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간중심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을 세상의 중심이자 다른 모든 존재보다 우월한 존재로 여기는 철학적 관점이다. 이는 환경 윤리, 종교, 인권, 동물 권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쟁의 중심이 된다. 환경 철학에서는 인간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인간중심주의가 생태계 파괴를 정당화한다는 비판이 있으며, 반대로 인간의 웰빙을 위해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옹호도 존재한다. 종교에서는 인간에게 부여된 '다스림'의 의미를 놓고 해석의 차이가 있으며, 인권 사상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동물 권리 측면에서는 종차별주의와 연결되어 비판받기도 하며, 인지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경험을 다른 존재에게 투영하는 '인간 중심적 사고'로 정의되기도 한다. 대중문화는 이러한 인간중심주의를 반영하거나 비판하는 다양한 작품들을 제시하며, 한국 대중문화에서도 환경 문제, 동물권 등을 다룬 작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경철학 - 생태철학
    생태철학은 펠릭스 가타리와 아르네 네스의 사상으로 대표되며 사회, 정신, 환경의 상호 연결성을 강조하여 생태적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고, 녹색당의 핵심 가치인 생태적 지혜와 연결되어 환경 문제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제공한다.
  • 환경철학 - 움벨트
    움벨트는 유기체가 인식하고 경험하는 주관적인 세계로, 각 유기체의 고유한 모델을 나타내는 기능적 구성 요소와 기호론적 의미를 지니며, 유기체는 세상과 상호작용하며 자신만의 움벨트를 생성하고 재구성한다.
  • 예외주의 - 존더베크
    존더베크 이론은 독일 근대화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늦은 산업화, 반민주적 엘리트, 바이마르 공화국 불안정, 나치즘 등장 등의 특수성을 보이며 전개되었다는 이론으로, 초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나치즘 이후 부정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현재는 독일 역사 복잡성을 단순화한다는 비판과 유럽 근대화 과정에서 독일 경험의 특수성에 대한 반박이 제기되고 있다.
  • 예외주의 - 한류 (문화)
    한류는 1990년대 후반 한국 대중문화의 해외 확산을 의미하며, 한국 드라마, 음악, 영화, 패션 등을 포함하고, 경제적 영향과 함께 문화 제국주의 비판 등의 문제점도 지적된다.
  • 인본주의 - 휴머니즘에 대해서
    휴머니즘은 하이데거가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를 비판하며 존재론적 관점에서 자유 개념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제시한 철학적 입장이다.
  • 인본주의 - 수상록
    미셸 드 몽테뉴가 1570년부터 집필한 《수상록》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 식민 정책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자유로운 형식으로 서술하며 몽테뉴 자신의 내면 탐구와 인간 본성에 대한 성찰, 철학적 회의주의, 르네상스 시대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은 에세이 모음집이다.
인간중심주의
개요
이름인간 중심주의
어원그리스어 ἄνθρωπος (ánthrōpos, 인간) + κέντρον (kéntron, 중심)
정의인간을 세상의 중심으로 간주하는 철학적 관점
관련 개념종 차별주의
환경 윤리
심층 생태론
유형
강한 인간 중심주의인간의 이익을 모든 것보다 우선시하는 관점
약한 인간 중심주의인간의 장기적인 이익을 위해 환경 보호를 고려하는 관점
인식론적 인간 중심주의인간의 관점에서만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는 관점
특징
도구적 가치자연을 인간의 목적 달성을 위한 도구로 간주
인간 중심적 윤리인간의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윤리 체계
비판
환경 문제 심화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의 원인으로 지목
생태계 불균형 초래인간 외 다른 생명체의 가치 경시
대안
생태 중심주의모든 생명체의 가치를 동등하게 존중하는 관점
심층 생태론인간 중심주의적 사고방식의 근본적인 변화 추구

2. 환경 철학과 인간 중심주의

환경 철학에서는 인간중심주의가 환경 파괴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어 왔다. 인간 중심주의는 자연을 인간의 이익을 위한 도구로 간주하며, 이는 무분별한 개발과 자원 남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51][52]

일부 환경론자들은 인간 중심주의를 비인간 세계에 대한 전통적인 서구적 태도에서 비롯된 체계적 편견으로 보기도 한다.[2] 발 플럼우드는 인간 중심주의가 녹색 이론에서 남성 중심주의가 페미니즘 이론에서, 자민족 중심주의가 반인종주의 이론에서 하는 역할과 유사하다고 주장하며, 이를 "인간중심주의"라고 칭했다.[53][54][9][10]

존 패스모어의 ''자연에 대한 인간의 책임''은 심층 생태학 옹호자들에게 비판받기도 했다.[55][56][12] 많은 환경 운동가들은 인간을 위해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다소 인간 중심적인 철학적 관점을 지지하기도 한다.[15]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심층 생태학 및 생명 중심주의와 구별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제기된다.[60][61]

원래 환경 윤리학에서 인간 중심주의 논의는, 인간의 경제적 이익 확보를 위해 자연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자연 보호 원칙과, 자연을 미적 감상의 대상으로서도 보존하려 한 관점의 대립이었다. 전자의 '''보전(conservation)'''이 정책적으로 지지받고 있지만, 후자의 보호 입장에서 딥 에콜로지나 가이아 이론 등의 논의가 생겨나 비인간 중심주의의 길이 모색되기도 했다.

현재에는 심각한 환경 문제 속에서, '환경 실용주의' 주장 노선상의 일종의 확대된 인간주의로 수렴되어 가고 있다.

2. 1. 환경 윤리 논쟁

환경 윤리 논쟁은 인간 중심주의와 생태 중심주의의 대립 구도로 전개되어 왔다. 생태 중심주의는 모든 생명체가 고유한 가치를 지니며,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다른 생명체와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존 패스모어와 같은 철학자는 서구 전통 사상에 내재된 인간 중심주의를 비판하며,[56] 심층 생태학 옹호자들은 인간 중심주의를 극복하고 생태 중심적 가치관을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2]

일부 환경론자들은 인간중심주의가 비인간 세계에 대한 전통적인 서구적 태도에서 체계적 편견의 관심을 끌기 위해 사용되는 환경 철학에서 중심적인 문제 개념이라고 믿고 있다.[52] 발 플럼우드는 인간 중심주의가 녹색 이론에서 남성 중심주의가 여성주의 이론에서, 자민족 중심주의가 반인종주의 이론에서 하는 역할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9][10]

생태 위기에 대한 인간 중심주의 옹호자들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 유지가 환경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인간의 복지를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윌리엄 그레이에 따르면, "피상적인" 관점의 문제는 그것이 인간 중심적이라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행복에 대해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웰빙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13]

3. 종교와 인간 중심주의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는 인간을 다른 피조물보다 우월한 존재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창세기의 "땅을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구절은 인간 중심주의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해석되기도 한다.[40][41][42]

1985년 CBC 텔레비전 시리즈 "빼앗길 지구"에서 데이비드 스즈키는 구약성서적 기원을 탐구하고 그것이 인간이 인간이 아닌 동물에 대한 관점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조사했다. 일부 기독교의 인간중심주의 옹호자들은 창세기 1:26절과 같은 성경 구절에 근거하여 자신의 신념을 둔다.

''창세기''에서 "다스림"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히브리어에서 잘못 번역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19]

마이모니데스는 12세기에 살았던 토라 학자로,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확고한 반대로 유명했다. 그는 인간을 "통 속의 한 방울"이라고 칭하며 "인간은 세상의 축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노먼 램에 따르면, 마이모니데스는 "인간의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생각을 반박하고 이러한 환상을 버리도록 촉구했다."[21]

3. 1. 종교적 관점의 재해석

최근에는 종교계 내부에서도 창세기의 구절을 인간의 지배가 아닌 책임과 돌봄의 의미로 재해석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5년 회칙 '찬미받으소서(Laudato si')'에서 "인간에 대한 어떤 우위도 부정하는 것에 대한 집착"은 모든 사람의 복지를 보호하고 유지하는 데 위협이 된다고 언급하며, 인간 중심주의를 비판하고, 모든 생명체와의 연대와 책임을 강조했다.[22] 또한, 그는 기독교 신앙에 대한 "잘못된 이해"가 "때때로 우리가 자연을 학대하고 창조에 대해 횡포를 부리도록 정당화했다"고 인정하며, 기독교 신자들이 "우리가 보호하고 보존해야 하는 지혜의 보물에 충실하지 못했다"고 말했다.[22]

2023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후속 사도적 권고(exhortation)인 ''하느님을 찬양하여라(Laudate Deum)''에서 "모든 하느님의 창조물의 놀라운 조화 속에서 인간의 독특하고 중심적인 가치"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를 "상황적 인간중심주의"라고 언급했다.[23]

4. 인권과 인간 중심주의

인간 중심주의는 인권 사상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인간은 이성과 자유 의지를 가진 존재로서 존엄하며, 따라서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주장은 인간 중심주의에 근거한다.

인간중심주의는 천부인권적인 인권 사상의 기초가 된다. 이는 인권이 왜 사람에게 주어지는지를 "인간이기 때문에 인권을 가진다"라고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철학자 모티머 J. 애들러는 모든 인간은 인간이기 때문에 평등하며, 동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기반으로 어떠한 부당한 차별도 지지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또한 이 철학이 붕괴되면 도덕이 사라지고 전제정치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43]

디스커버리 연구소의 작가이자 인간중심주의 옹호자인 웨슬리 J. 스미스는 인간 예외주의가 인간 상호 간, 자연 세계, 그리고 동물을 인도적으로 대하는 의무를 낳는다고 주장했다.[25]

4. 1. 인간 예외주의 논쟁

인간 예외주의는 인간만이 도덕적 지위를 가진다는 주장을 내포하며, 이는 동물권 및 환경 윤리 등 다른 분야와의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연구소의 작가이자 인간중심주의 옹호자인 웨슬리 J. 스미스는 인간 예외주의가 인간 상호 간의 의무, 자연 세계에 대한 의무, 그리고 동물을 인도적으로 대하는 의무를 낳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물권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서인 ''쥐는 돼지이고, 개는 소년이다''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우리가 의심할 여지 없이 유일한 종이기 때문에—윤리적 문제를 숙고하고 책임을 질 수 있는 유일한 종—우리는 옳고 그름, 선과 악, 동물에 대한 적절하고 부적절한 행동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 더 간결하게 말하면, 인간이 되는 것이 동물을 인도적으로 대해야 할 이유가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이 그 이유가 될 수 있는가?"[25]

인간중심주의는 일부 자연주의적 개념인권에 대한 근거가 된다. 인간중심주의 옹호자들은 도덕적으로 중요한 것은 단순히 인간이라는 사실이므로, 이는 보편적 인권을 옹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본 전제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철학자 모티머 J. 애들러는 "모든 인간은 인간으로서 동등하기 때문에 공통된 인간성에 관련된 모든 측면에서 동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는 도덕적 근거로 차별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규범적 원칙을 뒷받침할 확고한 사실적 근거를 갖지 못할 것이다."라고 썼다. 애들러는 인간 예외주의를 부정하는 것은 폭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며, 만약 인간이 자신들이 독특한 도덕적 지위를 갖고 있지 않다고 믿게 된다면 자유의 지적 토대가 무너질 것이라고 썼다. "그렇다면 우월한 인간 집단이 짐승으로 부리고, 음식과 의복을 위해 도살하고, 질병을 옮기거나 위험한 포식자로 파괴하는 동물에 대한 우리의 처우를 정당화하기 위해 현재 우리가 의존하는 것과 유사한 사실적 및 도덕적 근거로 열등한 인간 집단을 노예로 만들고, 착취하거나 심지어 대량 학살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24]

4. 2. 한국 사회와 인권 담론

한국 사회는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인권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이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리 보호, 동물 복지 증진, 환경권 보장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를 보장하는 동시에, 사회적 약자와의 연대, 생명 존중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간중심주의는 자연주의적 개념인권에 대한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인간중심주의 옹호자들은 도덕적으로 중요한 것은 단순히 인간이라는 사실이며, 이는 보편적 인권을 옹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본 전제라고 주장한다.[24] 예를 들어, 철학자 모티머 J. 애들러는 "모든 인간이 인간으로서 동등하기 때문에 공통된 인간성에 관련된 모든 측면에서 동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하였다.[43] 그는 인간 예외주의를 부정하는 것은 폭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24]

디스커버리 연구소의 작가이자 인간중심주의 옹호자인 웨슬리 J. 스미스는 인간 예외주의가 인간의 의무를 낳는다고 썼다. 그는 "우리가 의심할 여지 없이 유일한 종이기 때문에—윤리적 문제를 숙고하고 책임을 질 수 있는 유일한 종—우리는 옳고 그름, 선과 악, 동물에 대한 적절하고 부적절한 행동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고 하였다.[25],[44]

5. 동물 권리와 인간 중심주의

동물권 운동은 인간 중심주의에 대한 강력한 비판 중 하나로, 인간만이 도덕적 고려 대상이라는 전제하에 동물을 이용하고 착취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인간 중심주의에 문제를 제기한다.

인간 중심주의는 종차별주의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리처드 D. 라이더는 종차별주의를 "자신의 종의 구성원의 이익을 선호하고 다른 종의 구성원에 반하는 편견 또는 편견적인 태도"라고 정의했다.[26]

동물 행동학 연구에 따르면, 영장류, 코끼리, 고래류와 같은 비인간 동물 또한 복잡한 사회 구조, 정서적 깊이 및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준다. 이는 인간이 다른 동물에게 없는 자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질이 동물에게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을 정당화한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다.[28]

5. 1. 동물 복지 논쟁

Peter Singer영어와 같은 철학자들은 종차별주의를 비판하며,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8] 리처드 D. 라이더는 종차별주의를 "자신의 종의 구성원의 이익을 선호하고 다른 종의 구성원에 반하는 편견 또는 편견적인 태도"라고 정의했다.[26]

동물 복지 옹호자들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정신적 경험을 할 수 있는 능력, 즉 지각력을 가진 모든 동물에게 도덕적 고려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행복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공리주의 윤리 이론과 관련이 있다. 피터 싱어가 이를 옹호하며,[28] 데이비드 피어스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동등하게 강한 이익은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한다.[29] 제러미 벤담은 "문제는 그들이 추론할 수 있는가? 그들이 말할 수 있는가?가 아니라, 그들이 고통받을 수 있는가?"라고 주장했다.[30] 동물 복지 옹호자들은 이론적으로는 이익이 해악보다 크다면 동물을 이용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실제로는 집약적 동물 사육이 인간이 동물을 소비함으로써 얻는 비교적 사소한 이익보다 훨씬 더 큰 고통을 야기한다고 생각한다.[28]

동물 권리 옹호자들은 모든 동물이 인간의 권리와 유사한 고유한 권리를 가지며, 인간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동물 권리 지지자들은 집약적 동물 사육, 동물 실험, 사냥과 같이 동물을 착취하는 관행을 완전히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 톰 레건과 같은 인물들은 동물이 인간이 동물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이익에 관계없이, 도덕적 고려를 받을 가치가 있는 고유한 가치를 가진 "삶의 주체"라고 주장한다.[28]

6. 인지 심리학과 인간 중심주의

인지 심리학에서 인간 중심적 사고는 "인간에 유추하여 생소한 생물 종이나 과정을 추론하는 경향"으로 정의된다.[66] 인간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을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다른 생명체에 대한 오해와 편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

유추를 통해 추론하는 것은 매력적인 사고 전략이며, 인간의 경험을 다른 생물학적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은 유혹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죽음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세포 수준이나 다른 자연에서 죽음은 유사하게 바람직하지 않다고 오해할 수 있다 (실제로 프로그래밍된 세포 죽음은 필수적인 생리적 현상이고 생태계도 죽음에 의존한다).[66] 반대로, 인간 중심적인 사고는 사람들로 하여금 다른 유기체에 대한 인간의 특성이 부족하다고 여기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곤충처럼 인간과 매우 다른 동물이 생식이나 혈액 순환과 같은 특정한 생물학적 특성을 공유하지 않는다고 잘못 추정할 수 있다.[66]

인간 중심적 사고는 주로 발달 심리학자들에 의해 어린아이들(대부분 10세까지)에게서 연구되었는데, 이는 생물학 교육과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비록 이후의 지속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알려진 것이 거의 없지만, 이러한 인간 예외적인 사고 패턴은 생물학 교육을 더 많이 받은 학생들 사이에서도 어린 성인기에까지 지속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67]

인간 중심적 사고가 선천적인 인간의 특성이라는 개념은 도시 환경에서 자란 미국 아이들에 대한 연구로 인해 의문이 제기되었는데, 그들 사이에서는 인간 중심적 사고가 3세에서 5세 사이에 습득된 관점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68] 아이들이 인간 중심적 사고에 의존하는 것은 자연계에서 인간의 위치에 대한 경험과 문화적 가정에 따라 달라지는 듯하다.[66] 시골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다른 종류의 동물과 식물에 더 친숙하기 때문에 도시 환경보다 인간 중심적 사고를 덜 사용하는 것처럼 보인다.[66]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아이들과 관련된 연구(indigenous peoples of the Americas)에서는 인간 중심적 사고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66][69] 남아메리카의 위치족 아이들에 대한 연구는 생물체들을 분류학적으로나 인식된 유사성, 생태학적 고려사항, 그리고 물활론적 전통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이는 서구 사회의 많은 어린이들이 경험하는 것보다 자연 세계에 대한 인간 중심적인 관점을 훨씬 덜 초래했다.[69]

6. 1. 인간 중심적 사고의 극복

인간 중심적 사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명체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 중심적 사고는 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생물 종이나 과정을 추론하는 경향을 의미한다.[66] 예를 들어, 죽음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지만, 세포 수준이나 생태계에서는 필수적인 현상일 수 있다.[66] 반대로, 인간과 다른 동물은 특정 생물학적 특성을 공유하지 않는다고 잘못 추정할 수도 있다.[66]

이러한 인간 중심적 사고는 주로 어린아이들에게서 연구되었지만, 생물학 교육을 받은 학생들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67] 하지만, 이러한 사고방식은 자연에 대한 경험과 문화적 가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66] 예를 들어, 시골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다양한 동물과 식물에 더 친숙하기 때문에 인간 중심적 사고를 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66] 아메리카 원주민 아이들이나 남아메리카 위치족 아이들은 인간 중심적 사고를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생물체를 분류학적, 생태학적, 물활론적 전통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인다.[66][69]

따라서 생물학 교육, 생태 체험 활동, 문화적 다양성 존중 등은 인간 중심적 사고를 극복하고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7. 대중문화와 인간 중심주의

SF에서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이 우월한 지성체라는 생각이다. 이는 우월주의와 같은 은하적 규모의 개념으로, 지각 있는 외계 생명체에 대한 차별을 수반한다. 이러한 개념은 ''매스 이펙트 시리즈''에서 활용되었는데, 인류와 외계 종족 간의 갈등을 통해 인간 중심주의적 태도를 보여준다.

마크 트웨인은 ''지구에서 온 편지''(1909년 집필, 1962년 출판)에서 인간 우월성에 대한 믿음을 조롱했다.[35]

혹성탈출 프랜차이즈는 유인원이 지배적인 종이 되고 인간이 몰락하는 상황을 통해 인간 중심주의를 비판한다. 1968년 영화와 2001년 영화에서 인간과 유인원의 대사는 서로 대조를 이루며, 유인원이 인간과 비슷해지는 모습을 통해 인간 중심주의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에서도 인간과 유사한 행동을 하는 원숭이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조지 오웰의 소설 동물농장에서도 인간 중심주의적 주제가 나타난다. 동물들은 인간으로부터 해방과 동물 평등을 추구했지만, 돼지들이 권력을 잡으면서 계명을 수정하고, 결국 "네 발은 좋고, 두 발은 더 좋다"라는 구호를 통해 인간 중심주의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012년 다큐멘터리 ''우월한 인간?''은 인간 중심주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인간이 다른 종보다 더 가치 있다고 믿는 것은 자연스러운 편견과 착취에 대한 변명 때문이라고 결론 내린다.[36][37][38]

조나단 사프란 포어는 2009년 저서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서 인간 중심주의를 "인간이 진화의 정점이며, 다른 동물의 삶을 측정하는 적절한 척도이며, 모든 살아있는 것의 정당한 소유자라는 확신"이라고 설명한다.[39]

7. 1. 한국 대중문화와 생태 담론

한국 대중문화에서도 환경 문제, 동물권, 생명 윤리 등을 다룬 작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선 새로운 가치관을 모색하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영화 '옥자'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작품으로 꼽힌다.

참조

[1] 백과사전 Anthropocentrism https://www.britanni[...] 2013
[2] 학술지 Three Types of Anthropocentrism https://www.pdcnet.o[...] 2018-10-15
[3] 웹사이트 Merriam-Webster
[4] 간행물 Systems Thinking and Universal Dialogue: The Creation of a Noosphere in Today's Era of Globalization 2013
[5] 백과사전 Environmental Ethics, See: 1. Introduction: The Challenge of Environmental Ethics http://plato.stanfor[...] 2013-08-13
[6] 백과사전 Environmental Ethics, See: 1a. Human Beings http://www.iep.utm.e[...] 2013-08-13
[7] 학술지 The Shallow and the Deep, Long-Range Ecology Movement
[8]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Ecocultural Identity https://www.taylorfr[...] Routledge
[9] 서적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Routledge
[10] 간행물 Androcentrism and Anthrocentrism: Parallels and Politics
[11] 서적 Man's Responsibility for Nature Duckworth
[12] 간행물 'Human Chauvinism and Environmental Ethics' ANU Research School of Social Sciences
[13] 학술지 Anthropocentrism and Deep Ecology http://www.uq.edu.au[...] 2006-11-12
[14] 서적 Environmental Culture: The Ecological Crisis of Reason Taylor & Francis 2013-06-12
[15] 서적 Mindsponge Theor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23
[16]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http://www.uq.edu.au[...] 2015-05-04
[17] 회의자료 Naturalness: The concept and its application to Australian ecosystems Surrey Beatty & Sons, for the Ecological Society of Australia
[18] 웹사이트 Biocentrism: Ideology Against Nature http://www.insurgent[...] 2015-05-04
[19] 학술지 Retranslating Genesis 1–2: Reconnecting Biblical Thought and Contemporary Experience https://journals.sag[...] 2019-12-12
[20] 학술지 The Bible and anthropocentrism: putting humans in their place https://www.jstor.or[...] 2014-12
[21] 서적 Studies in Jewish Thought Greenwood Publishing Group
[22] 간행물 Laudato si' https://www.vatican.[...] 2015-05-24
[23] 간행물 Laudate Deum https://www.vatican.[...] 2023-10-04
[24] 서적 The Difference of Man and the Difference It Makes Fordham University Press
[25] 서적 A Rat is a Pig is a Dog is a Boy: The Human Cost of the Animal Rights Movement https://www.amazon.c[...] Encounter Books
[26] 서적 Animal liberation Ecco Book/Harper Perennial 2009
[27] 서적 The Universal Kinship http://archive.org/d[...] Charles H. Kerr & Co.
[28] 백과사전 The Moral Status of Animal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10-14
[29] 웹사이트 The Antispeciesist Revolution https://www.hedweb.c[...] 2019-10-14
[30] 웹사이트 Further Animal Liberation https://philosophyno[...] 2024-10-01
[31] 학술지 Common Origins of Diverse Misconceptions: Cognitive Principles and the Development of Biology Thinking http://www.lifescied[...] 2012
[32] 학술지 Intuitive biological thought: Developmental changes and effects of biology education in late adolescence https://www.research[...] 2017-02
[33] 학술지 Anthropocentrism is not the first step in children's reasoning about the natural world 2010-06-01
[34] 학술지 Young Children's Developing Understanding of the Biological World 2016
[35] 뉴스 Damned Human Race: Mark Twain http://www.skeptical[...] skeptically.org 2013-09-18
[36] 웹사이트 '"The Superior Human?" Official Movie Website' http://thesuperiorhu[...] 2015-05-04
[37] 웹사이트 'Now Online! Debut of New Anti-Speciesist Film, "The Superior Human?" - Dr. Steve Best' http://drstevebest.w[...] 2015-05-04
[38] 웹사이트 'The Superior Human? Who Do We Think We Are?' http://www.psycholog[...] 2015-05-04
[39] 서적 Eating Animals Little, Brown and Company 2009
[40] 웹사이트 一般財団法人 日本聖書協会 1:創世記 / 1章 28節 http://bible.or.jp/v[...]
[41] 서적 文明の中の科学 青土社 1999
[42] 문서 桃山学院大学キリスト教論集第48号29頁 危機的環境破壊の要因と西欧キリスト教との関係性 ─キリスト教環境倫理学的変遷の宗教社会学的考察─ 松平功 https://www.andrew.a[...]
[43] 문서 'The Difference of Man and the Difference It Makes' Fordham University Press 1993
[44] 문서 'A Rat is a Pig is a Dog is a Boy: The Human Cost of the Animal Rights Movement' https://www.amazon.c[...] Encounter Books 2010
[45] 저널 Common Origins of Diverse Misconceptions: Cognitive Principles and the Development of Biology Thinking https://www.lifescie[...] 2012-09
[46] 저널 Intuitive biological thought: Developmental changes and effects of biology education in late adolescence https://www.scienced[...] 2017-02-01
[47] 저널 Young Children’s Developing Understanding of the Biological World https://www.tandfonl[...] 2016-11-16
[48] 웹사이트 Anthropocentrism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Dictionary
[49] 웹인용 'Environmental Ethics, See: 1. Introduction: The Challenge of Environmental Ethics'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3-08-13
[50] 웹인용 'Environmental Ethics, See: 1a. Human Beings' http://www.iep.utm.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3-08-13
[51] 서적 Environmental Culture: The Ecological Crisis of Reason https://books.google[...] 2013-06-12
[52] 저널 The Shallow and the Deep, Long-Range Ecology Movement
[53] 문서 Feminism and the Mastery of Nature Routledge 1993
[54] 문서 Androcentrism and Anthrocentrism: Parallels and Politics 1996
[55] 문서 Man's Responsibility for Nature Duckworth 1974
[56] 문서 'Human Chauvinism and Environmental Ethics' ANU Research School of Social Sciences 1980
[57] 저널 Anthropocentrism and Deep Ecology https://web.archive.[...] 2018-12-29
[58] 서적 Environmental Culture: The Ecological Crisis of Reason 2013-06-12
[59] 웹인용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https://web.archive.[...] 2015-05-04
[60] 간행물 Naturalness: The concept and its application to Australian ecosystems Surrey Beatty & Sons, for the Ecological Society of Australia
[61] 웹인용 insurgentdesire.org.uk http://www.insurgent[...] 2015-05-04
[62] 서적 Faith and Doubt: Studies in Traditional Jewish Thought KTAV Publishing House, Inc. 2006
[63] 서적 Studies in Jewish Thought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89
[64] 문서 'The Difference of Man and the Difference It Makes' Fordham University Press 1993
[65] 문서 'A Rat is a Pig is a Dog is a Boy: The Human Cost of the Animal Rights Movement' https://www.amazon.c[...] Encounter Books 2010
[66] 저널 Common Origins of Diverse Misconceptions: Cognitive Principles and the Development of Biology Thinking http://www.lifescied[...] 2012
[67] 저널 Intuitive biological thought: Developmental changes and effects of biology education in late adolescence https://www.research[...] 2017-02
[68] 저널 Anthropocentrism is not the first step in children's reasoning about the natural world http://www.pnas.org/[...] 2010
[69] 저널 Young Children's Developing Understanding of the Biological World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