셀레늄, 불소, 붕소, 다이옥신류, 구리(농용지에 한함)


4. 4. 소음·진동 환경 기준

환경 기준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기준으로 정해지는 행정상의 정책 목표이다. 그 기본은 대기오염, 수질오염(지하수 포함), 토양오염, 소음에 관한 환경상의 조건으로서, 환경정책기본법 제16조[39]에 근거하여 정해져 있다.

5. 비정부기구(NGO)의 역할

그린피스는 생물 다양성과 환경 문제를 다루는 유명한 비정부기구(NGO)이다. 이들의 활동은 전 세계 환경 문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린피스는 특정 환경 문제를 기록하는 활동을 통해 대중의 관심을 환기하고 정부나 기업들이 환경 기준을 적용하고 설정하도록 촉구한다. 이들의 주요 관심 분야는 산림, 해양, 기후 변화, 그리고 유독 화학 물질이다.[65] 예를 들어, 섬유 부문과 함께 유독 화학 물질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여 2020년까지 섬유 생산에서 모든 유독 화학 물질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하는 '컨셉트 2020'을 만들었다.[32][33]

세계자연기금(WWF)은 1961년에 설립된 국제 비정부기구로, 자연 보존과 인간의 환경 영향 감소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34] 이들은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면서 농업에서 최대의 수확량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목표로 하는 정책 변화와 인센티브를 교육하고, 보호하며, 도달하려고 노력한다.[66]

6. 경제와 환경 기준

환경 기준은 기업의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기업은 환경 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환경 기준 준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67][68][69][70][71]

환경 기준은 자발적 자기 규율에 기반하기도 하는데, 이는 기업이 정부 규제 요건 수준을 초과하는 사업을 위해 기준을 실행함을 의미한다.[67] 환경 기준 설정 과정에서 정부, 고객, 산업 참여자 등의 이해관계자가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67] 기업은 운영 환경 정책과 광고 및 대중 커뮤니케이션에서 전달되는 메시지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환경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67]

기업들은 종종 환경 기준을 외부에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만 활용하고, 실제로는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67] 많은 기업에서 환경 정책 담당 부서는 예산과 인력이 부족하여 실질적인 환경 개선 노력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67] 또한, 기업의 이익과 환경 보호라는 목표가 충돌하는 경우도 발생한다.[67]

하지만 기업 스스로 설정한 환경 기준에 대해서는 많은 긍정적인 비용편익 분석이 존재한다. 기업들은 종종 공개적인 위기 이후에 환경 표준을 설정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때로는 공개적인 위기를 피하기 위해 기업들이 이미 환경 표준을 설정하기도 했다.[35][36][37][38]

7. 과제 및 전망

환경기준은 국민의 건강과 쾌적한 생활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지만, 미세먼지, 유해화학물질 등 새로운 환경 문제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환경 기준의 실효성을 높이는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국제적인 환경 협약 및 기준과의 조화를 통해 글로벌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환경 기준 강화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발전과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환경 기준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기후 변화 대응, 미세먼지 문제 해결, 4대강 복원 등 주요 환경 현안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기대된다.

참조

[1] 서적 Environmental Standards: Scientific Foundations and Rational Procedures of Radiological Risk Managemen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B.V.
[2] 웹사이트 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http://www.environme[...]
[3] 논문 Human-Centered Environmental Values Versus Nature-Centric Environmental Values: Is This the Question?. https://lawdigitalco[...] 2014
[4] 웹사이트 Environmental Standard https://www.scienced[...]
[5] 웹사이트 Global Warming of 1.5 °C — https://www.ipcc.ch/[...] 2021-01-26
[6] 뉴스 Warming World https://www.foreigna[...] 2021-01-26
[7] 서적 Essentials of Medical Geology
[8] 웹사이트 Anthropocentrism {{!}} philosophy https://www.britanni[...] 2021-01-26
[9] 서적 Setting Environmental Standards: The Statistical Approach to Handling uncertainty and variation Chapman and Hall
[10] 논문 Setting environmental standards: A statistician's perspective 2006-12
[11] 논문 Die Agenda 2030 Globale Zukunftsziele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2017
[12] 웹사이트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can ISO standards help? Yes! https://committee.is[...] 2018-11-12
[13] 웹사이트 Die Umsetzung der globalen 2030-Agenda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http://www.forumue.d[...] 2018-11-12
[14] 웹사이트 Die Agenda 2030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http://www.bmz.de/de[...] 2018-11-12
[15] 웹사이트 Studie: Nur 16 Staaten erfüllen Pariser Klima-Zusagen https://www.euractiv[...] 2018-11-05
[16] 간행물 Ausarbeitung Zu Umweltstandards in Kanada, den USA und der EU
[17] 웹사이트 Vertrag über die Arbeitsweise der Europäischen Union https://dejure.org/g[...] 2018-11-13
[18] 웹사이트 Vertrag über die Europäische Union und Vertrag über die Arbeitsweise der Europäischen Union https://www.ecb.euro[...] 2018-11-13
[19] 웹사이트 Internationale und Europäische Umweltpolitik http://www.bpb.de/ge[...] 2018-11-13
[20] 웹사이트 Environmental Standards, Thresholds, and the Next Battleground of Climate Change Regulations https://policyintegr[...] 2019-12-03
[21] 웹사이트 40 CFR 50.2 - Scope. https://www.law.corn[...] 2017-11-21
[22] 웹사이트 40 CFR Part 50 - NATIONAL PRIMARY AND SECONDARY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https://www.law.corn[...] 2017-11-21
[23] 웹사이트 Reference and Equivalent Methods Used to Measure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NAAQS) Criteria Air Pollutants - Volume I https://cfpub.epa.go[...] 2017-11-21
[24] 웹사이트 Air Pollution Emissions Overview https://www3.epa.gov[...] 2021-01-24
[25] 웹사이트 NOx and SOx emissions trading in Ontario https://web.archive.[...] 2017-11-21
[26] 웹사이트 Regulations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Passenger Cars and Trucks {{!}} US EPA https://www.epa.gov/[...] 2017-11-21
[27] 뉴스 How the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CARB) Works https://auto.howstuf[...] 2017-11-21
[28] 웹사이트 Setting Emissions Standards Based on Technology Performance {{!}} US EPA https://www.epa.gov/[...] 2017-11-21
[29] 논문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and Corporate Policies: An Integrative Framework 1996-09
[30] 웹사이트 ISO 14001 - Umwelt management system norm https://www.umweltbu[...] 2018-11-12
[31] 웹사이트 Climate Action http://www.iso.org/c[...] 2019-12-03
[32] 웹사이트 Greenpeace International https://www.learning[...] 2018-11-14
[33] 웹사이트 Biodiversity https://www.learning[...] 2018-11-14
[34] 웹사이트 History {{!}} WWF https://www.worldwil[...] 2019-01-22
[35] 논문 Multinational Compani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Determinants of global environmental policy standardisation 2004
[36] 논문 Global environmental standards with heterogeneous polluters 2016
[37] 논문 Realität oder Schein Eine qualitative Untersuchung zur Entkopplungsthese bei der Umsetzung von Umwelt- und Sozialstandards in Unternehmen https://www.nomos-el[...] 2014
[38] 논문 Tightening Environmental Standards: The Benefit-Cost or the No-Cost Paradigm? 1995-09-01 # 추정 날짜. Fall 1995를 9월 1일로 변환
[39] 간행물
[40] 웹사이트 각 지역의 악취에 관한 환경기준이나 규제기준을 알고 싶다.|도쿠시마현청 콜센터 스다치군콜 https://www.pref.tok[...]
[41] 웹사이트 악취방지법 개요 | 대기환경·자동차대책 | 환경성 https://www.env.go.j[...]
[42] 웹사이트 악취의 규제에 대해 - 사이타마현 https://www.pref.sai[...]
[43] 간행물
[44] 웹사이트 수질오염에 관한 환경기준의 취급에 대해 http://www.env.go.jp[...]
[45] 서적 Environmental Standards: Scientific Foundations and Rational Procedures of Radiological Risk Managemen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B.V. 1998
[46] 서적 Setting Environmental Standards: The Statistical Approach to Handling uncertainty and variation Chapman and Hall 1997
[47] 서적 Setting environmental standards: A statistician’s perspective, Environmental Geosciences v. 13 2006-12-01 # 추정 날짜. December 2006를 12월 1일로 변환
[48] 서적 Die Agenda 2030 Globale Zukunftsziele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2017
[49] 웹사이트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ttps://committee.is[...]
[50] 웹사이트 GPFEurope agenda2030 https://www.globalpo[...]
[51] 웹사이트 agenda2030 http://www.forumue.d[...]
[52] 웹사이트 agenda2030 http://www.bmz.de/de[...]
[53] 웹사이트 . https://www.euractiv[...]
[54] 서적 Ausarbeitung Zu Umweltstandards in Kanada, den USA und der EU 2016
[55] 웹사이트 Vertrag über die Arbeitsweise der Europäischen Union https://dejure.org/g[...]
[56] 웹사이트 Vertrag über die Europäische Union und Vertrag über die Arbeitsweise der Europäischen Union https://www.ecb.euro[...]
[57] 웹사이트 Internationale und Europäische Umweltpolitik http://www.bpb.de/ge[...]
[58] 웹사이트 &Development, Office of Research. https://cfpub.epa.go[...]
[59] 웹사이트 Wayback Machine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How the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CARB) Works https://auto.howstuf[...]
[61] 웹사이트 Setting Emissions Standards Based on Technology Performance https://www.epa.gov/[...]
[62] 서적 Ausarbeitung Zu Umweltstandards in Kanada, den USA und der EU 2016
[63] 서적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and Corporate Policies: An Integrative Framework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39, NO. I 1996
[64] 웹사이트 ISO 14001 https://www.umweltbu[...]
[65] 웹사이트 biodiversity https://www.learning[...]
[66] 웹사이트 Umweltstandards http://www.relaio.de[...]
[67] 서적 Multinational Compani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Determinants of global environmental policy standard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4, Vol. 47, No. 5
[68] 서적 Global environmental standards with heterogeneous polluters International Review of Economics and Finance 43 2016
[69] 서적 Realität oder Schein Eine qualitative Untersuchung zur Entkopplungsthese bei der Umsetzung von Umwelt- und Sozialstandards in Unternehmen zfwu 15/1 2014
[70] 서적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and Corporate Policies: An Integrative Framework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39, NO. I 1996
[71] 서적 Tightening Environmental Standards: The Benefit-Cost or the No-Cost Paradigm?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 Volume 9, Number 4 199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