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보인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14년 문과에 급제하여 세종, 문종, 단종 시대를 거치며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세종 때 육진 개척에 참여하고 병조판서를 지냈으며, 문종 때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단종을 보필하다가 1453년 수양대군에게 김종서와 함께 살해되었으며, 사후 신원되어 충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루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유정난 관련자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계유정난 관련자 - 정분
조선 초기의 문신 정분은 토목과 건축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세종 시대 국정 운영 참여, 숭례문 신축 감독 등 토목 분야에서 활약했으나 계유정난에 휘말려 처형된 후 김일손의 사초로 재평가받았다. - 1387년 출생 - 오이라다이 칸
오이라다이 칸은 15세기 초 오이라트의 지지로 몽골 대칸에 올랐으나, 실질적인 영향력은 서몽골에 한정되었으며, 토곤 타이시의 도움으로 영토 확장을 시도했지만 아룩타이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사후 서몽골은 혼란에 빠졌다. - 1387년 출생 - 수리아 (나바라)
수리아는 나바라 왕국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로, 나바라 여왕(1234-1238)으로서 통치했으며 시칠리아 섭정으로서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후안 2세와의 결혼으로 나바라 왕국 독립성 약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 영천 황보씨 - 황보승희
황보승희는 1999년 정계 입문 후 최연소 구의원, 부산시의원을 거쳐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등을 역임했으나 논란으로 탈당 후 자유통일당 원내대표를 역임한 정치인이다. - 영천 황보씨 - 황보관
황보관은 K리그와 J리그에서 선수로 활동하고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하여 199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와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장 등 행정가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축구인이다.
황보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보인 |
한자 표기 | 皇甫仁 |
호 | 지봉(芝峰) |
자 | 사겸(四兼) |
관직 | |
영의정 임명일 | 1451년 11월 20일 |
영의정 사임일 | 1453년 11월 10일 |
이전 영의정 | 하연 |
다음 영의정 | 이유(수양대군) |
좌의정 임명일 | 1449년 10월 21일 |
좌의정 사임일 | 1451년 11월 20일 |
이전 좌의정 | 하연 |
다음 좌의정 | 남지 |
우의정 임명일 | 1447년 7월 22일 |
우의정 사임일 | 1449년 10월 21일 |
이전 우의정 | 하연 |
다음 우의정 | 남지 |
생애 | |
출생 | 1387년 |
사망 | 1453년 11월 10일 |
사망 장소 | 한성 |
본관 | 영천(永川) |
부모 | 황보림(皇甫琳), 탐진 안씨 안우(安祐)의 딸 |
배우자 | 양성 이씨(陽城李氏) |
경력 | |
주요 경력 | 함길도 도체찰사 영의정 |
과거 합격 | 태종 14년(1414) 갑오 친시 을과 2위 |
2. 생애
1414년(태종 14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세종 때 장령,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병조판서가 되었으며, 1440년 평안도와 함길도 체찰사(體察使)가 된 후 10년 동안 절제사 김종서(金宗瑞)와 함께 육진(六鎭)을 개척하였다. 이후 상호군이 되었고 당상관에 올라서 동부대언, 우대언, 좌대언, 지신사를 거쳐서 형조좌참판, 병조우참판 등을 지냈다. 세종 때 북도 체찰사로서 절재 김종서와 아울러 6진을 개척하고 돌아와 병조판서를 지낸 뒤에 좌참찬과 우찬성, 좌찬성을 거쳐서 우의정이 되었다. 그 후 1451년 문종 때 좌의정을 거쳐서 영의정에 올랐다. 단종을 잘 보살피라는 문종의 유언을 받들어 어린 단종을 보호하다가, 1453년 수양대군에게 김종서와 함께 살해되었다. 향년 67세.[1]
조선의 과거에 급제한 후, 세종의 중용을 받아 문종이 섭정으로 정무를 대리할 때, 황보인은 우의정, 좌의정으로 국왕을 보좌했다. 문종이 즉위하자 영의정에 올라, 명나라에 파견되어 경태제의 승인을 얻었다. 후에 문종의 유언에 따라 김종서 등과 함께 단종의 보필을 맡았다. 그러나 1453년에 왕족 실력자인 수양대군 이요(후일의 세조)에 의해 숙청되었다([계유정난]).
1705년 숙종이 민진후의 상소를 보고 김종서와 황보인의 신원을 논의하였으며, 1719년 부분적인 신원이 이루어졌다.[2] 1746년(영조 22) 완전히 신원되어 영조가 1758년 충정(忠定)이라는 시호를 내렸다.[2] 1791년(정조 15) 장릉 충신단(忠臣壇)에 배식(配食)되고, 1804년(순조 4) 집 앞에 정문이 세워졌으며, 1807년 부조지전(不祧之典, 조상의 위폐를 사당에서 옮기지 않고 영원히 배향하는 것)을 받았다.[2] 영천의 임고서원(臨皐書院), 구룡포읍의 광남서원(廣南書院), 종성의 행영사(行營祠)에 제향되었다.[2]
황보인은 조선의 과거에 급제한 후 세종의 중용을 받았다. 문종이 섭정으로 정무를 대리할 때 우의정, 좌의정으로 국왕을 보좌했다. 문종 즉위 후 영의정에 올라 명나라에 파견되어 경태제의 승인을 얻었다. 문종의 유언에 따라 김종서 등과 함께 단종의 보필을 맡았다. 그러나 1453년 왕족 실력자인 수양대군(후일의 세조)에 의해 숙청되었다([계유정난]).
=== 드라마 ===
세종의 중용을 받아 문종이 섭정으로 정무를 대리할 때, 황보인은 우의정, 좌의정으로 국왕을 보좌했다. 문종이 즉위하자 영의정에 올라, 명나라에 파견되어 경태제의 승인을 얻었다. 후에 문종의 유언에 따라 김종서 등과 함께 단종의 보필을 맡았다. 그러나 1453년에 왕족 실력자인 수양대군(후일의 세조)에 의해 숙청되었다([계유정난]).[1]
3. 계유정난과 죽음
4. 사후
5. 가족
관계 이름 비고 할아버지 황보안(皇甫安) 아버지 황보림(皇甫琳) 외조부 안우(安祐) 어머니 탐진 안씨(耽津安氏) 장인 이지택(李之擇) 부인 양성 이씨(陽城李氏) 아들 황보석 아들 황보은 아들 황보흠 장녀 영천 황보씨 사위는 김만서(金晩緖) 차녀 영천 황보씨 사위는 홍원숙(洪元淑)[3] 딸 영천 황보씨 사위는 윤당(尹塘)[4] 딸 영천 황보씨 사위는 권은(權訔)[5]
6. 평가
7. 관련 작품
=== 영화 ===7. 1. 드라마
7. 2. 영화
2013년 영화 《관상》에서 배우 이창직이 황보인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황보인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황보인
https://terms.naver.[...]
[3]
간행물
의금부에서 역적의 인척 홍원숙·권은·김승벽 등을 체포하여 벌하기를 청하다
http://sillok.histor[...]
단종실록
1453-10-12
[4]
간행물
황보인의 사위 윤당을 경주에 옮겨 두게 하다
http://sillok.histor[...]
단종실록
1454-01-25
[5]
간행물
의금부에 명하여 부처한 황보 인의 사위 권은을 방면토록 하다
http://sillok.histor[...]
세조실록
1463-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